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231U -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231U
KR20140002231U KR2020120008916U KR20120008916U KR20140002231U KR 20140002231 U KR20140002231 U KR 20140002231U KR 2020120008916 U KR2020120008916 U KR 2020120008916U KR 20120008916 U KR20120008916 U KR 20120008916U KR 20140002231 U KR20140002231 U KR 201400022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automatic
cylinder
se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현보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8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231U/ko
Publication of KR20140002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2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1Attachments between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and the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8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승강 및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된 자동접착장비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자동접착장비를 설치 부위에 위치시키는 파지부 및, 상기 승강부 및 상기 파지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SETTING DEVICE OF AUTOMATIC BONDING EQUIPMENT}
본 고안은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에 장착된 자동접착장비를 상승 및 회전시킨 후, 일정 높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자동접착장비를 레일의 설치 면에 결합시킬 수 있어, 자동접착장비 설치작업이 용이한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접착장비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면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자동 용접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접착장비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가스 탱크와, 용접 토치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레일에 자동접착장비를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가 일정 높이로 자동접착장비를 위치시킨 후에, 레일과 자동접착장비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자동접착장비를 레일의 설치 면으로 상승시키거나, 자동접착장비의 설치 면과 레일의 설치 면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작업 어려웠다.
그리고, 자동접착장비는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자동접착장비와 레일의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에 장착된 자동접착장비를 상승 및 회전시킨 후, 일정 높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자동접착장비를 레일의 설치 면에 결합함으로써, 자동접착장비의 설치 자세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설치 작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중량이 무거운 자동접착장비를 보다 쉽고 빠르게 레일에 결합시킬 수 있는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승강 및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된 자동접착장비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자동접착장비를 설치 부위에 위치시키는 파지부 및, 상기 승강부 및 상기 파지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나란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들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하로 길이를 갖도록 나란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들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파지부가 설치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부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양 측단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제1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단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파지부가 설치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2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자동접착장비가 파지되는 그립부재 및,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그립부재를 전후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힌지 연결되어 전후로 회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와 대응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지그로 이동시 자동접착장비를 가압지지하는 가압지그 및, 상기 몸체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지그를 이동시키는 제3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부에 장착된 자동접착장비를 상승 및 회전시킨 후, 일정 높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자동접착장비를 레일의 설치 면에 결합시킬 수 있어, 자동접착장비를 보다 쉽고 빠르게 레일에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자동접착장비를 일정 높이에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자동접착장비의 설치 자세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자동접착장비 설치작업의 정확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는 본체(100)와, 승강부(200)와, 파지부(300) 및, 조작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자동접착장비(10) 적재 위치 및 자동접착장비(10) 설치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0)과, 한 쌍의 상부 프레임(12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0)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후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바퀴(111)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프레임(120)은,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후단에 상하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상부 프레임(120)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상부 프레임(120) 상단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측방으로 길이를 갖는 손잡이(1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부 프레임(120)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121)이 형설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1)은, 후술 될 승강 플레이트(210)가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22)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200)는, 본체(10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동접착장비(1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일(20) 설치부위로 승강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200)는 승강 플레이트(210)와, 제1실린더(2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는, 수평으로 일정 넓이를 가지며, 전술한 하부 프레임(110)의 상방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양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121)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롤러(211a)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하단에는 보강빔(213)이 더 구비될 수 있는다.
이때, 상기 보강빔(213)의 양단은 승강 플레이트(210)의 전방과, 상부 프레임(120)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보강빔(213)의 후방에 낮은 위치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120) 방향에서 승강 플레이트(210)의 전방을 경사지게 지지하므로, 승강 플레이트(210)의 적재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실린더(220)는, 상부 프레임(120)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실린더(220)의 상부로 출몰하는 로드에 승강 플레이트(21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실린더(220)의 로드가 상하로 출몰함에 따라 승강 플레이트(210)는 일정 높이로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는 제1플레이트(211)와, 제2플레이트(212) 및, 제2실린더(2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11)는, 제1실린더(22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211)의 양단에는 전술한 롤러(211a)가 각각 설치된다.
제2플레이트(212)는, 제1플레이트(211)의 전단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플레이트(212)의 상단에는 전술한 파지부(300)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실린더(230)는, 제1플레이트(211)의 상단에 설치되어, 제2플레이트(212)의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2실린더(230)는 제1플레이트(211)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230)의 로드는 제2플레이트(212)의 후단 또는 후술 될 파지부(300)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플레이트(210)는 상부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파지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플레이트(212)는 제1플레이트(211)의 전단을 따라 돌출 또는 삽입되어 전후방향 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파지부(300)는, 전술한 승강부(200)의 상부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된 자동접착장비(10)를 고정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300)는 90ㅀ로 회전될 수 있으나, 회전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파지부(300)는 지지대(310)와, 그립부재(320) 및, 구동모터(3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10)는, 승강부(2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단에는 제1한지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10)의 후단에는 전술한 제2실린더(230)의 로드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2실린더(230)의 로드가 출몰함에 따라 제2플레이트(212)의 전후방향 이동에 의해 지지대(310)의 전후 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립부재(320)는, 지지대(310)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자동접착장비(10)가 파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그립부재(320)는 몸체(321)와, 고정지그(322)와, 가압지그(323) 및 구동모터(3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321)는, 수평으로 위치시 상단에 자동접착장비(10)가 안착되며, 전방으로 회동되어 자동접착장비(10)를 설치높이로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몸체(321)는 90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회전 각은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321)의 일측 하단에는 전술한 제1힌지부(311)와 암수로 대응되게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부(32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힌지부(321a)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술한 제1힌지부(311)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암수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몸체(321)는, 지지대(310)의 상단에 수평으로 회동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에 자동접착장비(10)가 안착된다.
고정지그(322)는, 몸체(321)의 일면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지그(322)는 몸체(321)의 전후 회동 방향에 편심 위치될 수 있다.
가압지그(323)는, 고정지그(322)와 대응되도록 몸체(321)의 일면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 이동을 통해 자동접착장비(10)를 가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몸체(321)의 상단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가압지그(323)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홈(121)에 대응 삽입되도록 전후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지그(323)는 가이드홈(121)을 따라 흔들림 없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3실린더(324)는, 몸체(321)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3실린더(324)의 로드는 가압지그(323)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330)의 로드가 출몰함에 따라 가압지그(323)가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자동접착장비(10)를 가압 및 가압 해지시킬 수 있다.
조작부(400)는, 전술한 승강부(200) 및 파지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400)에는 온(ON)/오프(OFF) 버튼, 표시부, 선택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조작부(400)의 제어를 통해 승강부(200) 및 파지부(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량이 많이 나가는 자동접착장비(10)를 레일(20)이 설치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자동접착장비(10)의 설치 부위를 레일(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상부에 장착된 자동접착장비를 상승 및 회전시킨 후, 일정 높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자동접착장비를 레일(20)의 설치 면에 결합시킬 수 있어, 자동접착장비를 보다 쉽고 빠르게 레일(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자동접착장비를 일정 높이에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자동접착장비의 설치 자세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자동접착장비 설치작업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자동접착장비 20: 레일
100: 본체 110: 하부 프레임
111: 바퀴 120: 상부 프레임
121: 가이드홈 122: 손잡이
200: 승강부 210: 승강 플레이트
211: 제1플레이트 211a: 롤러
212: 제2플레이트 213: 보강빔
220: 제1실린더 230: 제2실린더
300: 파지부 310: 지지대
311: 제1힌지부 320: 그립부재
321: 몸체 321a: 제2힌지부
322: 고정지그 323: 가압지그
324: 제3실린더 330: 구동모터
400: 조작부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승강 및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된 자동접착장비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자동접착장비를 설치 부위에 위치시키는 파지부; 및
    상기 승강부 및 상기 파지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나란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들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하로 길이를 갖도록 나란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들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파지부가 설치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양 측단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제1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단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파지부가 설치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2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자동접착장비가 파지되는 그립부재 및,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그립부재를 전후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3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힌지 연결되어 전후로 회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와 대응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지그로 이동시 자동접착장비를 가압지지하는 가압지그 및,
    상기 몸체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지그를 이동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KR2020120008916U 2012-10-04 2012-10-04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KR201400022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916U KR20140002231U (ko) 2012-10-04 2012-10-04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916U KR20140002231U (ko) 2012-10-04 2012-10-04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231U true KR20140002231U (ko) 2014-04-21

Family

ID=5244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916U KR20140002231U (ko) 2012-10-04 2012-10-04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23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005A (ko) * 2016-12-06 2018-06-15 버슘머트리얼즈한양기공 주식회사 실린더 이동용 카트
CN109158495A (zh) * 2018-09-30 2019-01-08 佛山市恒德力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叠双层死边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005A (ko) * 2016-12-06 2018-06-15 버슘머트리얼즈한양기공 주식회사 실린더 이동용 카트
CN109158495A (zh) * 2018-09-30 2019-01-08 佛山市恒德力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叠双层死边机
CN109158495B (zh) * 2018-09-30 2024-03-29 佛山市恒德力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叠双层死边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36456A (ja) 軌道のレールを溶接するための溶接機及び方法
CN104108411B (zh) 自推进附属部件
KR101407626B1 (ko) 용접장치
KR20110101493A (ko) 용접용 캐리지의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용접장치
KR20140002231U (ko) 자동접착장비 세팅장치
WO2013002068A1 (ja) トーチ調整装置
KR20090068558A (ko) 수직 용접 장치
CN208245509U (zh) 板材折弯装置
KR101276052B1 (ko) 대형 압력 용기의 헤드 용접용 틸팅 장치
CN211638783U (zh) 一种角钢定位-焊接组件及使用该组件的角钢焊接设备
WO2014119613A1 (ja) 走行台車
KR101140983B1 (ko) 3차원 곡판재 용접선 맞춤 장치
KR101129638B1 (ko) 격자형 부재 자동용접장치
KR20240011116A (ko) 다수의 토치를 이용한 플랜지 자동 용접 장치
JP2009262322A (ja) 台車回転装置
KR101563915B1 (ko) 강관 내면 용접설비
KR101620682B1 (ko) 리프트 카시스템
JP2016082633A (ja) パネル施工機及びパネル施工方法
KR20160025827A (ko) 용접용 오토 캐리지
KR101487794B1 (ko) 철도 차량용 유리창 및 승강문 교체장치
JP2013154970A (ja) 鉄塔昇降台車
KR20130051215A (ko) 무레일 용접장치
JPH08243792A (ja) 片面溶接における裏当て部材の保持装置および保持方法
CN106112333A (zh) 一种钢管束卧式焊接装置
JP3170533U (ja) 走行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