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478U - 휴대용 터치 펜 - Google Patents

휴대용 터치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478U
KR20140001478U KR2020120007813U KR20120007813U KR20140001478U KR 20140001478 U KR20140001478 U KR 20140001478U KR 2020120007813 U KR2020120007813 U KR 2020120007813U KR 20120007813 U KR20120007813 U KR 20120007813U KR 20140001478 U KR20140001478 U KR 201400014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ase
pressing member
pe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부
Original Assignee
전대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부 filed Critical 전대부
Priority to KR2020120007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478U/ko
Publication of KR201400014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47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되, 터치 면이 케이스의 개구된 일 측으로 드러나도록 설치되어 다방향으로 회동되는 터치 유닛과,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감겨지는 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원터치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장갑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에 견고히 부착되게 하여 손쉽게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탈부착하는 밴드 유닛이 밴드의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손가락의 끝 부분, 중간 및 상부 어느 곳에도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고, 터치 펜의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별도의 펜대가 마련되어 있어, 장갑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터치 펜 {PORTABLE TOUCH PEN}
본 고안은 휴대용 터치 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원터치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장갑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견고히 부착되게 하여 손쉽게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용 터치 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모바일폰, PDA, PMP,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장치의 키 버튼 입력 방식 또한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정보 입력 또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방식은 스크린을 통해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하여 직접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의 접촉이 있으면 그 접촉된 위치의 좌표를 파악한다. 그리고 접촉된 좌표값을 통해 해당 좌표값에 대응하는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은 정보 표시부로서의 기능과 입력부로서의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동작 원리에 따라 크게 저항막방식, 표면초음파방식, 적외선방식, 정전용량방식 등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방식 중, 정전용량방식은 유리 양면에 투명한 특수 전도성 금속을 코팅하고 스크린의 네 모서리에 전압을 인가하여 터치스크린 표면에 고주파를 생성시킨다. 사용자의 손과 같은 신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게 되면 일정량의 전류가 사용자의 체내로 흡수되고, 이로 인해 터치스크린에서는 전류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터치 지점을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정전용량방식은 사용자가 장갑(면장갑, 가죽장갑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경우 전류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장갑을 끼고 조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3088호(제1 특허문헌)는 정 전압 방식 터치스크린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갑의 손가락 부분에 전도성 섬유를 손 자수 방식이나 컴퓨터 자수 등으로 새겨 넣어 장갑을 끼고도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1 특허문헌은 장갑에 별도의 전도성 섬유를 새겨 넣는 것으로, 기존에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던 장갑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54691호(제2 특허문헌)는 골무 형태의 터치 펜에 관한 것으로, 도전성 잉크와 고무를 혼합하여 골무 형태로 제작하고 골무 끝 부분에 터치부를 형성시킨 골무 형태의 터치 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2 특허문헌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던 장갑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손가락 끝 부분에 단지 끼워져 사용하는 것이어서 쉽게 분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원터치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장갑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견고히 부착되게 하여 손쉽게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용 터치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되, 터치 면이 케이스의 개구된 일 측으로 드러나도록 설치되어 다방향으로 회동되는 터치 유닛과,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감겨지는 밴드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터치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 측에 삽입되되, 터치 면이 케이스의 외부로 드러나도록 설치되는 터치 헤드와, 상기 터치 헤드의 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되, 형성 위치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어 케이스의 개구된 일 측 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이탈 방지 돌기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일 측이 터치 헤드와 접촉되는 가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를 터치 헤드 측으로 밀어주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면의 단면적은 터치 헤드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과 접촉되는 터치 헤드 영역은 내부로 함몰되는 원뿔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과 접촉되는 터치 헤드 영역은 내부로 함몰되는 사각 홈 형태로 형성되되, 사각 홈의 너비는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 직경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과 접촉되는 터치 헤드 영역은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 반구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로 함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슬릿 형태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밴드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결합홈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되되,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드러나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드러난 결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탄성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밴드는 폭 방향으로 만곡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감겨지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 측에 대향되는 타 측에 형성되는 펜대 결합홈과, 상기 케이스의 펜대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일 측에 형성되는 펜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원터치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장갑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탄성을 갖는 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견고히 부착되게 하여 손쉽게 분실되지 않으므로, 다른 물체에 부딪치기 쉬운 장갑에 부착시켜도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분실의 우려가 거의 없다.
셋째, 사용자의 손가락에 탈부착하는 밴드 유닛이 밴드의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손가락의 끝 부분, 중간 및 상부 어느 곳에도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터치 펜의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별도의 펜대가 마련되어 있어, 장갑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터치 펜은 줄에 연결하여 목걸이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터치 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터치 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터치 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터치 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터치 펜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터치 펜에 펜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터치 펜의 탄성 밴드가 감겨진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터치 펜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에 부착시켜서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터치유닛(200) 및 밴드유닛(300)을 포함한다.
밴드유닛(300)은 케이스(100)에 부착되어서 장갑의 손가락 부분에 결합하는 부분이다. 밴드유닛은 일반적으로 탄성을 가진 밴드로 만든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만곡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케이스(100)가 위치된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된다(도 7 참조).
케이스(100)는 밴드유닛(300)에 부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110)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터치유닛(2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터치 면(211)이 케이스(100)의 개구된 일 측으로 드러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케이스(100)와 터치유닛(200)은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케이스(100)와 터치유닛(200)이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케이스(100)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봉으로서, 내부에 설치공간(110)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개구된 일 측(도 1의 좌측)은 케이스(1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개구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측면에는 케이스(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slit) 형태의 결합홈(120)이 형성된다. 상기한 결합홈(120)은 케이스(100)의 타 측(도 1의 우측)에서부터 케이스(100)의 개구된 일 측을 향해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터치 유닛은 3가지의 실시예를 갖는데, 이하에서는 각각의 실시예를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 유닛의 제1 실시예>
터치 유닛(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개구된 일 측에 삽입되되 터치 면(211)이 케이스(100)의 외부로 드러나도록 설치되는 터치 헤드(210)와, 터치 헤드(2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되 형성 위치가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케이스(100)의 개구된 일 측 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이탈 방지 돌기(212)와, 케이스(100)의 내부 설치공간(110)에 설치되어 일 측(220-1)이 터치 헤드(210)와 접촉되는 가압 부재(220)와, 가압 부재(220)를 터치 헤드(210) 측으로 밀어주는 탄성 부재(230)를 포함한다.
먼저, 터치 헤드(210)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케이스(100)의 개구된 일 측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터치 헤드(210)의 터치 면(211)이 케이스(10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터치 면(211)은 터치스크린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미세한 접촉을 위해 터치 면(211)의 면적은 터치 헤드(21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터치 헤드(210)는 터치 면(211) 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터치헤드(210)는 그 말단이 도 2 내지 도 4에서는 평평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곡선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 면(211)은 적어도 5mm*5mm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터치스크린의 액정부분은 3mm*3mm의 면적도 인식하지만, 액정부분의 하부에 위치된 메뉴부분은 5mm*5mm 이상의 면적만을 인식하므로, 터치 헤드(210)의 터치 면(211)은 적어도 5mm*5mm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터치 헤드(210)의 직경은 케이스(100)의 개구된 일 측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터치 헤드(210)의 터치 면(211)이 다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탈 방지 돌기(212)는 터치 헤드(210)의 측면 외주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이탈 방지 돌기(212)는 케이스(100)의 개구된 일측 단에 형성된 걸림턱(140)에 걸려지게 되어, 터치 헤드(210)가 케이스(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가압 부재(220)는 일 측(220-1)이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일 측(220-1)이 터치 헤드(210)와 접촉된다. 이때,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1)과 접촉되는 터치 헤드(210)의 접촉 영역(210-1)은 내부로 함몰되는 원뿔 형으로 형성된다. 즉, 가압 부재(200)의 일 측(220-1) 꼭지점이 터치 헤드(210)의 접촉 영역(210-1)의 꼭지점과 서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터치 헤드(210) 및 가압 부재(220)는 전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터치 헤드(210)의 터치 면(211)은 전도성 잉크 등으로 코팅되어 터치스크린에 흡집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 부재(230)는 케이스(100)의 내부 면에 설치되어 가압 부재(220)를 터치 헤드(210) 측으로 밀어준다. 상기한 탄성 부재(230)는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터치 유닛(200)은 터치 헤드(210)의 터치 면(211)이 터치스크린과 접촉될 경우 접촉 각도에 따라 터치 헤드(210)가 미세하게 다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는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1)과 터치 헤드(210)의 접촉 영역(210-1)의 형상에 의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헤드(210)가 접촉각에 따라 다방향으로 회동되면 보다 정확하게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터치 유닛의 제2 실시예>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유닛(200)은 제1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단지, 가압 부재(220) 일 측(220-2)의 형상과 상기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2)과 접촉되는 터치 헤드(210)의 접촉 영역(210-2)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2)과 터치 헤드(210)의 접촉 영역(210-2)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가압 부재(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220-2)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일 측(220-2)이 터치 헤드(210)와 접촉된다. 이때,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2)과 접촉되는 터치 헤드(210)의 접촉 영역(210-2)은 내부로 함몰되는 사각 홈 형태로 형성되되, 사각 홈의 너비는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2) 직경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2)의 원주 일부만이 사각 홈의 내부로 삽입된 형태로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터치 유닛(200)은 터치 헤드(210)의 터치 면(211)이 터치스크린과 접촉될 경우 접촉 각도에 따라 터치 헤드(210)가 미세하게 다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는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2)과 터치 헤드(210)의 접촉 영역(210-2)의 형상에 의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헤드(210)가 접촉각에 따라 다방향으로 회동되면 보다 정확하게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터치 유닛의 제3 실시예>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유닛(200)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단지, 가압 부재(220) 일 측(220-3)의 형상과 상기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3)과 접촉되는 터치 헤드(210)의 접촉 영역(210-3)의 형상이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3)과 터치 헤드(210)의 접촉 영역(210-3)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가압 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220-3)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일 측(220-3)이 터치 헤드(210)와 접촉된다. 이때,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3)과 접촉되는 터치 헤드(210)의 접촉 영역(210-3)은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3) 반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부로 함몰된다. 즉,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3)의 원주 전부가 터치 헤드(210)에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홈에 삽입된 형태로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터치 유닛(200)은 터치 헤드(210)의 터치 면(211)이 터치스크린과 접촉될 경우 접촉 각도에 따라 터치 헤드(210)가 미세하게 다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는 가압 부재(220)의 일 측(220-3)과 터치 헤드(210)의 접촉 영역(210-3)의 형상에 의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헤드(210)가 접촉각에 따라 다방향으로 회동되면 보다 정확하게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밴드 유닛(300)은, 도 1과 같이 간단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결합홈(120)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되되 일부가 케이스(100)의 외부로 드러나는 결합 플레이트(310)와,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드러나 결합 플레이트(310)에 형성되는 삽입홈(330)과, 삽입홈(33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탄성 밴드(340)를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도 5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결합 플레이트(310)는 케이스(100)의 결합홈(120)의 너비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결합홈(12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한 결합 플레이트(310)는 케이스(100)의 타 측에서부터 일 측 방향으로 결합홈(120)에 슬라이드 삽입된다. 그리고, 케이스(100)에 삽입된 결합 플레이트(310)가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 플레이트(310)의 상단에는 수직 방향으로 이탈 방지 플레이트(320)가 설치된다. 상술한 이탈 방지 플레이트(320)가 결합 플레이트(310)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므로, 이탈 방지 플레이트(320)의 양측이 케이스에 걸려지게 되어 결합 플레이트(310)가 케이스(100)를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타 측에는 상기한 이탈 방지 플레이트(32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더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이탈 방지 플레이트(320)의 두께 및 너비에 대응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결합홈(12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삽입홈(330)은 결합 플레이트(310)의 하부 측 즉, 케이스(100)의 외부로 드러난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 플레이트(3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삽입홈(330)은 결합 플레이트(310)를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 플레이트(310')의 하부 두께를 보강하고, 보강된 영역을 관통하여 삽입홈(3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 플레이트(310')의 하부 두께를 보강하여 삽입홈(330')을 형성하면 탄성 밴드(340) 삽입 시 탄성 밴드(340)를 고정하기 용이 해진다. 이 경우에도 이탈 방지 플레이트(320') 형상은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탄성 밴드(340)는 결합 플레이트(310)의 삽입홈(33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밴드로서, 그 길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감겨질 수 있도록 평균적인 손가락 둘레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거나 그보다 다소 길게 형성된다. 또한, 탄성 밴드(340)의 폭은 결합 플레이트(310)의 삽입홈(330)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된다. 상기한 탄성 밴드(340)는 폭 방향으로 만곡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케이스(100)가 위치된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된다.(도 7 참조) 즉, 사용자가 손가락에 탄성 밴드(340)를 대로 약간의 힘을 가하게 되면, 탄성 밴드(340)는 감겨지게 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본 고안은 케이스(100)의 개구된 일 측에 대향되는 타 측에 형성되는 펜대 결합홈(130)과, 케이스(100)의 펜대 결합홈(130)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410)가 일 측에 형성되는 펜대(400)를 더 포함한다.
펜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통상 펜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펜대(400)의 일 측에는 화살표 형상의 결합 돌기(410)가 형성된다. 상기한 결합 돌기(410)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펜대 결합홈(130)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술한 펜대(400)는 케이스(100)에서 밴드 유닛(300)을 제거한 후 케이스(100)와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 펜대(400)를 케이스(100)와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본 고안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이를 줄에 연결하여서 목걸이로도 활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터치 펜은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원터치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장갑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견고히 부착되게 하여 손쉽게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0 : 케이스 110 : 설치공간
120 : 결합홈 130 : 펜대 결합홈
140 : 걸림턱 200 : 터치 유닛
210 : 터치 헤드 211 : 터치 면
212 : 이탈 방지 돌기 220 : 가압 부재
230 : 탄성 부재 300 : 밴드 유닛
310 : 결합 플레이트 320 : 이탈 방지 플레이트
330 : 삽입홈 340 : 탄성 밴드
400 : 펜대 410 : 결합 돌기

Claims (6)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되, 터치 면이 케이스의 개구된 일 측으로 드러나도록 설치된 터치 유닛과;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감겨지는 밴드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터치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 측에 삽입되되, 터치 면이 케이스의 외부로 드러나도록 설치되는 터치 헤드와;
    상기 터치 헤드의 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되, 형성 위치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어 케이스의 개구된 일 측 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이탈 방지 돌기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일 측이 터치 헤드와 접촉되는 가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를 터치 헤드 측으로 밀어주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터치 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과 접촉되는 터치 헤드 영역은 내부로 함몰되는 원뿔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터치 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과 접촉되는 터치 헤드 영역은 내부로 함몰되는 사각 홈 형태로 형성되되, 사각 홈의 너비는 상기 가압 부재의 일 측 직경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터치 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유닛은 폭 방향으로 만곡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감겨지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터치 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 측에 대향되는 타 측에 형성되는 펜대 결합홈과;
    상기 케이스의 펜대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일 측에 형성되는 펜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터치 펜.
KR2020120007813U 2012-09-01 2012-09-01 휴대용 터치 펜 KR201400014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813U KR20140001478U (ko) 2012-09-01 2012-09-01 휴대용 터치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813U KR20140001478U (ko) 2012-09-01 2012-09-01 휴대용 터치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78U true KR20140001478U (ko) 2014-03-11

Family

ID=5244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813U KR20140001478U (ko) 2012-09-01 2012-09-01 휴대용 터치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47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558B1 (ko) 휴대 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JP5369122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用スタイラス
US20170031467A1 (en) Method, accessory and touch writing pen for simultaneously forming entity and electronic handwriting
US2015002916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ual tip functionality in a stylus device
JP5903131B2 (ja) タッチペン及びそのペン先
KR20100007569U (ko) 감응식 스타일러스 터치펜
TW201730722A (zh) 觸控筆
TWI567594B (zh) Stylus
CN103677332B (zh) 触摸笔及具有该触摸笔的移动终端
TWI571775B (zh) Electronic erasure device
JP2018048424A (ja) 手袋
KR20070066415A (ko)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KR20140001478U (ko) 휴대용 터치 펜
KR101614575B1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 펜 겸용 볼펜
KR20120039320A (ko) 도전성 터치펜
KR101200971B1 (ko) 터치스크린용 터치부재
KR20180066503A (ko) 스마트 링 디바이스
TWM493095U (zh) 觸控筆結構
US20190121467A1 (en) Wiping device, touch system and method for erasing handwriting of touch system
KR101371587B1 (ko) 돌기가 형성된 핑거패드
JP3180086U (ja) タッチパネル式小型端末用操作具
US9158392B2 (en) Touch pen with tilt correction
KR101064314B1 (ko) 스타일러스 펜
US20150378451A1 (en) Portable sheath
KR20120002058U (ko) 터치 패널용 입력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