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651A -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651A
KR20140005651A KR1020120073588A KR20120073588A KR20140005651A KR 20140005651 A KR20140005651 A KR 20140005651A KR 1020120073588 A KR1020120073588 A KR 1020120073588A KR 20120073588 A KR20120073588 A KR 20120073588A KR 20140005651 A KR20140005651 A KR 2014000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ing
heating element
integrate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336B1 (ko
Inventor
박환갑
Original Assignee
박환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환갑 filed Critical 박환갑
Priority to KR102012007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3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8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05B3/283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the insulating material being an inorganic material, e.g. ceram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09Radiators
    • F24D2220/2036Electric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시공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에 외부전원을 제공하는 배선의 병렬연결을 통합 관리하여 발열체(400a 내지 400d) 중 어느 한곳에 누전이나 이상현상이 생기면 종래에는 그 섹션 전체가 누전차단기가 작동하여 사용을 못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이상현상이 있는 발열체 만을 제 1 통합배선 연결부(400a)에서 차단할 수 있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발열필름 및 방수를 위해 소정 두께로 상기 발열필름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 처리하는 방수 보호막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 배선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고, 스위칭을 통해 2개 이상의 발열체로 전원을 병렬로 인가하여 통합 관리하는 통합배선 스위치부를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Wiring interconnect structure of heating unit for wet process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전 및 파손의 위험이 없는 방수기능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직접적인 습식 시공이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열필름은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 없이도 단열을 위해 바닥에 깔기만 하면 되므로 간편하고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시공이 가능하며, 얇고 가벼워 운반이 쉽고, 관리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리모델링 시공시 대대적인 공사를 할 필요가 없으며, 매우 간편하고 설치 후에도 손질이나 정비를 할 필요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열필름(또는 발열시트)과 같은 발열체는 열효율이 높아 건축 난방용이나, 비닐하우스, 축사 등 농, 축산업 난방용으로 종래 보일러 및 전열선 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참고로 상기 발열체는 선상 발열체와 면상 발열체로 구성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열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발열필름에 단열재를 부착한 발열체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참고로 도 1, 2는 발열필름 중 선상 발열필름을 예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과 같이, 발열필름(100)은 일 측의 제 1 합성수지재(PET) 필름(200a) 내면으로 양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은페이스트(120b) 및 동(120a)으로 각각 배치된 동선(120)과, 상기 양측의 동선(120) 사이를 가로로 일정간격마다 병렬로 배치한 탄소성분을 갖는 발열부(110)와, 그리고 상기 동선(120) 및 발열부(110) 상부에 위치하여 열 압착을 통해 상기 제 1 합성수지재 필름(200a)과 도포되는 제 2 합성수지재 필름(200b)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발열필름을 갖는 발열체는 도 2와 같이, 발열필름(100)의 동선(120) 양측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통해 +전압과 -전압을 동선(120)에 인가하여 양측 동선(120) 사이에 연결된 발열부(110)를 발열시키기 위한 커넥터 단자(130)와, 발열부(110)의 일 측면의 합성수지재 필름(200b) 하부 표면에 적층 부착되어 건축난방 시공 후 발열부(11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장시간 보온성을 유지하기 위한 일정 두께를 갖는 단열재(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열부(110)는 전류가 흐르면 쉽게 발열하는 탄소성분을 포함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의 구조로 구성되는 발열필름 및 발열체(100)는 도 3과 같이 다수의 발열필름 및 발열체(100)가 서로 연결되어 롤(roll) 형태로 제조되며, 시공시에 현장에서 설치되는 면적을 감안하여 규격에 맞게 재단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양 측면을 재단함에 따라, 동선(120)이 외부로 노출되어 방수에 취약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롤 형태로 제공되므로 시공할 때마다 재단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항상 별도의 커넥터(130)를 동선(120)에 연결하는 작업이 필연적으로 수반됨에 따라, 커넥터(130) 연결 후 테이핑을 하더라도 누전의 염려가 항상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방수제를 사용하거나 방수 보호 필름을 동선(120) 또는 발열체(100) 전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시공시에 재단하는 방식으로 발열필름 및 발열체(100)가 사용됨에 따라 재단된 부분으로 그 틈이 발생되는 것을 어쩔 수가 없게 되어 완전한 방수성을 갖는 발열필름 및 발열체(100)를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방수성이 떨어짐에 따라 선상 및 면상 발열필름 및 발열체(100)는 습식에서의 시공이 불가능하여 건식 시공에만 한정하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의 난방 시공 시 물기가 있는 공사에서는 물기를 제거하거나 마른 후에 작업을 하여야 하고, 시멘트나 콘크리트 상하부에 타설하는 방식에는 전혀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건축물의 난방시공 시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방식으로는 파이프 관을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하고, 파이프 관을 통해 온수를 이동시킴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파이프 관 내부에 열선을 위치시키는 초절전 온수관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는 파이프 관 내부에 전열선을 삽입하여 파이프 관 내부 물의 온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난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파이프 관의 경우 수명이 짧고, 누수가 결로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파이프 관의 내부에 있는 물이 파이프 관을 부식시켜 오염물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절전 온수관의 경우도 파이프 관의 내부에 있는 물이 고여 있어 물이 썩거나, 전열선에 스케일(scale : 물때)이 끼어서 전열선이 끊어지는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건축물의 난방시공 시에 많은 문제를 갖는 파이프 관의 사용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대체품의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재단 없이 우레탄을 이용하여 발열필름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및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방수 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하도록 발열체를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의 난방시공 시에 습식 콘크리트 타설 가능한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 시공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에 외부전원을 제공하는 배선의 병렬연결을 통합 관리하여 일부의 배선 오류로 인한 다수 또는 전체 발열체의 단선을 차단할 수 있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의 특징은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발열필름 및 방수를 위해 소정 두께로 상기 발열필름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 처리하는 방수 보호막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 배선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고, 스위칭을 통해 2개 이상의 발열체로 전원을 병렬로 인가하여 통합 관리하는 통합배선 스위치부를 구성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배선 스위치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 배선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는 제 1 통합배선 연결부와, 상기 제 1 통합배선 연결부에 직렬로 연결된 발열체의 배선을 서로 교차 연결하여 상기 2개 이상의 발열체 간에 서로 병렬로 배선을 연결하고, 병렬로 배선이 연결된 발열체 중 하나의 배선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제 2 통합배선 연결부와, 외부선을 통합배선 스위치부(500)의 내부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통로 역할을 하는 CD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2 통합배선 연결부는 제 1 및 2 통합배선 연결부의 몸체 중심으로 배선과 관통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다른 측면에 위치하여 삽입공 각각에 대응되어 제 1 및 2 통합배선 연결부끼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종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배선 스위치부 내에 다수개의 제 1 및 2 통합배선 연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필름은 선상 발열필름 또는 면상 발열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필름의 동선 양측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통해 +전압과 -전압을 동선에 인가하여 양측 동선 사이에 연결된 발열부를 발열시키기 위한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방수 보호막에 의해 발열필름과 함께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되어 내부 배선과 외부 배선 간에 서로 방수 처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선은 양측 동선 각각에 집게 형태로 연결된 커넥터 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선과 양측 동선은 납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필름이 밀봉된 방수 보호막 내부는 진공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열선용 발열시트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화기나 모터가 없어서 안전하며 조용한 난방 시스템을 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복사열로 전기 효율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둘째, 기존에 건축물의 난방 시공시 이용되고 있는 파이프 관 및 초절전 온수관과 같이 물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동파, 누수의 위험이 없으며, 오염물의 발생과, 파이프 관의 부식을 통한 수명의 단축 등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초절전 온수관이 갖는 파이프 관 안에 발생되는 스케일이나 물이 썩어 전열선이 끊어지는 현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셋째, 방수기능을 통해 습식시공이 가능하여 간편하고 단기간의 시공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저렴한 공사비용을 갖는 효과가 있다.
넷째, 높은 하중에도 변형이 적고 휘어짐(flexible)이 좋은 우레탄을 이용하여 직접적인 습식 콘크리트 타설 시공이 가능하여 다양한 시설물의 적용이 가능하다. 즉, 건축 내부 바닥의 난방은 물론 결빙 도로, 지붕 위에 쌓이는 눈을 녹이는 곳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섯째, 콘크리트 타설 시공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에 외부전원을 제공하는 배선의 병렬연결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발열체 일부의 배선 오류로 인한 다수 또는 전체 발열체의 단선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콘크리트 타설 시공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에 외부전원을 제공하는 배선의 병렬연결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단선된 발열체의 손쉬운 검출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평탄성 유지가 되어 사용되는 마감재를 장판, 데코타일, 온돌마루, 돌, 대리석 등 소프트하고, 하드한 모든 마감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열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발열필름을 갖는 발열체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롤 형태로 제조되는 발열필름 및 발열체를 촬영한 사진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의 제 1 실시예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의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면과 같이, 밀폐형 발열체는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발열필름(100)과, 방수를 위해 우레탄을 이용하여 상기 발열필름(100)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및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410) 처리하는 방수 보호막(4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열필름(100)은 선상 발열필름 또는 면상 발열필름 그 밖의 가능한 형태의 발열필름으로 구성되며, 방수 보호막(400)은 두께의 제한은 없으나 좀 더 바람직하기로는 3mm 이상의 두께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필름(100) 중 선상 발열필름의 구성은 도 1과 같이 일 측의 제 1 합성수지재(PET) 필름(200a) 내면으로 양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은페이스트(120b) 및 동(120a)으로 각각 배치된 동선(120)과, 상기 양측의 동선(120) 사이를 가로로 일정간격마다 병렬로 배치한 탄소성분을 갖는 발열부(110)와, 그리고 상기 동선(120) 및 발열부(110) 상부에 위치하여 열 압착을 통해 상기 제 1 합성수지재 필름(200a)과 도포되는 제 2 합성수지재 필름(200b)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발열필름(100)의 동선(120) 양측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통해 +전압과 -전압을 동선(120)에 인가하여 양측 동선(120) 사이에 연결되어 발열부(110)를 발열시키기 위한 커넥터 단자(130)는 도 6과 같이 상기 방수제(400)에 의해 발열필름(100)과 함께 고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압착 밀봉(410)되어 내부 배선과 외부 배선 간에 서로 방수 처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 단자(130)는 발열필름(100)과 방수 보호막(400)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구성됨에 따라 동선(120)과 별도의 배선을 납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필름(100)이 밀봉된 방수 보호막(400) 내부는 진공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이는 내부에서 상기 발열필름(10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부에 공기가 있는 경우 발열필름(100)에서 이루어지는 전류의 흐름에 장애요인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방수 보호막(400)내부에서 상기 발열필름(100)이 움직이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발열필름(100)과 상기 방수 보호막(400) 사이를 접착제로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는 발열필름(100) 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방수 보호막(400)을 위에 위치시킨 후, 열 선로에서 열을 가해서 발열필름(100)과 방수 보호막(400)을 서로 접착 시키게 된다.
상기 방수 보호막(400) 내부에 발열필름(100)이 밀봉되어 구성되는 발열체의 구조는 발열체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롤(roll) 형태로 제조된 후, 시공시에 설치되는 면적의 길이에 맞게 현장에서 재단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설치될 공간의 크기에 따라 미리 주문 생산하여 설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의 경우 방수 보호막(400)으로 우레탄 등 소재를 발열필름(100) 외부를 밀봉하여 구성함으로써, 높은 하중에도 변형이 적고 휘어짐(flexible)이 좋아 직접적인 습식 콘크리트 타설 시공이 가능하여 다양한 시설물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습식 콘크리트 타설 시공이 가능한 발열체는 시공시에 현장에서 설치되는 면적에 따라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바닥에 적어도 2개 이상 바닥에 펼쳐놓고, 각각의 발열체 간의 배선을 서로 병렬 연결한다.
그리고 이렇게 서로 병렬로 배선이 연결된 발열체 중 하나(일 측에 위치하는 발열체)의 배선은 배선 스위치부(140)로 연결한다. 이때, 배선 스위치부(14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있어서, 배선 스위치부(140)를 통한 스위칭을 통해 서로 병렬로 배선이 연결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로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부(110)를 발열시키게 된다.
참고로, 도 7a는 외부전원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 동선과 -전압 동선이 모두 발열체 일 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발열체 간에 서로 병렬로 배선이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이고, 도 7b는 외부전원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 동선과 -전압 동선이 발열체의 서로 다른 일 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발열체 간에 서로 병렬로 배선이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이는 동선의 위치에 따라 서로 배선이 연결되는 방향이 다를 뿐, 병렬로 배선이 연결되는 것은 동일하다.
그리고 배선 스위치부(140)만을 남기고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간 병렬로 연결된 배선 상부에 직접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 간에 서로 병렬로 배선이 연결되고, 이 중 하나의 발열체만이 배선 스위치부(140)와 연결되고 있어서, 일부의 배선 오류로 인한 다수 또는 전체 발열체의 단선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7a와 같이 제 1 발열체(400a), 제 2 발열체(400b), 제 3 발열체(400c), 제 4 발열체(400d)가 순차적으로 바닥에 위치하고, 제 1 발열체(400a)와 제 2 발열체(400b)의 배선이 서로 병렬 연결되고, 제 2 발열체(400b)와 제 3 발열체(400c)의 배선이 서로 병렬 연결되고, 제 3 발열체(400c)와 제 4 발열체(400d)의 배선이 서로 병렬 연결되며, 상기 제 4 발열체(400d)와 배선 스위치부(140)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발열체 간에 배선이 병렬 연결된 배선 구조의 경우에 제 2 발열체(400b)와 제 3 발열체(400b)를 연결하는 배선만이 단선된 경우에는 제 2 발열체(400b) 뿐만 아니라 그 뒤로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제 1 발열체(400a)까지도 전원이 제공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는 제 4 발열체(400d)와 배선 스위치부(140)를 연결하는 배선이 단선된 경우에는 제 4 발열체(400d) 뿐만 아니라 그 뒤로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제 3 발열체(400c)부터 제 1 발열체(400a)까지 전원이 제공되지 않게 되어, 전체 발열체에 전원이 제공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도 8a 및 도 8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 배선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고, 배선 스위치부(140)를 통한 스위칭을 통해 2개 이상의 발열체로 전원을 병렬로 인가하여 통합 관리하는 통합배선 스위치부(50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통합배선 스위치부(5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 배선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는 제 1 통합배선 연결부(510)와, 상기 제 1 통합배선 연결부(510)에 직렬로 연결된 발열체의 배선을 서로 교차 연결하여 상기 2개 이상의 발열체 간에 서로 병렬로 배선을 연결하고, 병렬로 배선이 연결된 발열체 중 하나의 배선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제 2 통합배선 연결부(520)를 갖는 단자대(530)와, 외부선을 통합배선 스위치부(500)의 내부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통로 역할을 하는 CD관 연결부(5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통합배선 연결부(510)(520)는 제 1, 2 통합배선 연결부(510)(520)의 몸체 중심으로 배선과 관통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다른 측면에 위치하여 삽입공 각각에 1대1 대응하여 제 1, 2 통합배선 연결부(510)(520)끼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종단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통합배선 스위치부(500)는 제 1 통합배선 연결부(510)에 구성된 삽입공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 배선이 각각 직렬로 연결되고, 이어 제 2 통합배선 연결부(520)에 구성된 삽입공을 이용하여 제 1 통합배선 연결부(510)에 직렬로 연결된 발열체의 배선을 독립된 추가 연결 배선을 이용하여 서로 교차 연결하여 상기 2개 이상의 발열체 간에 서로 병렬로 배선이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통합배선 스위치부(500)는 도 8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다수개의 단지대(530)를 통합배선 스위치부(500) 내에 구성함으로써, 발열체(400)의 개수에 따라 그 크기 또는 갯수의 확장이 가능하다.
이처럼, 통합배선 스위치부(500)에서 2개 이상의 발열체 배선 각각을 독립적으로 연결하고, 이를 병렬 연결하는 구조로 각각의 발열체를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되어 단선된 발열체 배선만을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단선된 발열체의 유지보수 시에 단선된 발열체만을 간편하게 보수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통합배선 스위치부(500)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 시공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에 외부전원을 제공하는 배선의 병렬연결을 통합 관리하여 발열체(400a 내지 400d) 중 어느 한곳에 누전이나 이상현상이 생기면 종래에는 그 섹션 전체가 누전차단기가 작동하여 사용을 못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이상현상이 있는 발열체 만을 제 1 통합배선 연결부(400a)에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통합배선 스위치부(50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뿐만 아니라, 벽면에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관리 및 수리가 용이하고, 바닥에 설치되는 것에 비해 벽면에 설치됨에 따라 외관이 수려한 장점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발열필름 및 방수를 위해 소정 두께로 상기 발열필름 가장자리 전면에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 처리하는 방수 보호막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 배선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고, 스위칭을 통해 2개 이상의 발열체로 전원을 병렬로 인가하여 통합 관리하는 통합배선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배선 스위치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열체 배선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는 제 1 통합배선 연결부와,
    상기 제 1 통합배선 연결부에 직렬로 연결된 발열체의 배선을 서로 교차 연결하여 상기 2개 이상의 발열체 간에 서로 병렬로 배선을 연결하고, 병렬로 배선이 연결된 발열체 중 하나의 배선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제 2 통합배선 연결부와,
    외부선을 통합배선 스위치부(500)의 내부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통로 역할을 하는 CD관 연결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통합배선 연결부는
    제 1 및 2 통합배선 연결부의 몸체 중심으로 배선과 관통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다른 측면에 위치하여 삽입공 각각에 대응되어 제 1 및 2 통합배선 연결부끼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종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배선 스위치부 내에 다수개의 제 1 및 2 통합배선 연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필름의 동선 양측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통해 +전압과 -전압을 동선에 인가하여 양측 동선 사이에 연결된 발열부를 발열시키기 위한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방수 보호막에 의해 발열필름과 함께 고주파 또는 저주파 처리 가공을 통해 밀봉되어 내부 배선과 외부 배선 간에 서로 방수 처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필름이 밀봉된 방수 보호막 내부는 진공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KR1020120073588A 2012-07-06 2012-07-06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KR10140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588A KR101404336B1 (ko) 2012-07-06 2012-07-06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588A KR101404336B1 (ko) 2012-07-06 2012-07-06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51A true KR20140005651A (ko) 2014-01-15
KR101404336B1 KR101404336B1 (ko) 2014-06-09

Family

ID=5014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588A KR101404336B1 (ko) 2012-07-06 2012-07-06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4545B2 (en) 2016-03-25 2020-09-22 Xing Power Inc. Submerged cell modular batte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5211B2 (ja) * 1999-04-21 2008-11-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温度制御用プレートの製造方法
KR20070062752A (ko) * 2005-12-13 2007-06-18 유유자 전기 온열패널 배선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4545B2 (en) 2016-03-25 2020-09-22 Xing Power Inc. Submerged cell modular batt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336B1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328B1 (ko) 발열필름을 갖는 습식 시공 가능한 밀폐형 발열체
CN102465585A (zh) 一种电热地暖系统的安装方法
BR112016017413B1 (pt) Telhado em parte coberto por uma cobertura de telhado modular
CN105576531B (zh) 散热效果较好的配电柜
CN110856288A (zh) 石墨烯发热体
KR101404336B1 (ko)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체의 배선 연결 구조
CN107396463B (zh) 一种电发热组件、防覆盖发热模块及地暖系统
KR20170017096A (ko)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및 동파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배관 부품
KR20220008505A (ko) 습식 시공 가능한 발열 매트의 배선 연결 구조
JP7330136B2 (ja) 埋め込み型漏水検知通報装置、断熱材、防水構造物および漏水を検知する方法
KR20090129445A (ko) 가열 장치
CN103458664A (zh) 循环液式自传感适温电路板保护装置
EP2781843A1 (en) Manufacture of modular flooring with an electrical heating system
JP2016023479A (ja) 凍結防止構造及び凍結防止シート
KR101284634B1 (ko) 누수 및 결로로 인한 통신장애 및 기계적 오류를 보완한 직접 디지털 제어기기 및 건물용 시스템
JP2018181844A (ja) 面状ヒーターと面状ヒーターを用いた融雪システム
CN208205172U (zh) 一种拼接式地暖组件
CN106013656A (zh) 内置电路一体化智能板材
KR101922147B1 (ko) 발열통행로 및 그 제조방법
CN219775491U (zh) 一种市政工程用热力管道防漏装置
JP6782475B2 (ja) 太陽電池付き金属製縦葺き屋根材及び屋根構造
CN108518722A (zh) 一种拼接式地暖组件
KR20100058818A (ko) 조립식 온수판넬
CN212542402U (zh) 一种半导体封装器件
KR102636782B1 (ko) 누설전류 유도 전선관 및 이를 포함하는 감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