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831U - 절개선이 형성된 세척용 시트 - Google Patents

절개선이 형성된 세척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831U
KR20140001831U KR2020140001588U KR20140001588U KR20140001831U KR 20140001831 U KR20140001831 U KR 20140001831U KR 2020140001588 U KR2020140001588 U KR 2020140001588U KR 20140001588 U KR20140001588 U KR 20140001588U KR 20140001831 U KR20140001831 U KR 201400018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heet
detergent
incision
sea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찬
이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40001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831U/ko
Publication of KR20140001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8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47L13/17Cloths; Pads; Sponges containin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세척용 시트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잘 구겨지고 부피감과 질감이 좋으며 거품 발생속도가 빠르고 거품의 양이 증대되고, 세정제가 도포되어 있어서 설거지용 수세미(스폰지)와 주방세제, 또는 청소용 스펀지와 세제의 기능을 모두 가지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세정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절개선이 형성된 세척용 시트{Sheet for cleaning having cutting line}
본 고안은 세척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잘 구겨지고 부피감과 질감이 좋으며 거품 발생속도가 빠르고 거품의 양이 증대되며,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이 도포되어 있어서 설거지용 수세미(스폰지)와 주방세제, 또는 청소용 스펀지와 세제의 기능을 모두 가지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세정력이 우수한 세척용 시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거지용 스펀지, 수세미 등은 식기, 수저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청소용 스펀지 등은 세척 대상물을 청소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런데, 설거지용 스펀지, 수세미, 청소용 스펀지 등에는 사용 후에도 항상 물기가 남아 있기 때문에 각종 미생물이 번식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설거지용 스펀지, 수세미, 청소용 스펀지 등을 사용한 후에는 햇빛에 말리거나 락스와 같은 강력 표백제에 소독하거나 자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설거지용 스펀지, 수세미, 청소용 스펀지 등에는 세척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각종 세정제 또는 세제 등이 도포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설거지 또는 청소를 위해서는 설거지용 스펀지, 수세미, 청소용 스펀지 등이 구비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세정제(세제)도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설거지용 스펀지, 수세미, 청소용 스펀지 등에 도포된 각종 세정제(세제) 등의 거품이 너무 빨리 소진되어 많은 식기 또는 넓은 면적의 청소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한 후에 습기를 제거하거나 소독할 필요가 없는 일회용 세척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시트몸체에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잘 구겨지고 부피감과 질감이 좋으며 거품 발생속도가 빠르고 거품의 양이 증대되는 세척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 자체에 세정제(세제)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세정력이 우수한 세척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에 도포된 세정제 또는 세제 유용성분이 서방성 거품조절 기능을 갖기 때문에 한 장의 시트를 사용하여 많은 식기를 세척하거나 넓은 면적의 경질 표면을 세척(청소)할 수 있는 세척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세척용 시트는, 시트본체; 및, 시트본체에 형성된 절개선;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본체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개선은 다수 개가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은 시트본체의 접힘선(f)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개선은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개선은, 시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절개선; 및, 제1 절개선과 교차되도록 형성된 제2 절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본체에는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이 스프레이 되거나 침적되거나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은 서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은 시트본체의 무게 대비 50% 내지 250%의 무게비로 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세척용 시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한 후에 습기를 제거하거나 소독할 필요가 없다.
둘째, 시트몸체에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잘 구겨지고 부피감과 질감이 좋으며 거품 발생속도가 빠르고 거품의 양이 증대된다.
셋째, 시트 자체에 세정제 또는 세제 유용성분이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세정력이 우수하다.
넷째, 시트본체에 도포된 세정제 또는 세제 유용성분이 서방성 거품조절 기능을 갖기 때문에 한 장의 시트를 사용하여 많은 식기를 세척하거나 넓은 면적의 경질 표면을 세척(청소)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이러한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용 시트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 내지 도 7은 각각 본 고안에 따라 변형된 절개선을 구비하는 세척용 시트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용 시트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척용 시트(100)는 시트본체(10)와, 시트본체(10)에 형성된 절개선(20)을 포함한다.
시트 본체(10)는 섬유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직포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습식 부직포, 열접착(thermal bond) 부직포, 니들펀치(needle punch) 부직포, 스티치본드(stith bond) 부직포,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 멜트불로운(melt-blown) 부직포, 플래시(flash) 방사 부직포 또는 스펀리스(spunless) 부직포일 수 있다.
시트본체(10)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스펀본드 부직포가 시트본체(10)로서 사용될 경우에 스펀본드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무게는 40평량 내지 150평량이고, 바람직하게는 60평량 내지 120평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평량 내지 100평량이다.
시트본체(10)는 세척 대상인 식기, 수저 등을 세척하기에 적절하고 편리한 형상과 사이즈를 가질 수 있는데, 대략 5(가로)x5(세로) 내지 30(가로)x30(세로)의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본체(10)는 그 중앙부에 접힘선(f)을 가질 수 있다. 접힘선(f)은 시트(100)를 포장할 때 시트(100)가 잘 접혀지도록 한다.
절개선(20)은 시트본체(10)에 형성되는데, 절개선(20)은 시트본체(10)가 좋은 질감을 가지고 부피감이 증대되도록 하여 설거지 또는 청소가 용이해지도록 하며 시트본체(10)가 잘 구겨지도록 한다. 또한, 절개선(20)은 세정제 또는 세제 유용성분을 묻힌 경우에 거품 발생속도 및 거품 양을 증대시킨다.
절개선(20)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절개선(20)은 어느 한 방향 예를 들어, 시트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개선(20)은 접힘선(f)을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20)은 동일한 길이를 가진 것이 동일한 간격으로 반복되거나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반복될 수도 있다. 또한, 절개선(20)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 것이 동일한 간격으로 반복되거나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반복될 수도 있다.
또한, 절개선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절개선(120)과 제2 절개선(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절개선(120)은 시트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 절개선(130)은 제1 절개선(120)과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개선(220)(320)은 시트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개선은 지그재그 형태의 절개선(420)과, 절개선(420)과 교차하는 절개선(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개선(520)은 접힘선(f)을 통과하여 반대편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의 절개선은 접힘선(f)의 위와 아래에 각각 배치되었으나,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개선(620)이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절개선(620)이 시트(700)의 상부, 가운데, 하부로 나뉘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절개선은 시트본체(10)의 길이(가로 또는 세로 길이)의 50% 내지 9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도 1 내지 도 7에서 살펴본 절개선들은 바람직한 형태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절개선이 위에 개시된 절개선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절개선은 본 고안이 갖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본체(10)에는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 등이 도포되거나 흡수되거나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세척용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세정제 또는 세제 등이 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설거지, 청소 등의 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 등은 스프레이, 침적, 도포 등의 방법으로 시트본체(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은 서방성 거품 조절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은 거품이 천천히 생기도록 하기 때문에 넓은 면적의 경질 표면을 세정할 수 있고 많은 식기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서방성 거품 조절기능을 갖는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은 이미 그 구성이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은 시트본체(10)의 무게 대비 50% 내지 250%의 무게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은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점도조절제, 가용화제, 방부제, 향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기가 탄소수 9-18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알킬인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올레핀 설포네이트, 2차 알칸 설포네이트, 알파 설포네이트 메틸/에틸 에스테르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C9-C15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바람직하게는 C12-C15 알킬기를 가진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혹은 C12-C18 알칸 설포네이트, 바람직하게는 C14-16 알칸 설포네이트, 혹은 C8-C18 올레핀 설포네이트, 바람직하게는 C12-C18 올레핀 설포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 기타 적절한 설포네이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알파 설포 지방산의 에스테르화물, 예를 들면 코코넛유, 팜 커널유, 우지 지방산의 알파-설포네이트 메틸/에틸 에스테르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일차 또는 이차 알콜의 황산 모노에스터 화합물이 사용되며, 알콜로는 코코넛유 지방알콜, 우지 지방알콜, 올레일 알코올, C1-C20 옥소알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적절한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1~6개의 에틸렌옥사이드가 포함된 지방족 일차알콜의 황산 모노에스터화합물, 혹은 에톡시화된 2차 알콜이나 알킬페놀의 황산 모노에스터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설페이티드 지방산 알카놀아마이드와 설페이티드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도 적당하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들은 염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들이 바람직하며, 특히 소듐염이 적당하다. 또한, 포타슘염과 암모늄염이나 유기 베이스에 녹는 염의 형태 예를 들면 모노-, 디-, 트리에탄올아민의 형태도 가능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으로 이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가 1-25몰 포함된 1차 혹은 2차 알코올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알킬 폴리글리코시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지방산 아마이드계로 암모니아 아마이드, 모노에탄올 아마이드, 디에탄올아마이드 또는 이소프로판올아마이드인 지방산 아마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이때, 비이온 계면활성제들의 알킬기는 알켄기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탄소수는 8 내지 22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쇄 또는 분지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본 고안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용화제, 유기용제, 향, 염료, 방부제, pH조절제, 금속봉집제, 효소 또는 물을 포함하며, 그 종류 및 함량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 및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물은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 액체상이거나 또는 실온에서 액체용매에 용해되어 단순한 충전제의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갖는 용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매로는 가용화제, 유기용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탄소수 1-4의 알칸올,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카르복실산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염, 우레아, 하이드로 카르복실레이트 및 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4의 알칸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직쇄 또는 분지상의 부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사용한다.
향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향성 화합물이 가능하며, 화학적으로 합성되거나 천연 재료로부터 추출된 물질로서, 이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부제로는 에탄올, 페녹시 에탄올, 포름알데하이드 용액, 펜텐디올, 파라벤류, 소듐 벤조에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pH 조절제는 유지얼룩을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중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저분자량의 유기 또는 임의의 유기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의 액상의 알칼리제 및 구연산, 사과산, 살리실산, 주석산, 젖산, 아세틱산, 소르빅산, 벤조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소는 세제 조성물의 세정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주로 알칼리성 단백질 분해 효소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아밀라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효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효소의 통상적인 범위인 0.2 내지 1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세제 조성물의 pH는 6 내지 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pH 6 미만이면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계면활성제들이 수소이온에 의해 분해되므로 계면활성제로서 성능이 떨어질 수 있으며, pH 10.5을 초과하면 피부에 대한 자극이 높아져 피부 트러블을 야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을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균질한 액체 또는 겔형의 식기세척용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적합한 교반을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필수성분과 임의성분을 함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10 : 시트본체              
20, 120, 130, 220, 320, 420, 430, 520, 620 : 절개선
100, 200, 300, 400, 500, 600, 700 : 세척용 시트
f : 접힘선

Claims (9)

  1. 시트본체; 및
    시트본체에 형성된 절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시트본체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절개선이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절개선은 시트본체의 접힘선(f)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절개선은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시트.
  6. 제2항에 있어서
    절개선은,
    시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절개선; 및,
    제1 절개선과 교차되도록 형성된 제2 절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본체에는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이 스프레이 되거나 침적되거나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은 서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시트.
  9. 제7항에 있어서,
    세정제 또는 세제 유효성분은 시트본체의 무게 대비 50% 내지 250%의 무게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시트.
KR2020140001588U 2014-02-28 2014-02-28 절개선이 형성된 세척용 시트 KR201400018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588U KR20140001831U (ko) 2014-02-28 2014-02-28 절개선이 형성된 세척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588U KR20140001831U (ko) 2014-02-28 2014-02-28 절개선이 형성된 세척용 시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454U Division KR200476647Y1 (ko) 2013-06-03 2013-06-03 절개선이 형성된 세척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31U true KR20140001831U (ko) 2014-03-28

Family

ID=5244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588U KR20140001831U (ko) 2014-02-28 2014-02-28 절개선이 형성된 세척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8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932B1 (ko) * 2022-03-16 2022-04-22 박현주 자연유래 성분의 세척제가 함유된 일회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932B1 (ko) * 2022-03-16 2022-04-22 박현주 자연유래 성분의 세척제가 함유된 일회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9988T3 (es) Toallita previamente humedecida para tratar una superficie.
ES2293826B1 (es) Composicion detergente.
ES2329559T3 (es) Toallita limpiadora antibacteriana.
JP2018524453A (ja) 洗浄製品
ES2228930T5 (es) Adyuvante limpiador.
ES2293825B1 (es) Composicion que contiene una mezcla de mono-di, y trigliceridos y glicerina.
JP2007191469A (ja) ワイプ
JP2023059954A (ja) 洗浄殺菌組成物
EP3405557B1 (en) Preservative formulation containing hydroxy acetophenone and cocamidopropyl pg-dimonium chloride phosphate and wet wipes comprising the same
JP6679153B2 (ja)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5364396B2 (ja) 拭き取り用洗浄剤組成物及び洗浄方法
KR20140001831U (ko) 절개선이 형성된 세척용 시트
KR200476647Y1 (ko) 절개선이 형성된 세척용 시트
CN105542999A (zh) 一种杀菌型衣物清洗剂
JP5924982B2 (ja) 発泡性洗剤組成物
EP1343867B1 (en) Antimicrobial wipe
KR20130025706A (ko) 절개선이 형성된 세척용 시트
KR102086070B1 (ko)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세정력이 향상된 세척용 시트
JP6707276B2 (ja)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CN113789228A (zh) 一种多效去油污洗碗巾及制作方法
CN111053717A (zh) 一种免洗沐浴液及制备方法和沐浴干巾及制备方法和应用
EP0576691B1 (en) Detergent composition
KR20130113157A (ko)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세정력이 향상된 세척용 시트
JP2015137268A (ja) 除菌性・保湿性に優れた泡状ハンドクリーム
JP5174408B2 (ja) ヌメリ抑制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