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070A -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레이저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레이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070A
KR20140004070A KR1020137008644A KR20137008644A KR20140004070A KR 20140004070 A KR20140004070 A KR 20140004070A KR 1020137008644 A KR1020137008644 A KR 1020137008644A KR 20137008644 A KR20137008644 A KR 20137008644A KR 20140004070 A KR20140004070 A KR 20140004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light
light sources
laser beams
laser
intensity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653B1 (ko
Inventor
알렉세이 미하일로프
Original Assignee
리모 파텐트페어발퉁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모 파텐트페어발퉁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리모 파텐트페어발퉁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0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0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a combination of beams
    • B23K26/0608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a combination of beams in the same heat affected zone [HAZ]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83Array of refle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73Shaping the laser spot
    • B23K26/0738Shaping the laser spot into a linear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5Refractiv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51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 G03F7/2053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05Dividing and/or superposing multiple light be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ser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조명 장치(1)에 관한 것으로, 그러한 조명 장치(1)는 - 제1 전파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방사할 수 있도록 서로 나란히 배열된 M개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을 각각 갖는 N개의 열들(R1 내지 R6)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군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 -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작업 평면 쪽으로 제2 전파 방향으로 전향시킬 수 있도록 제1 전파 방향으로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의 배후에 배치되고 구성되는 다수의 빔 전향 수단들(4), 및 -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의 개개의 레이저 빔들을 결합시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2 전파 방향으로 빔 전향 수단들(4)의 배후에 배치되는 빔 결합 수단들을 포함하고, 인접 열들(R1 내지 R6)은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의 레이저 빔들(A 내지 L)이 중첩 없이 빔 결합 수단들에 입사할 수 있도록 한편으로 제1 및 제2 전파 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x 방향)으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1 전파 방향(z 방향)으로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Description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레이저 장치{LASER APPARATUS FOR PRODUCING A LINEAR INTENSITY DISTRIBUTION IN A WORKING PLANE}
본 발명은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의: 빛의 전파 방향이란 특히 빛이 평면파가 아니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산하는 경우에 빛의 평균 전파 방향을 의미한다. 명시적으로 무언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광선, 부분 빔(partial beam), 레이(ray), 또는 빔(beam)은 기하학적 광학의 이상적인 빔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가우스 프로파일을 갖는 레이저 빔과 같은 현실의 광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러한 광선은 극소의 작은 빔 횡단면을 갖는 것이 아니라, 팽창하는 빔 횡단면을 갖는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긴 레이저 선들(예컨대, 100 ㎜보다 큰)은 광원과 선의 상응하게 큰 간격에 의해서만 생성된다. 이때, 간격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선의 길이만큼 크다. 산업적 적용에서는, 특히 선의 길이가 1 미터보다 큰 경우에는, 흔히 그만큼 큰 장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조명 장치로서,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조명 장치보다 콤팩트하게 구성되고, 높은 강도를 제공하는 서두에서 언급한 타입의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조명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부가의 구성들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르면,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조명 장치는
- 제1 전파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방사할 수 있도록 서로 나란히 배열된 M개의 레이저 광원들을 각각 갖는 N개의 열들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군의 레이저 광원들,
- 레이저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작업 평면 쪽으로 제2 전파 방향으로 전향시킬 수 있도록 제1 전파 방향으로 레이저 광원들의 배후에 배치되고 구성되는 다수의 빔 전향 수단들, 및
- 레이저 광원들의 개개의 레이저 빔들을 결합시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2 전파 방향으로 빔 전향 수단들의 배후에 배치되는 빔 결합 수단들을 포함하되,
인접 열들은 레이저 광원들의 레이저 빔들이 중첩 없이 빔 결합 수단들에 입사할 수 있도록 한편으로 제1 및 제2 전파 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x 방향)으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1 전파 방향(z 방향)으로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본원에서 소개하는 조명 장치에 의해, 작업 평면에서 긴 길이의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의 이점은 레이저 빔들의 중첩으로 인한 손실이 생기지 않는다는데 있는데, 왜냐하면 그들이 서로 별개의 2개의 단계로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형 강도 분포의 생성 시에, 조명 장치의 레이저 광원들의 레이저 빔들은 각각 단지 2개의 광학 요소들, 특히 해당 레이저 빔들을 작업 평면 쪽으로 전향시키는 빔 전향 수단 및 빔 결합 수단과만 연동한다. 그러한 조치에 의해, 작업 평면에서 높은 품질을 갖는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조명 장치의 빔 경로에 있는 추가의 렌즈 수단이 레이저 빔들의 허리(waist) 형성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레이저 빔들을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시키는 본래의 과정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바람직하게도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방안들보다 훨씬 더 콤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 광원들은 동일하게(특히, 모듈 타입으로) 형성되고, 각각 높이(H)와 폭(P)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광원들은 반도체 레이저 광원들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저 광원들의 인접 열들이 제1 방향(x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거리(dx)만큼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접 열들이 제1 방향(x 방향)으로 각각 dx = P/N의 거리만큼 서로 엇갈려 배치될 수 있는데, 여기서 P는 레이저 광원들의 폭(레이저 광원들이 서로 나란히 배열된 제1 방향으로의 레이저 광원들의 연장)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저 빔들이 작업 평면으로부터 Y = Y1의 간격을 갖는 제1 평면에서 빔 결합 수단에 입사할 수 있고, 작업 평면으로부터 Y + Y2의 간격을 갖는 제2 평면에서 빔 결합 수단으로부터 다시 출사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y 방향으로의 2개의 평면들 사이의 간격 ΔY12 = Y1 - Y2가 약 2T 내지 3T가 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는데, 여기서 T는 제1 전파 방향(z 방향)으로의 레이저 빔들의 허리 크기이다. 특히, 평면들의 간격 ΔY12는 레이저 빔들이 손실 없이 제2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때, 광경로 차(optical path difference)는 어디에서나 동일하게 유지된다. 특히, 그것은 예컨대 제2 열의 레이저 광원들이 z 방향으로 제1 열에 대해 H + Δ만큼 떨어져 있고, 제3 열의 레이저 광원들이 제2 열에 대해 H - Δ만큼 떨어져 있으며, 계속해서 그와 같이 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조명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빔 결합 수단이 다수의 유리판들을 포함하되, 유리판들은 레이저 빔들을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레이저 빔들이 유리판들의 광학 경계면들에서 굴절될 수 있게끔 배치되는 조치를 취한다. 그럼으로써, 작업 평면에서 매우 높은 품질을 갖는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매우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유리판들이 서로 짝지어 교차하게 배치되도록 조치한다. 유리판들은 예컨대 x-y 평면에 대해 45°각도로 경사져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강조하여야 할 사항은 유리판들과 x-y 평면 사이의 각도가 반드시 45°에 달하여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빔 전향 수단은 매우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예컨대 거울(mirror) 수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작동 중에, 레이저 광원들은 처음에 제1 전파 방향(z 방향)으로 전파되는 레이저 광을 방출한다. 레이저 광원들의 레이저 빔들은 개별적으로 거울 수단에 의해 y 방향으로 90°만큼, 그에 따라 작업 평면(x-z 평면) 쪽으로 전향된다. 각각의 레이저 광원에 대해, 해당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전향시키기 위해, 그에 직접 부속된 개개의 거울 수단을 각각 마련하는 방안도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열의 레이저 광원들에 대해, 개개의 공통 거울 수단이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는, 조명 장치가 제1 군의 레이저 광원들에 대해 면대칭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군의 레이저 광원들을 포함하도록 조치할 수도 있다. 작업 평면에서의 선형 강도 분포가 양자의 군의 레이저 광원들에 의해 생성된다. 특히, 제2 군의 레이저 광원들 그 자체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9항에서 제1 군의 레이저 광원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조명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인접 레이저 빔들의 중첩 문제를 나타내고 있는, 직교 좌표계에서 서로 90°회전한 2개의 도면들이다.
도 3a는 도 1에 따른 조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1 및 도 3a 에 따른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조명 장치에 의해 빔 전파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상이한 x-z 평면들에서 얻을 수 있는 빔 패턴을 나타내고 있는 매우 단순화된 2개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조명 장치를 측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에 따른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5b에 따른 조명 장치에 의해 빔 전파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상이한 x-z 평면들에서 얻을 수 있는 빔 패턴을 나타내고 있는 매우 단순화된 2개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한 이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조명 장치(1)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도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을 정의하는 직교 좌표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조명 장치(1)는 다수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을 구비하는데, 그들은 모듈 타입으로 조립되고,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미터(emitter)로서 각각 포함하고 있다. 본 경우,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각각 높이(H)와 폭(P)을 갖는다. 본 경우,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은 x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그리고 y 방향으로 서로 상하로 포개져 4개의 열들(R1, R2, R3, R4)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이미 언급하여야 할 사항은 도시를 간단히 하기 위해 도면상으로 도시된 열들(R1, R2, R3, R4)의 수가 N = 4로 한정되었고, 그 4개의 열들의 각각의 열에서 M = 5개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이 각각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는 것이다. 분명히 강조하여야 할 사항은 조명 장치(1)에 의해 생성하려는 선 길이에 의존하여 x 방향으로 5개보다 훨씬 더 많은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이 서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의 인접 열들(R1, R2, R3, R4)이 각각 x 방향으로 dx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x 방향으로의 인접 열들(R1, R2, R3, R4)의 그러한 변위(dx)는 모든 열들(R1, R2, R3, R4)에 대해 일정한데, 특히 일반식으로 dx = P/N이 성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N은 열들(R1, R2, R3, R4)의 수(본 경우, 4)이고, P는 x 방향으로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의 연장(폭)으로서, 모듈 타입으로 형성된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에서는 동일하다.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은 y 방향으로 직접 서로 상하로 배치되고, 그에 따라 y 방향으로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의 인접 열들(R1, R2, R3, R4)의 "변위"는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의 높이(H)에 해당한다.
작동 중에,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은 처음에 제1 빔 전파 방향(z 방향)으로 전파되는 레이저 광을 방출한다.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의 레이저 빔들은 개별적으로 빔 전향 수단들에 의해, 특히 거울 수단들에 의해 제2 빔 전파 방향(y 방향)으로 90°전향되고, 그에 따라 작업 평면(x-z 평면)으로 전향된다.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 각각에 대해, 해당 레이저 광원(2, 2a 내지 2h)으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작업 평면 쪽으로 90°전향시키기 위해 그 자체의 빔 전향 수단(특히, 거울 수단)을 각각 마련하는 방안도 있다. 그에 대해 대안적으로,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의 열들(R1, R2, R3, R4) 각각에 대해, 빔 전향 수단(특히, 거울 수단)이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빔 전파 방향(z 방향)으로 제4 열(R4)의 배후에 레이저 광원들(2a 내지 2h)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y 방향으로 90°전향시키는 거울 수단(4)이 배치되도록 조치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면상의 도시를 복잡하게 하기 않기 위해 단지 2개의 개별적인 거울 수단(4)만이 점선의 형태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견하면, 광경로 길이(optical path length)의 동일성의 조건이 충족되기 위해서는 제1 전파 방향(z 방향)으로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의 인접 열들(R1, R2, R3, R4)의 변위가 수직 변위(H)와 같아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각각의 레이저 광원(2, 2a 내지 2h)의 빔 출구 창으로부터 선형 강도 분포의 생성의 지점(Y = Y2)까지의 거리가 모든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에 대해 동일하고 LY + LZ와 같아야 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일견할 때에 아주 자명해 보이는 그러한 접근은 문제점들을 초래하는데, 그러한 문제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조치들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조명 장치(1)에 의해 달성하고자 하는 주목적은 작업 평면에서 조명되는 선의 조도를 가능한 한 높게 하려는데 있다. 그것은 도 2a 및 도 2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레이저 광원(2, 2a 내지 2h)으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광이 개별 레이저 빔들이 하나의 선으로 결합하는 평면에서 빔 허리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조건을 직접적으로 지킬 수는 없는데, 왜냐하면 그 지점까지의 빔 복귀 경로에서 레이저 빔들(A, B, C)이 중첩되는 영역이 생기기 때문이다. 도 2a에서 수평선으로 나타낸 그러한 중첩 영역은 작업 평면에 대해 레이저 빔들(A, B, C)이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하는 지점보다 더 높이 놓인다. 그 경우, 레이저 빔들(A, B, C)은 별개의 렌즈 채널들 통해 제공되어야 한다.
선행 기술로부터, 빔 허리들을 최대로 조밀한 팩으로 결합하기 위한 갖가지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목적으로, 예컨대 렌즈 광섬유들 또는 중공 광섬유들이 사용된다. 그와 관련하여, 렌즈 광섬유들이 더 유리하고, 그에 따라 더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그 제조가 기술적 이점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때, x 방향으로의 연장 W를 갖는 빔 허리 내에서 완전 발산 θ0(단위는 라디안)으로 시야를 유지할 경우에, 렌즈들 사이의 간격 LW는 근축 근사(paraxial approximation) LW = W/θ0로 될 수 있다. 실제로, 그러한 주기(period)는 H*N에 달하는 조명 장치(1)의 총 높이보다 훨씬 더 작다. 그것은 렌즈 광섬유가 다수의 주기들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것은 조명 장치의 구조적 구성을 현저히 어렵게 만든다.
그러한 문제점은 본원에서 소개하는 조명 장치(1)에서는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의 레이저 빔들이 서로 별개의 2개의 단계들로 선형 강도 분포로 옮겨지도록 함으로써 회피된다. 제1 단계에서는, 서로 상하로 배치된 레이저 광원들(2a, 2f, 2g, 2h)의 레이저 빔들(A, B, C, D)이 Y = Y1의 높이에 있는 제1 평면(x-z 평면)으로 옮겨지는데, z 방향으로 짝지어 인접한 레이저 빔들(A, B, C, D)이 z 방향으로 서로 Δ의 오프셋을 갖는다. 계속된 경로에서, 레이저 빔들(A, B, C, D)은 예컨대 서로 교차하는 평탄한 유리판들(5, 6)에 의해 Y = Y2의 높이에 있는 제2 평면(x-z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한다.
도 1에는, 도면상의 도시를 복잡하게 하기 않기 위해 그러한 유리판들(5, 6)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에는, 그 유리판들(5, 6)을 통과할 때의 레이저 빔들(A, B, C, D)(및 구체적으로 도면 부호들을 붙이지 않은 나머지 레이저 빔들)의 빔 경로만이 도시되어 있다. 조명 장치(1)의 빔 경로에 유리판들(5, 6)이 배치되는 것은 도 3a로부터 명확히 파악될 수 있다. 유리판들(5, 6)은 레이저 빔들(A 내지 L)을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레이저 빔들(A 내지 L)이 유리판들(5, 6)의 광학 경계면들에서 굴절될 수 있게끔 배치된다. 본 경우, 유리판들(5, 6)은 x-y 평면과 45°각도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강조하여야 할 사항은 유리판들(5, 6)이 x-y 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가 반드시 45°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Y = Y1에 있는 제1 평면 및 Y = Y2에 있는 제2 평면에서의 강도 분포들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3a에서는, z 방향으로의 인접 레이저 빔들(A, B, C, D)의 오프셋 Δ를 알아볼 수 있다.
이때, y 방향으로의 2개의 평면들 사이의 간격 ΔY12 = Y1 - Y2가 약 2T 내지 3T의 크기까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한데, 여기서 T는 z 방향으로의 레이저 빔들(A, B, C, D)의 허리 크기이다. ΔY12가 ΔY12 << LW일 정도로 작은 경우, 레이저 빔들(A, B, C, D)은 중첩으로 인한 손실 없이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광경로 차는 어디에서나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것은 예컨대 열 R2가 z 방향으로 열 R1에 대해 H + Δ만큼 떨어져 있고, 열 R3가 열 R2에 대해 H - Δ만큼 떨어져 있으며, 계속해서 그와 같이 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그것은 도 1 및 도 3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다.
본원에서 소개하는 조명 장치(1)에 의해, 작업 평면에서 높은 빔 품질을 갖는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거기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에서는 단일의 군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이 마련되는 반면에,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1)가 2개의 군들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도 5a 및 도 5b에서 좌측) 또는 2, 2k 내지 2p(도 5a 및 도 5b에서 우측))을 포함한다.
2개의 군들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 또는 2, 2k 내지 2p)은 서로 면대칭으로 구성되고, 작동 중에 z 방향으로 서로 반대의 빔 전파 방향들로 레이저 광을 방출한다. 본 경우, 2개의 군들 각각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 또는 2, 2k 내지 2p)은 6개의 열들(R1 내지 R6)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데, 각각의 열에는 총 5개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 2, 2k 내지 2p)이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빔들(A 내지 L)은 개별적으로 빔 전향 수단들, 특히 거울 수단들에 의해 y방향으로 90°전향되고, 그에 따라 작업 평면(x-z 평면) 쪽으로 전향된다. 도 3b와 함께 도 3a로부터, 어느 레이저 빔들(A 내지 L)에 어느 빔 전향 수단들이 할당되는지 명확히 파악될 것이다.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 2, 2k 내지 2p) 각각에 대해, 해당 레이저 광원(2, 2a 내지 2j 또는 2, 2k 내지 2p)으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90°전향시키기 위해 빔 전향 수단(특히, 거울 수단)을 각각 마련하는 방안도 있다. 그에 대해 대안적으로,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 또는 2, 2k 내지 2p)의 열들(R1, R2, R3, R4, R5, R6) 각각에 대해, 빔 전향 수단(특히, 거울 수단)이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전향된 레이저 빔들은 다시 평탄한 유리판들(5, 6)에 의해 이미 전술한 방식으로 2개의 단계들로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로 옮겨진다. 유리판들(5, 6)은 전술한 방식대로 서로 교차하여 배치된다. 본 경우에도 역시, 유리판들(5, 6)은 x-y 평면과 45°각도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강조하여야 할 사항은 유리판들(5, 6)과 x-y 평면 사이의 각도가 반드시 45°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이제, Y = Y1에 있는 제1 x-z 평면에서는 2개가 아니라, 3개의 열들의 레이저 빔들(A 내지 L)이 발생하고(도 6a 참조), 그 3개의 열들의 레이저 빔들(A 내지 L)이 Y = Y2에 있는 제2 평면 x-z 평면에서 선으로 합쳐진다(도 6). 그를 위해, 서로 짝지어 교차하는 다수의 평탄한 유리판들(5, 6)이 바람직하게는 어레이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 2, 2k 내지 2p)은 역시 전술한 방식대로 x 방향 및 z 방향으로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인접 열들(R1 내지 R6)은 일정한 거리 dx(바람직하게는 여기서도 dx = P/N이 성립)만큼 떨어져 있다. 제1 빔 전파 방향(z 방향)으로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 또는 2, 2k 내지 2p)의 인접 열들(R1, R2, R3, R4, R5, R6)의 오프셋은 도 5a로부터 바로 명확히 파악될 것이다.
본원에서 소개하는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 또는 2, 2a 내지 2j, 2k 내지 2p)의 기하학적 배열의 주된 특징은 모듈 타입으로 형성된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 또는 2, 2a 내지 2j, 2k 내지 2p)이 x 방향으로 오프셋을 둘 뿐만 아니라 z 방향으로도 오프셋을 두고 열을 지어서 3차원 스택(stack)으로 통합되되, 이때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h 또는 2, 2a 내지 2j, 2k 내지 2p)의 특별한 각도 설정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데 있다.
바람직하게도 레이저 빔들의 중첩으로 인한 손실이 생기지 않는데, 왜냐하면 레이저 빔들이 전술한 대로 2개의 단계들로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하기 때문이다. 레이저 광원(2, 2a 내지 2h 또는 2, 2a 내지 2j, 2k 내지 2p)의 각각의 레이저 빔은 많아야 2개의 광학 요소들, 특히 빔 전향 거울일 수 있는 빔 전향 수단(4) 및 각각의 평탄한 유리판(5, 6)과만 연동한다. 빔 경로에서 추가의 렌즈 수단이 레이저 빔의 허리 형성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레이저 빔들을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0)

  1.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조명 장치(1)로서,
    - 제1 전파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방사할 수 있도록 서로 나란히 배열된 M개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을 각각 갖는 N개의 열들(R1 내지 R6)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군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
    -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작업 평면 쪽으로 제2 전파 방향으로 전향시킬 수 있도록 제1 전파 방향으로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의 배후에 배치되고 구성되는 다수의 빔 전향 수단들(4), 및
    -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의 개개의 레이저 빔들을 결합시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2 전파 방향으로 빔 전향 수단들(4)의 배후에 배치되는 빔 결합 수단들을 포함하되,
    인접 열들(R1 내지 R6)은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의 레이저 빔들(A 내지 L)이 중첩 없이 빔 결합 수단들에 입사할 수 있도록 한편으로 제1 및 제2 전파 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x 방향)으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1 전파 방향(z 방향)으로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접 열들(R1 내지 R6)은 제1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거리 dx만큼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인접 열들(R1 내지 R6)은 제1 방향으로 각각 dx = P/N의 거리만큼 서로 엇갈려 배치되되, 여기서 P는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의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 빔들(A 내지 L)은 작업 평면으로부터 Y = Y1의 간격을 갖는 제1 평면에서 빔 결합 수단에 입사할 수 있고, 작업 평면으로부터 Y = Y2의 간격을 갖는 제2 평면에서 빔 결합 수단으로부터 다시 출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y 방향으로의 2개의 평면들 사이의 간격 ΔY12 = Y1 - Y2는 약 2ㅆ 내지 3T이되, 여기서 T는 제1 전파 방향(z 방향)으로의 레이저 빔들(A 내지 L)의 허리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평면들의 간격 ΔY12는 레이저 빔들(A 내지 L)이 제2 평면에서 손실 없이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 결합 수단은 다수의 유리판들(5, 6)을 포함하되, 유리판들(5, 6)은 레이저 빔들(A 내지 L)을 선형 강도 분포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레이저 빔들(A 내지 L)이 유리판들(5, 6)의 광학 경계면들에서 굴절될 수 있게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유리판들(5, 6)은 짝지어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 전향 수단(4)은 거울 수단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명 장치(1)는 제1 군의 레이저 광원들(2, 2a 내지 2j)과 면대칭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군의 레이저 광원들(2, 2k 내지 2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137008644A 2010-09-09 2011-09-08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레이저 장치 KR101769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4875.3 2010-09-09
DE102010044875A DE102010044875A1 (de) 2010-09-09 2010-09-09 Beleuchtungs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linienförmigen Intensitätsverteilung in einer Arbeitsebene
PCT/EP2011/065553 WO2012032116A1 (de) 2010-09-09 2011-09-08 Laser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linienförmigen intensitätsverteilung in einer arbeitsebe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70A true KR20140004070A (ko) 2014-01-10
KR101769653B1 KR101769653B1 (ko) 2017-08-18

Family

ID=4472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644A KR101769653B1 (ko) 2010-09-09 2011-09-08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레이저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67826B2 (ko)
EP (1) EP2614399A1 (ko)
JP (1) JP5918768B2 (ko)
KR (1) KR101769653B1 (ko)
CN (1) CN103180774B (ko)
DE (1) DE102010044875A1 (ko)
WO (1) WO2012032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5651A1 (en) 2012-12-20 2015-10-2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ipe connector and method
FR3012226B1 (fr) * 2013-10-18 2015-10-30 Saint Gobain Appareil laser modulaire
US20170145554A1 (en) 2014-06-26 2017-05-25 Shell Oil Company Coating method and coated substrate
US11224937B2 (en) * 2015-12-25 2022-01-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ine beam light source, line beam irradiation device, and laser lift off method
DE102019102511B4 (de) * 2019-01-31 2020-08-20 Trumpf Laser- Und Systemtechnik Gmbh Lasersystem
US11237483B2 (en) * 2020-06-15 2022-02-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oplet in extreme ultraviolet light sour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0179A (ja) * 1988-08-26 1990-02-28 Fuji Photo Film Co Ltd 合波用レーザ光源装置
WO1997031284A1 (de) * 1996-02-23 1997-08-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nordnung zur formung des geometrischen querschnitts mehrerer festkörper- und/oder halbleiterlaser
CN1101544C (zh) * 1998-01-07 2003-02-12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紫外拉曼光谱仪
US20020051360A1 (en) 1998-11-04 2002-05-02 Solodovnikov Vladimir Vadimovich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ying light beams
IL140386A0 (en) 2000-12-18 2002-02-10 Rayteq Laser Ind Ltd Optical device for unifying light beams emitted by several light sources
US6356577B1 (en) * 1999-07-15 2002-03-12 Silicon Light Machines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light output from multiple laser diode bars
JP2001215443A (ja) * 2000-02-04 2001-08-10 Hamamatsu Photonics Kk 光学装置
DE10061265A1 (de) 2000-12-06 2002-06-27 Jenoptik Jena Gmbh Diodenlaseranordnung
US7148933B2 (en) * 2002-05-03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jector having alignment optics and electronics
CN100406872C (zh) * 2002-11-04 2008-07-30 天津市先石光学技术有限公司 复合光谱测量方法及其光谱检测仪器
DE10306668B4 (de) * 2003-02-13 2009-12-10 Xtreme Technologies Gmbh Anordnung zur Erzeugung von intensiver kurzwelliger Strahlung auf Basis eines Plasmas
JP2004354898A (ja) * 2003-05-30 2004-12-16 Toshiba Corp 光モジュール、光ファイバレーザ装置、映像表示装置
WO2005073798A1 (ja) * 2004-01-29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光源装置、及び2次元画像表示装置
JP4121477B2 (ja) * 2004-03-31 2008-07-23 三洋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ATE405976T1 (de) 2004-07-19 2008-09-15 Trumpf Laser Gmbh & Co Kg Diodenlaseranordnung und strahlformungseinheit dafür
JP4739819B2 (ja) * 2005-05-31 2011-08-03 リコー光学株式会社 光束配列密度変換方法および光束配列密度変換部材および光源装置
KR101174322B1 (ko) 2005-08-19 2012-08-16 리모 파텐트페어발퉁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레이저 어레이
US7494272B2 (en) 2006-06-27 2009-02-24 Applied Materials, Inc. Dynamic surface annealing using addressable laser array with pyrometry feedback
EP2003484B1 (en) * 2007-06-12 2018-04-11 Lumentum Operations LLC A Light Source
EP2061122B1 (en) * 2007-11-16 2014-07-02 Fraunhofer USA, Inc. A high power laser diode array comprising at least one high power diode laser, laser light sour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DE102008027231B4 (de) * 2008-06-06 2016-03-03 Limo Patentverwaltung Gmbh & Co. Kg Vorrichtung zur Strahlform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41419A (ja) 2013-11-14
JP5918768B2 (ja) 2016-05-18
CN103180774A (zh) 2013-06-26
US20130182435A1 (en) 2013-07-18
WO2012032116A1 (de) 2012-03-15
DE102010044875A1 (de) 2012-03-15
KR101769653B1 (ko) 2017-08-18
CN103180774B (zh) 2016-09-21
US8967826B2 (en) 2015-03-03
EP2614399A1 (de)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4965B2 (ja) レーザユニット及びレーザ装置
KR20140004070A (ko) 작업 평면에서 선형 강도 분포를 생성하는 레이저 장치
US5877898A (en) Arrangement for combining and shaping the radiation of a plurality of laser diode lines
KR102181434B1 (ko) 레이저 장치
US20060291509A1 (en) Apparatus for illuminating a surface
JP2000137139A (ja) 光学的光束変換装置
US6870682B1 (en) Apparatus for reshaping an optical beam bundle
CN105652452A (zh) 一种空间合束装置和系统
US20130271830A1 (en) Device For Converting Laser Radiation Into Laser Radiation Having an M Profile
KR20070118023A (ko) 레이저 방사선의 균일한 각 분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CN102334060B (zh) 用于使激光辐射均匀化的设备
KR101671332B1 (ko) 레이저 방사선 셰이핑 장치
KR20070057074A (ko) 광 균일화 장치 및 상기 광 균일화 장치를 구비한 조명장치 또는 포커싱 장치
US9444226B2 (en) Diode laser
US9823479B2 (en) Device for shaping laser radiation
JP2011076092A (ja) レーザビーム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
US7035014B2 (en) Device for collimating light emanating from a laser light source and beam transformer for said arrangement
CN113156743A (zh) 红外3d探测发射端模组及深度相机
US20160033774A1 (en) Device for homogenizing a laser beam
US20170292679A1 (en) Light-emitting device
TWI722760B (zh) 雷射系統
CN214623266U (zh) 红外3d探测发射端模组及深度相机
US20230112027A1 (en) La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