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604U -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 Google Patents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604U
KR20140004604U KR2020130000755U KR20130000755U KR20140004604U KR 20140004604 U KR20140004604 U KR 20140004604U KR 2020130000755 U KR2020130000755 U KR 2020130000755U KR 20130000755 U KR20130000755 U KR 20130000755U KR 20140004604 U KR20140004604 U KR 201400046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ssembled
receiving frame
stand
stora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007Y1 (ko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2020130000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0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6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릇을 세워 보관하여 건조시키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그릇을 보관하는 수납틀을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면서 수납틀을 상,하부 수납틀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납틀의 측벽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직립대를 끼워 삽입할 수 있는 안착부를 형성하여 상,하부의 수납틀을 간단하게 끼움 구조로 조립하여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금속재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함에도 불구하고, 적층되어진 수납틀이 안정적으로 지지됨은 물론, 그 수납틀의 디자인을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Stackable dish drying rack}
본 고안은 그릇을 세워 보관하여 건조시키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식기건조대의 적층구조를 개선하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수납틀을 적층하여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건조대는 주로 그릇이나 접시, 컵 등의 식기를 안치하여 건조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주방의 싱크대 상단이나 일측에 구비되어 많은 수량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식기건조대는 금속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한 수납틀을 주로 사용하며, 종래에는 단층으로 구성하였으나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서 최근에는 대부분 다층(주로 2단 또는 3단) 구조로 적층하여 많은 양의 그릇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식기건조대 구조를 다층으로 구성할 경우 플라스틱은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대부분 금속으로 제작되는데, 금속의 경우 용접에 의한 조립 작업이 복잡하여 양산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고가의 제조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수분에 의해 용접부위가 쉽게 부식되며, 그 외관이 매우 획일적이고 단조로와서 장식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어서 이에 대한 대안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납틀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면서 그 적층구조를 금속으로 제작한 측판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것도 결국에는 그 측판 자체를 제작함에 있어서 금속 와이어를 이용하여 절곡하고 용접하는 등의 조립 작업이 필요하여 여전히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또한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납틀과 측판이 서로 조화롭지 않아서 디자적인 미감을 해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7608호(2003.03.0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23580호(2005.03.10)
따라서 본 고안은 수납틀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제작비를 절감하면서도 그 적층구조를 간소화하여 간단하게 끼움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금속재의 사용을 최소화함에도 불구하고 수납틀이 적층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납틀에 보조수납대를 장착하여 수납틀이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그 보조수납대를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없이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그릇을 안치시켜 보관하는 수납틀을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면서 그 수납틀이 상부수납틀과 하부수납틀의 이단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하부수납틀의 측면 또는 측면과 후면에는 상,하측의 수납틀이 서로 대응되게 안착부를 형성하여 직립대를 수납틀에 끼워 단순하게 조립하여 적층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직립대를 'U'자형으로 성형하고, 상,하부수납틀에 형성되는 안착홈은 각각 두 개의 삽입홀과 반원형의 내입공간을 갖는 삽입부로 형성하여 'U'자형의 직립대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틀은 바닥면에 타공부를 형성하여 안착돌부가 형성되어 보조수납대를 삽입하여 간단하게 탈착되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없이도 보조수납대를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수납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접 등의 고비용과 비효율적인 수단으로 식기건조대를 조립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간단하게 제작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금속 용접부위가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식발생 우려가 없어 위생적이고도 청결하게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식기건조대의 적층구조가 간단하게 끼움 결합하여 조립이 가능하므로 사용시에는 적층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지지되고, 이러한 적층구조에서 금속재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서 수납틀과 직립대의 외관이 조화롭게 융화되며, 보조수납대를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으면서도 수납틀의 형태를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식기건조대의 디자인성 및 실용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식기건조대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식기건조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식기건조대의 적층 결합구조를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부수납틀에 직립대가 결합된 상태의 조립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식기건조대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보조수납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걸이구 장착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릇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틀이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어 배수홀이 형성되는 바닥면(11,21)과 측벽(12,22)으로 이루어져 수납공간(10a,20a)을 갖도록 하고, 그 수납틀이 하부수납틀(10)과 상부수납틀(20)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하부수납틀(10)과 상부수납틀(20)의 측벽(12,22)에는 복수의 안착부(13,23)를 형성하여 각각의 안착부(13,23)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직립대(30)를 삽입하여 끼움으로써 수납틀이 이단 구조로 적층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직립대(30)는 'U'자형으로 절곡하거나 밴딩 성형하여 두 개의 수직바(31)와 연결부(32)로 이루어져 비틀림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안착부(13,23)는 그 직립대(30)의 상,하측 단부에 대응되게 하부수납틀(10)에는 반원형의 내입공간(14a)을 갖는 삽입부(14)를 형성하면서 상부수납틀(20)에는 두 개의 삽입홀(24)을 형성되어 직립대(30)의 상,하측 양단이 상,하부수납틀(20)에 각각 형성된 삽입부(14)와 삽입홀(24)에 삽입되어 적층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직립대(30)의 절곡되거나 밴딩 성형된 부분이 삽입부의 내입공간(14a)에 삽입되어 면으로 지지되어 수납틀을 적층한 상태에서 무거운 하중이 발생할 경우에도 좌,우 또는 전,후방으로 비틀리지 않고 수납틀의 적층 상태가 견고히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직립대(30)의 휨 구조는 'ㄷ'자 형태로 절곡 성형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밴딩 성형함으로써 성형이 용이하면서도 절곡부에서의 파손우려를 줄이고 직립대(30)의 삽탈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4)는 내입공간(14a)에 걸림수단(14b)을 형성하면 직립대(30)가 삽입부(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로 빠짐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걸림수단(14b)은 상측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직립대(3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걸림수단(14b)의 하측은 경사도를 상측보다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직립대(30)가 임의로 빠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삽입부(14)는 하단부에 개방부(14c)를 형성하면 직립대(30)가 삽입부(14)의 삽입공간(14a)에 삽입된 상태로 단부가 노출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삽입부(14)에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에도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직립대(30)를 분리할 때 기울여서 쉽게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하부수납틀(10)에 상부수납틀(20)이 적층되게 조립된 상태에서는 직립대(30)가 수직으로 세워지므로 걸림수단(14b)에 의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려지지 않게 되므로 사용중 임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반면에 직립대(30)의 상부에 조립되어 있는 상부수납틀(20)을 분리시키면 그 상태에서 직립대(30)를 개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직립대(30)의 하단을 개방부(14c)측으로 기울여서 걸림수단(14b)으로부터 쉽게 빠지도록 하여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하부수납틀(10,20)을 제작함에 있어서, 측벽(12)의 상단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플랜지부(12a)를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플랜지부(12a)에 의하여 수납틀의 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플랜지부(12a)에 의하여 직립대(30)가 삽입되는 삽입부(14)를 형성함에 있어서 삽입부(14)가 측벽(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그 하단에 개방부(14c)가 형성되도록 하여 사출 성형 구조에 있어서 금형의 빠짐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삽입부(14)에 의하여 하부수납틀(10)의 측벽(12)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수납틀(20)은 보조수납대(40)를 삽입하여 수납공간을 다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보조수납대(40)의 조립은 상부수납틀(20)의 바닥면(21)에 타공부(21a)를 형성하고 보조수납대(40)의 하부측으로는 그 타공부(21a)에 대응되게 안착돌부(41)를 형성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없이도 보조수납대를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수납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조수납대(40)는 하부수납틀(10)에도 동일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지만, 하부수납틀(10)에는 그릇을 건조할 때 물 빠짐을 위한 물받이틀이 장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수납공간이 상부수납틀(20)이 적층되어 매우 한정적이므로 바람직하게는 상부 공간이 개방되어 있는 상부수납틀(20)에만 보조수납대(40)를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보조수납대(40)에는 측면 상측으로 끼움홀(42)을 형성하면 그 끼움홀(42)에 걸이구(50)를 조립하여 주방용품을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동일한 조립방식으로 상부수납틀(20)의 측벽에도 걸이구(50)를 장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 하부수납틀 10a: 수납공간
11: 바닥면 12: 측벽
12a: 플랜지부 13: 안착부
14: 삽입부 14a: 내입공간
14b: 걸림수단 14c: 개방부
20: 상부수납틀 20a: 수납공간
21: 바닥면 21a: 타공부
22: 측벽 23: 안착부
24: 삽입홀
30: 직립대 31: 수직바
32: 연결부
40: 보조수납대 41: 안착돌부
42: 끼움홀
50: 걸이구

Claims (6)

  1.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어 바닥면(11,21)과 측벽(12,22)으로 이루어져 수납공간(10a,20a)을 갖는 하부수납틀(10)과 상부수납틀(20)로 이루어지고, 하부수납틀(10)과 상부수납틀(20)의 측벽(12,22)에는 복수의 안착부(13,23)가 형성되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직립대(30)가 안착부(13,23)에 끼워져 수납틀이 이단 구조로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대(30)는 'U'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13,23)는 직립대(30)의 상,하측 단부에 대응되게 하부수납틀(10)에는 반원형의 내입공간(14a)을 갖는 삽입부(14)가 형성되면서 상부수납틀(20)에는 두 개의 삽입홀(24)이 형성되어 직립대(30)의 양단이 상,하부수납틀(20)에 각각 형성된 삽입부(14)와 삽입홀(24)에 삽입되어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4)는 내입공간(14a)에 걸림수단(14b)이 형성되어 직립대(30)가 삽입부(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로 빠짐되지 않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납틀(10)의 삽입부(14)는 하단부에 개방부(14c)가 형성되어 직립대(30)가 삽입부(14)의 삽입공간(14a)에 삽입된 상태로 단부가 노출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납틀(20)은 바닥면(21)에 타공부(21a)가 형성되어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안착돌부(41)가 형성된 보조수납대(40)가 적층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납틀(20) 또는 보조수납대(40)는 상측으로 끼움홀이 형성되어 걸이구(50)를 조립하여 주방용품을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KR2020130000755U 2013-01-29 2013-01-29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KR200484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55U KR200484007Y1 (ko) 2013-01-29 2013-01-29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55U KR200484007Y1 (ko) 2013-01-29 2013-01-29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04U true KR20140004604U (ko) 2014-08-06
KR200484007Y1 KR200484007Y1 (ko) 2017-07-20

Family

ID=5244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55U KR200484007Y1 (ko) 2013-01-29 2013-01-29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086U (ko) * 2016-12-29 2018-07-09 김종희 씽크대선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105Y1 (ko) * 1997-04-11 1999-06-01 홍석원 식기 보관대
KR200167200Y1 (ko) * 1997-11-11 2000-03-02 신태현 조립식 식기 건조대
KR200307608Y1 (ko) 2002-12-27 2003-03-19 곽선금 식기건조대
KR20050023580A (ko) 2003-08-28 2005-03-10 김창용 조립식 식기건조대
JP2012024544A (ja) * 2010-06-25 2012-02-09 Toshiba Consumer Electronics Holdings Corp 食器乾燥機および食器乾燥除菌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105Y1 (ko) * 1997-04-11 1999-06-01 홍석원 식기 보관대
KR200167200Y1 (ko) * 1997-11-11 2000-03-02 신태현 조립식 식기 건조대
KR200307608Y1 (ko) 2002-12-27 2003-03-19 곽선금 식기건조대
KR20050023580A (ko) 2003-08-28 2005-03-10 김창용 조립식 식기건조대
JP2012024544A (ja) * 2010-06-25 2012-02-09 Toshiba Consumer Electronics Holdings Corp 食器乾燥機および食器乾燥除菌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086U (ko) * 2016-12-29 2018-07-09 김종희 씽크대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007Y1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462B1 (ko) 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US20070132345A1 (en) Furniture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and quickly
TW201605379A (zh) 容器及儲存系統
JP2010504255A (ja) 容器構造物および該容器を収容するコンテナ構造物
US20050230577A1 (en) Hanger for use on metal rack
US20030146180A1 (en) Basket / bin free-standing shelving system
KR200484007Y1 (ko)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EP2303093B1 (en) A cutlery basket for dishwashers
KR20130092111A (ko) 조립식 선반
KR20170114127A (ko) 식기선반
KR20100006522U (ko) 식기건조대
KR200455852Y1 (ko) 주방용 구획 프레임
KR200405626Y1 (ko) 주방용 착탈식 선반
KR102162747B1 (ko) 다용도 선반
KR200424765Y1 (ko) 주방용 선반
KR20220000906U (ko)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KR200447581Y1 (ko) 이동식 다용도 수납함
KR200411307Y1 (ko) 주방용 조립식 선반
JP5919136B2 (ja) シンク用水切りラック
KR20100005067U (ko) 서랍과 선반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KR102060226B1 (ko) 블록형 식기건조대
KR200341870Y1 (ko) 현가식 식기건조대
CN210433265U (zh) 组合餐具垫
CN214127662U (zh) 一种便于包装运输且牢固的拉篮
CN215304226U (zh) 一种抽屉底板及具有该底板的平篮抽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