KR101947189B1 -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189B1
KR101947189B1 KR1020130014814A KR20130014814A KR101947189B1 KR 101947189 B1 KR101947189 B1 KR 101947189B1 KR 1020130014814 A KR1020130014814 A KR 1020130014814A KR 20130014814 A KR20130014814 A KR 20130014814A KR 101947189 B1 KR101947189 B1 KR 10194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forwarding
information
call forw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337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1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18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호 착신 전환 시스템은 제1 단말기에서 제2 단말기로 호가 전환된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었는지 조회하는 설정부, 상기 조회 결과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호의 발신 단말기로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방법{CALL FORWAR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에서 제2 단말기로 호가 전환된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호의 발신 단말기로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단말기에서 착신 전환을 설정하여 수신을 거부하거나 수신 단말기를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착신 전환 호를 받는 단말기는 모르는 사용자로부터의 착신 전환 설정에 의한 통화나 메시지 수신으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번호를 통해 착신 전환이 되는지 알기 어려우므로 해제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수신을 거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에 걸려오는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가 착신 전환 호에 의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착신 전환 호에 대해 수신 거부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수신 거부 예외 번호를 등록하여 제한된 수신 허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착신 전환 시스템은, 제1 단말기에서 제2 단말기로 호가 전환된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었는지 조회하는 설정부, 상기 조회 결과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호의 발신 단말기로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착신 전환 방법은,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통한 호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 수신된 호(call)가 제2 단말기로 전환되고,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었는지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 결과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호의 발신 단말기로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수신을 거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이 거부된 후 발신 단말기에게 수신이 거부 되었음을 음성 또는 문자로 통보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착신 전환 시스템 구성의 일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착신 전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호 착신 전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착신 전환은 전화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걸려오는 착신 호를 다른 특정한 전화번호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사용자가 사무실에 걸려오는 전화를 일과 후 집 또는 다른 장소에서 휴대 단말기를 통해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call) 착신 전환 시스템 구성의 일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두 사람 사이의 통화와 메시지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120 내지 140) 및 타 통신망과 연결되어 착신 전환 호를 제어할 수 있다.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발신 단말기(130)로부터 제1 단말기(120)와의 호 연결을 요청 받는 경우, 제2 단말기로 호를 연결하여 제1 단말기(120)로 요청된 호를 제2 단말기(140)로 착신 전환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제1 단말기(120)로 연결 시도되는 호에 대한 착신 전환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착신 전환할 제2 단말기(140)의 번호 정보 등을 유지할 수 있다.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제2 단말기(140)로 연결 시도되는 호가 발신 단말기(140)의 호 연결 요청에 의한 것인지 또는 제1 단말기(120)에 대한 착신 전환 호인지 판단한다. 이를 위해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호 착신 전환이 발생되면 상기 착신 전환 호에 플래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수신부, 설정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제어부, 및 제공부를 포함한다.
수신부는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한다. 상기 착신 전환 호는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 전환 호는 착신 전환 플래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었는지 조회한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제2 단말기(140)의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거부 설정 예외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거부 설정 예외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는 상기 조회 결과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착신 전환 에 대한 수신 거부 정보를 발신 단말기(130)로 제공한다. 제어부는 상기 수신 거부 정보를 발신 단말기(130)로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착신 전환 호가 메시지인 경우, 상기 수신 거부 정보는 메시지 형식이 될 수 있다.
제공부는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정보는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호 수신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부는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웹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전환 호가 상기 거부 설정 예외 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착신 전환 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 번호가 상기 거부 설정 예외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착신 전환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어 있더라도 상기 착신 전환 호를 제2 단말기(140)로 착신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20)는 음성이나 텍스트 메시지의 송수신을 목적으로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제1 단말기(120)는 타 통신망 또는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을 통해 발신 단말기(130)가 송신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기(120)는 제2 단말기(140)로의 호 착신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미리 알고 있는 제2 단말기(140)의 번호를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에 등록할 수 있다.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발신 단말기(130)의 호 설정 요청을 받을 때마다 제2 단말기(140)로 착신 전환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제2 단말기(140)는 착신 전환된 발신 단말기(130)의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기(140)는 착신 전환 호에 대해 일괄적으로 수신 거부 설정을 할 수도 있고, 수신 거부 예외 번호를 등록하여 부분적으로 착신 전환 호의 수신을 허용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30)는 제2 단말기(140)가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수신 거부를 요청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30)는 제2 단말기가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수신 거부를 요청한 경우,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으로부터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안내 메시지 형태의 수신 거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200)는 타통신망을 통해 착신된 호가 착신 전환 호인 경우, 수신 거부를 제공하기 위해 착신 전환 호 수신부(210), 착신 전환 호 설정부(220),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230), 수신 거부 제어부(240), 및 호 정보 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신 전환 호 수신부(210)는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한다. 상기 착신 전환 호는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 전환 호는 착신 전환 플래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착신 전환 호 설정부(2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230)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었는지 조회한다.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230)는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착신 전환 호에 대해 거부 설정을 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유지한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230)는 주소록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230)는 상기 착신 전환 호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정보를 더 기록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230)에는 상기 착신 전환 호의 발신 단말기 번호가 상기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어 있더라도, 예외적으로 수신을 허용하도록 설정된 규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거부 제어부(240)는 상기 조회 결과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호의 발신 단말기로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한다. 수신 거부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 거부 정보를 발신 단말기로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착신 전환 호가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 형식이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 거부 제어부(24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239)에 기록된 규칙에 따라, 상기 착신 전환 호에 포함된 상기 발신 단말기의 번호 정보가 상기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호 정보 제공부(250)는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정보는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호 수신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착신 전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10)에서 제1 단말기의 사용자는 제1 단말기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전환을 설정한다.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는 제1 단말기로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제2 단말기로 착신 전환이 되도록 선택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상황에 대한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착신 전환 호 연결 시도 중 통화 중일 경우, 착신 전환 호 연결 시도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단계(310)에서 상기 사용자는 착신 전환될 제2 단말기의 번호를 착신 전환 번호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착신 전환 번호는 모든 호에 대해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고, 발신 단말기의 번호에 따라 상기 착신 전환 번호를 다르게(즉 2대 이상의 제2 단말기로 착신 전환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320)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는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수신 거부를 설정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는 제2 단말기로 연결 요청되는 모든 호 중에서 제1 단말기에서 착신 전환된 착신 전환 호에 대해서만 수신 거부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320)에서, 상기 사용자는 착신 전환 호를 일괄적으로 수신 거부할 것인지, 수신 거부 예외 번호를 등록하여 상기 수신 거부 예외 번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 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 호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수신을 허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수신 거부 예외 정보로서, 발신 단말기 번호 대신, 착신 전환을 설정한 제1 단말기 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상기 사용자는 수신 거부된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조회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조회 기능이 선택되면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수신 거부된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기록 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사용자의 열람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상기 제2 단말기의 착신 전환 호 수신 거부 설정 정보 및 상기 수신 거부 예외 번호 등의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상기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한다.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상기 착신 전환 호에 포함된 플래그 정보를 통해 인커밍(incoming) 호가 착신 전환 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 거부 설정 정보 및 수신 거부 예외 번호를 조회한다.
단계(350)에서, 상기 조회 결과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해 수신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350)의 조회 결과, 수신 거부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단계(360)에서,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상기 제2 단말기로 착신 전환 호를 포워딩한다.
단계(350)의 조회 결과, 수신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 거부 예외 번호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 번호가 상기 수신 거부 예외 번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착신 전환을 설정한 상기 제1 단말기 번호가 상기 수신 거부 예외 번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착신 전환 호가 상기 수신 거부 예외 번호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단계(370)에서,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발신 단말기로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수신 거부 정보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신 거부 정보는 "12시 35분 발신된 문자가 010-1234-5678 번호로 착신 전환된 후 수신 거부되었습니다"의 문자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단계(380)에서, 제2 단말기의 사용자는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으로 수신 거부된 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390)에서, 호 착신 전환 시스템(110)은 상기 수신 거부된 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수신 거부된 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착신 전환 호에 포함된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수신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호 착신 전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수신 거부 설정 및 수신 거부 예외 정보를 통한 착신 전환 호의 선별적 수신 방법이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휴대 단말기는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한다. 상기 착신 전환 호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착신 전환 플래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수신 여부를 설정한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는 휴대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수신 거부 설정을 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록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200)의 착신 전환 호 설정부(220)는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230)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수신 거부 설정이 되었는지 조회한다.
상기 조회 결과,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수신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단계(430)에서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주소록 데이터를 조회한다.
단계(440)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번호가 상기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단계(440)의 판단 결과, 상기 주소록 데이터에 상기 착신 전환 호의 발신 단말기 번호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수신 거부 설정에 대한 예외 규칙으로서, 상기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단계(450)).
단계(440)의 판단 결과, 상기 주소록 데이터에 상기 착신 전환 호의 발신 단말기 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수신 거부 설정에 따라 상기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한다(단계(460)). 상기 수신 거부 정보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호 착신 전환 시스템
120: 제1 단말기
130: 발신 단말기
140: 제2 단말기

Claims (18)

  1.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통한 호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기로 호(call)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호에서 전환된, 제2 단말기에 대한 착신 전환 호를, 상기 발신 단말기의 번호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었는지 조회하는 설정부;
    상기 조회 결과, 상기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2 단말기로 연결 요청되는 모든 호 중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해 수신 거부하는 옵션을 선택 함에 따라,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었는지 조회하는
    호 착신 전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전환 호는, 착신 전환 플래그 정보를 포함하는
    호 착신 전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는, 음성 호 및 문자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호 착신 전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가 문자 메시지인 경우, 상기 수신 거부 정보는, 문자 메시지인
    호 착신 전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에 대한 정보는,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수신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착신 전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거부 정보는 음성 메시지 및 문자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호 착신 전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설정한 거부 설정 예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전환 호가 상기 거부 설정 예외 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착신 전환 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하는
    호 착신 전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웹을 통해 제공하는
    호 착신 전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하는 상기 제2 단말기가 통화 중이거나, 또는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 미리 선택된, 기타 다른 상황에 대한 조건에 따라 상기 호를 처리하는
    호 착신 전환 시스템.
  10. 삭제
  11.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통한 호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기로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호에서 전환된, 제2 단말기에 대한 착신 전환 호를, 상기 발신 단말기의 번호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었는지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 결과, 상기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회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로 연결 요청되는 모든 호 중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해 수신 거부하는 옵션을 선택 함에 따라,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었는지 조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착신 전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착신 전환 호를 수신하는 상기 제2 단말기가 통화 중이거나, 또는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 미리 선택된, 기타 다른 상황에 대한 조건에 따라 상기 호를 처리하는
    호 착신 전환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전환 호는, 착신 전환 플래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호가 문자 메시지인 경우, 상기 수신 거부 정보는, 문자 메시지이며,
    상기 호에 대한 정보는,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수신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거부 정보는, 음성 메시지 및 문자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호 착신 전환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설정한 거부 설정 예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전환 호가 상기 거부 설정 예외 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전환 호가 상기 거부 설정 예외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착신 전환 호를 상기 제2 단말기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착신 전환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 또는 웹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호 착신 전환 방법.
  17.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통한 호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타 단말기로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호에서 전환된 착신 전환 호를, 상기 발신 단말기의 번호에 따라, 상기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착신 전환 호 수신부;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를 참조하여, 연결 요청되는 모든 호 중에서 상기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해 수신 거부하는 옵션을 선택 함에 따라, 상기 착신 전환 호에 대한 거부 설정이 되었는지 조회하는 착신 전환 호 설정부;
    상기 조회 결과 거부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하는 수신 거부 제어부; 및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호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는 주소록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수신 거부 제어부는,
    상기 호에 포함된 상기 발신 단말기의 번호 정보가 상기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수신 거부 정보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30014814A 2013-02-12 2013-02-12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10194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14A KR101947189B1 (ko) 2013-02-12 2013-02-12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14A KR101947189B1 (ko) 2013-02-12 2013-02-12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337A KR20140102337A (ko) 2014-08-22
KR101947189B1 true KR101947189B1 (ko) 2019-02-13

Family

ID=5174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814A KR101947189B1 (ko) 2013-02-12 2013-02-12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1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454B1 (ko) * 1999-11-11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착신전환에 의한 호 연결 방법
KR20040081623A (ko) * 2003-03-14 2004-09-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통신 단말기에서의 선택적 착신전환 방법
KR101468431B1 (ko) * 2008-01-07 2014-12-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펨 전화 차단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337A (ko) 201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74047A1 (en) Routing paging messages for multiple subscription identities of a single communication device via a single paging channel
US11399263B2 (en) Broker servic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CN113366812A (zh) 使用i/o装置的集合提供通信服务
CN109982034B (zh) 视频监控系统中的访问请求处理方法及装置
US10070408B2 (en) Application regist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9326112B2 (en) Sending user device status information
EP3082317B1 (en) Method of automatically setting protocol i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ystem
CN110856213B (zh) 切换数据传输方式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790883B1 (ko) 지능망 환경에서의 전화 상담 및 채팅 상담 간의 전환을 위한 지능망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지능망 서버
WO2016202127A1 (zh) 无源光纤网络中波长通道的分配方法、光线路终端及系统
KR101947189B1 (ko) 호 착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JP5670962B2 (ja) 移動通信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制御方法、移動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101999857B1 (ko) 예외번호 관리를 통한 수신 제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68177B1 (ko)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킷 처리 방법
JP2010268198A (ja) 発側呼処理装置及び発信制御方法
KR101812537B1 (ko) 클라이언트 및 클라이언트의 동작 방법
US116533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transcoding resource allocation during call setup to multiple terminations
WO2017199099A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use between sdn device and ocs, sdn device, and ocs
JP6207042B2 (ja) 複数の識別プロファイルを有する通信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JP6679119B1 (ja) 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20120117153A (ko) 번호 이동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JP6139431B2 (ja) 呼処理制御装置、呼処理制御システム、呼量規制方法、呼処理制御プログラム
KR101797364B1 (ko)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하여 착신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705988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apply a media specific action
JP4509923B2 (ja) 伝送路設定制御システムおよび伝送路設定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