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568U -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 Google Patents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568U
KR20140002568U KR2020120009615U KR20120009615U KR20140002568U KR 20140002568 U KR20140002568 U KR 20140002568U KR 2020120009615 U KR2020120009615 U KR 2020120009615U KR 20120009615 U KR20120009615 U KR 20120009615U KR 20140002568 U KR20140002568 U KR 201400025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od
airbag
jum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이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민 filed Critical 이종민
Priority to KR2020120009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568U/ko
Publication of KR20140002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5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5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having inflatable structure, e.g. non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1/00Garmen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8Carrying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점퍼는 후드점퍼(hood jump); 상기 후드점퍼의 양쪽 겨드랑이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air) 유로가 형성되는 에어 공급기; 상기 후드점퍼와 체결되어 후드모자 종단에 설치되고,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배출기; 및 상기 에어 공급기와 연결되고, 상기 후드모자 내부에 하나 이상의 에어백 중 제1 종단에 설치되는 제N-1 에어백, 제2 종단에 설치되는 제N 에어백, 제3 종단에 설치되는 제N+1 에어백, 및 상기 에어 공급기의 종단에서 상기 에어 배출기의 원점으로 연결되어 에어 유로가 형성되는 에어백(air bag)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CHILDREN HEAD PROTECTION HOODED JUMPER}
본 고안은 머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머리에 씌워져 착용되는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모자가 머리 형태와 같은 형상으로 구현되고, 점퍼에 체결되어 머리에 착용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아동의 머리를 보호하면서도 통기성이 보장될 수 있다. 후드모자의 내부는 에어백과 완충재로 구현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머리 및 귀가 보호될 수 있고, 체결 및 분리를 통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후드모자의 사이즈 조절 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세탁 및 건조가 용이한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신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는 뇌와 함께 이 뇌를 둘러싸고 있는 머리이며, 이러한 머리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작업장에서는 안전 헬멧 착용이 산업안전기준에 의해 의무화되어 있다. 한편, 만0~3세 사이의 신생아, 유아, 어린이[이하, '아동'이라 통칭함]의 신체, 특히 머리는 성인에 비해 덜 발육된 상태로서 외부 충격에 의해 머리가 손상 받는 경우에는 심각한 신체적 장애를 초래한다.
그런데, 아동을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는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세심하게 주의를 하면서 보살피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아동의 활동 모습을 장시간 지속적으로 지켜볼 수 없어 잠시 동안 혼자 두게 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고, 호기심 많은 아동이 이곳, 저곳을 돌아다니는 것을 계속적으로 따라 다닐 수도 없는 노릇이다.
상기와 같은 아동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성인용 안전 헬멧에서 착안해, 아동의 머리 크기에 맞게 제품 사이즈를 작게 하고 그 소재를 천으로 아동용 머리 보호 모자가 외국으로부터 수입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아동이 머리에 착용한 경우에 통기성을 보장해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땀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아동용 머리 보호 모자가 외부 충격 보호 수단으로써 가능하지만, 장시간 사용시 답답함을 느껴 머리 보호 모자를 벗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이 착용 후 통기성의 문제로 짧은 시간 동안에만 머리에 착용될 수 있을 뿐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머리에 대해 외부 충격 보호 수단으로서 본연의 기능을 제공하면서, 통기성을 제대로 보장할 수 있는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에 대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고정된 모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분리된 상태에서 머리에 착용될 수 있고, 용이한 체결 및 분리를 통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에 대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제각각의 두상 크기에 대해 사이즈 조절 기능이 구비되며, 휴대성과 함께 사용 후에 세탁 및 건조가 용이한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에 대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머리와 같은 형상으로 점퍼에 체결되어 머리에 착용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면서도 통기성을 제대로 보장할 수 있고, 머리 뒤통수와 머리 측면을 이중 두께로 하여 더욱 충격 보호할 수 있고, 귀 부분도 충격 보호할 수 있고, 용이한 체결 및 분리를 통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사이즈 조절 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세탁 및 건조가 용이한 머리 보호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는, 후드점퍼(hood jump); 상기 후드점퍼의 양쪽 겨드랑이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air) 유로가 형성되는 에어 공급기; 상기 후드점퍼와 체결되어 후드모자 종단에 설치되고,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배출기; 및 상기 에어 공급기와 연결되고, 상기 후드모자 내부에 하나 이상의 에어백 중 제1 종단에 설치되는 제N-1 에어백, 제2 종단에 설치되는 제N 에어백, 제3 종단에 설치되는 제N+1 에어백, 및 상기 에어 공급기의 종단에서 상기 에어 배출기의 원점으로 연결되어 에어 유로가 형성되는 에어백(air bag)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는, 상기 에어 공급기는, 상기 후드점퍼의 양쪽 겨드랑이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에어 펌프(air pump); 상기 에어 에어 펌프의 상단 중앙에 수용되는 에어 주입구; 및 상기 에어 주입구의 외부 지름과 동일한 내부 지름을 갖는 삽입 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홀을 통해 상기 에어 주입구가 수용되는 에어 호스(air ho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는, 상기 에어 배출기는 상기 후드모자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백 중 상기 제3 종단에 제N+1 에어백에 설치되고, 중앙에 형성되는 홀의 내부 지름과 동일한 외부 지름을 갖는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포함되는 에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는, 상기 에어 펌프가 압축 및 팽창하는 경우, 상기 에어백은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는, 상기 에어백은 상기 후드모자 내부에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백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백 중 제N-1 에어백은 상기 후드모자 내부의 제1 종단에 설치되며, 제N 에어백은 상기 후드모자 내부의 제2 종단에 설치되고, 제N+1 에어백은 상기 후드모자 내부의 제3 종단에 설치되며, 완충재로 둘려 쌓여지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는, 상기 에어백은 상기 후드모자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 호스의 종단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 배출기의 원점으로 연결되어 선정된(predetermined) 길이를 갖는 에어 유로가 형성되고, 완충재로 둘려 쌓여지는 에어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본 고안의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에 따르면, 외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면서도 땀 배출 및 통기성을 제대로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에 따르면, 분리된 상태에서 모자와 같은 형상으로 체결되어 아동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고, 용이한 체결 및 분리를 통해 접거나 구겨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에 따르면, 머리 뒤통수와 머리 측면이 에어백 및 완충재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에 더욱 보호될 수 있고, 사용 후에 세탁 및 건조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에어펌프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주박형 핸드펌프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모자의 우측면 및 배면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모자의 우측면을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머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머리에 씌워져 착용되는 상기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를 제시한다. 상기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는 사이즈의 변경을 통해서 아동용, 청소년, 성인 등과 같은 어떠한 사람에게도 착용될 수 있다.
상기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의 후드모자(100)는 외부덮개(100a), 통기구(110), 지퍼(120), 조임끈(130), 에어백(140), 에어호스a(170a), 에어호스b(170b), 에어호스c(170c), 에어펌프a(180a), 에어펌프b(180b), 공기 배출구(190)를 포함한다.
상기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의 양쪽 겨드랑이부의 왼쪽에는 에어펌프a(180a)가 설치되고, 오른쪽에는 에어펌프b(180b)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펌프a(180a) 및 에어펌프b(180b)의 양측면에는 벨크로(velcro)가 각각 접착되어 상기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에어펌프a(180a) 및 에어펌프b(180b)는 방사형 방향으로 압축 및 팽창 운동을 통해서 공기를 생성 및 공급할 수 있다. 에어펌프a(180a) 및 에어펌프b(180b)는 선정된 길이를 갖는 에어호스a(170a) 및 에어호스b(170b)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에어호스a(170a) 및 에어호스b(170b)는 플렉시블(flexible)한 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에어호스a(170a) 및 에어호스b(170b)는 에어백c(140c)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펌프a(180a) 및 에어펌프b(180b)에서 생성된 상기 공기는 후드모자(10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140)에 공급될 수 있다. 후드모자(100)의 외부에는 외부덮개(100a)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덮개(100a)는 방수 및 발수가 가능한 기능성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후드모자(100)의 내부에는 하나이상의 에어백(140)이 3열 종방향으로 정렬되어 삽입될 수 있다. 에어백(140)은 에어백a(140a), 에어백b(140b), 에어백c(140c)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백(140)의 표면에는 완충재(200)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재(20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 및 감쇠할 수 있다.
후드모자(100)의 우측면에는 에어백a(140a)가 설치될 수 있다. 후드모자(100)의 중앙부에는 에어백b(140b)가 설치될 수 있다. 후드모자(100)의 좌측면에는 에어백c(140c)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140)은 육면체의 형상으로 구현되고, 머리형상을 따라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에어백(140)은 에어호스c(170c)를 통해서 연결되고, 에어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c(140c)의 우측하단에는 공기 배출구(190)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90)는 타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90)의 중심에는 홀(hol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상기 홀의 내부지름과 동일한 외부지름을 갖는 스냅형 마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냅형 마개가 개방되면 에어백(14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에어백(14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통기구(110)는 활동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발생되는 열기(210)와 땀을 배출하여 장시간 동안 후드모자(100)를 착용하여도 쾌적함이 유지될 수 있다. 조임끈(130)은 후드모자(100)의 착용감을 높여주기 위해서 후드모자(100)의 전면부 둘레 종단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지퍼(120)는 후드모자(100)의 하단부 종단 둘레에 설치되어, 후드 점퍼와 체결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의 후드모자(300)는 외부덮개(300a), 통기구(310), 지퍼(320), 조임끈(330), 에어백(340), 에어호스a(370a), 에어호스b(370b), 에어호스c(370c), 에어펌프a(380a), 에어펌프b(380b), 공기 배출구(390)를 포함한다.
상기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의 양쪽 겨드랑이부의 왼쪽에는 에어펌프a(380a)가 설치되고, 오른쪽에는 에어펌프b(380b)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펌프a(380a) 및 에어펌프b(380b)의 양측면에는 벨크로가 각각 접착되어 상기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에어펌프a(380a) 및 에어펌프b(380b)는 방사형 방향으로 압축 및 팽창 운동을 통해서 공기를 생성 및 공급할 수 있다. 에어펌프a(380a) 및 에어펌프b(380b)는 선정된 길이를 갖는 에어호스a(370a) 및 에어호스b(370b)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에어호스a(370a) 및 에어호스b(370b)는 플렉시블한 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에어호스a(370a) 및 에어호스b(370b)는 에어백c(340c)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펌프a(380a) 및 에어펌프b(380b)에서 생성된 상기 공기는 후드모자(30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340)에 공급될 수 있다. 후드모자(300)의 외부에는 외부덮개(300a)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덮개(300a)는 방수 및 발수가 가능한 기능성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드모자(300)의 내부에는 하나이상의 에어백(340)이 3열 횡방향으로 정렬되어 삽입될 수 있다. 에어백(340)은 에어백a(340a), 에어백b(340b), 에어백c(340c)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백(340)의 표면에는 완충재(200)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재(20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 및 감쇠할 수 있다.
후드모자(300)의 상단에는 에어백a(340a)가 설치될 수 있다. 후드모자(300)의 중단에는 에어백b(340b)가 설치될 수 있다. 후드모자(300)의 하단에는 에어백c(340c)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340)은 육면체의 형상으로 구현되고, 머리형상을 따라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에어백(340)은 에어호스c(370c)를 통해서 연결되고, 에어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c(340c)의 우측하단에는 공기 배출구(390)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390)는 타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390)의 중심에는 홀(hol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상기 홀의 내부지름과 동일한 외부지름을 갖는 스냅형 마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냅형 마개가 개방되면 에어백(34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에어백(34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통기구(310)는 활동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발생되는 열기(210)와 땀을 배출하여 장시간 동안 후드모자(300)를 착용하여도 쾌적함이 유지될 수 있다. 조임끈(330)은 후드모자(300)의 착용감을 높여주기 위해서 후드모자(300)의 전면부 둘레 종단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지퍼(320)는 후드모자(300)의 하단부 종단 둘레에 설치되어, 후드 점퍼와 체결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의 후드모자(400)는 외부덮개(400a), 통기구(410), 지퍼(420), 조임끈(430), 에어백(440), 에어호스a(470a), 에어호스b(470b), 에어호스c(470c), 에어펌프a(480a), 에어펌프b(480b), 공기 배출구(490)를 포함한다.
상기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의 양쪽 겨드랑이부의 왼쪽에는 에어펌프a(480a)가 설치되고, 오른쪽에는 에어펌프b(480b)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펌프a(480a) 및 에어펌프b(480b)의 양측면에는 벨크로가 각각 접착되어 상기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에어펌프a(480a) 및 에어펌프b(480b)는 방사형 방향으로 압축 및 팽창 운동을 통해서 공기를 생성 및 공급할 수 있다. 에어펌프a(480a) 및 에어펌프b(480b)는 선정된 길이를 갖는 에어호스a(470a) 및 에어호스b(470b)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에어호스a(470a) 및 에어호스b(470b)는 플렉시블한 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에어호스a(470a) 및 에어호스b(470b)는 에어백c(440c)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펌프a(480a) 및 에어펌프b(480b)에서 생성된 상기 공기는 후드모자(40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440)에 공급될 수 있다. 후드모자(400)의 외부에는 외부덮개(400a)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덮개(400a)는 방수 및 발수가 가능한 기능성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후드모자(400)의 내부에는 모세관으로 구현된 에어백(440)이 머리둘레의 형상을 'S-라인'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440)은 에어호스a(470a) 및 에어호스b(470b)가 각각의 상기 공기 공급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에어백(440)의 표면에는 완충재(200)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재(20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 및 감쇠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440)의 종단에는 공기 배출구(490)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490)는 타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490)의 중심에는 홀(hol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상기 홀의 내부지름과 동일한 외부지름을 갖는 스냅형 마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냅형 마개가 개방되면 에어백(44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에어백(44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통기구(410)는 활동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발생되는 열기(410)와 땀을 배출하여 장시간 동안 후드모자(400)를 착용하여도 쾌적함이 유지될 수 있다. 조임끈(430)은 후드모자(400)의 착용감을 높여주기 위해서 후드모자(400)의 전면부 둘레 종단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지퍼(420)는 후드모자(400)의 하단부 종단 둘레에 설치되어, 후드 점퍼와 체결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에어펌프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펌프a(180a) 및 에어펌프b(180b)는 방사형의 형상으로 구현되고, 양측면은 주름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에어펌프a(180a) 및 에어펌프b(180b)의 상단 중앙에는 공기 주입구a(160a)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주입구a(160a)는 원뿔대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에어펌프a(180a) 및 에어펌프b(180b)는 의 정면 및 배면은 벨크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벨크로는 상기 후드점퍼의 양쪽 겨드랑이에서 결합 및 분리 시에 탈부착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에어펌프a(180a) 및 에어펌프b(180b)는 방사형 방향으로 압축 및 팽창 운동하여 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에어호스a(170a) 및 에어호스b(170b)에 형성된 에어유로를 통해서 에어백(1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5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주박형 핸드펌프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예에 따르면, 상기 표주박형 핸드펌프는 표주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핸드펌프(180c)의 상단에는 공기 주입구c(160c)가 설치 될 수 있다. 공기 주입구c(160c)는 원뿔대의 형상으로 구현되고, 에어호스a(170a) 및 에어호스b(170b)와 공기 주입시에 연결되어 에어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유로를 통해서 핸드펌프(180c)에서 생성된 공기가 에어백(14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140)에 공기를 공급한 후에 상기 후드점퍼에 휴대할 수 있다.
도 6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모자의 우측면 및 배면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후드모자(300)의 우측면 및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후드(100), 통기구(110), 지퍼(120), 조임끈(130), 에어백a(140c), 에어백(140b), 에어백c(140c), 에어호스a(170a), 에어호스b(170b), 에어펌프a(180a), 에어펌프b(180b), 공기 배출구(190)를 포함한다.
에어펌프a(180a) 및 에어펌프b(180b)는 방사형으로 양측면과 하부는 주름관 형상이고, 방사형 방향으로 압축 및 팽창 운동의 반복으로 펌핑하여 공기가 생성될 수 있다. 에어펌프a(180a) 및 에어펌프b(180b)의 양측면에는 벨크로가 각각 접착되어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공기 주입구a(160a) 및 공기 주입구b(160b)로 이송될 수 있다. 공기 주입구a(160a) 및 공기 주입구b(160b)는 원뿔대의 형상으로 구현되고, 각각의 에어펌프a(180a) 및 에어펌프b(180b)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공기 주입구a(160a) 및 공기 주입구b(160b)에서 배출 시에 압축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공기 흡입구a(150a) 및 공기 흡입구b(150b)로 이송 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a(150a) 및 공기 흡입구b(150b)는 에어호스a(170a) 및 에어호스b(170b)의 원점 내부에 설치되고, 외형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에어호스a(170a) 및 에어호스b(170b)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성되고, 후드 점퍼에서 탈부착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후드모자(100)는 머리형상을 따라 구현되고, 기능성 원단이 사용되어 방풍 및 발수성능을 높여줄 수 있다. 통기구(110)는 5㎜ 내지 15㎜의 타원형상으로 구현되고, 후드모자(100)의 배면부 양측에 대칭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통기구(110)는 활동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발생되는 열기(210)와 땀을 배출하여 장시간 후드모자(100)를 착용하여도 쾌적함이 유지될 수 있다. 에어호스a(170a) 및 에어호스b(170b)를 통해서 상기 공기가 각각의 에어백b(140b) 및 에어백c(140c)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에어호스c(170c)로 이송되어 에어백a(140a)에 공급될 수 있다.
에어백a(140a), 에어백b(140b), 에어백c(140c)는 후드모자(10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각각 정렬되어 삽입되고, 상기 머리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2차 보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90)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구현되고, 에어백c(140c)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90)의 홀에는 스냅형 마개(snap closure)가 이웃될 수 있다.
상기 스냅형 마개는 에어백(140) 내부의 공기를 공급 및 배출 시에 개방 및 폐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임끈(130)은 후드모자(100)의 착용감을 높여주기 위해서 후드(100)의 전면부 둘레 종단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지퍼(120)는 후드(100)의 하단부 종단 둘레에 설치되어, 후드 점퍼 연결부에서 체결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모자의 우측면을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후드모자(100)의 우측면을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후드모자(100)의 내부구성요소를 나타내준다. 후드모자(100)의 표면에는 외부덮개(100a)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덮개(100a)는 방수 및 방풍 기능이 포함된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외부덮개(100a)의 아래층에는 외부 완충재(200a)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 완충재(200a)는 3㎜ 내지 5㎜의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완충재(200a)는 가볍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효과가 뛰어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완충재(200a)의 아래에는 에어백(140)이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140)은 에어호스c(170c)를 통해서 에어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백(140)은 머리둘레를 따라 육면체의 형태로 구현되고, 에어백(140)의 내부에는 에어가 공급되어 5㎜ 내지 20㎜의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 에어백(140) 내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층의 분포도에 따라 에어백(140)의 부피가 증가 및 감소되고, 완충 및 감쇠 능력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140)의 하단에는 내부 완충재(200b)가 설치될 수 있다. 내부 완충재(200b)는 3㎜ 내지 5㎜의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 내부 완충재(200b)는 가볍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효과가 뛰어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내부 완충재(200b)의 아래에는 내부덮개(100b)가 설치될 수 있다. 내부덮개(100b)는 발수 기능이 포함된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세로로 정렬된 에어백(140) 사이에 통기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110)는 타원형 및 원형으로 형성되고, 하나이상으로 배열 될수 있다. 통기구(110)는 아동의 활동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발생되는 열기가 후드모자(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후드모자(100)의 목둘레 부분에는 점퍼와 분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지퍼(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후드모자 100a: 외부덮개
100b: 내부덮개 110: 통기구
120: 지퍼 130: 조임끈
140: 에어백 140a: 에어백a
140b: 에어백b 140c: 에어백c
150a: 공기 흡입구a 150b: 공기 흡입구b
160a: 공기 주입구a 160b: 공기 주입구b
170a: 에어호스a 170b: 에어호스b
170c: 에어호스c 180b: 에어펌프b
190: 공기 배출구 200a: 외부완충재
200b: 내부완충재 210: 열기
300: 후드모자 310: 통기구
320: 지퍼 300a: 외부덮개
330: 조임끈 340: 에어백
340a: 에어백a 340b: 에어백b
340c: 에어백c 370a: 에어호스a
370b: 에어호스b 370c: 에어호스c
380a: 에어펌프a 380b: 에어펌프b
390: 공기 배출구 400: 후드모자
400a: 외부덮개 410: 통기구
420: 지퍼 430: 조임끈
440: 에어백 470a: 에어호스a
470b: 에어호스b 480a: 에어펌프a
480b: 에어펌프b

Claims (6)

  1. 후드점퍼(hood jump);
    상기 후드점퍼의 양쪽 겨드랑이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air) 유로가 형성되는 에어 공급기;
    상기 후드점퍼와 체결되어 후드모자 종단에 설치되고,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배출기; 및
    상기 에어 공급기와 연결되고, 상기 후드모자 내부에 하나 이상의 에어백 중 제1 종단에 설치되는 제N-1 에어백, 제2 종단에 설치되는 제N 에어백, 제3 종단에 설치되는 제N+1 에어백, 및 상기 에어 공급기의 종단에서 상기 에어 배출기의 원점으로 연결되어 에어 유로가 형성되는 에어백(air bag)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기는,
    상기 후드점퍼의 양쪽 겨드랑이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에어 펌프(air pump);
    상기 에어 에어 펌프의 상단 중앙에 수용되는 에어 주입구; 및
    상기 에어 주입구의 외부 지름과 동일한 내부 지름을 갖는 삽입 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홀을 통해 상기 에어 주입구가 수용되는 에어 호스(air hos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배출기는 상기 후드모자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백 중 상기 제3 종단에 제N+1 에어백에 설치되고, 중앙에 형성되는 홀의 내부 지름과 동일한 외부 지름을 갖는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포함되는 에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점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프가 압축 및 팽창하는 경우, 상기 에어백은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후드모자 내부에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백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백 중 제N-1 에어백은 상기 후드모자 내부의 제1 종단에 설치되며, 제N 에어백은 상기 후드모자 내부의 제2 종단에 설치되고, 제N+1 에어백은 상기 후드모자 내부의 제3 종단에 설치되며, 완충재로 둘려 쌓여지는 에어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점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후드모자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에어 호스의 종단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 배출기의 원점으로 연결되어 선정된(predetermined) 길이를 갖는 에어 유로가 형성되고, 완충재로 둘려 쌓여지는 에어백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점퍼.
KR2020120009615U 2012-10-23 2012-10-23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KR201400025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615U KR20140002568U (ko) 2012-10-23 2012-10-23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615U KR20140002568U (ko) 2012-10-23 2012-10-23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568U true KR20140002568U (ko) 2014-05-07

Family

ID=5244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615U KR20140002568U (ko) 2012-10-23 2012-10-23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56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967U (ko) * 2016-12-21 2018-07-02 주식회사 신세계인터내셔날 후드용 에어쿠션
KR101999923B1 (ko) 2018-08-07 2019-07-12 김예림 머리보호구를 구비한 백팩
WO2022108183A1 (ko) * 2020-11-19 2022-05-27 임근수 윙크하는 동물 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967U (ko) * 2016-12-21 2018-07-02 주식회사 신세계인터내셔날 후드용 에어쿠션
KR101999923B1 (ko) 2018-08-07 2019-07-12 김예림 머리보호구를 구비한 백팩
WO2022108183A1 (ko) * 2020-11-19 2022-05-27 임근수 윙크하는 동물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8911B2 (ja) 頭部保護に適したエアバッグ
KR101810603B1 (ko) 고글 마스크
US10086220B2 (en) Protective breathing mask with fabric hood
JP5391378B2 (ja) 鼻から口元、及び首筋から胸元、並びに肩部を包囲できるマスク
KR20140002568U (ko) 아동용 머리보호 후드 점퍼
KR200457145Y1 (ko) 야외용 자외선차단 마스크
KR200462392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KR20100006003U (ko) 원통형 마스크
KR101629928B1 (ko) 소방 헬멧
IT202000016930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indossabile
CN206101740U (zh) 一种具有反冲保护装置的骑行头盔
JP2012072527A (ja) 頭部保護具
KR101791359B1 (ko) 머리보호대
JP6247018B2 (ja) リュックサック
NL2026369B1 (en) Multifunctional garment
KR20110005708U (ko) 방한용 모자
JP2014181417A (ja) 帽子付きヘルメット
EP2740376B1 (en) Garment adapted to be associated with an inflatable protection element
KR200362489Y1 (ko) 안전모용 마스크
JP7010406B1 (ja) 救命具
JP7157400B2 (ja) 救命胴衣
JP7140643B2 (ja) 頭部冷却構造
KR200462391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CN207324032U (zh) 一种棍术、短兵实战防护头盔
KR20220139691A (ko) 폴더블 듀얼 튜브 헬멧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