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336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336A
KR20140001336A KR1020120068379A KR20120068379A KR20140001336A KR 20140001336 A KR20140001336 A KR 20140001336A KR 1020120068379 A KR1020120068379 A KR 1020120068379A KR 20120068379 A KR20120068379 A KR 20120068379A KR 20140001336 A KR20140001336 A KR 20140001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liding door
door
vehicl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4716B1 (ko
Inventor
변상철
김형주
감동민
김성현
김동균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6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7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Manufacturing or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의 사출 성형시 슬라이딩 도어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슬라이딩 도어의 표면 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하지 않아도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고, 이로인해 매끄럽고 균일한 도어 조작력 및 조작감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제조비용 및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공조케이스가 원활하게 면 접촉되어 공기의 리크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공조케이스간에 긁힘 및 작동소음도 최소화 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의 사출 성형시 슬라이딩 도어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슬라이딩 도어의 표면 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시스템과,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시스템을 포함한다.
냉방시스템은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Receiver Dryer),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냉매와, 송풍기에 의해 증발기 표면을 거치는 송풍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송풍공기가 냉기로 바뀌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난방시스템은 냉각수를 히터코어로 유입하여 송풍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 한 가지로,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가 각각 별도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결합된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의 공조장치를 들 수 있는데, 이 공조장치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커지게 되어 차량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짐은 물론 생산성 저하 등 각종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차량 실내 공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차량 공조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증발기 유니트와 히터 유니트가 일체화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on type)의 공조장치 또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가 일체화된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의 공조장치의 적용이 증가되고 있다.
도 1 에는 종래 세미 센터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송풍기 유니트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1 에 도시된 차량용 공조장치(1)는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모드도어(14,15)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1), 페이스 벤트(12) 및 플로어 벤트(13)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그리고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20)와 모드도어(14,15)로는 플랫 도어 타입(Flat Door Type), 돔 도어 타입(Dome Door Type), 슬라이딩 도어 타입(Sliding Door Type) 등이 설치되고 있으며, 도 1에는 슬라이딩 도어 타입의 온도조절도어(20) 및 모드도어(14)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에 기어부(21a)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21)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도어(21)의 기어부(21a)와 기어결합되도록 기어부(22a)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21)를 작동시키는 기어샤프트(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풍과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드도어(14) 역시 상기 온도조절도어(20)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의 표면을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풍으로 바뀐 뒤, 냉풍통로(P1)를 통해 믹싱 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여, 공기토출모드(벤트 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 모드, 바이레벨모드, 믹스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14,15)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송풍공기는 온풍통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풍으로 바뀐 뒤, 믹싱 챔버(MC)쪽으로 유동하여,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14,15)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한편, 믹싱모드가 가동될 경우에,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냉풍통로(P1) 및 상기 온풍통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3)를 거친 온풍이 믹싱 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혼합되면서,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14,15)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20)나 모드도어(14,15)와 같은 도어들은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도어의 경우 상기 공조케이스(10)와 접촉하는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워야 하나, 사출 성형과정에서 수지 주입 후에 생기는 버어(BURR) 또는 도어 성형물을 취출하기 위한 밀핀 자국과 같은 불필요한 돌기부(25)가 필연적으로 생기게 되고, 이러한 불필요한 돌기부(25)로 인해 도어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함은 물론 도어의 작동시 공조케이스(10)간에 긁힘 및 작동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불필요한 돌기부(25)로 인해 도어의 작동시 매끄럽고 균일한 조작력과 조작감을 얻기가 어렵고, 도어와 공조케이스(10)간 면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공기의 리크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불필요한 돌기부(25)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반드시 실시해야 하므로 제조비용 및 공정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의 사출 성형시 슬라이딩 도어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슬라이딩 도어의 표면 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하지 않아도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고, 이로인해 매끄럽고 균일한 도어 조작력 및 조작감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제조비용 및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공조케이스가 원활하게 면 접촉되어 공기의 리크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공조케이스간에 긁힘 및 작동소음도 최소화 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용융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용융 재료를 금형에 주입하는 위치의 슬라이드 도어 표면상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사출 성형시 슬라이딩 도어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슬라이딩 도어의 표면 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돌기부가 슬라이딩 도어의 표면 보다 돌출되지 않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돌기부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후가공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비용 및 공정을 줄일 수 있고, 매끄러운 표면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가 슬라이딩 도어의 표면 보다 돌출되지 않으므로, 매끄럽고 균일한 도어 조작력 및 조작감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공조케이스가 원활하게 면 접촉되어 공기의 리크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공조케이스간에 긁힘 및 작동소음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공조케이스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온도조절도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온도조절도어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에 요입홈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곡면 슬라이딩 도어의 오목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기어샤프트가 선 조립된 공조케이스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믹싱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일측(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출구측)에는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116)를 연결하도록 공기통로(110e)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110e)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통로(110e)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통로(110e)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도어(150,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122)는, 설치위치 및 목적에 따라 온도조절도어(130)로 구성되거나 모드도어(1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가 온도조절도어(130)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 사이의 공기통로(110e)상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22)가 모드도어(120)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공기토출구(116)측 공기통로(110e)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좌,우로 분할 형성된 좌,우측케이스(110b,110c)가 조립되어 구성되는 상부케이스(110a)와, 상기 상부케이스(110a)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는 단일의 하부케이스(110d)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는 내,외기 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내기유입구(미도시)와 외기유입구(미도시)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115)가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는, 앞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14)와, 뒷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15)로 분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의 사이에는 구획벽(117)이 형성되어 서로 구획되어 있다.
이하,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가 온도조절도어로 구성되는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온도조절도어(130)는, 기어샤프트(140)와 슬라이딩 도어(150)로 구성된다.
상기 기어샤프트(14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양단부에는 기어부(141)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어샤프트(140)는 상기 기어부(141) 보다 바깥쪽 단부가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양단부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b,110c)의 마주하는 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기어샤프트(140)는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160)를 통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는,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기어부(141)와 맞물려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히터코어(102)의 상류측(전방측)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와 맞물린 상기 기어샤프트(14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 보다 공기유동방향 상류측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도 5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8과 같이 굴곡부(153)를 갖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두께(T)는 작동 및 내구성에 문제가 없는한 최대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양단부에는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기어부(141)와 맞물리도록 복수개의 기어홈(152)을 갖는 레일부(15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기어홈(152)이 형성된 레일부(151)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양단부에 각각 슬라이딩 도어(1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레일부(151)와 마주하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레일부(151)의 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레일홈부(11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홈부(118)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양 레일부(151)와 마주하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b,110c)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로인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b,110c)에 형성된 각 레일홈부(118)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사이에 냉,온풍통로(P1,P2)를 구분하는 격벽(119)이 형성 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일측면이 상기 격벽(119)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되어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P2)를 각각 유동하는 공기가 상대측으로 리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가 최대냉방모드 또는 최대난방모드에 위치할 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양단부에 형성된 절곡부(155)가 삽입되도록 하여 실링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실링홈(1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양단부에 상기 절곡부(155)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강도가 향상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풍압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50)가 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가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할 때, 슬라이딩 도어(150)의 양단부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실링홈(103)에 걸리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는 용융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사출 성형시 용융 재료를 금형에 주입하는 위치의 슬라이딩 도어(150) 표면상에는 필연적으로 돌기부(175)가 형성된다.
즉, 금형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 복수개의 위치에서 수지를 주입하게 되고, 이때 수지를 주입한 후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상에 도 6 및 도 7의 돌기부(175)와 같은 수지 주입 자국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를 사출 성형 후 금형으로부터 취출하기 위해 복수개의 밀핀이 슬라이딩 도어(150)를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밀핀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의 슬라이딩 도어(150)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밀핀 자국(미도시)이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통상적인 금형에서는 수지 주입부와 밀핀이 한쪽에 모두 배치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일측 표면에는 반드시 수지 주입 자국 또는 밀핀 자국이 생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사출 성형시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상에 필연적으로 형성되는 수지 주입 자국 또는 밀핀 자국과 같은 돌기부(175)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150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175)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150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도 6 내지 도 8과 같다.
먼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돌기부(175) 둘레의 표면(150a)상에 요입홈(171)을 형성하여 상기 요입홈(171) 내부에 상기 돌기부(175)가 배치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상기 돌기부(175)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150a) 보다 돌출되지 않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돌기부(175)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요입홈(171) 내부에 형성되게 되므로, 결국 상기 돌기부(175)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150a) 보다 돌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요입홈(171)의 깊이(D)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평판 두께(T) 보다 작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요입홈(171)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되, 금형의 복수개 밀핀 또는 복수개 수지 주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요입홈(171)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양측 표면 중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대향하여 슬라이딩 되는 일측 표면(150a)상에 형성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온풍통로(P1,P2)를 구분하는 격벽(119)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요입홈(171)은 상기 격벽(119)과 접촉하는 일측 표면(150a)상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요입홈(171)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150a)에 복수개가 형성되더라도 상기 요입홈(171) 주변의 면이 상기 격벽(119)에 면접촉하므로 공기가 리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요입홈(171)의 면적은 상기 돌기부(175)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171)의 깊이(D)는 상기 돌기부(175)의 높이(H)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175)가 상기 요입홈(171)내에 형성되면서 요입홈(171)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 보다 돌출되지 않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돌기부(175)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후가공이 필요없어 제조비용 및 공정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어서 매끄럽고 균일한 도어 조작력 및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와 공조케이스(110)가 원활하게 면 접촉되어 공기의 리크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와 공조케이스(110)간에 긁힘 및 작동소음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는, 상기 요입홈(171)이 형성된 반대편 표면이 돌출 형성된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일측 표면에 요입홈(171)을 형성함에 따라 반대편 표면에는 돌출부(172)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171)의 반대편 표면은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돌출부(172)를 형성해도 문제가 되지 않으며, 오히려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에 돌출부(172)를 형성하여 단차지게 구성함으로써 강도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도 6과 같이 슬라이딩 도어(150)의 요입홈(171) 반대편 표면에 돌출부(172)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요입홈(171)의 깊이(D)를 도 7의 요입홈(171) 보다 크게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두께를 더욱 줄이면서도 상기 요입홈(171)의 깊이(D)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슬라이딩 도어(150)의 두께를 줄이더라도 상기 돌기부(175)가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150a)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가 굴곡부(153)가 형성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상기 돌기부(175)를 상기 굴곡부(153)의 오목면에 형성하되 상기 굴곡부(153)의 볼록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게 되면, 상기 돌기부(175)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150a) 보다 돌출되지 않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돌기부(175)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굴곡부(153)의 오목면상에 형성되게 되고,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150a)에서부터 오목면까지의 깊이 보다 상기 돌기부(175)의 높이(H)가 작기 때문에 상기 돌기부(175)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150a) 보다 돌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175)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대향하여 슬라이딩 되는 일측 표면(150a)의 오목면상에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의 강도 보강을 위해 굴곡부(153)를 형성한 구조에서는 도 6 및 도 7과 같은 별도의 요입홈(171)을 형성할 필요 없이 상기 굴곡부(153)의 오옥면상에 돌기부(17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30)의 조립은, 도 9와 같이, 좌,우측케이스(110b,110c)의 내부에 기어샤프트(140)를 먼저 조립한 상태에서 좌,우측케이스(110b,110c)의 하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를 밀어넣어 조립하게 되며, 이후 상기 좌,우측케이스(110b,110c)의 하부에 하부케이스(110d)를 조립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토출구(116)를 개폐하는 모드도어(120)는, 공조장치(100)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상기 온도조절도어(130)와 같이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샤프트(121)와, 상기 기어샤프트(121)에 맞물림과 아울러 기어샤프트(121)의 회전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상기 공기토출구(116)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122)로 구성된다.
상기 모드도어(120)의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2)가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모드도어(120)의 슬라이딩 도어(122)에도 상기 요입홈(171) 구조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온도조절도어(130)를 이용한 공조모드 중 최대냉방모드와 최대난방모드 및 믹싱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가. 최대냉방모드
최대냉방모드는 도 10과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130)의 기어샤프트(140)의 작동으로 슬라이딩 도어(150)가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로인해 냉풍통로(P1)는 개방되고 온풍통로(P2)는 폐쇄된다.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풍은 온도조절도어(130)에 의해 개방된 냉풍통로(P1)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한 후, 상기 모드도어(120)에 의해 개방된 특정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나. 최대난방모드
최대난방모드는 도 11과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130)의 기어샤프트(140)의 작동으로 슬라이딩 도어(150)가 상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로인해 냉풍통로(P1)는 폐쇄되고 온풍통로(P2)는 개방된다.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통과한 후 온도조절도어(130)에 의해 개방된 온풍통로(P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히터코어(102)와 열교환을 통해 온풍으로 바뀐 뒤, 상기 모드도어(120)에 의해 개방된 특정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다. 믹싱모드
믹싱모드는 도 12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130)의 기어샤프트(140)의 작동으로 슬라이딩 도어(150)가 중립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로인해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P2)가 모두 개방된다.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풍 중 일부는 냉풍통로(P1)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게 되고, 일부는 온풍통로(P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히터코어(102)와 열교환을 통해 온풍으로 바뀌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냉풍통로(P1)를 통과한 냉풍과 상기 온풍통로(P2)를 통과한 온풍은 서로 혼합된 후, 상기 모드도어(120)에 의해 개방된 특정 공기토출구(116)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적절한 온도로 조절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기부(175)가 슬라이딩 도어(150)의 표면(150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한 슬라이딩 도어(150) 구조를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 쓰리피스 타입 공조장치, 좌,우 독립 공조장치 등 다양한 공조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03: 실링홈
110: 공조케이스 110a: 상부케이스
110b: 좌측케이스 110c: 우측케이스
110d: 하부케이스 110e: 공기통로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트스 벤트 113: 페이스 벤트
114,115: 플로어 벤트 116: 공기토출구
117: 구획벽 118: 레일홈부
119: 격벽
120: 모드도어
130: 온도조절도어 140: 기어샤프트
141: 기어부 150: 슬라이딩 도어
151: 레일부 152: 기어홈
155: 절곡부 160: 액츄에이터
171: 요입홈 175: 돌기부

Claims (7)

  1. 일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116)를 연결하도록 공기통로(110e)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110e)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통로(110e)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도어(150,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122)는, 용융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용융 재료를 금형에 주입하는 위치의 슬라이드 도어(150,122) 표면상에 돌기부(175)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75)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1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122)는, 상기 돌기부(175) 둘레의 표면상에 요입홈(171)을 형성하여 상기 요입홈(171) 내부에 상기 돌기부(175)가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171)의 면적은 상기 돌기부(175)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171)의 깊이(D)는 상기 돌기부(175)의 높이(H)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171)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122)의 양측 표면 중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대향하여 슬라이딩 되는 일측 표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122)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요입홈(171)의 깊이(D)는 상기 평판 두께(T)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122)는, 상기 요입홈(171)이 형성된 반대편 표면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50,122)는, 굴곡부(153)가 형성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175)는 상기 굴곡부(153)의 오목면에 형성되되 상기 굴곡부(153)의 볼록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068379A 2012-06-26 2012-06-26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4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8379A KR101484716B1 (ko) 2012-06-26 2012-06-26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8379A KR101484716B1 (ko) 2012-06-26 2012-06-26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36A true KR20140001336A (ko) 2014-01-07
KR101484716B1 KR101484716B1 (ko) 2015-01-21

Family

ID=5013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8379A KR101484716B1 (ko) 2012-06-26 2012-06-26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250A (ko) * 2018-10-24 2020-05-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3377A (ja) * 2000-09-27 2002-04-09 Fuji Photo Film Co Ltd 射出成型品のゲート跡処理装置。
KR20110088683A (ko) * 2010-01-29 2011-08-0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0967B1 (ko) * 2010-05-17 2013-01-1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EP2585285B1 (en) 2010-06-22 2021-10-06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injection molding contact len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250A (ko) * 2018-10-24 2020-05-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716B1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2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EP2046590A1 (en) Assembling structure of temperature- adjusting door
KR1019410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194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49724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4847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366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02804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499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09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251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251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13621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34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0682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44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668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7482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01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10594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7194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886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997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8932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3503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