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161U -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 Google Patents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161U
KR20140005161U KR2020130002158U KR20130002158U KR20140005161U KR 20140005161 U KR20140005161 U KR 20140005161U KR 2020130002158 U KR2020130002158 U KR 2020130002158U KR 20130002158 U KR20130002158 U KR 20130002158U KR 20140005161 U KR20140005161 U KR 201400051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ing
jig
coated
vertical plat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욱
Original Assignee
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욱 filed Critical 박성욱
Priority to KR2020130002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161U/ko
Publication of KR20140005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1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07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work being an elongated body, e.g. wire or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장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길이가 긴 장형 파이프체에 대한 도장의 수행 및 건조시 해당 도장 대상물이 안착되는 영역을 제공함과 더불어 지게차 등에 의한 이동 작업도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몸체를 형성하며, 지게차용 포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각관으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면서 도장 대상물의 어느 한 측 끝단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면서 지면에 안착되는 부위로 제공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a jig for painting}
본 고안은 도장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길이가 긴 장형 파이프체에 대한 도장의 수행 및 건조시 해당 도장 대상물이 안착되는 영역을 제공함과 더불어 지게차 등에 의한 이동 작업도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용 지그는 도장 대상물이 얹힌 상태로 해당 도장 대상물에 대한 페인트 도장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도장용 지그는 통상 도장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장에 고정되면서 그 상단에 도장 대상물을 얹은 상태로 페인트 도장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도장용 지그는 도장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구성되며, 해당 도장 대상물의 전 부위가 얹힐 수 있도록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다양한 구조의 도장용 지그 중 장형 파이프체와 같이 길이가 긴 도장 대상물을 위해 사용되는 도장용 지그는 통상적으로 평행봉 구조의 도장용 지그가 사용되고 있다.
즉, 평행봉 구조의 두 도장용 지그를 서로 나란히 이격 배치한 후 상기 도장 대상물이 상기 두 도장용 지그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한 후 상기 도장 대상물의 양 끝단을 상기 두 도장용 지그의 서로 대향되는 부위에 각각 얹은 상태로 해당 도장 대상물에 대한 페인트 도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도장용 지그를 사용하여 도장 작업을 수행할 경우 도장 작업장의 공간 활용도가 낮을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즉, 도장용 지그에 얹힌 상태로 도장 대상물에 대한 도장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해당 도장 작업이 이루어진 도장 대상물을 이동시켜야만 새로운 도장 대상물에 대한 도장 작업이 진행될 수 있지만, 상기 도장이 이루어진 도장 대상물의 페인트가 건조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해당 도장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해당 도장용 지그를 이용한 여타 도장 대상물에 대한 도장을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공간만큼의 추가적인 작업 진행이 불가능하여 작업장의 공간 활용도가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상기 도장용 지그에 각 도장 대상물이 얹힌 상태로 상기 도장용 지그와 각 도장 대상물을 일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 공간의 확보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장용 지그에 얹히는 도장 대상물이 장형 원통 파이프체와 같이 쉽게 구를 수 있는 제품일 경우 상기 도장용 지그를 이동시키는 도중 상기 도장 대상물의 구름이 발생되어 도장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으로 있다.
특히, 상기 도장 대상물의 무게가 무겁고 길이가 긴 경우 상기 도장용 지그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지게차가 필요하지만 두 도장용 지그 간의 이격 거리가 멀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두 도장용 지그를 일괄적으로 들어올릴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진 지게차의 포크는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두 도장용 지그의 일괄 운반은 불가능하였다.
물론, 상기 두 도장용 지그 간을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지게차의 포크는 상기 연결 프레임을 들어 올리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 상기 두 도장용 지그가 서로 개별 구성이 아닌 일체형 구성을 이루게 됨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공되는 도장 대상물의 공용 사용이 불가능하여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지는 않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길이의 장형 파이프체에 대한 도장을 위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장형 파이프체가 얹힌 상태로 지게차를 이용한 일괄적인 운반이 가능하며, 운반 도중 유동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에 따르면 몸체를 형성하며, 지게차용 포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각관으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면서 도장 대상물의 어느 한 측 끝단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면서 지면에 안착되는 부위로 제공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평판형의 플레이트를 다단 절곡하여 각관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의 얹힘 영역으로 제공되는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를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플랜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를 이루는 수직 플레이트의 상면은 도장 대상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를 이루는 수직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와는 별개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면이 요철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의 구름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측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혹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동 방지부의 상면은 톱니형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몸체부에 비해 짧게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부 상면의 양측 끝단에 얹힘 영역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안착부의 높이에 비해 높게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 상면에 제공되는 얹힘 영역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도장용 지그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지게차의 포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지게차를 이용한 자유로운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도장용 지그에는 유동 방지부가 추가로 제공됨으로써 도장 대상물이 원통형 관체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지게차를 이용한 도장용 지그의 이동 도중 상기 도장 대상물이 구르는 등의 유동됨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도장 대상물의 이동에 따른 도장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게 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장용 지그는 또 다른 도장용 지그와 적층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그의 보관을 위한 공간의 최소화가 가능함과 더불어 도장 대상물에 대한 건조시에도 건조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에 복수의 도장 대상물을 얹은 상태에 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를 지게차로 운반하기 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를 서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이하, “도장용 지그”라 함)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용 지그(100)는 장형 파이프체(10)의 양측 저부를 각각 받쳐주면서 상기 장형 파이프체(10)의 도장 및 건조를 위한 지그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도장용 지그(100)는 크게 몸체부(110)와 안착부(120) 및 받침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몸체부(110)는 그의 길이 방향을 향해 지게차의 포크(20)(첨부된 도 2 및 도 4 참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지게차를 이용한 도장용 지그(100) 전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몸체부(11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용 지그(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몸체부(110)가 지게차용 포크(20)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짐과 더불어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파이프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기 몸체부(110)는 지게차의 포크(20)를 이용하여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도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 몸체부(110)는 수평한 상면을 가지는 각관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게차의 포크(20)가 그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상기 포크(20)의 상면과 면접촉되면서 안정적인 들어올림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첨부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는 평판형의 플레이트를 다단 절곡하여 각관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부(110)를 평판 플레이트의 다단 절곡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로의 자유로운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며, 그로 인한 제조 단가 역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한 몸체부(110)의 길이는 지게차를 이루는 포크(20)의 돌출 거리를 고려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포크(20)가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수용된 상태로 상기 포크(20)에 의해 들어올려 짐을 고려할 때 상기 포크(20)의 길이에 비해 과도하게 길도록 형성될 경우 지게차의 포크(20)에 의해 들려지는 도중 기울어짐에 따른 낙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는 지게차를 이루는 포크(20)의 돌출 거리에 비해 대략 1.5배 이내의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부(120)는 도장 대상물(10)의 안착을 위한 부위로 제공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10)의 어느 한 측 끝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부(120)가 수직 플레이트(121) 및 복수의 지지플랜지(122)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도장 대상물(10)과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장 대상물(10)에 대한 도장 작업시 미처 도장되지 못하는 부위가 발생됨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도장이 완료된 도장 대상물의 도장 부위가 손상됨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121)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10)의 얹힘 영역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플랜지(122)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121)를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121)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짐을 방지하는 구성이며, 상단은 상기 수직 플레이트(121)의 양측 벽면을 파지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121)의 어느 한 측벽면에 상기 수직 플레이트(121)와는 별개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면이 요철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10)의 구름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방지부(1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 유동 방지부(140)는 상면이 톱니형 구조로 형성된 플레이트로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수직 플레이트(121)의 측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혹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장 대상물(10)이 각관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해당 도장용 지그(100)를 이동하더라도 그의 유동 발생이 미미하지만, 상기 도장 대상물(10)이 원통형 관체로 형성될 경우 해당 도장용 지그(100)의 이동시 구름이 발생되어 여타 도장 대상물(10)과의 부딪힘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도장 대상물(10)이 원통형 관체로 형성될 때에는 상기 유동 방지부(140)를 상기 수직 플레이트(121)의 측면에 결합한 후 유동 방지부(140)의 상면이 상기 수직 플레이트(121)에 비해 더욱 돌출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10)의 구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유동 방지부(140)를 별도로 제공하지 않고 수직 플레이트(121)의 상면을 요철 구조로 가공함으로써 상기 원통형 관체로 이루어진 도장 대상물(1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의 구조는 상기 도장 대상물(10)이 각관으로 이루어질 경우 요철로 인해 형성된 모서리 부위가 해당 도장 대상물(10)에 도장 부위를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 플레이트(121)와는 별도의 유동 방지부(140)를 추가로 제공하여 도장 대상물(10)의 종류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부(130)는 지면에 안착되는 부위로써, 몸체부(110)를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110)가 지면으로부터 설정 높이 이상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130)의 높이가 도장 대상물(10)의 직경에 비해 높게 형성됨을 제시하며, 만일 상기 도장 대상물(10)의 둘레면에 돌출 부위가 존재한다면 이 돌출 부위가 지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부(120)의 길이가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부(110) 상면의 양측 끝단에 얹힘 영역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 끝단 중 상기 얹힘 영역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전술된 바와 같은 구조는, 둘 이상의 도장용 지그(100)를 서로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그의 보관시 혹은, 도장 대상물(10)에 대한 도장 작업의 완료 후 건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 쌍의 도장용 지그(10) 간이 서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공간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용 지그(100)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복수의 도장용 지그(100)를 도장 작업을 위한 작업장의 도장 작업이 수행되는 장소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이때 상기 각 도장용 지그의 수량 및 서로 간의 이격 거리는 지게차의 포크(20)가 이루는 형상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장 대상물(10) 및 도장용 지그(100)의 운반을 위한 지게차의 포크(20)가 두 개의 돌출 부위를 갖는 포크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하며, 이로 인해 도장용 지그(100) 역시 두 개로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두 도장용 지그(100) 간은 상기 포크(20)의 두 돌출 부위가 이루는 간격을 고려하여 이격 배치함을 그 예로 한다.
만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게차의 포크(20)가 셋 이상의 돌출 부위를 갖는 포크일 경우에는 도장용 지그(100) 역시 상기 돌출 부위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으로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각 도장용 지그(100) 간은 상기 포크의 각 돌출 부위가 이루는 간격을 고려하여 이격 배치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두 도장용 지그(100)에 대한 설치가 완료되면 도장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도장 대상물(10)의 종류에 따라 유동 방지부(140)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도장 대상물(10)이 통상의 각관일 경우에는 상기 유동 방지부(140)를 사용하지 않고 안착부(120)를 이루는 수직 플레이트(121)의 상면에 상기 도장 대상물(10)이 얹힐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상기 도장 대상물(10)이 원통형의 관체일 경우에는 상기 유동 방지부(140)를 사용하여 상기 도장 대상물(10)이 얹히는 영역을 결정함과 더불어 해당 부위에 도장 대상물(10)이 얹힐 경우 상기 도장 대상물(10)이 구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장 대상물(10)이 원통형의 관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유동 방지부(140)의 요철 부위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121)의 상면으로부터 더욱 돌출되도록 조작하여 고정함을 그 예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복수의 도장 대상물(10)을 상기 두 도장용 지그(100)에 각각 얹는다. 이때, 상기 각 도장 대상물(10)은 상기 두 도장용 지그(10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한 상태로 각각의 양측 끝단 부위를 상기 두 도장용 지그(100)에 구비된 유동 방지부(140)의 상면에 각각 얹는다.
이로 인해, 상기 도장 대상물(10)은 상기 두 도장용 지그(100)에 안정적으로 얹힌 상태를 유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두 도장용 지그(100)에 얹힌 도장 대상물(10)에 대한 도장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도장 대상물(10)은 상기 도장용 지그(100)의 유동 방지부(140)에 얹힌 상태임을 고려할 때 도장 작업의 진행 중 상기 도장 대상물(10)이 구르거나 유동되는 현상은 방지되며, 그 원활한 도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통해 도장 대상물(10)에 대한 도장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두 도장용 지그(100) 및 도장 대상물(10)을 일괄적으로 해당 도장 작업장으로부터 반출한다.
상기 반출 작업은 각 도장용 지그(100) 및 해당 도장 대상물(10)의 무게를 고려할 때 지게차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때, 상기 두 도장용 지그(100)의 몸체부(110)는 양측 끝단면이 개방된 각관으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지게차의 포크(20)를 이루는 두 돌출 부위는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히 배치한 후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끝단면 내로 삽입되도록 조작한 다음 상부로 들어올려 그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계속해서 지게차를 운전하여 건조를 위한 건조 작업장(혹은, 건조 공간)으로 해당 도장용 지그(100) 및 도장 대상물(10)을 일괄적으로 반출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지게차를 이용한 도장용 지그(100)의 반출 과정에서 상기 두 도장용 지그(100)에 얹힌 도장 대상물(10)의 유동이 발생될 수도 있지만, 상기 도장 대상물(10)은 상기 도장용 지그(100)의 유동 방지부(140)에 얹힌 상태로 그 유동이 방지되도록 안착된 상태임을 고려할 때 반출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각 도장 대상물(10)의 유동 및 구름은 방지된다.
결국, 전술한 과정에 의해 도장 작업을 위한 작업장에는 새로운 도장 대상물(10)에 대한 도장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장 작업장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게차에 의해 건조 공간으로 반출된 두 도장용 지그(100) 및 이에 얹힌 도장 대상물(10)은 해당 건조 작업장 내에 존재하는 또 다른 쌍의 도장용 지그(100)들의 상단에 얹음으로써 건조 작업장 내의 공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건조 작업장에 이미 건조가 진행 중인 도장 대상물(10)이 존재함과 더불어 해당 건조 작업장의 공간이 협소할 경우 각 쌍의 도장용 지그(100)를 서로 적층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적층 작업은 해당 건조 작업장에 이미 존재하던 어느 한 쌍의 두 도장용 지그(100)를 이루는 몸체부(110) 상면 양 끝단에 금번 지게차를 이용하여 도장 작업장으로부터 반출한 다른 한 쌍의 두 도장용 지그(100)를 이루는 받침부(130)를 얹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받침부(130)는 도장 대상물(10)에 대한 두께를 고려한 높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 쌍의 도장용 지그(100) 간을 서로 적층한다 하더라도 어느 한 쌍의 도장용 지그(100)에 얹혀진 도장 대상물과 다른 한 쌍의 도장용 지그(100) 간이 접촉됨은 방지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도장용 지그(10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지게차의 포크(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지게차를 이용한 자유로운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도장용 지그(100)에는 유동 방지부(140)가 추가로 제공됨으로써 도장 대상물(10)이 원통형 관체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지게차를 이용한 도장용 지그(100)의 이동 도중 상기 도장 대상물(10)이 구르는 등의 유동됨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도장 대상물(10)의 이동에 따른 도장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이와 함께, 본 고안에 따른 도장용 지그(100)는 또 다른 도장용 지그와 적층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그의 보관을 위한 공간의 최소화가 가능함과 더불어 도장 대상물에 대한 건조시에도 건조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10. 도장 대상물 20. 포크
100. 도장용 지그 110. 몸체부
120. 안착부 121. 수직 플레이트
122. 지지플랜지 130. 받침부
140. 유동 방지부

Claims (8)

  1. 몸체를 형성하며, 지게차용 포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각관으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면서 도장 대상물의 어느 한 측 끝단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면서 지면에 안착되는 부위로 제공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평판형의 플레이트를 다단 절곡하여 각관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의 얹힘 영역으로 제공되는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를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플랜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를 이루는 수직 플레이트의 상면은 도장 대상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를 이루는 수직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와는 별개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면이 요철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의 구름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측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혹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지부의 상면은 톱니형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몸체부에 비해 짧게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부 상면의 양측 끝단에 얹힘 영역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안착부의 높이에 비해 높게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 상면에 제공되는 얹힘 영역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KR2020130002158U 2013-03-22 2013-03-22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KR201400051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158U KR20140005161U (ko) 2013-03-22 2013-03-22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158U KR20140005161U (ko) 2013-03-22 2013-03-22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161U true KR20140005161U (ko) 2014-10-01

Family

ID=5245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158U KR20140005161U (ko) 2013-03-22 2013-03-22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161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84Y1 (ko) 2018-01-15 2018-07-23 방인남 장형 구조체 도장용 지그
KR102114172B1 (ko) * 2019-02-07 2020-05-25 주식회사 호룡 특장차용 붐대의 분체 도장장치
KR20210027609A (ko) * 2019-08-29 2021-03-11 한국전력공사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챔버 개방용 지그장치
KR102299545B1 (ko) * 2021-04-28 2021-09-06 임준우 도장 시스템
KR102332198B1 (ko) 2021-09-08 2021-12-01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파이프의 분체 도장용 지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84Y1 (ko) 2018-01-15 2018-07-23 방인남 장형 구조체 도장용 지그
KR102114172B1 (ko) * 2019-02-07 2020-05-25 주식회사 호룡 특장차용 붐대의 분체 도장장치
KR20210027609A (ko) * 2019-08-29 2021-03-11 한국전력공사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챔버 개방용 지그장치
KR102299545B1 (ko) * 2021-04-28 2021-09-06 임준우 도장 시스템
KR102332198B1 (ko) 2021-09-08 2021-12-01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파이프의 분체 도장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5161U (ko) 장형 파이프체 도장용 지그
US20200318338A1 (en) Storage system
EP3141453B1 (en) Shelf for a trolley
JP4763579B2 (ja) 遊技機運搬用コンテナ
KR101190771B1 (ko) 정밀설비 하부고정식 안전운반트롤리
US5188503A (en) Magazine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metal rods
EP2709921B1 (en) Pallet
RU2595108C2 (ru) Указательный кляммер для несущего прогона решетки
JP5877969B2 (ja) 板ガラスの積載方法及び積載装置
KR100936267B1 (ko) 파이프 운송용 대차
US9145083B2 (en) Platform shipping rack cart for glass sheets
JP2018003510A (ja) 床施工方法
US8910428B2 (en) Storage building and a roof panel system for use with storage buildings
CN210592979U (zh) 一种便捷货运托盘
CN208181640U (zh) 一种卧式托盘
JP6200233B2 (ja) ラック制振装置
CN205440461U (zh) 运送鸡蛋车
US20080264304A1 (en) Pallet storage system
KR101348106B1 (ko)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
US9266645B2 (en) System for creating a container and a container
KR101486045B1 (ko) 강판 운송 및 적층 보관이 가능한 파렛트
JP4866166B2 (ja) 遊技機運搬用コンテナ
CN206939909U (zh) 木门码垛机
JP6795394B2 (ja) 太陽電池輸送架台、屋根への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方法。
JP6285723B2 (ja) 建物の外壁用フレームの積載方法及び建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