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907A -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견인식 예초기 - Google Patents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견인식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907A
KR20140003907A KR1020120071544A KR20120071544A KR20140003907A KR 20140003907 A KR20140003907 A KR 20140003907A KR 1020120071544 A KR1020120071544 A KR 1020120071544A KR 20120071544 A KR20120071544 A KR 20120071544A KR 20140003907 A KR20140003907 A KR 2014000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eck
sliding frame
blade
m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표
Original Assignee
송인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표 filed Critical 송인표
Priority to KR102012007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907A/ko
Publication of KR2014000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측면에 바퀴를 설치하고 상부에 중량체의 부속품이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크와, 상기 데크와 고리연결되고 내측에는 예초날이 설치되어 풀절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헤드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전면에는 작업자가 끌 수 있도록 손잡이를 더 형성하여 단순 예초기를 끌고 미는 동작으로 예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데크에 고리연결된 헤드는 데크와의 설정각도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봉분과 같이 평면에서 곡면으로 변화되는 지점에서 예초기를 끌어 올리는 것만으로도 예초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용이한 견인식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견인식 예초기{TRACTION TYPE LAWN MOWER HAVING ADJUSTABLE CUTTING ANGLE OF HAED WITH BLADE}
본 발명은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측면에 바퀴를 설치하고 상부에 중량체의 부속품이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크와, 상기 데크와 고리연결되고 내측에는 예초날이 설치되어 풀절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헤드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전면에는 작업자가 끌 수 있도록 손잡이를 더 형성하여 단순 예초기를 끌고 미는 동작으로 예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데크에 고리연결된 헤드는 데크와의 설정각도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봉분과 같이 평면에서 곡면으로 변화되는 지점에서 예초기를 끌어 올리는 것만으로도 예초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용이한 견인식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땅에 자생하는 잡초를 제거하는데 낫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어나 근래에는 작업성이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뛰어난 예초기가 제공되면서 잔디를 깎거나 벌초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예초기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예초날에 의해 풀을 깎을 수 있도록 된 기계로서, 연료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엔진부와, 회전하는 예초날에 의해 풀을 절단하는 커터부와,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커터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구조에 따라 바퀴가 설치된 데크인 대차에 엔진과 커터부가 모두 설치된 대차형 예초기나, 사용자가 등에 엔진과 연료통을 메고 바형태의 동력전달부를 잡아서 사용하는 휴대용 예초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예초기는 작업자가 예초기의 엔진을 등에 지고 예초날이 결합된 헤드를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한 다음 예초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때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열이 직접 작업자에게 전달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예초작업도 작업자가 헤드를 들어올리는 정도에 따라 작업된 풀높이가 달리 형성되므로 일정한 높이로 작업하기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 대차형 예초기는 엔진이 데크에 설치되기 때문에 엔진진동이 작업자에게 전달되지 않고, 바퀴에 의해 예초날과 지면의 높이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휴대용 예초기의 단점을 상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안정적인 예초를 위해 전후 4개의 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예초기의 경우 바퀴사이에 예초날이 설치되므로 예초기의 데크가 제공하는 각도 이외의 각도에서는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봉분의 벌초작업시 평면에서 곡면으로 변경되는 부분에서는 절단각도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작업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반면 전면에 예초날이 설치되고 후면에 한쌍의 바퀴가 형성된 형태의 예초기는 봉분의 벌초작업시 평면에서 곡면으로 변경되는 부분의 벌초도 가능하지만 예초날에 별도의 지지대가 없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예초작업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여전히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예초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평면과 곡면으로의 전환부분에서도 예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예초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견인식 예초기는,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를 데크로부터 분리하되 고리방식으로 연결해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여 다양한 절단각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와 지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헤드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예초날도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일정한 절삭높이를 제공할 수 있는 헤드구조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의 전면 하부에 중앙이 전면으로 돌출된 곡관인 가이드봉을 형성하여 예초 진행방향에 안치된 이물질을 양측면으로 밀어내 작업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견인식 예초기는,
연료탱크가 안치되는 판체로 측면에는 전후방 양측으로 바퀴가 설치된 데크와, 상기 데크의 전면에 결합되고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예초날이 설치되고 전방으로는 작업자가 끌거나 미는 손잡이가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는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데크의 전면과 헤드의 후면에는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두 연결고리의 결합에 의해 헤드가 데크로부터 상하좌우로의 절곡이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드는, 헤드 진행방향으로 수직설치되고 내측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평홈부가 형성되고 수평홈부의 중앙부분에는 상부로 개구부가 형성된 판체로, 바닥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판체저면에는 날부를 형성하고 판체 전후방 하부면은 유선형의 곡면으로 형성하고, 수평으로 다수 배열된 프레임중 중앙프레임의 후방에는 데크와 연결되는 고리가 형성된 슬라이딩프레임과; 상기 수평배열된 슬라이딩프레임의 상부면에 수평결합되어 다수의 슬라이딩프레임을 하나로 연결되도록 결합하는 수평고정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프레임과 수평고정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축지지판과; 상기 회전축지지판에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프레임의 수평홈부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예초날과;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견인식 예초기는,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와 연료탱크가 안치된 데크를 고리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데크에 대해 헤드가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굴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절단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헤드와 지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예초날을 헤드 슬라이딩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일정한 절단높이를 제공함과 동시에 예초날이 돌출된 지면에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헤드 전면에 설치된 가이드봉에 의해 예초작업시 작은 돌과 같은 덩어리 이물질이 헤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작업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봉분에 대한 예초작업시 평지와 봉분의 연결부분에서도 평지와 유사한 높이로 예초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숙련도없이 예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승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데크와 헤드의 굴절상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엔진을 데크 또는 헤드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 회전축지지대가 설치된 헤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를 개략도시한 평면도.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띠가 설치된 예초기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 및 개략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예초기를 이용하여 봉분의 예초과정의 일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1을 예초기를 개략도시한 사시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견인식 예초기(1)는 연료탱크(30)가 안치되는 판체로 측면에는 전후방 양측으로 바퀴(11)가 설치된 데크(10)와, 상기 데크의 전면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예초날(21)이 설치되고 전면으로는 작업자가 끌거나 미는 손잡이(50)가 결합되는 헤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크(10)와 헤드(20)는 연결고리(12,22)의 결합으로 연결되어 헤드가 데크로부터 상하좌우로의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먼저 상기 데크(10)는 도시된 판체 또는 프레임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부에는 중량체인 연료탱크(30) 및/또는 엔진(40)이 안치된다. 상기 데크는 양측면에 전후방으로 4개의 바퀴(11)가 설치되어 데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퀴(11)는 승강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데크(10)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고리로 연결된 헤드(20)만 손잡이로 상하 이동시키거나, 헤드 전면에도 승강가능한 보조바퀴를 설치하여 데크와 연계해 높이를 조절하여 풀의 절삭높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바퀴(11)의 승강구조는 도2를 참조한 바와같이 데크(1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수직관(111)과, 상기 상기 고정수직관의 하부를 통해 내측으로 슬라이딩 승강 가능하게 내입되고 일측에는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이동수직관(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직관(111)과 이동수직관(112)은 원통 또는 사각통체로 형성되며, 측면에는 다수의 통공(114,115)이 관통되어 있어 두 수직관의 통공을 동일축상에 배치시킨 다음 고정핀(113)을 통공에 삽설하여 두 부재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공(114,115)은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핀(113)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직관 없이 이동수직관(112)을 고정핀(113)으로 데크(10)에 직접 결합하는 방법을 적용하거나, 유공압실린더를 장착하여 유공압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데크(10)의 전면과 헤드(20)의 후면에는 연결 고리(12,22)가 형성되고 두 고리의 결합에 의해 데크와 헤드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데크(10)와 헤드(20)의 연결고리(12,22) 중 어느 하나는 수직으로 형성하고 다른 연결고리는 수평으로 형성하여 두 연결고리 연결시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크(10)를 중심으로 헤드(20)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걸림없이 굴절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고리(12,22)는 데크 또는 헤드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보다는 착탈가능한 형태로 장착되어 필요시에만 데크와 헤드를 연결하고 보관시 운반시 등에는 분리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가능한 결합방식으로는 연결고리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를 데크 또는 헤드에 볼트체결하거나, 플랜지 없이 연결고리를 직접 데크 또는 헤드에 볼트체결 하는등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데크(10)의 전면에 연결되는 헤드(20)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한 바와같이 진행방향으로 수직설치되어 진행시 내부로 풀이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슬라이딩프레임(23)과,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고정프레임(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중량을 최소화하도록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여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3)의 구조를 살펴보면 판체형상으로 저면에는 예초 작업지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날부(231)가 형성되고, 전후방 특히 전방의 하부면는 유선형 곡면으로 형성하여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날부(231)는 슬라이딩프레임(23)의 저면을 날카롭게 하거나, 금속와이어를 부착하여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프레임(23)은 내측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평홈부(232)를 형성하여 예초날(21)이 회전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상기 수평홈부(232)의 중앙부분에는 상측으로 개구부(233)를 형성하여 예초날(21)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25)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수평홈부(232)가 형성되는 영역내에서만 예초날(21)을 회전시키면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예초날이 직접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풀 절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프레임(23)은 최소한 3개 이상으로 배열하여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중 가운데 배열된 슬라이딩프레임(23)의 후면에는 데크(10)와 연결되는 연결고리(22)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22)는 슬라이딩프레임의 후면에 직접 일체로 형성되거나, 슬라이딩프레임의 후면에 보조판체를 부착시키고, 상기 보조판체에 연결고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평고정프레임(24)은 상기 수직으로 세워서 수평배열된 다수의 슬라이딩프레임(23)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일체화시키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수평고정프레임(24)은 하나 또는 둘이상 슬라이딩프레임에 결합하여 견고한 구조강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고정프레임(24)은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딩프레임 상부면 중 헤드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거나 수평홈부(232)의 저면 또는 상부면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고정프레임(24)과 슬라이딩프레임(23)의 결합은 용접 또는 융착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보조부재를 이용하여 볼트체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이딩프레임과 접하는 수평고정프레임의 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슬라이딩프레임을 삽입후 용접 또는 융착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20)에는 예초날(21)과, 상기 예초날을 회전시키는 회전축(25)과,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축지지판(26)이 더 설치된다.
상기 예초날(21)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고속회전에 의해 풀절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내측에 회전축(25)이 위치하여 회전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예초날(21)은 슬라이딩프레임의 수평홈부(232)가 형성하는 공간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5)은 측면으로 예초날(21)이 고정설치되고, 상측단부는 외부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5)의 일단은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슬라이딩프레임의 개구부(233)를 통해 고정홈부(232)로 내입되고, 고정홈부로 내입된 측면에 예초날이 고정설치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는 도 6a와 같이 엔진(40)을 축설하여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직접 회전축(25)을 통해 예초날(21)에 전달되도록 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엔진(40)을 데크(10)에 설치하고, 플렉시블축(60)을 엔진(40)과 회전축(25) 사이에 설치하여 엔진회전력을 회전축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 직접 축설되는 엔진(40) 또는 플렉시블축이 결합되는 회전축(25)은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헤드(20)에 고정 또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25)은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축지지판(26)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시 진동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지지판(26)은 다수로 배열된 슬라이딩프레임(23) 및/또는 수평고정프레임(24)에 고정설치되는 판체로 중앙부분이 회전축(25)과 베어링결합되어 회전시 회전축을 지지하여 진동 발생을 억제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축지지판(26)은 슬라이딩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설치하여 회전축(25)을 베어링 결합으로 삽통시키거나, 상부에 엔진(40)을 안치하여 고정시키고 회전축은 엔진에 결합지지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지지판(26)은 슬라이딩프레임의 개구부(233)를 제외한 전후방 상부면 어느 일측 또는 양측모두에 수평고정프레임(24)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지지판(26)은 두 수평고정프레임(24)을 연결하도록 결합 또는 어느 일측 수평고정프레임에 결합하여 슬라이딩프레임의 개구부(233) 방향에 회전축(25)이 설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축지지판(26)은 상하 한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한 바와같이 슬라이딩프레임(23) 상부에 회전축지지판(26)을 설치하여 회전축(25)을 지지하도록 하고, 다른 회전축지지판(26a)은 슬라이딩프레임의 수평홈부(232) 바닥면에 고정설치해 회전축 하단과 베어링 결합되도록 하여 상하 이중으로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부 회전축지지판은 회전축지지판의 두께만큼 슬라이딩프레임의 수평홈부 바닥면에 설치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끼워지도록 설치해 수평홈부 바닥면을 돌출시키지 않고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 상하부를 통해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회전축의 회전을 제공할 수 있어 회전축에 설치된 예초날도 안정적인 궤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같이 엔진(40)이 회전축(25)에 직접 축설된 형태에서 엔진(40)과 예초날(21) 사이에 차단판(70)을 더 설치하여 예초날(21)에 의해 절삭된 이물질이 엔진(4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축지지판 상부에 차단판(70)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판 상부에 엔진(40)을 설치하여 엔진에 설치된 회전축(25)만 하부로 삽통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70)은 엔진(4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하되 중심부분에 통공을 형성하여 엔진과 연결된 회전축(25)이 삽통되도록 한다. 차단판의 대표적인 형태로는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원뿔대 형태 또는 사각뿔대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헤드의 슬라이딩프레임(23)은 도 7과 도 8을 참조한 바와같이 중앙에 배치된 슬라이딩프레임의 길이를 가장 길게 형성하여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양측면으로는 점차 작은 길이를 갖도록 하여 점진적으로 후퇴되도록 배치해 전체 슬라이딩프레임 전면 형상을 타원 또는 원형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3)은 전면의 하측부분에 가이드봉(80)을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예초 작업시 작은돌을 포함하는 장애물을 양측으로 밀어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80)은 타원 또는 원형의 곡면을 갖는 것으로, 슬라이딩프레임(23)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봉결합구(234)에 삽입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이드봉결합구 없이 각 슬라이딩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거나 기타 브라켓을 이용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80)은 다수로 분리구성하여 각 슬라이딩프레임 사이를 개별적으로 결합하여 장애물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봉 또는 중앙 슬라이딩프레임의 전면에는 보조바퀴를 더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는 헤드 전방에서 지면에 접하기 때문에 지면이 상향경사로 형성되면 헤드를 들어올려 항상 지면에 대해 일정한 높이로 예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바퀴는 데크에 설치된 바퀴와 같이 승강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승강에 의해 헤드전면을 승강시켜 풀의 절삭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는 데크와 연결되는 후면도 중앙이 돌출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헤드 후면 중 연결고리(22)가 형성된 중앙 부분을 돌출되도록 하여 데크로부터 헤드가 좌우 굴절될 때 헤드 양측면이 데크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최대의 굴절각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에는 가이드봉 대신 가이드띠(28)를 설치할 수 있다.
도 9a와 도 9b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띠(28)는 슬라이딩프레임(23)의 측면에 접하여 볼트체결 또는 용접되는 결합면(281)과,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일정각(직각 또는 예각)으로 접혀져 상기 슬라이딩프레임 사이의 유입부분을 차단하는 가이드면(28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가이드띠(28)는 다수 슬라이딩프레임(23) 사이의 각 유입부분에 수평으로 배치하여 헤드(20) 전면의 유입부분으로 예초대상 이외의 작은 이물질덩어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띠(28)는 양 단부 중 일측면 슬라이딩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가이드띠의 탄성지지력 이상의 하중이 전달되면 고정되지 않은 가이드띠 단부가 후퇴되어 헤드유입부분이 개방된다.
예컨대 긴줄기를 갖는 식물(대표적으로는 갈대)는 이물질덩어리와는 달리 땅에 뿌리를 내린 상태이므로 헤드 전진시 가이드띠에 의해 양측면으로 밀려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띠(28)는 전진 할수록 갈대에 의해 전면에 큰 하중이 전달되며, 가해지는 하중이 가이드띠의 탄성지지력 이상이 되면 상기 가이드띠는 고정되지 않는 단부가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헤드 유입부분을 개방시켜 갈대가 유입되고 예초날에 의해 절삭이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띠는 가해지는 하중이 탄성지지력 이하가 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이물질덩어리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헤드(20)는 이물질덩어리가 양측면으로 잘 밀려나게 하기 위해 중앙이 전면으로 돌출된 중앙돌출형태로 형성하므로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프레임(23)은 중앙의 슬라이딩프레임이 제일 앞으로 돌출되고 양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후퇴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띠(28)는 헤드의 유입부분을 형성하는 두 슬라이딩프레임 중 전방에 배치된 슬라이딩프레임의 측면에 가이드띠 결합면(281)을 결합시키고, 후방에 배치되는 슬라이딩프레임과는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등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된 슬라이딩프레임(23)과 가이드띠의 가이드면(282)을 예각으로 형성하여 진행방향에 배치된 이물질덩어리는 헤드 양측면으로 밀어내면서 탄성지지력 이상의 하중이 전달되면 고정되지 않은 단부가 후방으로 밀릴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의 전면에 설치되는 손잡이(50)는 헤드를 끌어당기거나 미는 용도이외에 엔진속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에 조절레버(51)를 설치하여 상기 조절레버의 조작에 의해 엔진의 트로틀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엔진으로의 연료공급량을 조절하여 엔진 회전수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조절레버(51)는 방아쇠 형태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는 회동바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조절레버(51)와 트로틀밸브를 당김줄(52)로 연결하여 조절레버 조작에 의해 당김줄을 감거나 풀어 트로틀밸브를 개폐시켜 엔진회전수가 조절되어 예초기의 회전정도도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헤드의 저면에는 베이스부재(9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도 11a와 도 11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베이스부재(90)는 인접한 두 슬라이딩프레임(23)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환봉(91)과, 상기 다수의 베이스환봉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수평대(92)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환봉(91)은 도시된 바와같이 두 슬라이딩프레임 사이에 하나씩 배치되거나, 복수 이상으로 배치되어 두 슬라이딩프레임 사이인 헤드 유입부분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베이스환봉(91)은 전단이 상측으로 휘어지는 활곡부(911)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활곡부의 단부가 각 슬라이딩프레임 사이에 세워서 이물질덩어리가 슬라이딩프레임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베이스환봉(91)의 전단부에 상측으로 휘어진 활곡부(911)가 형성됨으로 지면 또는 지중에 위치하는 식물뿌리에 베이스환봉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헤드 진행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3)의 저면에는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의 연결수평대가 내입되어 슬라이딩프레임의 저면과 베이스환봉의 저면이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어느 한 쪽이 돌출되도록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90)의 결합방법으로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연결수평대와 슬라이딩프레임을 고정시키거나, 후크방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연료탱크(3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은 엔진(40)을 작동시키면 엔진의 회전력은 회전축(25)으로 전달되어 회전축에 설치된 예초날(21)을 회전시킨다.
상기 예초날(21)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헤드 전면에 장착된 손잡이(50)를 잡아 당기면 예초기는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헤드(20) 전면으로 풀을 유입하고, 유입된 풀은 예초날에 의해 절삭된다.
또한, 헤드(20)의 진행 경로상에 위치하는 이물질은 헤드 전면에 결합된 가이드봉(80)에 의해 양측면으로 밀려나 헤드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예초날 파손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봉분에 대한 예초작업시에는 도 12를 참조한 바와같이 평면구간까지 풀절삭이 이루어지고, 곡면구간에서는 가이드봉(80) 또는 보조바퀴에 의해 헤드(20) 전면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절삭이 이루어진다.
즉, 헤드(20)가 봉분의 곡면을 따라 들어올려지는 과정에서는 예초날(21)의 전방구간에 의해 풀 절삭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봉분의 곡면과 접하는 헤드(20)전면과 예초날(21) 사이의 간격은 예초날(21)과 슬라이딩프레임(23) 저면의 간격이 유사하므로 평면과 곡면이 맞닿은 부분에서도 균일한 높이로 예초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곡면구간에서도 슬라이딩프레임(23)은 항상 예초날(21)과 슬라이딩프레임의 저면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므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평면구간과 같은 균일한 높이의 절삭면(27)을 제공할 수 있다.
1 : 예초기
10 : 데크
11 : 바퀴 12,22 : 연결고리
111 : 고정수직관 112 : 이동수직관
113 : 고정핀 114,115 : 통공
20 : 헤드
21 : 예초날 23 : 슬라이딩프레임
24 : 수평고정프레임 25 : 회전축
26,26a : 회전축지지판 27 : 절삭면
28 : 가이드띠
231 : 날부 232 : 수평홈부
233 : 개구부 234 : 가이드봉결합구
281 : 결합면 282 : 가이드면
30 : 연료탱크
40 : 엔진
50 : 손잡이
51 : 조절레버 52 : 당김줄
60 : 플렉시블축
70 : 차단판
80 : 가이드봉
90 : 베이스부재
91 : 베이스환봉 92 : 연결수평대
911 : 활곡부

Claims (8)

  1. 연료탱크(30)가 안치되는 판체로 측면에는 전후방 양측으로 바퀴(11)가 설치된 데크(10)와, 상기 데크의 전면에 결합되고 엔진(4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예초날(21)이 설치되고 전방으로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끌거나 밀도록하고 엔진속도를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설치되는 손잡이(50)가 형성된 헤드(20)를 포함하는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데크(10)의 전면과 헤드(20)의 후면에는 연결고리(12,22)를 형성하고, 상기 두 연결고리의 결합에 의해 헤드가 데크로부터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0)의 바퀴(11)는
    이동수직관(112)의 하부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이동수직관은 데크측면에 고정된 고정수직관(111)의 하부로 내설하여 상하 이동으로 데크상면과 바퀴의 축간격이 조절되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이동수직관(112)과 고정수직관(111)의 측면에는 통공(114,115)을 수직으로 다수 형성하여 상기 통공으로 고정핀(113)을 삽설해 이동수직관과 고정수직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0)는
    헤드 진행방향으로 수직설치되고 내측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평홈부(232)가 형성되고 수평홈부의 중앙부분에는 상부로 개구부(233)가 형성된 판체로, 바닥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판체저면에는 날부(231)를 형성하고 판체 전후방 하부면은 유선형의 곡면으로 형성하고, 수평으로 다수 배열된 프레임중 중앙프레임의 후방에는 데크와 연결되는 고리(22)가 형성된 슬라이딩프레임(23)과;
    상기 수평배열된 슬라이딩프레임(23)의 상부면에 수평결합되어 다수의 슬라이딩프레임을 하나로 연결되도록 결합하는 수평고정프레임(24)과;
    상기 슬라이딩프레임과 수평고정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축지지판(26)과;
    상기 회전축지지판에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회전축(25)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프레임의 수평홈부(232)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예초날(21)과;
    상기 회전축(25)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회전축(25)에 직접 축설되는 엔진(40)이며,
    상기 엔진(40)과 예초날(21) 사이에는 중앙에 회전축이 삽통되는 차단판(70)을 더 설치하여 이물질이 엔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데크(10)에 설치된 엔진(40)으로부터 회전력을 회전축(25)으로 전달하는 플렉시블축(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프레임(23)에는 전방 하측으로 만곡으로 형성된 가이드봉(80)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예초작업시 작은돌을 포함하는 장애물을 양측으로 밀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슬라이딩프레임(23) 사이의 각 유입부분에는 유입부분을 차단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띠(28)를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띠는 양단부 중 일측단부만 슬라이딩프레임에 고정시켜 가이드띠의 탄성력 이상의 하중이 전달되면 가이드띠의 고정되지 않는 단부가 후퇴되면서 예초날이 개방되어 절삭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저면에는, 각 슬라이딩프레임 사이에서 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베이스환봉(91)과, 상기 다수의 베이스환봉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하는 연결수평대(92)로 구성된 베이스부재(90)를 장착하되,
    상기 베이스환봉(91)의 전단은, 상측으로 휘어지는 활곡부(911)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활곡부의 단부가 각 슬라이딩프레임(23) 사이에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프레임 사이 유입부분의 간격을 좁혀 이물질덩어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헤드 진행시 풀뿌리에 걸리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KR1020120071544A 2012-07-02 2012-07-02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견인식 예초기 KR20140003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544A KR20140003907A (ko) 2012-07-02 2012-07-02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견인식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544A KR20140003907A (ko) 2012-07-02 2012-07-02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견인식 예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07A true KR20140003907A (ko) 2014-01-10

Family

ID=5014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544A KR20140003907A (ko) 2012-07-02 2012-07-02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견인식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9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3436A (zh) * 2019-09-23 2019-11-19 常州格力博有限公司 割草机
JP2020162548A (ja) * 2019-03-29 2020-10-08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自走式草刈り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2548A (ja) * 2019-03-29 2020-10-08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自走式草刈り機
CN110463436A (zh) * 2019-09-23 2019-11-19 常州格力博有限公司 割草机
CN110463436B (zh) * 2019-09-23 2024-05-17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割草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9946B2 (en) Trailing transport rotary mower
KR100633396B1 (ko) 굴삭기용 예초기
US20140026528A1 (en) Resilient mounting joint for a sickle bar
JPH0478246B2 (ko)
KR101587220B1 (ko) 2중 진동형 구근작물 수확기
CN106489366B (zh) 开沟机
US20150271994A1 (en) Operationally tiltable counter rotating twin blade mowing deck
US20150223397A1 (en) Automatic mowing blad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for winged mower
JP2018183079A (ja) 防除作業車
KR20140003907A (ko) 예초날이 설치된 헤드의 절단각도조절이 가능한 견인식 예초기
KR102556707B1 (ko)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KR101031516B1 (ko) 다목적 작물 수확기
CN109565971A (zh) 一种多功能耕地机
CN111201881A (zh) 一种随地摆动的小型除草作业装置
CN207460864U (zh) 割草机
KR20200110827A (ko) 경사지 채굴이 용이한 구근 수확장치
US20020174638A1 (en) Vehicle mounted self-leveling tool attachment
US2845725A (en) Traction vehicle
CA2910723C (en) Three headed cut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lawnmower tractor
CN211831933U (zh) 一种随地摆动的小型除草作业装置
JP2006262716A (ja) 草刈機
JP3826155B2 (ja) 自走式歩行型草刈機
JP5680333B2 (ja) 刈取り作業機
JP6918336B2 (ja) 草刈り機
DE102016112905B3 (de) Fahrzeug zum Stechen von Spargel im Fah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