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265A - 글리세린 카르보네이트 및 아민 기재의 중합체 - Google Patents

글리세린 카르보네이트 및 아민 기재의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265A
KR20140005265A KR1020137022023A KR20137022023A KR20140005265A KR 20140005265 A KR20140005265 A KR 20140005265A KR 1020137022023 A KR1020137022023 A KR 1020137022023A KR 20137022023 A KR20137022023 A KR 20137022023A KR 20140005265 A KR20140005265 A KR 20140005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polymer
formula
component
polym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4164B1 (ko
Inventor
로만 베네딕트 레터
파비앙 장 브랑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4000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2Aliphatic polycarbonates
    • C08G64/0208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 C08G64/0216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containing a chain-terminating or -crosslink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2Aliphatic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2Aliphatic polycarbonates
    • C08G64/0208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 C08G64/0225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 C08G64/0241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8Block or graft polymers
    • C08G64/183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ther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체 및 관련 중합 방법 및 예를 들어 고체 분산을 위한 발포 억제제로서 또는 세정 또는 클리닝 목적을 위한 계면활성제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a) 하나 이상의 알킬렌 산화물 또는 하기 식 (I) 의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Figure pct00006

[식 중, n 은 1 내지 10 이고, m 은 0 내지 3 이고, R1 은 C1-C10-알킬, C2-C10-알케닐, 아릴 또는 아르알킬임],
b) 글리세린 카르보네이트 및 c) 하나 이상의 아민을 중합시켜 중합체를 제조한다.

Description

글리세린 카르보네이트 및 아민 기재의 중합체 {POLYMERS ON THE BASIS OF GLYCERIN CARBONATE AND AN AMINE}
본 발명은 중합체 및 관련 중합 방법 및 예를 들어 고체의 분산을 위한 에멀전화제로서, 발포 조절제로서, 발포 진폭제로서, 발포 억제제로서, 경질 표면을 위한 습윤제로서 또는 세정 또는 클리닝 목적을 위한 계면활성제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및 아민을 기반으로 한다. 사용되는 공단량체는 하나 이상의 알킬렌 산화물, 예컨대 에틸렌 산화물 또는 프로필렌 산화물 또는 하기 정의된 식 (I) 의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예컨대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이다.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화학물질이다. 따라서, 이는 예를 들어 무수물과 반응하여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거나,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는 화장품 또는 의학에서 용매로서 사용된다. 이의 낮은 독성, 낮은 증발률, 낮은 인화성 및 보습 특성 때문에,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는 화장품 재료의 습윤제로서 또는 의학적 유효 물질용 담체 용매로서 적합하다. 나아가,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는 또한 중합체 제조에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에 대한 대안으로서, 에피클로로히드린, 글리시돌 또는 글리세롤이 또한 중합체 제조 중에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조된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 구조는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는 이들 글리세롤 유도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US-A 5,041,688 은 낮은 비율의 시클릭 생성물을 갖는 폴리글리세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글리세롤은 인산과 같은 산의 존재 하에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하고, 이어서 장쇄 카르복실산과의 에스테르화가 수행된다.
하지만, 상기 기재된 중합 방법이 갖는 문제점에는 글리세롤의 축합 중 높은 열적 응력에 의해 야기되는 흑색의 타르성 점조도의 생성물, 넓은 분자량 분포 및 낮은 축합도가 있다.
상기 문제점들은 글리세롤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 대신, DE-A 199 47 631 및 EP-A 1785410 에서와 같이 글리시돌을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될 수 있다. 한편, 이의 발암 특성 및 높은 불안정성 때문에, 글리시돌의 사용은 부가적인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DE-A 199 47 631 은 1 내지 300 의 중합도, < 1.7 의 다분산도 및 약 30% 이하의 분지형 단위의 함량 (13C-NMR 분광법에 의해 측정됨) 을 갖는 글리시돌 기재의 폴리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관련 방법에서, 희석된 형태의 글리시돌을 포함하는 용액은 염기성 촉매작용 하에서 수소-활성 출발 화합물과 반응한다. 글리시돌 기재의 중합체의 추가의 제조 방법이 US-A 4,298,764 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10 내지 20 의 n-알킬 사슬 길이를 갖는 장쇄 n-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알코올을 제조할 수 있다.
EP-A 1 785 410 은 탄소수 30 이하의 알코올 및 글리시돌로부터 염기성 촉매작용에 의해 제조되는 비분지형 폴리글리세롤 모노에테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글리세롤 모노에테르는 글리세롤 및/또는 글리시돌 빌딩 블록을 기반으로 하는 2 개 이상의 단편을 갖는다. 상기 폴리글리세롤 모노에테르는 75% 이상의 모노에테르 분획 및 최대 5% 의 디에테르 분획을 갖는다 (상기 특정 분획은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RP-HPLC) 에 의해 측정됨).
상기 글리시돌 출발 물질에 대한 대안으로서, 글리세롤로부터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4-(히드록시메틸)-1,3-디옥솔란-2-온) 가 염기-촉매작용 중합을 통한 올리고글리세롤의 합성을 위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G. Rokicki et al., Green Chemistry, 2005, 7, pages 529 to 539] 에는 단량체로서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수득가능한 과분지형 지방족 폴리에테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과분지형 지방족 폴리에테르는 2 개의 1 차 히드록시기를 갖는 말단 단위를 갖는다.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의 개환 중합은 알콕시드를 사용하여 염기 촉매작용 하에서 수행된다.
출발 물질로서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양친매성 글리세롤 또는 폴리글리세롤 모노알킬 에테르의 유사한 제조 방법이 JP-A 2000 1119 205 또는 JP-A 11 335 313 에 기재되어 있다. 일부 경우에서, 탄소수 24 이하의 알킬 라디칼을 갖는 장쇄 출발 알코올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WO 2010/012562 는 재생가능한 원료로부터 수득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의 촉매 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클릭 카르보네이트의 고리 크기는 원자수 5 내지 7 이고, 여기서 개환 중합은 트리플레이트와 같은 금속 염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존재 하에서 수행된다.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는 또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중합체는 탄산 에스테르 빌딩 블록을 갖고, 즉 상기 중합은 산성 촉매로서 작용하는 금속 염의 존재 하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CO2 의 제거 없이 실시된다.
DE-A 44 33 959 는 알킬 및 알킬렌 올리고글리코시드 글리세롤 에테르 및 또한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개선된 발포 거동을 갖는 발포 세제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제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알킬 및/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글리세롤 에테르는 알킬 및/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와 글리세롤 글리신,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또는 직접 글리세롤 및/또는 공업용 올리고글리세롤 혼합물과의 에테르화에 의해 제조된다. 유사한 알킬 및/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글리세롤 에테르가 DE-A 43 35 947 에 개시되어 있다.
N. Kihara 등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volume 31 (1993); pages 2765-2773) 은 20,000 내지 30,000 의 분자량 Mn 을 갖는 폴리히드록시우레탄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며, 여기서 2 개의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단편을 갖는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디아민과 같은 디아민과 중부가 (polyaddition) 를 통해 70 내지 100 ℃ 에서 24 시간에 걸쳐 반응한다. 고리 크기 5 를 갖는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가 1 차 지방족 아민과 실온에서 용이하게 반응하여 2-히드록시에틸우레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 또한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시클릭 카르보네이트와 알코올 또는 카르복실산과의 상응하는 반응 및 또한 에스테르의 가아민분해는 이들 반응 조건 하에서 실시되지 않는다.
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및 알킬렌 산화물 및/또는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와 상이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예컨대 에틸렌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공단량체의 동시 사용은 아직 기재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본적인 목적은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기재의 추가의 중합체 및 또한 관련 중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기를 중합시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에 의해 달성된다:
a) 하나 이상의 알킬렌 산화물 또는 하기 식 (I) 의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Figure pct00001
[식 중,
n 은 1 내지 10 이고,
m 은 0 내지 3 이고,
R1 은 C1-C10-알킬, C2-C10-알케닐, 아릴 또는 아르알킬임],
b)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및
c) 하나 이상의 아민.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선형 및 분지형 구조 둘 모두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되는 중합 조건 (예를 들어, 온도) 및/또는 사용되는 단량체 (출발 물질) 에 따라, 상이한 구조 - 예를 들어, 상이한 분지도 - 및 결과적으로 가변적인 적용 프로파일을 갖는 중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단량체로서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증가된 수의 유리된 OH 관능기를 갖는다. 혼입된 각각의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단량체는 상기 중합체에서 부가적인 잠재적 연결 부위를 유도하고, 이에 의해 분지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유리된 OH 관능기의 결과로서, 수용성의 증가, 염 호환성의 개선 (증가된 내염성 (salt tolerance)) 및 높은 혼탁점 (cloud point) 이 달성된다.
추가적인 이점은, 상기 사용되는 출발 물질 및/또는 중합 조건 때문에, 중합된 아민 (출발 아민) 을 기반으로 가수분해 경향이 있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지 않는 중합체가 제조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양친매성 분자의 소수성 부분 및 친수성 부분이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함께 연결되어 있는 통상의 중합체와 비교하여 개선된 pH 안정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양친매성이다.
게다가, 상기 중합 중 단량체로서 글리시돌 대신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의 사용은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가 용이하게 중합될 수 있는 취급이 용이하고 비독성인 화합물이라는 이점과 관련이 있다. 게다가, 이와는 대조적으로, 글리시돌 (상기 기재된 바) 은 독성이 있는 고비용의 매우 위험한 물질이기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 사용을 위한 공식적인 허가가 요구된다. 나아가,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호기가 요구되지 않는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분지도는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의 사용을 통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고, 그 결과 상이한 의도된 용도를 갖는 다수의 중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상, C1-C10-알킬과 같은 정의는, 예를 들어 식 (I) 에서 라디칼 R1 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치환기 (라디칼) 가 탄소수 1 내지 10 인 알킬 라디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알킬 라디칼은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또한 임의로는 시클릭일 수 있다. 시클릭 성분 및 또한 선형 성분 둘 모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이 마찬가지로 상기 정의에 포함된다. 이는 또한 기타 알킬 라디칼, 예를 들어 C1-C3-알킬 라디칼 또는 C1-C30-알킬 라디칼에 대하여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알킬 라디칼은 임의로는 또한 아미노, 아미도, 에테르, 비닐 에테르, 이소프레닐, 히드록시, 머캅토, 카르복실, 할로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과 같은 관능기로 모노- 또는 다중치환될 수 있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알킬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로서 관능기를 갖지 않는다. 알킬 라디칼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sec-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2-에틸헥실, 3차-부틸 (tert-bu/t-Bu), 펜틸, 헥실, 헵틸, 시클로헥실, 옥틸, 노닐 또는 데실이다.
본 발명의 맥락상, C2-C10-알케닐과 같은 정의는, 예를 들어 식 (I) 에서 라디칼 R1 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치환기 (라디칼) 가 탄소수 2 내지 10 인 알케닐 라디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탄소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모노불포화이지만, 임의로는 또한 디- 또는 다가불포화될 수 있다. 선형성, 분지, 시클릭 분획 및 임의 존재하는 치환기에 대하여, C1-C10-알킬 라디칼에 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유사한 설명이 적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맥락상, C2-C10-알케닐은 비닐, 1-알릴, 3-알릴, 2-알릴, 시스- 또는 트랜스-2-부테닐, ω-부테닐이다.
본 발명의 맥락상, 용어 "아릴" 은, 예를 들어 식 (I) 에서 라디칼 R1 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치환기 (라디칼) 가 방향족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방향족은 모노시클릭, 바이시클릭 또는 임의로는 폴리시클릭 방향족일 수 있다. 폴리시클릭 방향족의 경우, 개별 사이클은 임의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포화될 수 있다. 아릴의 바람직한 예는 페닐, 나프틸 또는 안트라실, 특히 페닐이다. 상기 아릴 라디칼은 또한 C1-C10-알킬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관능기로 임의로 단일- 또는 다중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상, 용어 아르알킬은, 예를 들어 식 (I) 에서 라디칼 R1 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알킬 라디칼 (알킬렌) 이 결국 아릴 라디칼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알킬 라디칼은, 상기 정의에 따라, 예를 들어 C1-C10-알킬 라디칼일 수 있다.
상기 식 (I) 에서, 라디칼 R1 은 한 번 (m=1) 또는 여러 번 (m=2 또는 3)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라디칼 R1 은 이의 빈도에 상응하여, 시클릭 카르보네이트의 임의의 목적하는 탄소 원자 상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를 대신할 수 있다. 둘 이상의 라디칼 R1 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동일한 탄소 원자 또는 상이한 탄소 원자에 부착될 수 있다. m=0 인 경우, 상응하는 시클릭 카르보네이트는 비치환된다.
본 발명이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제시된다.
본 발명은 우선 하기를 중합시켜 제조한 중합체를 제공한다:
a) 하나 이상의 알킬렌 산화물 또는 하기 식 (I) 의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Figure pct00002
[식 중,
n 은 1 내지 10 이고,
m 은 0 내지 3 이고,
R1 은 C1-C10-알킬, C2-C10-알케닐, 아릴 또는 아르알킬임],
b)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및
c) 하나 이상의 아민.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상기 정의된 성분 a) 내지 c) 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중합 방법 그 자체는 당업자에 공지되어 있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 방법에 관한 하기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정의된다.
성분 a) 로서, 하나 이상의 알킬렌 산화물 또는 상기 정의된 식 (I) 의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가 사용된다. 성분 a) 로서, 둘 이상의 알킬렌 산화물 및/또는 식 (I) 에 따른 시클릭 카르보네이트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 a) 는 알킬렌 산화물 또는 식 (I) 에 따른 시클릭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알킬렌 산화물 그 자체 및 또한 식 (I) 에 포함되는 화합물은 당업자에 원칙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존재하는 경우, 식 (I) 에 따른 라디칼 R1 은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되고, 특히 비치환된 C1-C10-알킬이다. R1 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이다. 바람직하게는, m 은 0 또는 1 이고, 특히 m 은 0 이다. 바람직하게는, n 은 2 또는 3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 a) 는 에틸렌 산화물, 프로필렌 산화물, 1-부텐 산화물, 2-부텐 산화물, 1-펜텐 산화물, 스티렌 산화물, 에피클로로히드린, 글리시돌, 에폭시프로피온산 및 이의 염, 에폭시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 1-헥센 산화물, 1-헵텐 산화물, 1-옥텐 산화물, 1-노넨 산화물, 1-데센 산화물, 1-운데센 산화물 또는 1-도데센 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알킬렌 산화물이다. 나아가, 성분 a) 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식 (I) 의 시클릭 카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 에폭시프로피오네이트의 예는 상응하는 메틸 또는 에틸 에스테르 및 또한 고급 에스테르이다.
상기 성분 a) 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알킬렌 산화물, 특히 에틸렌 산화물 및/또는 프로필렌 산화물이다.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가 성분 b) 로서 사용된다.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는 글리세롤로부터 제조된다.
성분 c) 로서, 하나 이상의 아민을 사용한다.
사용될 수 있는 아민은 당업자에 공지된 1 차 또는 2 차 아민 모두 및 또한 암모니아이다. 1 차 또는 2 차 아민은 서로 독립적으로 비시클릭 (acyclic), 시클릭, 포화 또는 불포화 및 또한 지방족, 방향지방족 또는 방향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민은 아미노기 (NH2 기 또는 NH2 관능기) 를 포함하지만, 또한 2 개 이상의 NH2 기를 갖는 아민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결국, 아미노기는 모노- 또는 다중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치환기는 임의로는 추가의 관능기, 예컨대 히드록시기 (OH 기 또는 OH 관능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아민은 분자량이 500 내지 1 000 000 g/mol 인 폴리에틸렌이민 (예를 들어, 명칭 Lupasol®, BASF SE, Ludwigshafen, Germany 하에 시판됨),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아민, 예컨대 모노메틸아민, 모노에틸아민, 모노-2-프로필아민, 헥실아민, 2-에틸헥실아민, 2-프로필헵틸아민, 데실아민, 도데실아민, 트리데실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부틸아민, 디헥실아민, 디(2-에틸헥실)아민 또는 디(트리데실)아민이다.
추가로 바람직한 아민은 에테르기-포함 알킬아민, 예컨대 3-메톡시프로필아민, 2-에톡시에틸아민, 3-에톡시프로필아민 또는 3-(2-에틸헥실옥시)프로필아민, 폴리에테르아민, 예컨대 시판용 폴리에테르아민 D230, D400 및 D2000 (BASF SE) 또는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아민 1700, 폴리에테르아민 T403 및 T5000 (BASF SE) 이다.
추가로 바람직한 아민은 시클릭 포화 치환기 또는 아닐린 및 그 유도체를 갖는 아민, 에틸렌디아민, 1,3-디프로판디아민, 1,2-프로판디아민, 네오펜탄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9-디옥사도데칸-1,12-디아민, 4,7,10-트리옥사트리데칸-1,13-디아민, 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3-(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민,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N3-아민"), N,N-비스(3-아미노프로필)메틸아민,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 ("N4-아민"), 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 에테르, N-(3-아미노프로필)이미다졸, 모노에탄올아민, 3-아미노-1-프로판올, 프로판-2-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5-아미노-1-펜탄올,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N-(2-히드록시에틸)-1,3-프로판디아민, N-메틸에탄올아민, N-에틸에탄올아민, N-부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3-((2-히드록시에틸)아미노)-1-프로판올,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피페라진, N-메틸피페라진, N-에틸피페라진, 1-(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 또는 N-(2-아미노에틸)피페라진이다. 나아가, 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N-메틸아세트아미드를, 우레아, N,N'-디메틸우레아, 에틸렌우레아, N-(2-히드록시에틸)에틸렌우레아 및 사르코신 또는 사르코신 염, 예를 들어 사르코신 나트륨 염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성분 c) 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헥실아민, 2-에틸헥실아민, 2-프로필헵틸아민, 데실아민, 도데실아민, 트리데실아민 또는 폴리에틸렌이민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민이다. 최종-언급된 것이, 예를 들어 분자량이 500 내지 1 000 000 g/mol 인 명칭 Lupasol® (BASF SE, Ludwigshafen, Germany) 하에 시판된다.
성분 a) 내지 c) 는 서로에 대해서 임의의 목적하는 비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성분 c) 를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0 중량%, 특히는 0.2 내지 65 중량% 로 사용한다 (성분 a) 내지 c) 의 총량을 기준으로 함).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당업자에 공지된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은 염기-개시된 중부가로서 실시되고/되거나 (추가의) 염기를 중합시에 사용한다. 그러나, 중부가 및/또는 중합은 또한 추가의 염기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염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는 성분 c) 에 따른 아민보다 높은 염기도 (보다 높은 pH) 를 갖는 화합물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맥락상, 또한 상응하는 아민이 성분 c) 에 따른 아민보다 높은 염기도를 갖는 경우, 염기로서 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중합 방법 그 자체가 하기 설명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중합 방법에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 알코올레이트 또는 알칼리 토금속, 알칼리 토금속 수소화물,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알코올레이트는 당업자에 공지되어 있고, 또한 3 차 및 헤테로방향족 아민을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에 공지된 모든 화합물을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세슘이고, 바람직한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은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칼슘이고,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 알코올레이트는 나트륨 메탄올레이트, 나트륨 t-부틸레이트 및 칼륨 메탄올레이트 및 또한 칼륨 t-부틸레이트이다. (염기로서) 바람직한 아민은 트리메틸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및 기타 N,N-디메틸 치환된 3 차 아민, 또는 이미다졸 및 그 유도체이다.
바람직한 염기는 KOH, KOCH3, KO(t-Bu), KH, NaOH, NaO(t-Bu), NaOCH3, NaH, Na, K, 트리메틸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및 고급 N,N-디메틸알킬아민, N,N-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벤질아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N',N'',N''-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이미다졸, N-메틸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2,2-디메틸이미다졸, 4-메틸이미다졸, 2,4,5-트리메틸이미다졸 및 2-에틸-4-메틸이미다졸로부터 선택된다. 고급 N,N-디메틸알킬아민은 알킬 치환기가 6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든 아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바람직한 염기는 KO (t-Bu) (이때, t-Bu 는 라디칼 3 차-부틸임), KOH 또는 NaOH 이다.
염기를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20 중량% 의 양으로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염기를 0.1 내지 10 중량%, 특히는 0.1 내지 1 중량% 의 양으로 사용한다 (각 경우에, 중합체 (생성물) 의 양을 기준으로 함).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염기를 용해 형태로 사용한다. 사용될 수 있는 용매는, 상응하는 염기가 용해되는 당업자에 공지된 모든 용매이다. 바람직한 것은, 특히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경우에, 염기를 위한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염기를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 의 양으로 사용한다 (염기의 용매를 기준으로 함).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콤브 (comb) 중합체, 멀티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라디언트 (gradient) 공중합체이다. 상기는, 선택되는 중합 조건에 따라 중합에 이용되는 단량체 (상기 정의에 따른 성분 a) 내지 c)) 를 상이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내에서 중합에 의해 혼입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하기 식 (II) 내지 (VI) 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3
[식 중, A, B 및 C 는 서로 독립적으로 성분 a) 로부터 형성되고,
Gly 는 성분 b) 로부터 형성되고,
R2 는 성분 c) 에 따른 아민으로부터 형성됨].
식 (II) 에서, n 및 m 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0 의 값을 갖고, p 는 0 내지 1000 의 값을 갖는다. B 가 존재하는 경우, A 및 B 는 바람직하게는 성분 a) 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형성된다.
식 (III) 에서, n, m, p 및 q 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0 의 값을 갖는다.
식 (IV) 에서, n, m 및 p 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0 의 값을 갖는다.
식 (V) 에서, n, m, p, v 및 y 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0 의 값을 갖고, q, s, t, u, w 및 x 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1000 의 값을 갖는다.
식 (VI) 에서, m 및 n 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0 의 값을 갖는다.
완전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또한 동일한 식의 2 개 이상의 상기 언급된 단편을 포함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식 (II) 의 2 개의 단편 및 예를 들어 식 (III) 의 하나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개별 단편에서, A 또는 B 와 같은 변수는 상이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식 (II) 내지 (VI) 의 단편을,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정의에 따라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기타 중합체 배열로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 산화물을 성분 a) 로서 사용하고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를 성분 b) 로서 사용하는 경우, 식 (II) 에서의 변수 A 및 B 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에틸렌 산화물의 중합 생성물). 따라서, 예를 들어 중합을 2 개의 상이한 성분 a) 로서 에틸렌 산화물 및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와 함께 수행하는 경우, 식 (II) 에서의 변수 A 및 B 는, 예를 들어 상이한 의미를 갖는다. 이후, 하나의 변수는 중합된 에틸렌 산화물을 나타내고, 그 나머지 변수는 중합된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에서의 단편의 구체예는 또한 하기와 같다:
(EO)n-(Gly)3-(EO)n (글리세롤 블록)
(EO)n/2-(Gly)1-(EO)n/2-(Gly)1-(EO)n/2 (랜덤 분포된 글리세롤)
이들 예에서, EO 는 중합된 에틸렌 산화물을 의미하고, Gly 는 중합된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를 의미한다.
식 (II) 의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중합체는 성분 a) 로서 에틸렌 산화물 및 프로필렌 산화물, 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기재의 중합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식 (II) 의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성분 (a) 로서 에틸렌 산화물 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기재의 중합체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성분 (a) 로서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기재의 중합체이다. 이들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중합체, 멀티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라디언트 공중합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 (II) 에 따른 단편의 모든 성분은 동일한 자릿수로 존재하며, 즉 A, Gly 및 B 의 몰비는 약 1:0.5:0 에서 1:1:1 내지 0:0.5:1 이다.
식 (III) 의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중합체는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유래의 단위의 비교적 낮은 단편을 갖는, 에틸렌 산화물 및/또는 프로필렌 산화물, 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또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산화물 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산화물 기재의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바람직한 것은 블록 중합체, 콤브 중합체 또는 랜덤 중합체이다. 식 (III) 의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의 분지도 증가를 추가의 알콕시화 단계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식 (IV) 또는 (VI) 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산화물, 에틸렌 산화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및/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기재의 블록-유사 또는 랜덤 중합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식 (IV) 또는 (VI) 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산화물 및/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기재의 블록-유사 또는 랜덤 중합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식 (IV) 또는 (VI) 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산화물 기재의 블록-유사 또는 랜덤 중합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사용되는 아민 (성분 c)) 유래의 라디칼 R2 는 바람직하게는 C1-C50-알킬 라디칼이다. 게다가, 라디칼 R2 는 모노- 또는 다가불포화, 지방족, 방향족, 방향지방족 또는 분지형일 수 있거나, 또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식 (V) 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산화물, 에틸렌 산화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및/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기재의 블록-유사 또는 랜덤 중합체, 또는 콤브 또는 그라디언트 중합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식 (V) 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산화물 및/또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기재의 블록-유사 또는 랜덤 중합체, 또는 콤브 또는 그라디언트 중합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식 (V) 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산화물 기재의 블록-유사 또는 랜덤 중합체, 또는 콤브 또는 그라디언트 중합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중합체를, 하기를 중합시켜 수득가능하다:
a) 에틸렌 산화물, 프로필렌 산화물,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b)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및
c) 헥실아민, 2-에틸헥실아민, 2-프로필헵틸아민, 데실아민, 도데실아민, 트리데실아민 또는 폴리에틸렌이민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민.
중합을 (추가의) 염기 및/또는 물의 존재 하에 수행할 수 있다.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KO(t-Bu), KOH 또는 NaOH 이다. 바람직하게는, 소량의 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의에 따른 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성분 a) 내지 c) 를 중합시킨다. 각각의 성분 a) 내지 c) 를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및 또한 한번에 또는 단계적으로 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당업자에 공지된 중합 방법을 위한 온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승온에서, 예를 들어 80 내지 220 ℃ 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성분 a) 로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를 반응시키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승온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150 ℃ 내지 2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10 ℃ 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성분 a) 로서) 알킬렌 산화물을 반응시키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승온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2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 내지 205 ℃ 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또한 용매의 존재 하에 수행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용매는 당업자에 공지된 중합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용매이다. 바람직한 용매는 톨루엔, 자일렌,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또는 디옥산이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를 성분 a) 내지 c) 의 총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90 중량%, 특히는 30 내지 70 중량% 의 양으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중합을 염기-개시된 중부가로서 및/또는 CO2 의 방출과 함께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또한 물의 존재 하에, 예를 들어 아민 (성분 c)) 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85 중량% 이하의 물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염기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하는 경우 물의 부재 하에 또는 소량의 물의 존재 하에 수행한다. 소량의 물은 아민 (성분 c)) 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하의 물 분획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염기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중합을 물의 존재 하에, 예를 들어 아민 (성분 c)) 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60 중량% 의 양의 물 중에서 수행하는 경우가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물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는 예를 들어 증류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중합 전에 실시된다. 제거되는 물은 바람직하게는 염기를 위한 용매로서 사용되는 물, 또는 아민의 탈양성자화시 염기에 의해 방출되는 물이다.
나아가, 하기 단계를 포함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임의로는 소량의 물의 존재 하에 염기와 함께 초기 충전물로서 아민 (성분 c)) 를 도입시키는 단계,
b) 기타 단량체 (성분 a) 및 b)) 를 계량 첨가하는 단계,
c) 불활성 기체 하에 반응 혼합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교반하는 단계, 및
d) 임의로는, 산성 이온 교환기 또는 산, 바람직하게는 인산과의 처리에 의해 중합이 완료되는 경우, 생성물을 중화시키는 단계.
나아가, 개별 단량체 또는 수개의 단량체를 둘 이상의 부분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단계 d) 에 따른 중화 동안, Ambosol 을 바람직하게는 산성 이온 교환기로서 사용한다.
아민 (성분 c)) 을 우선 성분 a), 특히는 에틸렌 산화물 및 이후에는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성분 b)) 로 중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민 (성분 c)) 을 우선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성분 b)) 및 이후에는 성분 a), 특히는 에틸렌 산화물로 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발포 억제제로서; 발포 조절제로서; 발포 진폭제로서; 분산제로서; 특히는 에멀전 중합에서의 에멀전화제로서; 특히는 경질 표면을 위한 습윤제로서; 고체의 분산을 위한, 특히는 콘크리트의 시닝 (thinning) 용 시멘트를 위한; 수용액의 증점화를 위한 윤활제로서; 약학제를 위한 담체 또는 충전 물질로서; 세정 또는 클리닝 목적을 위한 계면활성제로서; 경질 표면의 클리닝을 위한 계면활성제로서; 화장품, 약품 또는 작물 보호 제형에서의 보습제로서; 페인트에서; 잉크에서; 안료 제제에서; 코팅 조성물에서; 접착제에서; 가죽 탈지 조성물에서; 직물 산업, 섬유 가공, 수처리 또는 음용수 생산을 위한 제형에서; 식품 산업에서; 종이 산업에서의 활성 성분을 위한 아쥬반트 또는 가용화제로서; 건축 보조제로서; 광물 가공 또는 금속 가공, 예컨대 금속 정제 또는 전기도금 분야에서의 발효를 위한 냉각제 및 윤활제로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또는 이온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예시된다.
실시예 1:
78.5 g 의 2-프로필헵틸아민을 초기 충전물로서 반응기 내에 2.05 g 의 칼륨 tert-부틸레이트와 함께 도입시킨다. 이후, 반응 용액을 질소 하에 170 ℃ 로 가열하고, 66 g 의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60.3 g 의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를 60 분의 기간에 걸쳐 계량화한다. 계량 첨가 이후, 상기 혼합물을 170 ℃ 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후, 반응 용액을 질소로 플러싱 (flushing) 하고, 80 ℃ 에서 및 수-제트 진공 하에 2 시간 동안 탈기시킨다.
상기를 통해 IR 에서 카르보닐기의 존재를 시사하는 어떠한 신호도 나타내지 않는 투명한 점성 액체를 수득한다. 수득한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470 g/mol 이다 (GPC, 폴리스티렌 표준물).
실시예 2:
78.5 g 의 2-프로필헵틸아민을 초기 충전물로서 반응기 내에 2.05 g 의 칼륨 tert-부틸레이트와 함께 도입시킨다. 이후, 반응 용액을 질소 하에 100 ℃ 로 가열하고, 66 g 의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및 60.3 g 의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를 60 분의 기간에 걸쳐 계량화한다. 계량 첨가 이후, 상기 혼합물을 100 ℃ 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후, 반응 용액을 질소로 플러싱하고, 80 ℃ 에서 및 수-제트 진공 하에 2 시간 동안 탈기시킨다.
상기를 통해 적외선 (IR) 에서 카르보닐기의 존재를 시사하는 어떠한 신호도 나타내지 않는 투명한 점성 액체를 수득한다. 수득한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360 g/mol 이다 (GPC, 폴리스티렌 표준물).

Claims (13)

  1. 하기를 중합시켜 제조한 중합체:
    a) 하나 이상의 알킬렌 산화물 또는 하기 식 (I) 의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Figure pct00004

    [식 중,
    n 은 1 내지 10 이고,
    m 은 0 내지 3 이고,
    R1 은 C1-C10-알킬, C2-C10-알케닐, 아릴 또는 아르알킬임],
    b)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및
    c) 하나 이상의 아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에틸렌 산화물, 프로필렌 산화물, 1-부텐 산화물, 2-부텐 산화물, 1-펜텐 산화물, 스티렌 산화물, 에피클로로히드린, 글리시돌, 에폭시프로피온산 및 그 염, 에폭시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 1-헥센 산화물, 1-헵텐 산화물, 1-옥텐 산화물, 1-노넨 산화물, 1-데센 산화물, 1-운데센 산화물 또는 1-도데센 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를 알킬렌 산화물로서 포함하고/하거나 식 (I) 의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가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c) 가 헥실아민, 2-에틸헥실아민, 2-프로필헵틸아민, 데실아민, 도데실아민, 트리데실아민 또는 폴리에틸렌이민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민인 중합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하나 이상의 알킬렌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산화물 및/또는 프로필렌 산화물인 중합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을 염기-개시된 중부가 (polyaddition) 로서 수행하고/하거나 KOH, KOCH3, KO(t-Bu), KH, NaOH, NaO(t-Bu), NaOCH3, NaH, Na, K, 트리메틸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및 고급 N,N-디메틸알킬아민, N,N-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벤질아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N',N'',N''-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이미다졸, N-메틸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2,2-디메틸이미다졸, 4-메틸이미다졸, 2,4,5-트리메틸이미다졸 및 2-에틸-4-메틸이미다졸로부터 선택되는 염기를 중합시 사용하는 중합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염기를 0.05 내지 20 중량% (중합체의 양을 기준으로 함) 의 양으로 사용하는 중합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콤브 (comb) 중합체, 멀티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라디언트 (gradient) 공중합체인 중합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하기 식 (II) 내지 (VI) 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편을 포함하는 중합체:
    Figure pct00005

    [식 중, A, B 및 C 는 서로 독립적으로 성분 a) 로부터 형성되고,
    Gly 는 성분 b) 로부터 형성되고,
    R2 는 성분 c) 에 따른 아민으로부터 형성됨],
    이때, 식 (II) 에서, n 및 m 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0 의 값을 갖고, p 는 0 내지 1000 의 값을 갖고,
    식 (III) 에서, n, m, p 및 q 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0 의 값을 갖고,
    식 (IV) 에서, n, m 및 p 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0 의 값을 갖고,
    식 (V) 에서, n, m, p, v 및 y 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0 의 값을 갖고, q, s, t, u, w 및 x 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1000 의 값을 갖고,
    식 (VI) 에서, m 및 n 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0 의 값을 가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 성분 a) 내지 c) 를 중합시키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중합을 염기-개시된 중부가로서 및/또는 CO2 의 방출과 함께 수행하는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임의로는 소량의 물의 존재 하에 염기와 함께 초기 충전물로서 아민 (성분 c)) 를 도입시키는 단계,
    b) 기타 단량체 (성분 a) 및 b)) 를 계량 첨가하는 단계,
    c) 불활성 기체 하에 반응 혼합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교반하는 단계, 및
    d) 임의로는, 산성 이온 교환기 또는 산, 바람직하게는 인산과의 처리에 의해 중합이 완료되는 경우, 생성물을 중화시키는 단계.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을 물의 존재 하에, 바람직하게는 소량의 물과 함께 수행하는 방법.
  13. 발포 억제제로서; 발포 조절제로서; 발포 진폭제로서; 분산제로서; 특히는 에멀전 중합에서의 에멀전화제로서; 특히는 경질 표면을 위한 습윤제로서; 고체의 분산을 위한, 특히는 콘크리트의 시닝 (thinning) 용 시멘트를 위한; 수용액의 증점화를 위한 윤활제로서; 약학제를 위한 담체 또는 충전 물질로서; 세정 또는 클리닝 목적을 위한 계면활성제로서; 경질 표면의 클리닝을 위한 계면활성제로서; 화장품, 약품 또는 작물 보호 제형에서의 보습제로서; 페인트에서; 잉크에서; 안료 제제에서; 코팅 조성물에서; 접착제에서; 가죽 탈지 조성물에서; 직물 산업, 섬유 가공, 수처리 또는 음용수 생산을 위한 제형에서; 식품 산업에서; 종이 산업에서의 활성 성분을 위한 아쥬반트 또는 가용화제로서; 건축 보조제로서; 광물 가공 또는 금속 정제와 같은 금속 가공, 또는 전기도금 분야에서의 발효를 위한 냉각제 및 윤활제로서의,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용도.
KR1020137022023A 2011-02-22 2012-01-31 글리세린 카르보네이트 및 아민 기재의 중합체 KR101884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55406 2011-02-22
EP11155406.9 2011-02-22
PCT/EP2012/051607 WO2012113617A1 (de) 2011-02-22 2012-01-31 Polymere basierend auf glycerincarbonat und einem am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65A true KR20140005265A (ko) 2014-01-14
KR101884164B1 KR101884164B1 (ko) 2018-08-01

Family

ID=4556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023A KR101884164B1 (ko) 2011-02-22 2012-01-31 글리세린 카르보네이트 및 아민 기재의 중합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2678373B1 (ko)
JP (1) JP2014506943A (ko)
KR (1) KR101884164B1 (ko)
CN (1) CN103384691B (ko)
AU (1) AU2012219867B2 (ko)
BR (1) BR112013021061A2 (ko)
ES (1) ES2525924T3 (ko)
MX (1) MX352374B (ko)
MY (1) MY161131A (ko)
RU (1) RU2600987C2 (ko)
SG (1) SG192914A1 (ko)
WO (1) WO2012113617A1 (ko)
ZA (1) ZA2013070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178A (ko) * 2018-09-06 2020-03-16 전자부품연구원 분산제, 그를 이용한 방열 점착제 및 방열 점착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48472B (es) * 2011-02-22 2017-06-14 Basf Se Polimeros basados en carbonato de glicerina y un alcohol.
BR112014021199A2 (pt) 2012-03-01 2018-05-08 Basf Se composição, método para preparação da composição, polímero, método para preparação do polímero, método para controlar fungos e semente
US9352045B2 (en) 2014-06-20 2016-05-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materials for therapeutic delivery
KR101696302B1 (ko) * 2015-07-31 2017-01-13 전자부품연구원 퓨란기를 포함하는 알코올 화합물, 폴리우레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역적 가교결합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CN116284719B (zh) * 2023-04-14 2023-09-19 大庆师范学院 一种乙撑胺聚碳酸酯破乳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1688A (en) * 1988-12-19 1991-08-20 Deutsche Solvay-Werke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glycerols
KR950008651B1 (ko) * 1985-11-22 1995-08-03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멀티 채널 스테레오 재생장치
JP2000159996A (ja) * 1998-11-26 2000-06-13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系難燃樹脂組成物
KR20050086468A (ko) * 2002-11-13 2005-08-30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금속-산소 결합을 갖는 분산질, 금속산화물막 및 단분자막
WO2010012562A1 (en) * 2008-07-31 2010-02-04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Catalytic process for polymerising cyclic carbonates issued from renewable re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1623B2 (ja) * 1994-05-27 2002-12-03 住友精化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H11335313A (ja) * 1998-05-18 1999-12-07 Lion Corp グリセリ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RU2151780C1 (ru) * 1999-02-02 2000-06-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ижнекамскнефтехим"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еэмульгатора
FR2874217B1 (fr) * 2004-08-10 2006-10-27 Agronomique Inst Nat Rech Polycarbonate de glycerol - compositions organiques le contenant - procede d'obtention de ces compositions organiques et procede d'extraction du polycarbonate de glycerol et leurs applications
GB0709460D0 (en) * 2007-05-17 2007-06-27 Croda Int Plc Method of making polyglycerol esters
JP2009155407A (ja) * 2007-12-26 2009-07-16 Konishi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接着剤組成物
DE102008032064A1 (de) * 2008-07-08 2010-01-14 Byk-Chemie Gmbh Polyhydroxyfunktionelle Polysiloxane zur Erhöhung der Oberflächenenergie vo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g und ihre Verwendung
DE102008032066A1 (de) * 2008-07-08 2010-01-14 Byk-Chemie Gmbh Polyhydroxyfunktionelle Polysiloxane als anti-adhäsive und schmutzabweisende Zusätze in Beschichtungen, polymeren Formmassen und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20100160198A1 (en) * 2008-12-18 2010-06-24 Chevron Oronite Company Llc Friction modifiers and/or wear inhibitors derived from hydrocarbyl amines and cyclic carbonates
DE102009059104A1 (de) * 2009-12-18 2011-06-22 Johannes-Gutenberg-Universität Mainz, 55122 Funktionelle verzweigte Polyether Copolymere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651B1 (ko) * 1985-11-22 1995-08-03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멀티 채널 스테레오 재생장치
US5041688A (en) * 1988-12-19 1991-08-20 Deutsche Solvay-Werke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glycerols
JP2000159996A (ja) * 1998-11-26 2000-06-13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系難燃樹脂組成物
KR20050086468A (ko) * 2002-11-13 2005-08-30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금속-산소 결합을 갖는 분산질, 금속산화물막 및 단분자막
WO2010012562A1 (en) * 2008-07-31 2010-02-04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Catalytic process for polymerising cyclic carbonates issued from renewable resour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178A (ko) * 2018-09-06 2020-03-16 전자부품연구원 분산제, 그를 이용한 방열 점착제 및 방열 점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307055B (en) 2014-11-26
EP2678373B1 (de) 2014-11-05
AU2012219867B2 (en) 2015-09-17
ES2525924T3 (es) 2015-01-02
WO2012113617A1 (de) 2012-08-30
SG192914A1 (en) 2013-09-30
AU2012219867A1 (en) 2013-09-12
JP2014506943A (ja) 2014-03-20
BR112013021061A2 (pt) 2020-10-27
RU2013142808A (ru) 2015-03-27
CN103384691B (zh) 2015-09-30
RU2600987C2 (ru) 2016-10-27
MY161131A (en) 2017-04-14
KR101884164B1 (ko) 2018-08-01
MX2013009596A (es) 2013-11-04
EP2678373A1 (de) 2014-01-01
CN103384691A (zh) 2013-11-06
MX352374B (es)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6858B2 (en) Polymers based on glycerol carbonate and an amine
KR101884164B1 (ko) 글리세린 카르보네이트 및 아민 기재의 중합체
US6165971A (en) Use of amides of polymerized fatty acids as thickeners
JP7372921B2 (ja) 芳香族系ポリエーテルアミンアルコキシレート
KR101884165B1 (ko) 글리세린 카르보네이트 및 알코올 기반 중합체
US9994674B2 (en) Polymers based on glycerol carbonate
AU2012219866B2 (en) Polymers based on glyceryl carbonate
KR102206865B1 (ko) 석고용 액체 분산제 조성물
US20120215032A1 (en) Polymers based on glycerol carbonate and an alcohol
KR101764476B1 (ko) 말단에 아미노기를 갖는 협분산 폴리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신규 아세탈기 함유 알코올 화합물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
JP2018505954A5 (ko)
JPH03210382A (ja) 新規な有機性ゲル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