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002U -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002U
KR20140001002U KR2020120006963U KR20120006963U KR20140001002U KR 20140001002 U KR20140001002 U KR 20140001002U KR 2020120006963 U KR2020120006963 U KR 2020120006963U KR 20120006963 U KR20120006963 U KR 20120006963U KR 20140001002 U KR20140001002 U KR 201400010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pet
pets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302Y1 (ko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이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영 filed Critical 이기영
Priority to KR2020120006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0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0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견이나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을 목욕시킨 후, 신속하게 털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 동물을 수납하여 인력 소요 없이 자동으로 애완동물의 털을 신속하게 건조시킴에 있어, 물기에 젖은 애완동물의 털을 원적외선과 온풍의 통풍작용으로 수분을 건조시켜 제거하고 공기청정기의 항균 및 탈취기능으로 애완동물이 쾌적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수분을 건조하며 애완동물의 피부 및 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피부염이나 상처, 기타질병 등의 치료효과를 향상시켜 애완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키며 세균, 털, 미세먼지 등 사람에게 유해한 요소를 제거하여 보다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애완동물의 미용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테이블을 구비하여 애완동물의 미용작업과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건조시키는 작업을 일괄되게 처리할 수 있어 작업을 위해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건조시 발생되는 수분은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고 애완동물의 몸에 원적외선과 온풍으로 물기의 건조작업이 신속히 진행되어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고, 피부염이나 상처, 기타 피부질병 등의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키며 애완동물의 털을 필터로 여과시켜 실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온도의 열풍이 아닌 훈훈한 온풍으로 신속하게 건조시켜 애완동물의 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공기의 흡입 및 내부공기의 배출은 필터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애완동물의 털이 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애완동물의 배설물 등을 서랍을 이용하여 간단히 제거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청정기를 통과시켜 공기 중에 먼지 및 세균 등을 제거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원적외선과 함께 애완동물이 쾌적한 환경에서 수분을 제거하며 애완동물의 피로회복 및 세포를 활성화시켜 애완동물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건조장치{Pet Drying Equipment}
본 고안은 애완견이나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을 목욕시킨 후, 신속하게 털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 동물을 수납하여 인력 소요 없이 자동으로 애완동물의 털을 신속하게 건조시킴에 있어, 물기에 젖은 애완동물의 털을 원적외선과 온풍의 통풍작용으로 수분을 건조시켜 제거하고 공기청정기의 항균 및 탈취기능으로 애완동물이 쾌적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수분을 건조하며 애완동물의 피부 및 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피부염이나 상처, 기타질병 등의 치료효과를 향상시켜 애완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키며 세균, 털, 미세먼지 등 사람에게 유해한 요소를 제거하여 보다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애완동물의 건조작업을 마친 후에 애완동물의 미용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테이블을 구비하여 애완동물의 미용작업과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건조시켜 말리는 작업과 애완동물의 미용작업을 일괄 되게 처리할 수 있어 애완동물의 관리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는,
특허 제460591호 "애완동물 세척장치",
특허 제1127110호 "애완견 건조기",
실용신안 제315779호 "애완동물 살균기",
실용신안 제340451호 "애완동물용 통건조기",
실용신안 제340472호 "애완동물용 미용 작업대",
실용신안 제398311호 "애완동물용 건조기",
실용신안 417604호 "애완동물용 건조기",
실용신안 제437871호 "애완동물 건조기",
실용신안 제438376호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02870호 "애완동물의 검사, 세정, 소독과 기생충 제거, 및 수동마사지를 위한 스테이션",
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103046호 "공기청정기겸용 모발건조기",
특허 공개번호 제10-2008-0068977호 "애완동물용 건조기",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124401호 "접이식 히터가 구비된 모발 건조장치",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17532호 "원적외선 기능이 구비된 애완동물용 사우나",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36519호 "애완동물 위생 관리기구",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1-0011502호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등이 있다.
현대사회에서 생활수준의 향상과 핵가족화에 따른 독신가구의 증가에 따른 정서적 요구의 증대 등 다양한 이유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애견샵, 애견카페, 동물병원 등 애완동물과 관련된 관련업종들도 발전하고 있다.
도시화에 따른 아파트와 같은 집단 공동주택에 있어서는 애완동물을 집 밖에서 키울 수 없어 자연스럽게 사람과 함께 생활하면서 집안에서 애완동물을 키우게 된다.
따라서, 집안에서 사람과 같이 생활하므로 집 밖에서 키우는 애완동물보다 더욱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애완동물의 종류도 전통적인 개와 고양이 분만 아니라, 기타 다른 포유류나 파충류, 양서류 등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데, 아직까지도 가장 주종을 이루는 것은 역시 포유류가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애완동물 가운데에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은 주거 문화의 변화에 따라 실내에서 거주하며 사람과 같이 생활하므로 청결에 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 하고, 그로 인해 자주 목욕을 시켜 애완동물의 특유의 냄새 및 악취를 제거하고, 털에 포함된 세균이나 진드기, 먼지 등을 제거하여 청결 상태를 유지시켜주어야 한다.
실내에서 사람과 같이 생활하는 개나 고양이 같은 털이 있는 애완동물은 통상 일주일에서 열흘을 주기로 목욕을 시켜 청결상태를 유지시켜주는데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후, 털을 건조시켜주는 과정에서 애완동믈의 특성상 몸을 심하게 흔들어 자신의 몸에 묻어 있는 물기를 털어내어, 털과 물방울 등이 비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가만히 있지 않고 움직여 수건이나 드라이기 등을 사용하여 젖은 털을 말리는데에는 많은 시간과 정성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고 어느 정도의 수분만 제거하게 되어 애완동물의 체온이 떨어져 감기와 같은 병을 유발하거나 물기로 인해 피부병과 같은 질병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통상적으로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뒤, 수건으로 물기를 적당히 제거하고, 드라이기를 사용하여 피부나 털에 남은 물기를 제거시켜주고 있으나, 이 경우 한손으로 드라이기를 작동시키고, 다른 손으로 애완동물을 붙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힘들고 바람에 털이 날리게 되는 등 상당한 어려움과 불편이 야기되며,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게 될 때에는 애완동물을 실내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드라이어로 털을 건조시켜 빠진 털이 실내로 비산되어 실내를 오염시켜게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 비염 등의 질병을 야기시키게 되며, 미세한 애완동물의 털은 바람에 흩날려 공기를 오염시키는데, 애완동물의 털에는 박테리아나 기타 미생물이 기생하여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애완동물은 사람이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일반 헤어드라이기는 부피 때문에 작은 모터를 사용하여 고속으로 회전시켜 바람을 내기 때문에 사람은 들을 수 없는 초음파를 포함한 매우 짜증스러운 소음이 발생되어 사람보다 통상 5배 이상의 예민한 청력을 지닌 애완동물에게는 매우 짜쯩스럽고 공포감을 주며, 헤어드라이기의 토출구 온도는 대략 60도 전후로 높은 온도를 내는데 털에 감싸져 있는 애완동물의 피부는 사람보다 약하여 헤어드라이어에서 발생되는 높은 온도의 열풍이 애완동물에 직접 쐬면 심한 고통으로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애완동물의 털을 전문적으로 깎아주거나 다듬어 주는 애완동물 미용실이나 동물병원 등에 있어서 애완동물의 목욕 후 젖은 털을 말리고 난 후에, 미용작업을 위해 스탠드드라이기나 별도의 작업대를 이용하는 등의 적지않은 시간과 수고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애완동물을 건조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건조장치(10)로,
하방에 이동수단인 바퀴(11)를 갖는 사각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각케이스 내측에는 건조실이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 내측에는 조명장치와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송풍장치가 구비되며, 내부의 공기는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으며, 사각케이스 전면에는 내부가 투시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된 개폐문(12)을 가지며, 사각케이스 일측에 각종 조작스위치가 설치된 제어판넬(15)을 갖는 것에 있어서,
사각케이스를 적어도 일측면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21)를 갖는 외부케이스(20)와 적어도 일측면에 공기순환구(31)를 갖는 내부케이스(30)를 서로 독립된 두 부분으로 구성하되, 상기 외부케이스(20) 상면 외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22)를 형성하여 상기 테두리(22) 내측을 애완동물 미용작업을 위한 작업테이블(23)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케이스(20)의 내측에 장착되는 내부케이스(30)는 외부케이스(20)와 서로 밀접하지 않고 공기통로(40)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을 갖도록 하며, 상기 외부케이스(20)와 내부케이스(30) 사이에는 공기소통케이스(50)를 가지며, 상기 공기소통케이스(50) 외측에는 공기소통케이스(50)내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통로(40)로 송풍하는 송풍기(60)가 장착되며, 상기 공기소통케이스(50)와 외부케이스(20)의 외기유입구(21) 사이에는 제1여과필터(51)를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스(30)의 공기순환구(31)와 공기소통케이스(50) 사이에는 제2여과필터(52)를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스(30)의 상면과 측면에는 공기통로(40)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송풍구(32)를 각각 가지되 내부케이스 하부모서리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보조송풍구(33)를 가지며, 내부케이스(30)에는 내부공기배출구(34)를 가지며, 상기 내부공기배출구(34)는 외부케이스(20)의 외부공기배출구(24)와 연결되어지는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20)의 외부공기배출구(24)에는 교환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여과필터(53)를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스(30) 바닥에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는 구조로 되는 발판(35)을 가지며, 상기 발판(35)은 내부케이스(30)와 착탈이 가능한 분리구조로 됨과 동시에 인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가지며, 상기 발판(35)하방에는 외부케이스(20) 밖으로 자유롭게 인출이 가능한 서랍식으로 된 받침판(36)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작업테이블(23) 일측 또는 외부케이스(20) 일측면에 구멍(25)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25)은 외부케이스(20) 내측의 송풍기(60)와 연결된 공기통로(40)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테이블(23) 또는 외부케이스(20) 일측면에 형성한 구멍(25)에 플랙시블 주름관(27)을 연결하여 송풍기(60)의 바람을 외측으로 송풍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공기소통케이스(50) 외측의 송풍기(60) 일측에는 먼지와 세균을 제거하며 음이온을 발생하는 공기청정기(61)와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2)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내부케이스(30)에 장착되는 조명장치는 보통의 조명등(37)과 열과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등(38) 2개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외부케이스(30)에는 제1필터체결구멍(28), 제2필터체결구멍(29)을 각각 가지며, 상기 제1여과필터(51) 및 제2여과필터(52)가 상기 제1필터체결구멍(28), 제2필터체결구멍(29)을 통해 외부케이스(20) 내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미용작업을 위한 테이블을 건조장치의 상부에 두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장치의 송풍장치에 플랙시블주름관을 연결해 송풍기의 바람을 외측으로 송풍가능하게 하여 상기 테이블에서 애완동물의 털을 말린 후 마무리작업을 위해 스탠드드라이기를 사용하거나 다른 작업대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건조시 발생되는 수분은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고 애완동물의 몸에 원적외선과 온풍으로 물기의 건조작업이 신속히 진행되어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고, 피부염이나 상처, 기타 피부질병 등의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키며 애완동물의 털을 필터로 여과시켜 실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온도의 열풍이 아닌 훈훈한 온풍으로 신속하게 건조시켜 애완동물의 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공기의 흡입 및 내부공기의 배출은 필터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애완동물의 털이 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애완동물의 배설물 등을 서랍을 이용하여 간단히 제거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청정기를 통과시켜 공기중에 먼지 및 세균 등을 제거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원적외선과 함께 애완동물이 쾌적한 환경에서 수분을 제거하며 애완동물의 피로회복 및 세포를 활성화시켜 애완동물이 건강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 - 본 고안에 있어서, 개폐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4 - 본 고안에 있어서, 제1여과필터와 제2여과필터가 자유롭게 착탈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 - 본 고안에 있어서, 케이스 후면의 제3여과필터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6 - 본 고안의 개략 단면도.
도 7 - 본 고안에 있어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내부케이스의 개략단면도.
도 8 - 본 고안의 타 실시 예의 사시도.
도 9 - 본 고안의 타 실시 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0 - 본 고안의 타 실시 예의 개략 단면도.
도 11 - 본 고안의 또 다른 타 실시 예의 사시도.
도 12 - 본 고안의 또 다른 타 실시 예의 후면 사용 상태도.
애완동물을 건조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건조장치(10)로,
하방에 이동수단인 바퀴(11)를 갖는 사각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각케이스 내측에는 건조실이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 내측에는 조명장치와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송풍장치가 구비되며, 내부의 공기는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으며, 사각케이스 전면에는 내부가 투시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된 개폐문(12)을 가지며, 사각케이스 일측에 각종 조작스위치가 설치된 제어판넬(15)을 갖는 것에 있어서,
사각케이스를 적어도 일측면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21)를 갖는 외부케이스(20)와 적어도 일측면에 공기순환구(31)를 갖는 내부케이스(30)를 서로 독립된 두 부분으로 구성하되, 상기 외부케이스(20) 상면 외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22)를 형성하여 상기 테두리(22) 내측을 애완동물 미용작업을 위한 작업테이블(23)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케이스(20)의 내측에 장착되는 내부케이스(30)는 외부케이스(20)와 서로 밀접하지 않고 공기통로(40)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을 갖도록 하며, 상기 외부케이스(20)와 내부케이스(30) 사이에는 공기소통케이스(50)를 가지며, 상기 공기소통케이스(50) 외측에는 공기소통케이스(50)내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통로(40)로 송풍하는 송풍기(60)가 장착되며, 상기 공기소통케이스(50)와 외부케이스(20)의 외기유입구(21) 사이에는 제1여과필터(51)를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스(30)의 공기순환구(31)와 공기소통케이스(50) 사이에는 제2여과필터(52)를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스(30)의 상면과 측면에는 공기통로(40)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송풍구(32)를 각각 가지되 내부케이스 하부모서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보조송풍구(33)를 가지며, 내부케이스(30)에는 내부공기배출구(34)를 가지며, 상기 내부공기배출구(34)는 외부케이스(20)의 외부공기배출구(24)와 연결되어지는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20)의 외부공기배출구(24)에는 교환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여과필터(53)를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스(30) 바닥에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는 구조로 되는 발판(35)을 가지며, 상기 발판(35)은 내부케이스(30)와 착탈이 가능한 분리구조로 됨과 동시에 인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가지며, 상기 발판(35)하방에는 외부케이스(20) 밖으로 자유롭게 인출이 가능한 서랍식으로 된 받침판(36)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작업테이블(23) 일측 또는 외부케이스(20) 일측면에 구멍(25)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25)은 외부케이스(20) 내측의 송풍기(60)와 연결된 공기통로(40)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테이블(23) 또는 외부케이스(20) 일측면에 형성한 구멍(25)에 플랙시블 주름관(27)을 연결하여 송풍기(60)의 바람을 외측으로 송풍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공기소통케이스(50) 외측의 송풍기(60) 일측에는 먼지와 세균을 제거하며 음이온을 발생하는 공기청정기(61)와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2)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내부케이스(30)에 장착되는 조명장치는 보통의 조명등(37)과 열과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등(38) 2개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외부케이스(30)에는 제1필터체결구멍(28), 제2필터체결구멍(29)을 각각 가지며, 상기 제1여과필터(51) 및 제2여과필터(52)가 상기 제1필터체결구멍(28), 제2필터체결구멍(29)을 통해 외부케이스(20) 내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건조시키기 위한 애완동물용 건조장치(10)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에 이동수단인 바퀴(11)를 갖는 사각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각케이스 내측에는 건조실이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 내측에는 조명장치와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송풍장치가 구비되며, 내부의 공기는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으며, 사각케이스 전면에는 애완동물이 패쇄된 공간에 갇혀 발작을 일으키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내부가 투시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된 개폐문(12)을 가지는데 애완동물이 발톱 등에 긁히거나 혹시 모를 외부의 충격에서 애완동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투명강화유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사각케이스 일측에는 전원스위치와 애완동물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적당한 송풍 및 온도를 맞추기 위한 송풍기스위치와 히터스위치, 외부공기의 먼지 및 세균 등을 제거하며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공기청정기스위치 및 내부케이스(3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조절스위치, 조명등스위치, 원적외선등스위치 및 타이머 등 각종 조작스위치가 설치된 제어판넬(15)을 갖으며, 사각케이스를 적어도 일측면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21)를 갖는 외부케이스(20)와 적어도 일측면에 공기순환구(31)를 갖는 내부케이스(30)를 서로 독립된 두 부분으로 구성하며, 상기 외부케이스(20) 상면 외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22)를 형성하여 상기 테두리(22) 내측을 애완동물 미용작업을 위한 작업테이블(23)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다 건조시킨 후에 미용작업등을 이동하지 않고 할 수 있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케이스(20)의 내측에 장착되는 내부케이스(30)는 외부케이스(20)와 서로 밀접하지 않고 공기통로(40)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을 갖도록 하며, 상기 외부케이스(20)와 내부케이스(30) 사이에는 공기소통케이스(50)를 가지고, 상기 공기소통케이스(50) 외측에는 공기소통케이스(50)내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통로(40)로 송풍하는 송풍기(60)가 장착되며, 상기 공기소통케이스(50)와 외부케이스(20)의 외기유입구(21) 사이에는 제1여과필터(51)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를 1차적으로 걸려주고, 상기 내부케이스(30)의 공기순환구(31)와 공기소통케이스(50) 사이에는 제2여과필터(52)가 구비되어 애완동물의 미세한 털 및 애완동물에 묻은 물기가 송풍기 및 외부로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내부케이스(30)의 상면과 측면에는 공기통로(40)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송풍구(32)를 각각 가지되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30) 하부모서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보조송풍구(33)를 가지며,
또한, 도 5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30)에는 내부공기배출구(34)를 가지며, 상기 내부공기배출구(34)는 외부케이스(20)의 외부공기배출구(24)와 연결되어 지는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20)의 외부공기배출구(24)에는 교환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여과필터(53)가 구비되어 애완동물의 미세한 털 및 세균등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며,
도 3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30) 바닥에는 철망구조, 타공판구조, 그릴구조 등과 같이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는 발판(35)을 가지며, 상기 발판(35)은 내부케이스(30)와 착탈이 가능한 분리구조로 됨과 동시에 인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가지며, 상기 발판(35)하방에는 외부케이스(20) 밖으로 자유롭게 인출이 가능한 서랍식으로 된 받침판(36)을 갖도록 하여 애완동물 배설물의 통과가 용이하게 하며 그 처리도 용이하다.
상기 공기소통케이스(50) 외측의 송풍기(60) 일측에는 먼지와 세균을 제거하며 음이온을 발생하는 공기청정기(61)와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2)를 설치하여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유입구에서 공급된 외부공기를 제1여과필터를 거쳐 1차적으로 걸려주고 이를 송풍기흡입구(63)를 통해 흡입하여 송풍기(60)의 토출측에 공기청정기(61)로 다시 한번 먼지와 세균을 제거하고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상기 공기청정기에는 플라즈마방식과 이온클러스터 방식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청정기(61)를 지난 외기를 히터(62)를 이용하여 온도를 가열하는데, 60℃ 이상의 뜨거운 열풍이 아닌 50℃미만의 온풍으로 가열하게 되며 상기 제어판넬(15)의 온도제어기로 온도조절 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에 장착되는 조명장치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삼파장등, LED등 등의 보통의 조명등(37)과 열과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등(38) 2개로 구성되어 그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30)에는 제1필터체결구멍(28), 제2필터체결구멍(29)을 각각 가지며, 상기 제1여과필터(51) 및 제2여과필터(52)가 상기 제1필터체결구멍(28), 제2필터체결구멍(29)을 통해 외부케이스(20) 내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되도록 하여 편리하게 필터의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하다.
본 고안의 타 실시 예로 도 8 내지 도 1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테이블(23) 일측에 구멍(25)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25)은 외부케이스(20) 내측의 송풍기(60)와 연결된 공기통로(40)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작업테이블(23) 일측에 형성한 구멍(25)에 플랙시블 주름관(27)을 연결하여 송풍기(60)의 바람을 외측으로 송풍가능하게 하였으며,
또 다른 타 실시 예로 외부케이스(20) 일측면에 구멍(25)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25)은 외부케이스(20) 내측의 송풍기(60)와 연결된 공기통로(40)와 연결되게 하여, 상기 외부케이스(20) 일측면에 형성한 구멍(25)에 플랙시블 주름관(27)을 연결하여 송풍기(60)의 바람을 외측으로 송풍가능하게 하여 작업테이블에서 애완동물의 미용작업에 있어 드라이어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말린 후 마무리작업을 위해 스탠드드라이기를 사용하거나 다른 작업대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는 효과가 있게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애완동물용건조기 11 - 바퀴
12 - 개폐문 13 - 시건장치
15 - 제어판넬 20 - 외부케이스
21 - 외기유입구 22 - 테두리
23 - 작업테이블 24 - 외부공기배출구
25 - 구멍 27 - 플랙시블주름관
28 - 제1필터체결구멍 29 - 제2필터체결구멍
30 - 내부케이스 31 - 공기순환구
32 - 송풍구 33 - 보조송풍구
34 - 내부공기베출구 35 - 발판
36 - 받침판 37 - 조명등
38 - 적외선등 40 - 공기통로
50 - 공기소통케이스 51 - 제1여과필터
52 - 제2여과필터 53 - 제3여과필터
60 - 송풍기 61 - 공기청정기
62 - 히터 63 - 송풍기흡입구

Claims (5)

  1. 애완동물을 건조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건조장치(10)로,
    하방에 이동수단인 바퀴(11)를 갖는 사각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각케이스 내측에는 건조실이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 내측에는 조명장치와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송풍장치가 구비되며, 내부의 공기는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으며, 사각케이스 전면에는 내부가 투시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된 개폐문(12)을 가지며, 사각케이스 일측에 각종 조작스위치가 설치된 제어판넬(15)을 갖는 것에 있어서,
    사각케이스를 적어도 일측면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21)를 갖는 외부케이스(20)와 적어도 일측면에 공기순환구(31)를 갖는 내부케이스(30)를 서로 독립된 두 부분으로 구성하되, 상기 외부케이스(20) 상면 외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22)를 형성하여 상기 테두리(22) 내측을 애완동물 미용작업을 위한 작업테이블(23)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케이스(20)의 내측에 장착되는 내부케이스(30)는 외부케이스(20)와 서로 밀접하지 않고 공기통로(40)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을 갖도록 하며, 상기 외부케이스(20)와 내부케이스(30) 사이에는 공기소통케이스(50)를 가지며, 상기 공기소통케이스(50) 외측에는 공기소통케이스(50)내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통로(40)로 송풍하는 송풍기(60)가 장착되며, 상기 공기소통케이스(50)와 외부케이스(20)의 외기유입구(21) 사이에는 제1여과필터(51)를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스(30)의 공기순환구(31)와 공기소통케이스(50) 사이에는 제2여과필터(52)를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스(30)의 상면과 측면에는 공기통로(40)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송풍구(32)를 각각 가지되 내부케이스 하부모서리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보조송풍구(33)를 가지며, 내부케이스(30)에는 내부공기배출구(34)를 가지며, 상기 내부공기배출구(34)는 외부케이스(20)의 외부공기배출구(24)와 연결되어지는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20)의 외부공기배출구(24)에는 교환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여과필터(53)를 가지며 상기 내부케이스(30) 바닥에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는 구조로 되는 발판(35)을 가지며, 상기 발판(35)은 내부케이스(30)와 착탈이 가능한 분리구조로 됨과 동시에 인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가지며, 상기 발판(35)하방에는 외부케이스(20) 밖으로 자유롭게 인출이 가능한 서랍식으로 된 받침판(36)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테이블(23) 일측 또는 외부케이스(20) 일측면에 구멍(25)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25)은 외부케이스(20) 내측의 송풍기(60)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테이블(23) 또는 외부케이스(20) 일측면에 형성한 구멍(25)에 플랙시블 주름관(27)을 연결하여 송풍기(60)의 바람을 외측으로 송풍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공기소통케이스(50) 외측의 송풍기(60) 일측에는 먼지와 세균을 제거하며 음이온을 발생하는 공기청정기(61)와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케이스(30)에 장착되는 조명장치는 보통의 조명등(37)과 열과 적외선을 발생하는 적외선등(38) 2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케이스(30)에는 제1필터체결구멍(28), 제2필터체결구멍(29)을 각각 가지며, 상기 제1여과필터(51) 및 제2여과필터(52)가 상기 제1필터체결구멍(28), 제2필터체결구멍(29)을 통해 외부케이스(20) 내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2020120006963U 2012-08-02 2012-08-02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200472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63U KR200472302Y1 (ko) 2012-08-02 2012-08-02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63U KR200472302Y1 (ko) 2012-08-02 2012-08-02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02U true KR20140001002U (ko) 2014-02-14
KR200472302Y1 KR200472302Y1 (ko) 2014-04-18

Family

ID=5148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963U KR200472302Y1 (ko) 2012-08-02 2012-08-02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0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03B1 (ko) * 2015-07-22 2016-08-30 이신호 애완동물 건조 장치
CN107912325A (zh) * 2016-10-07 2018-04-17 李伸浩 宠物毛发干燥装置
CN111869587A (zh) * 2019-05-03 2020-11-03 福库电子株式会社 宠物吹风机
KR200493055Y1 (ko) * 2019-11-20 2021-01-25 주식회사 태원에스아이 반려동물의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KR20210050332A (ko) *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레이바이오 광 조사와 온풍공급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장치
KR102349761B1 (ko) * 2021-10-18 2022-01-11 (주)엠케이비즈 반려견샤워부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824B1 (ko) * 2014-06-11 2016-11-30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드라이 룸
KR101609560B1 (ko) * 2014-07-22 2016-04-06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KR101628187B1 (ko) * 2014-07-22 2016-06-08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다기능 팬 모듈
KR101672185B1 (ko) 2015-10-28 2016-11-03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애완동물용 건조기의 분사 노즐 배치 구조
KR101840655B1 (ko)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KR101971577B1 (ko) * 2018-05-21 2019-04-23 주식회사 페페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KR102041948B1 (ko) * 2018-05-21 2019-11-07 주식회사 페페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용 도어의 구조
KR102010363B1 (ko) * 2018-05-21 2019-08-13 주식회사 페페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KR20200037041A (ko) * 2018-09-29 2020-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 목욕기
KR20200068892A (ko) 2018-12-06 2020-06-16 (주)씨엔티 펫 드라이어
KR102017129B1 (ko) * 2019-03-11 2019-09-03 주식회사 사비코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102247202B1 (ko) 2020-03-23 2021-05-03 김근영 반려동물용 피부 관리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33U (ko) * 1989-06-16 1991-01-31
KR20070093788A (ko) * 2006-10-19 2007-09-19 주식회사 세미클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0462906Y1 (ko) * 2010-06-07 2012-10-09 우장근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03B1 (ko) * 2015-07-22 2016-08-30 이신호 애완동물 건조 장치
CN107912325A (zh) * 2016-10-07 2018-04-17 李伸浩 宠物毛发干燥装置
CN111869587A (zh) * 2019-05-03 2020-11-03 福库电子株式会社 宠物吹风机
CN111869587B (zh) * 2019-05-03 2022-05-10 福库电子株式会社 宠物吹风机
KR20210050332A (ko) *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레이바이오 광 조사와 온풍공급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장치
KR200493055Y1 (ko) * 2019-11-20 2021-01-25 주식회사 태원에스아이 반려동물의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KR102349761B1 (ko) * 2021-10-18 2022-01-11 (주)엠케이비즈 반려견샤워부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302Y1 (ko) 201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302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US11317605B2 (en) Pet dry room and tray used therefor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KR200462906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20160011469A (ko)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CN205783264U (zh) 杀菌加湿空气净化型取暖器
KR20140040326A (ko) 애완동물용 털건조, 피부치료, 정신치료 힐링시스템 및 기기
CN208175742U (zh) 一种宠物烘干装置
KR101966438B1 (ko)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KR102329659B1 (ko) 옷장용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1930A (ko)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102063213B1 (ko) 다기능 펫 드라이룸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KR200398311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CN205640544U (zh) 一种具有加热除湿功能的多功能灯具
KR102015799B1 (ko) 글로브 박스형 펫 드라이룸
KR200437871Y1 (ko) 애완동물 건조기
KR101127110B1 (ko) 애완견 건조기
KR20070093788A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CN213663093U (zh) 用于宠物的皮毛处理一体机及皮毛处理系统
KR200340472Y1 (ko) 애완동물 미용 작업대
TWM561998U (zh) 寵物除毛裝置
CN209732274U (zh) 一种宠物烘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