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981A -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 Google Patents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981A
KR20140004981A KR1020120072588A KR20120072588A KR20140004981A KR 20140004981 A KR20140004981 A KR 20140004981A KR 1020120072588 A KR1020120072588 A KR 1020120072588A KR 20120072588 A KR20120072588 A KR 20120072588A KR 20140004981 A KR20140004981 A KR 20140004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curtain wall
closing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355B1 (ko
Inventor
박용수
Original Assignee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2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3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6B3/14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of special cross-section
    • E06B3/16Hollow frames of special construction, e.g. made of folded sheet metal or of two or more section parts connect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기능이 좋은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창호 프레임; 및 상기 창호 프레임에 설치되는 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창호 프레임은 알루미늄 바로 형성되며, 상기 창호 프레임의 단면은 상기 유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ㄴ'자 형상의 안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치부의 바닥면에는 제1아존부가 마련되며, 상기 안치부의 수직면에는 제2아존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High-efficiency energy-saving curtain wall}
본 발명은 커튼 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로서 아존과 PVC를 사용하여 커튼 월의 단열 기능을 보강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있어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태양 광과 신선한 외부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창호는 실내에 있는 사람에게 조망감과 개방감을 느끼게 해주며, 태양 광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건축물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다. 그러나, 창호를 통한 열 손실은 단열이 잘되는 건물의 일반 벽체에 비해 매우 커서, 냉난방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요즘은 건물의 미감을 위해 프레임을 알루미늄으로 만든 창호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알루미늄은 PVC에 비해 단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열 효율이 높은 알루미늄 창호나 커튼 월에 대한 요구가 크다.
현재 우리나라의 1년간 에너지 소비량의 25%(대략 17조원)가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이며, 이러한 건축물에서 에너지 소비가 큰 것이 창호이다. 따라서, 발명자는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인 커튼 월 제품에서 단열기능이 있는 커튼 월과 비단열 커튼 월의 에너지 소비를 비교하면, 단열기능이 있는 커튼 월이 연간 30% 정도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건축자재 시험연구소의 시험 결과로 알려져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64527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189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기존의 단열 커튼 월 제품보다 한층 더 단열 성능이 업그레이드되어 우수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창호 프레임; 및 상기 창호 프레임에 설치되는 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창호 프레임은 알루미늄 바로 형성되며, 상기 창호 프레임의 단면은 상기 유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ㄴ'자 형상의 안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치부의 바닥면에는 제1아존부가 마련되며, 상기 안치부의 수직면에는 제2아존부가 마련되는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중간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프레임은 알루미늄 바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면에는 단열바가 설치되고, 상기 단열바의 상단에는 보조 알루미늄 바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바는 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되는 다리부와 상기 보조 알루미늄 바가 삽입되는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중간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은 중공의 알루미늄 바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면에서 연장된 아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프레임과 상기 창호 프레임의 사이에는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유리를 지지하는 개폐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 프레임의 단면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 유리의 일단과 마주하는 수직면에는 아존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 유리의 하면을 마주하는 바닥면에는 상기 개폐 유리와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프레임의 수직면의 상단에는 기어 힌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프레임과 상기 개폐 프레임 사이 및 상기 창호 프레임과 상기 개폐 프레임 사이에는 가스 스프링 또는 보조 암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스프링 또는 보조 암은 상기 창호 프레임과 상기 중간 프레임에 설치되는 차단 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면에서 연장된 상기 아존부의 일단에는 기어 힌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에 의하면, 고층 빌딩이나 상업 건물에 많이 사용되는 Fix & Project 형식의 커튼 월 또는 창호에 단열 기능이 보강 되므로 건물 전체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건물의 냉난방비를 줄일 수 있으므로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선 2-2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선 3-3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선 4-4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선 5-5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에 사용되는 중간 프레임에 설치되는 단열바와 보조 알루미늄 바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의 개폐 유리의 개폐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개폐 유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개폐 유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선 2-2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선 3-3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선 4-4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을 선 5-5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1)은 창호 프레임(10)과 유리(100)를 포함한다.
창호 프레임(10)은 건물에 설치되어 건물의 벽을 형성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건물에는 창호 프레임(10)을 고정할 수 있는 철골조 구조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다.
창호 프레임(10)은 직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며, 상하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2개의 수평 프레임(11,12)과 좌우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2개의 수직 프레임(13,14)으로 구성된다. 창호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11,12,13,14)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창호 프레임(10)의 상측 수평 프레임(11)은 일반적인 커튼 월의 상측 가로살(upside transom bar)에 해당하고, 하측 수평 프레임(12)은 하측 가로살(lower part transom bar)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수직 프레임(13,14)은 일반적인 커튼 월의 측면 문설주(side mullion bar)에 해당할 수 있다.
창호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프레임(11,12,13,14)은 중공의 알루미늄 바로 형성되며, 유리(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단에는 'ㄴ'자 형상의 안치부(21)가 마련된다. 즉 창호 프레임(10)의 단면은 유리(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ㄴ'자 형상의 안치부(21)와 안치부(21)의 하측에 마련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중공인 몸체(22)로 형성된다. 안치부(21)의 바닥면(21a)에는 제1아존부(23)가 마련되며, 상기 안치부(21)의 수직면(21b)에는 제2아존부(24)가 마련된다.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안치부(21)와 몸체(22)의 연결은 제1아존부(23)에 의해 절연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2)의 상단의 일부(22a)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1아존부(23)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는 안치부(21)의 끝단(21c)과 연결되므로 몸체(22)의 상단과 안치부(21) 사이에는 공간(26)이 마련된다.
창호 프레임(10)의 몸체(22)와 안치부(21)는 압출, 사출 등의 제조방법에 의해 알루미늄 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안치부(21)에는 단열재를 충진할 수 있도록 제1아존부(23)와 제2아존부(24)가 마련된다. 제1아존부(23)와 제2아존부(24)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23a, 24a)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1아존부(23)와 제2아존부(24)에는 액상의 폴리우레탄을 충진할 수 있다. 외부의 냉기나 열은 제2아존부(24)와 제1아존부(23)에 충진된 단열재인 폴리우레탄에 의해 차단되어 직접 몸체(22)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아존부(23,24)는 아존(azon) 단열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1)의 경우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창호의 외곽을 형성하는 창호 프레임(10)과 창호 프레임(10)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중간 프레임(30)을 포함한다. 또한, 수직 중간 프레임(30)과 창호 프레임(10)의 우측 프레임(13) 사이에는 수평 중간 프레임(60)이 설치된다. 수직 및 수평 중간 프레임(30,60) 사이의 공간에는 외부로 소정 각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유리(200)가 설치된다. 개폐 유리(200)는 개폐 프레임(8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창호 프레임(10)의 중간 수직 프레임(30)과 수평 중간 프레임(60)은 일반적인 커튼 월의 중간 가로살(center transom bar)과 중간 문설주(center mullion bar)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유리(200)는 일반적인 커튼 월의 벤트(vent)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직 중간 프레임(30)은 알루미늄 바로 형성되며, 수직 중간 프레임(30)의 상면(31)에는 단열바(40)가 설치되고, 상기 단열바(40)의 상단에는 보조 알루미늄 바(50)가 설치될 수 있다.
수직 중간 프레임(30)은 중공이며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단열바(4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재료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로 단열바(40)를 형성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열바(40)는 다리부(41), 머리부(43) 및 고정부(45)를 포함한다. 다리부(41)는 수직 중간 프레임(3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2개의 다리(42)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2개의 다리(42)에는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향 경사진 걸림 돌기(42a)가 마련된다. 머리부(43)는 다리부(41)의 상부에서 연장되며, 보조 알루미늄 바(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고정홈(44)이 마련된다. 고정홈(44)의 측벽에는 보조 알루미늄 바(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44a)이 마련된다. 고정부(45)는 다리부(41) 상단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단열바(40)를 수직 중간 프레임(30)의 상면(3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33)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46)이 마련된다.
수직 중간 프레임(30)의 상면(31)에는 단열바(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단열바 설치홈(32)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바(40)의 2개의 다리(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2개의 단열바 설치홈(32)이 마련된다. 단열바 설치홈(32)의 내측면에는 단열바(40)의 다리(42)에 마련된 걸림 돌기(42a)와 맞물리도록 걸림턱(32a)이 마련된다. 따라서, 단열바(40)의 다리(42)를 수직 중간 프레임(30)의 단열바 설치홈(32)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단열바(40)는 수직 중간 프레임(30)에서 잘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수직 중간 프레임(30)의 상면(31)의 단열바 설치홈(32)의 일측에는 단열바(40)의 고정부(45)의 관통 구멍(46)에 대응하는 고정 구멍(35)이 마련된다. 고정 구멍(35)의 내면에는 고정 볼트(33)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보조 알루미늄 바(50)는 단열바(4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조 알루미늄 바(50)의 단면은 대략 중공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는 단열바(40)의 머리부(43)의 고정홈(4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52)가 마련된다. 고정돌기(52)의 양 측면에는 단열바(40)의 고정홈(44)의 내면에 마련된 걸림턱(44a)과 맞물리는 걸림 돌기(52a)가 마련된다. 따라서, 보조 알루미늄 바(50)의 고정돌기(52)를 단열바(40)의 머리부(43)의 고정홈(44)에 삽입하면, 보조 알루미늄 바(50)의 고정돌기(52)의 걸림 돌기(52a)가 단열바(40)의 고정홈(44)의 걸림턱(44a)에 걸리므로 보조 알루미늄 바(50)가 단열바(40)와 잘 분리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평 중간 프레임(60)은 창호 프레임(10)의 우측 프레임(13)과 수직 중간 프레임(30)의 사이에 하부 프레임(12)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수평 중간 프레임(60)은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중공의 알루미늄 바로 형성되며, 수평 중간 프레임(60)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아존부(62)가 마련된다. 아존부(62)는 액상의 폴리우레탄을 충진할 수 있도록 내부가 공간으로 형성된다. 아존부(62)의 내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62a)가 형성되어 있어, 아존부(62)에 충진되어 굳은 폴리우레탄이 잘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폴리우레탄이 충진된 아존부(62)는 아존(azon) 단열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존부(62)의 상단에는 제1기어 힌지(64)가 형성된다. 제1기어 힌지(64)의 외면에는 기어부가 마련되어 있어 개폐 프레임(80)의 제2기어 힌지(89)와 맞물려 개폐 프레임(80)이 선회를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개폐 프레임(80)은 수평 및 수직 중간 프레임(30,60)과 하부 및 우측 프레임(12,13)의 사이에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개폐 프레임(8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폐 프레임(80)의 단면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3 및 도 5 참조). 개폐 유리(200)의 일측 단부와 마주하는 개폐 프레임(80)의 수직면(81)에는 아존부(83)가 마련되며, 개폐 유리(200)의 하면을 마주하는 개폐 프레임(80)의 바닥면(82)에는 개폐 유리(200)와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돌출부(84)가 마련된다. 아존부(83)는 액상의 폴리우레탄을 충진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홈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아존부(83)의 내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83a)가 형성되어 있어, 아존부(83)에 충진되어 굳은 폴리우레탄이 잘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폴리우레탄이 충진된 아존부(83)는 아존 단열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아존부(83)의 상단과 하단에는 기밀 가스켓(90)을 설치할 수 있는 가스켓 설치홈(87,88)이 마련된다. 창호 프레임(10)의 수평 중간 프레임(60)에 대응하는 개폐 프레임(80)의 상단 프레임(80a)의 수직면(81)의 상단, 즉 아존부(83)의 상측의 가스켓 설치홈(87)의 상단에는 제2기어 힌지(89)가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 프레임(80)의 제2기어 힌지(89)가 수평 중간 프레임(60)의 제1기어 힌지(64)와 맞물리면서 개폐 프레임(80)은 수평 중간 프레임(60)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개폐 프레임(80)의 양측 프레임(80c)과 하단 프레임(80b)에는 제2기어 힌지(89)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개폐 프레임(80)이 수직 중간 프레임(3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개폐 프레임(80)의 일측 프레임(80c)에 제2기어 힌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수직 중간 프레임(30)에도 제1기어 힌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개폐 프레임(80)이 창호 프레임(10)에 대해 원활하게 개폐 가능하도록 수직 중간 프레임(30)과 개폐 프레임(80) 사이 및 창호 프레임(10)의 우측 프레임(13)과 개폐 프레임(80) 사이에 가스 스프링 또는 보조 암(7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수직 중간 프레임(30)과 개폐 프레임(80) 사이 및 창호 프레임(10)의 우측 프레임(13)과 개폐 프레임(80) 사이에 보조암(70)이 설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개폐 프레임(80)의 바닥면(82)에서 돌출되는 중공의 돌출부(84)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부(84)의 아존부(83) 쪽의 측면에는 보조암(7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85)가 마련된다.
도 7a 및 도 7b에는 개폐 프레임(80)에 설치된 보조암(7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개폐 프레임(80)이 창호 프레임(10)에 대해 닫혀 있는 경우의 보조암(70)을 나타내며, 도 7b는 개폐 프레임(80)이 창호 프레임(10)에 대해 열린 경우의 보조암(70)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조암(70)은 4절 링크로 형성되어 있어, 개폐 프레임(80)이 창호 프레임(10)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개폐 프레임(80)과 달리,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개폐 프레임(80)의 상단에는 제2기어 힌지(89)가 설치되지 않았으며, 창호 프레임(10)의 상단 수평 프레임에도 제1기어 힌지(64)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폐 프레임(80)과 창호 프레임(10)의 사이에는 차단 부재(71)가 설치된다. 차단 부재(71)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기밀 가스켓(91)이 설치되는 가스켓 설치홈(72)이 마련된다. 차단 부재(71)에 설치되는 기밀 가스켓(91)은 개폐 프레임(80)의 돌출부(84)와 접촉하여 외기가 개폐 프레임(80)과 창호 프레임(1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차단 부재(71)의 가스켓 설치홈(72)이 마련된 일면(71a)에 수직한 타측면(71b)은 창호 프레임(10) 또는 수직 및 수평 중간 프레임(30,60)에 고정되며, 이 타측면(71b)에는 보조암(70)이 설치된다.
유리(100)는 창호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이중의 페어 글래스(pair glass)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100)은 24mm roy pair glass를 사용할 수 있다. 유리(100)는 창호 프레임(10)의 안치부(21)에 고정된다. 안치부(21)의 바닥면(21a)과 유리(100) 사이에는 노턴 테이프(No turn tape)(101)가 설치되고, 노턴 테이프(101)의 상측으로 안치부(21)의 수직면(21b)과 유리(100)의 일측 단부 사이에는 백업(103)이 설치된다. 백업(103)은 스티로폼으로 형성할 수 있다. 노턴 테이프(101)와 유리(100) 사이의 모서리 및 백업(103) 상부의 공간에는 실리콘(105)으로 코킹을 한다. 수직 중간 프레임(30)으로 유리(100)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수직 중간 프레임(30)의 상면에 노턴 테이프(101)를 부착하고, 단열바(40)와 유리(100)의 일측 단부 사이에 백업(103)을 설치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노턴 테이프(101)와 유리(100) 사이의 모서리 및 백업(103) 상부의 유리(100)와 보조 알루미늄 바(50) 사이의 공간에는 실리콘(105)으로 코킹을 한다.
개폐 유리(200)는 노턴 테이프(101)와 실리콘 코킹(105)을 이용하여 개폐 프레임(80)에 고정한다. 즉,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개폐 프레임(80)의 바닥면(82)과 개폐 유리(200) 사이에는 2개의 노턴 테이프(101)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또한, 개폐 유리(200)의 일측 단부와 개폐 프레임(80)의 아존부(83) 상단 사이의 공간과 노턴 테이프(101)와 개폐 유리(100) 사이의 모서리에는 실리콘(105)으로 코킹을 한다. 이에 의해 개폐 유리(200)가 개폐 프레임(80)에 고정되게 된다. 개폐 유리(200)는 이중의 페어 글래스(pair glass)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폐 유리(200)은 24mm roy pair glass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호 프레임에 아존 단열재로서 기능하는 아존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수평 중간 프레임에도 아존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 외부와 실내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중간 프레임에는 단열바를 조립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기온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개폐 프레임에 아존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단열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창호 프레임이 수평 중간 프레임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일정 각도 개방되는 한 개의 개폐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즉, 창호의 프로젝트 부분이 한 개의 오닝(awning)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창호 프레임은 2개 이상의 오닝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창호 프레임은 한 개 이상의 케이스먼트(casement)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케이스먼트는 오닝과 유사한 구조로 개폐 유리가 수직 중간 프레임이나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에 대해 일정 각도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는 창호 프레임이 한 개의 오닝과 케이스먼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구조로 창호 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창호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좌측 및 우측 프레임, 수직 중간 프레임, 수평 중간 프레임, 개폐 프레임을 배치만 적절하게 수정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창호 프레임의 다양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10; 창호 프레임
21; 안치부 22; 몸체
23,24; 아존부 30; 수직 중간 프레임
32; 단열바 설치홈 40; 단열바
41; 다리부 43; 머리부
45; 고정부 50; 보조 알루미늄 바
52; 고정 돌기 60; 수평 중간 프레임
62; 아존부 64; 제1기어 힌지
70; 보조암 71; 차단 부재
80; 개폐 프레임 81; 수직면
82; 바닥면 83; 아존부
89; 제2기어 힌지 90,91; 기밀 가스켓
100; 유리 101; 노턴 테이프
103; 백업 105; 실리콘
200; 개폐 유리

Claims (9)

  1. 건물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창호 프레임; 및
    상기 창호 프레임에 설치되는 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창호 프레임은 알루미늄 바로 형성되며, 상기 창호 프레임의 단면은 상기 유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ㄴ'자 형상의 안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치부의 바닥면에는 제1아존부가 마련되며, 상기 안치부의 수직면에는 제2아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중간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은 알루미늄 바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면에는 단열바가 설치되고, 상기 단열바의 상단에는 보조 알루미늄 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바는 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되는 다리부와 상기 보조 알루미늄 바가 삽입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중간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은 중공의 알루미늄 바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면에서 연장된 아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과 상기 창호 프레임의 사이에는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유리를 지지하는 개폐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 프레임의 단면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 유리의 일단과 마주하는 수직면에는 아존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 유리의 하면을 마주하는 바닥면에는 상기 개폐 유리와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돌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프레임의 수직면의 상단에는 기어 힌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과 상기 개폐 프레임 사이 및 상기 창호 프레임과 상기 개폐 프레임 사이에는 가스 스프링 또는 보조 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스프링 또는 보조 암은 상기 창호 프레임과 상기 중간 프레임에 설치되는 차단 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면에서 연장된 상기 아존부의 일단에는 기어 힌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20120072588A 2012-07-04 2012-07-04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1368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588A KR101368355B1 (ko) 2012-07-04 2012-07-04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588A KR101368355B1 (ko) 2012-07-04 2012-07-04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981A true KR20140004981A (ko) 2014-01-14
KR101368355B1 KR101368355B1 (ko) 2014-02-28

Family

ID=5014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588A KR101368355B1 (ko) 2012-07-04 2012-07-04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5866A (zh) * 2022-02-25 2022-05-24 徐聪 基于悬挂式幕墙的幕墙板定位紧固装置及紧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561B1 (ko) * 2017-02-02 2017-09-06 이규진 링크를 활용하는 개폐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04B1 (ko) * 2010-02-08 2010-08-17 김용호 단열성능이 개선된 알루미늄 프로젝트 및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0981085B1 (ko) * 2010-06-07 2010-09-08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내부열림 창호용 방충망
JP5514648B2 (ja) * 2010-06-28 2014-06-04 オイレスEco株式会社 窓開閉装置
KR101077492B1 (ko) * 2011-04-22 2011-10-27 (주)신창산업 단열성능과 조립성이 개선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5866A (zh) * 2022-02-25 2022-05-24 徐聪 基于悬挂式幕墙的幕墙板定位紧固装置及紧固方法
CN114525866B (zh) * 2022-02-25 2023-12-12 新疆山水建设工程有限公司 基于悬挂式幕墙的幕墙板定位紧固装置及紧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355B1 (ko) 201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177B1 (ko) 커튼월 단열시스템
KR101065044B1 (ko)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105797B1 (ko) 이중 단열형 커튼월
KR101247236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KR101065036B1 (ko) 유리홈 가변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630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커튼월
KR101617787B1 (ko) 커튼월
KR101744540B1 (ko) 커튼월
KR200492336Y1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2296504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KR101859718B1 (ko) 복합 단열구조를 갖는 커튼월
KR20120040339A (ko) 커튼월형 창호
JP2007092405A (ja) 二重窓の防露構造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419659B1 (ko) 단열고정창호
KR101763154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790729B1 (ko)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JP6259344B2 (ja) 複合建具の固定部材と複合建具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