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258A - 연마포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연마포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258A
KR20140002258A KR1020120070299A KR20120070299A KR20140002258A KR 20140002258 A KR20140002258 A KR 20140002258A KR 1020120070299 A KR1020120070299 A KR 1020120070299A KR 20120070299 A KR20120070299 A KR 20120070299A KR 20140002258 A KR20140002258 A KR 20140002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cloth
main body
outside
storage layers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9290B1 (ko
Inventor
김현희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2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26B25/185Spacers; Elements for supporting the goods to be dried, i.e. positioned in-between the goods to build a ventilated st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마포 건조장치는, 내부에 다 단의 수납층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층들 및 외부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수납층들의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일면에 수분이 부착된 연마포들을 지지하는 거치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한 열기 또는 온풍을 상기 수납층들로 공급하여, 상기 연마포에 부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히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마포 건조장치{DESICCATOR OF POLISHING PAD}
본 발명은 연마포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 단의 층을 형성하는 수납층 내에 연마포 거치를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고,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연마포에 열기 또는 열풍을 제공함으로써, 연마포를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어 연마포의 건조를 신속히 진행시킬 수 있는 연마포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의 경면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포(폴리싱 패드라고도 함)는 사용 후 표면에 부착된 금속 분말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세척이 끝난 연마포는 표면에 부착된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하여 보관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연마포를 개수대 및 테이블 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건조를 이루고 있어, 날씨와 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리고, 연마포가 잘 건조되지 않은 채 보관되는 경우, 연마포의 모서리와 표면 등에서 부식이 일어나게 되어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02471
호(2001년01월1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 장치용 폴리싱 패드의 그루브 패턴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 단의 층을 형성하는 수납층 내에 연마포 거치를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고,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연마포에 열기 또는 열풍을 제공함으로써, 연마포를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어 연마포의 건조를 신속히 진행시킬 수 있는 연마포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포 건조장치는, 내부에 다 단의 수납층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층들 및 외부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수납층들의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일면에 수분이 부착된 연마포들을 지지하는 거치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한 열기 또는 온풍을 상기 수납층들로 공급하여, 상기 연마포에 부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히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의 일측 면에는 상기 연마포가 기울어지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연마포가 기울어지게 지지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기구는, 상기 수납층들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연마포에 부착된 수분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열선 또는 열풍기로 구비되며, 상기 열선 또는 상기 열풍기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고온의 열기 또는 열풍을 상기 수납층들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수납층들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강제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연마포에 부착된 수분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하부로 이동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저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 단의 층을 형성하는 수납층 내에 연마포 거치를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고,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연마포에 열기 또는 열풍을 제공함으로써, 연마포를 신속히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연마포에 부착된 수분을 모두 건조시킬 수 있어, 잔존하는 수분에 의해 연마포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건조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수의 연마포를 각 수납층에 가지런히 수납할 수 있어 수납이 용이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포 건조장치의 외관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포 건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포 건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포 건조장치에서 거치대가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포 건조장치의 외관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마포 건조장치는 본체(100)와, 거치대(200) 및, 히팅유닛(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도 2에서처럼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함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부 내에는 상하로 높낮이를 달리하는 다 단의 수납층(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 및 수납층(120)은 수분에 강한 스테인레스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및 수납층(120)의 외부에는 부식 방지를 위한 방수 페인트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배기구(110)가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수납층(120)은, 후술 될 거치대(200)가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연마포(10)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층(120) 상에는 수분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관통홀(1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121)들을 통해 수분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최 하단층까지 배출된 수분은 후술 될 저장부(140)로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수납층(120)들에 연마포(10)를 삽입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도어(13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의 배기구(110)에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기(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400)는, 도 3과 4에서처럼 수납층(120)들의 내부에서 증발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강제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400)는 본체의 상단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배기구(110) 및 송풍기(400)는 본체의 측방에 더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0)의 하부에는 연마포(10)에 부착된 수분이 배출구를 통해 하부로 이동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저장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전면에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140)를 본체로부터 빼내거나 삽입시킬 수 있다.
거치대(200)는, 하단이 수납층(120)들의 상단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수분이 부착된 연마포(10)의 일측 면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로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200)의 일측 면에는 연마포(10)가 기울어지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면(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10)은, 연마포(10)의 거치 기능뿐 아니라, 부분을 관통홀(121)이 형성된 위치로 안내하는 기능도 가진다.
이와 다르게, 상기 거치대(200)는 연마포(10)가 기울어지게 지지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200)의 일면에 지지되는 연마포(10)의 하단은 인접한 거치대(200)의 하단에 걸림 지지될 수 있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연마포(10)는 거치대(2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정 기울기로 세워질 수 있다.
그리고, 연마포(10)의 표면에 부착된 수분은 이하 설명될 히팅유닛(300)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언급한 히팅유닛(300)은, 본체(100)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한 열기 또는 온풍을 수납층(120)들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히팅유닛(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기 또는 온풍이 연마포(10)의 표면에 부착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팅유닛(300)은 수납층(120)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납층(120)들로 열기 및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히팅유닛(300)은 본체(10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열기를 발산하는 열선(31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히팅유닛(300)은 본체(100)의 측면 두께 부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열풍을 발산하는 열풍기(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각 수납층(120)의 거치대(200)에 지지되는 연마포(10)들은 열선(310) 또는 열풍기에 의해 표면의 수분이 증발될 수 있다.
이때, 증발되는 수증기는 수납층(120)들에 형성된 관통홀(121)들과 배기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다 단의 층을 형성하는 수납층(120) 내에 연마포 거치를 위한 지지대를 설치하고,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연마포(10)에 열기 또는 열풍을 제공함으로써, 연마포(10)를 신속히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연마포(10)의 표면에 부착된 수분을 모두 건조시킬 수 있어, 잔존하는 수분에 의해 연마포(1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수의 연마포(10)를 각 수납층(120)에 가지런히 수납할 수 있어 수납이 용이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연마포 건조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연마포 100: 본체
110: 배기구 120: 수납층
121: 관통홀 130: 도어
140: 저장부 150: 조작기
200: 거치대 210: 경사면
300: 히팅유닛 310: 열선
320: 전원 케이블 400: 송풍기

Claims (7)

  1. 내부에 다 단의 수납층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층들 및 외부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수납층들의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일면에 수분이 부착된 연마포들을 지지하는 거치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한 열기 또는 온풍을 상기 수납층들로 공급하여, 상기 연마포에 부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히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일측 면에는,
    상기 연마포가 기울어지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연마포가 기울어지게 지지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수납층들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연마포에 부착된 수분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열선 또는 열풍기로 구비되며,
    상기 열선 또는 상기 열풍기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고온의 열기 또는 열풍을 상기 수납층들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 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수납층들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강제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 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연마포에 부착된 수분이 상기 배기구를 통해 하부로 이동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포 건조장치.
KR1020120070299A 2012-06-28 2012-06-28 연마포 건조장치 KR101499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299A KR101499290B1 (ko) 2012-06-28 2012-06-28 연마포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299A KR101499290B1 (ko) 2012-06-28 2012-06-28 연마포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258A true KR20140002258A (ko) 2014-01-08
KR101499290B1 KR101499290B1 (ko) 2015-03-05

Family

ID=5013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299A KR101499290B1 (ko) 2012-06-28 2012-06-28 연마포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2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5185A (zh) * 2019-08-22 2019-12-20 佛山隆深机器人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整装生产线用电池干燥装置
CN112577268A (zh) * 2020-12-09 2021-03-30 安徽双羽新材料包装有限公司 一种可降解餐盒生产用烘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2348B2 (ja) * 2000-11-22 2010-07-14 正巳 高木 乾燥装置
KR200412274Y1 (ko) * 2006-01-06 2006-03-27 강종욱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58236Y1 (ko) * 2011-11-11 2012-01-31 최경구 밑창모형판이 구비된 슬리퍼 건조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5185A (zh) * 2019-08-22 2019-12-20 佛山隆深机器人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整装生产线用电池干燥装置
CN112577268A (zh) * 2020-12-09 2021-03-30 安徽双羽新材料包装有限公司 一种可降解餐盒生产用烘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290B1 (ko)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0944B2 (en) Glove and mitten dryer
US10280553B2 (en) Drain pump and clothes dryer having a drain pump
EP2938777B1 (en) A laundry dryer comprising a spraying device
EP3071745B1 (en) A laundry dryer comprising a spraying device
TW201129706A (en) Evaporation source and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CA2885448A1 (en) Glove and mitten dryer
KR100901716B1 (ko) 덕트리스 건조기
JP2021528964A (ja) 回転防止付き発熱体用クリーニングツール
WO2007126225A1 (en)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KR20100031929A (ko) 덕트리스 건조기
US200901337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less cleaning of a chandelier
KR20140002258A (ko) 연마포 건조장치
TW201317423A (zh) 衣物處理裝置
KR102529948B1 (ko) 좁은 공간에서도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유기물 수분 증발기
JP2007255806A (ja) ガラス管乾燥装置
CN101824737B (zh) 衣物处理装置
CN106037567A (zh) 浴室热风干毛巾架
WO2013050468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dehumidifying unit
KR20090000309U (ko) 농수산물 건조기의 유익물질 부착구조
CN108078518B (zh) 一种清洗刷存放器
JP2009270729A (ja) 乾燥器具
JP2017001320A (ja) 木材処理装置
KR20140133252A (ko) 다중 건조기
CN210055236U (zh) 新型快干卫生储物柜
JPS62245639A (ja) ベ−パ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