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413U -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413U
KR20140003413U KR2020120011069U KR20120011069U KR20140003413U KR 20140003413 U KR20140003413 U KR 20140003413U KR 2020120011069 U KR2020120011069 U KR 2020120011069U KR 20120011069 U KR20120011069 U KR 20120011069U KR 20140003413 U KR20140003413 U KR 201400034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ad
edge
packaging material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820Y1 (ko
Inventor
조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Priority to KR2020120011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82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4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8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채용된 모서리 지지구가 단단한 사출물로 마련된 고정몸체를 통해 시트로폼 재질의 포장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고정몸체에 설치된 완충패드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 부위를 탄력적으로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를 개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를 이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모서리 지지구를 통해 포장재의 재질을 전체적으로 변경하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장치의 운송과정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포장재가 손상될 우려가 적어지게 되면서도 포장재를 보다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STYROFOAM PACKING MATERIAL FOR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포장 및 운반과정에서 포장재의 손상이 억제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스티로폼(STYROFOAM)은 발포폴리스티렌(Expandable PolyStyrene: EPS)에 펜탄이나 부탄과 같은 발포제를 첨가하여 가열 경화시킴과 동시에 기포를 발생시킨 발포수지이다.
스티로폼은 가벼울 뿐 아니라 내수성, 단열성, 방음성, 완충성이 좋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 포장재의 소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완제품 또는 반제품상태의 대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포장재로도 쓰이고 있다.
최근의 대형 디스플레이장치는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패널이나 피디피(PDP: 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디스플레이모듈을 채용하여 두께가 얇고 넓은 평판형태이기 때문에 이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도 제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춘 넓은 패널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스티로폼 재질의 포장재는 경도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운송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충격 등이 가해질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눌려지거나 긁히게 되면서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포장재의 손상과정에서는 포장재로부터 미세한 스티로폼 분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분진은 완제품 상태나 반제품 상태인 디스플레이장치의 틈새로 침투되어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등 디스플레이장치의 불량률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특히 사각판상 형태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모서리 쪽이 날카로울 뿐만 아리나 구조적으로 충격하중이 집중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스티로폼 포장재에 있어서는 손상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부위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 쪽을 지지하는 부위가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포장재의 재질을 고무 등과 같이 완충기능이 뛰어나면서도 파손으로 인해 분진이 발생할 우려가 적은 재질을 통해 마련해 볼 수도 있겠으나, 이와 같이 포장재의 재질을 전체적으로 발포체가 아닌 다른 재질로 마련할 경우에는 포장박스의 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포장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운송과정에서 손상될 우려가 적으면서도 보다 경제적으로 제작이 가능하게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을 커버하는 패널부와, 디스플레이장치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상기 패널부의 테두리에 일체로 마련된 테두리부를 구비하도록 스티로폼재질로 마련된 것으로, 상기 포장재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 쪽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모서리 지지구가 마련되고, 상기 모서리 지지구는 디스플레이장치 모서리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제1면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 타측면에 대항되는 제2면을 제공하도록 사출물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포장재에 고정된 고정몸체와, 디스플레이장치 모서리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몸체보다 연질의 재질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면에 마련된 한 쌍의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패드는 실리콘과, 우레탄과, 고무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에 지지되는 상기 완충패드의 배면에는 상기 완충패드의 완충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완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를 제외한 상기 고정몸체의 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된 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테두리부 내벽에는 상기 포장재 상부로부터 상기 고정몸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몸체고정홈이 마련되며, 상기 몸체고정홈의 내벽은 상기 고정부 표면과 일치되도록 요철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고정홈은 상기 모서리 지지구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하도록 상기 패널부 바닥 내측으로 연장된 하부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연장부 상부의 몸체고정홈은 상부와 상기 수용공간 쪽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면에는 상기 몸체고정홈에 끼워지는 상기 고정몸체의 끼움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완충패드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패드조립홈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몸체와 완충패드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상기 고정몸체의 끼움방향 쪽 상기 몸체고정홈의 끝단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완충패드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상기 완충패드의 끼움방향 쪽 상기 패드조립홈 끝단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패드는 전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장치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배면 쪽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조립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완충패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조립홈에 끼워지고, 상기 패드조립홈은 상기 지지부의 배면과 한 쌍의 상기 조립날개 둘레를 상기 완충패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감싸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완충패드의 끼움동작이 시작되는 상기 패드조립홈의 일단은 개방되고, 상기 완충패드의 끼움동작이 완료되는 상기 패드조립홈의 타단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고정몸체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모서리 지지구가 단단한 사출물로 마련된 고정몸체를 통해 시트로폼 재질의 포장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고정몸체에 설치된 완충패드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 부위를 탄력적으로 안전하게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를 이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모서리 지지구를 통해 포장재의 재질을 전체적으로 변경하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장치의 운송과정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포장재가 손상될 우려가 적어지게 되면서도 포장재를 보다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의 요부 사시도로, 모서리 지지구가 포장재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에 마련되는 모서리 지지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완충패드가 고정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의 모서리 지지구에 마련된 완충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에에 따른 디스플레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의 요부 평면도로, 모서리 지지구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 쪽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10)는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패널이나 피디피(PDP: 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모듈을 채용하는 대형 디스플리이장치(100)의 운송 및 적재를 위해 쓰인다. 이 포장재(10)는 완제품 또는 반제품 상태의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그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수 있고 운송 및 보관 시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다.
스티로폼 포장재(10)는 평판형태인 대형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누인 상태로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11)을 갖춘 사각패널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이 포장재(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커버하는 넓은 평판형태의 패널부(12)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패널부(12)의 둘레에 일체로 마련된 테두리부(13)를 구비한다. 테두리부(13)는 그 내측 수용공간(11)에 제품을 수용한 상태에서 포장재(10)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패널부(12)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포장재(10)를 적층할 때 위쪽 포장재(10)가 걸릴 수 있도록 테두리부(13)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단차진 단턱(14)이 마련되고, 포장재(10)의 하면에는 아래쪽 포장재(10)의 단턱(14)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5)이 마련된다.
포장재(10)를 제조할 때는 원료수지(폴리스티렌 입자)를 금형 내에서 발포 성형함으로써 패널부(12)와 테두리부(13)가 일체화된 형태로 만든다. 즉 발포제가 함입된 원료수지를 가열을 통해 예비적으로 발포시키고 소정시간 숙성시킨 상태에서 이를 금형의 성형공간으로 투입한 후 스팀으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성형한다.
한편, 포장재(10)의 모서리 쪽으로 테두리부(13) 내벽에는 수용공간(11)에 수용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방 모서리 쪽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모서리 지지구(20)가 설치된다.
이러한 모서리 지지구(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날카로운 모서리 쪽이 스티로폼 재질의 포장재(1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포장 및 운반과정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서리 쪽으로 인해 포장재(10)가 눌리거나 긁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지지구(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모서리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제1면(31)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서리 타측면에 대항되는 제2면(32)을 제공하도록 사출물재질로 마련되어 포장재(10)에 고정된 고정몸체(30)와, 디스플레이장치(100) 모서리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직접 지지하도록 고정몸체(30)보다 연질의 재질을 통해 제1 및 제2면(31,32)에 마련된 한 쌍의 완충패드(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고정몸체(30)는 단단한 재질적 특성을 이용하여 모서리 지지구(20)가 스티로폼 재질로 된 포장재(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몸체(30)의 제1면(31)과 제2면(32)은 연장선상에서 상호 직교하도록 고정몸체(30)에 형성되며, 제1면(31)과 제2면(32) 사이를 제외한 고정몸체(30) 둘레는 원주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된 고정부(33)를 구성한다.
고정몸체(3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포장재(10)의 테두리부(13) 내벽에는 몸체고정홈(50)이 마련된다. 몸체고정홈(50)은 고정몸체(3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고정몸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고정몸체(30)가 포장재(10) 상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고정홈(50)은 포장재(10)의 모서리 쪽 테두리부(13) 내벽에 마련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수용공간(11) 사이즈에 비해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포장재에 포장될 경우, 수용공간 크기보다 작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가 모서리 지지구(20)를 통해 지지될 경우를 감안하여 몸체고정홈(50)은 포장재(10)의 모서리 사이 쪽 테두리부(13) 내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고정홈(50)의 내벽은 고정몸체(30)의 고정부(33) 표면과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일치되도록 요철을 구비하여 요철지게 마련되며, 이에 따라 몸체고정홈(50)에 끼워진 고정몸체(30)는 회전하거나 수용공간(11) 쪽으로 이탈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몸체고정홈(50)은 완충패드(40)가 마련된 모서리 지지구(20)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하도록 패널부(12) 바닥 내측으로 연장된 하부연장부(51)를 구비하여 몸체고정홈(50)에 끼워진 모서리 지지구(20)의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키게 된다. 하부연장부(51) 상부의 몸체고정홈(50)은 고정몸체(30)의 제1 및 제2면(31,32)에 마련되는 완충패드(40)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 쪽으로 개방되며, 몸체고정홈(50)의 상부도 고정몸체(30)의 삽입을 위해 개방된다.
그리고 완충패드(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서리 부위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우레탄, 또는 고무 등의 재질을 통해 고정몸체(30)의 길이에 가까운 막대모양으로 마련되어 제1 및 제2면(31,32)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패드(40)는 전면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서리 양측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지지부(41)와, 지지부(41)의 배면 쪽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조립날개(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고정몸체(30)의 제1 및 제2면(31,32)에는 각각 완충패드(40)가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져 조립되도록 패드조립홈(34)이 마련된다. 패드조립홈(34)은 지지부(41)의 배면과 한 쌍의 조립날개(42) 둘레를 완충패드(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싸 지지하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지지부(41)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고정몸체(30)의 제1면과 제2면(31,32)에 각각 고종몸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완충패드(40)는 이와 같은 패드조립홈(34)에 고정몸체(30)가 몸체고정홈(50)에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며, 이를 위해 완충패드(40)의 끼움동작이 시작되는 패드조립홈(34)의 일단은 개방되고, 완충패드(40)의 끼움동작이 완료되는 패드조립홈(34)의 타단은 폐쇄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완충패드(40)가 고정몸체(30)의 패드조립홈(34)에 끼워진 상태의 모서리 지지구(20)를 포장재(10)의 상부로부터 몸체고정홈(50)에 끼우게 되면, 모서리 지지구(20)의 하단은 몸체고정홈(50)의 끼움방향 끝단이 되는 몸체고정홈(50)의 바닥에 지지되는데, 이 상태의 완충패드(40)는 하단이 고정몸체(30) 하단과 함께 몸체고정홈(50) 바닥에 지지되고 상단이 패드조립홈(34)에 걸려 지지된 상태가 되므로, 고정몸체(30)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에는 포장재(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서리 부위가 모서리 지지구(20)를 통해 지지된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30)의 패드조립홈(34)에 완충패드(40)가 끼워진 모서리 지지구(20)를 포장재(10)의 몸체고정홈(50)에 끼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포장재(10)의 수용공간(11)에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수용시키게 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서리 일측과 타측은 각각 모서리 지지구(20) 고정몸체(30)의 제1 및 제2면(31,32)에 설치된 한 쌍의 완충패드(40)의 전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완충패드(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모서리 지지구(20)의 고정몸체(30) 사이가 이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서리 부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디스프레이장치(100)의 운반과정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서리를 통해 포장재(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몸체(30)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충돌하면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손상되는 일도 방지하게 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완충패드(40)의 완충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고정몸체(30)의 패드조립홈(34)에 지지되는 완충패드(40)의 배면에는 복수의 완충홈(43)이 완충패드(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모서리 지지구(20)가 단단한 사출물로 마련된 고정몸체(30)를 통해 시티로폼 재질의 포장재(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고, 고정몸체(30)에 설치된 완충패드(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서리 부위를 탄력적으로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도록 채용된 모서리 지지구(20)를 통해 포장재(10) 재질을 전체적으로 변경하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운송과정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포장재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10)는 모서리 지지구(20)의 완충패드(40)를 고정몸체(30)로부터 언제든지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완충패드(40)의 손상시 완충패드(40)를 새로운 것으로 대체하기가 용이해 진다.
또 포장될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종류가 바뀌면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단단한 정도가 달라질 경우를 감안하여 완충패드(40)를 모양은 동일하면서 서로 다른 완충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여러 개 준비해 둘 경우, 본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10)는 모서리 지지구(10)의 고정몸체(30)는 기존 것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완충패드(40)만을 바뀐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단단한 정도에 알맞은 것으로 언제든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11: 수용공간
12: 패널부 13: 테두리부
20: 모서리 지지구 30: 고정몸체
31: 제1면 32: 제2면
33: 고정부 34: 패드조립홈
40: 완충패드 41: 지지부
42: 조립날개 50: 몸체고정홈

Claims (8)

  1.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을 커버하는 패널부와, 디스플레이장치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상기 패널부의 테두리에 일체로 마련된 테두리부를 구비하도록 스티로폼재질로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 쪽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모서리 지지구가 마련되고,
    상기 모서리 지지구는 디스플레이장치 모서리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제1면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 타측면에 대항되는 제2면을 제공하도록 사출물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포장재에 고정된 고정몸체와, 디스플레이장치 모서리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몸체보다 연질의 재질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면에 마련된 한 쌍의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는 실리콘과, 우레탄과, 고무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에 지지되는 상기 완충패드의 배면에는 상기 완충패드의 완충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완충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를 제외한 상기 고정몸체의 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된 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테두리부 내벽에는 상기 포장재 상부로부터 상기 고정몸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몸체고정홈이 마련되며,
    상기 몸체고정홈의 내벽은 상기 고정부 표면과 일치되도록 요철지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고정홈은 상기 모서리 지지구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하도록 상기 패널부 바닥 내측으로 연장된 하부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연장부 상부의 몸체고정홈은 상부와 상기 수용공간 쪽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면에는 상기 몸체고정홈에 끼워지는 상기 고정몸체의 끼움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완충패드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패드조립홈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몸체와 완충패드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상기 고정몸체의 끼움방향 쪽 상기 몸체고정홈의 끝단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완충패드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상기 완충패드의 끼움방향 쪽 상기 패드조립홈 끝단에 걸리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는 전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장치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배면 쪽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조립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완충패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조립홈에 끼워지고,
    상기 패드조립홈은 상기 지지부의 배면과 한 쌍의 상기 조립날개 둘레를 상기 완충패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감싸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완충패드의 끼움동작이 시작되는 상기 패드조립홈의 일단은 개방되고, 상기 완충패드의 끼움동작이 완료되는 상기 패드조립홈의 타단은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고정몸체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KR2020120011069U 2012-11-29 2012-11-29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KR200473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69U KR200473820Y1 (ko) 2012-11-29 2012-11-29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69U KR200473820Y1 (ko) 2012-11-29 2012-11-29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413U true KR20140003413U (ko) 2014-06-10
KR200473820Y1 KR200473820Y1 (ko) 2014-07-31

Family

ID=5198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069U KR200473820Y1 (ko) 2012-11-29 2012-11-29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82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664A (ko) * 2014-09-04 2017-05-16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포장 박스
KR20180058955A (ko) * 2016-11-25 201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포장재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장 방법
CN109677785A (zh) * 2019-02-19 2019-04-26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包装箱
CN110997522A (zh) * 2017-09-07 2020-04-10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容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124B1 (ko) 2017-06-07 2019-01-23 주식회사 다온피앤피 디스플레이장치용 포장박스
KR102101016B1 (ko) 2018-10-10 2020-04-16 한용구 Mdf를 이용한 포장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56089A (ko) 2021-10-19 2023-04-27 희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포장용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3690A (ja) * 1992-01-16 1993-08-03 Sanyo Electric Co Ltd 梱包装置
JP5227827B2 (ja) * 2009-02-16 2013-07-0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ガラス基板用容器
KR20110008397U (ko) * 2010-02-23 2011-08-31 삼일화학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용 포장도구
KR20120013646A (ko) * 2010-08-05 2012-02-15 이성 대형 엘씨디 패널 운반용 팰리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664A (ko) * 2014-09-04 2017-05-16 센젠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포장 박스
KR20180058955A (ko) * 2016-11-25 201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포장재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장 방법
US11129288B2 (en) 2016-11-25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cking materials for display apparatus and packing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CN110997522A (zh) * 2017-09-07 2020-04-10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容器
US11091308B2 (en) 2017-09-07 2021-08-17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Container
CN110997522B (zh) * 2017-09-07 2021-12-14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容器
CN109677785A (zh) * 2019-02-19 2019-04-26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包装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820Y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820Y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CN102700064B (zh) 一种塑胶产品成型模具及其使用方法、液晶玻璃包装盒
US9174788B2 (en) Buffering cushion with suspending layer hung between inward-bent air columns
WO2013152524A1 (zh) 一种液晶玻璃包装盒
KR20110101554A (ko)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포장재
US20130299375A1 (en) Forming Mold for Plastic Products, Using Method Thereof, and Packaging Box for Liquid Crystal Glass
TW201350400A (zh) 包裝盒
KR101462975B1 (ko) 유리 기판 곤포 상자
US7648750B2 (en) Flexible molded end cap cushion
KR20150000685U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포장트레이
JP5165623B2 (ja) 緩衝包装材
KR20110008397U (ko) 평판표시장치용 포장도구
KR20130127671A (ko) 접이식 포장용 완충재
KR101941124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포장박스
KR200459909Y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발포수지 포장재
JP3120707U (ja) クッションを具えたベアリング装置
CN104495028B (zh) 一种四件套整体包装
CN212675305U (zh) 用于眼镜的框架的间隔件装置
TWI480211B (zh) 包裝組合及其包裝方法
CN109080954B (zh) 包装箱
KR101442084B1 (ko) 보강트레이
KR20130127672A (ko) 접이식 포장용 완충재와 그 포장용 완충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210853417U (zh) 包装箱
US8733548B2 (en) Packaging structure of liquid crystal glass panel
JP2009234622A (ja) 板状体搬送用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