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892A - 펫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펫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892A
KR20200068892A KR1020180155796A KR20180155796A KR20200068892A KR 20200068892 A KR20200068892 A KR 20200068892A KR 1020180155796 A KR1020180155796 A KR 1020180155796A KR 20180155796 A KR20180155796 A KR 20180155796A KR 20200068892 A KR20200068892 A KR 20200068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pet
duct
low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시풍
Original Assignee
(주)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티 filed Critical (주)씨엔티
Priority to KR102018015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8892A/ko
Publication of KR2020006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on or in moving dishes, trays, pans, or other mainly-open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수용부 하부에 위치하여, 애완동물이 안착가능하되, 상기 내부수용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하부트레이 및 상기 내부수용부의 일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하부트레이의 좌우측단에서 상향 절곡된 좌우측벽에 형성된 제1 공기유입구와, 상기 하부트레이의 후단에서 상향 절곡된 후측벽에 형성된 제2 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펫 드라이어 {PET DRYER}
본 발명은 펫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털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펫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 핵가족화, 독신가구나 노령인구의 증가, 정서적 요구의 증대 등 다양한 이유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애완동물들도 사람과 같이 위생과 건강을 위해 자주 목욕을 해주어야 하는데, 개나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의 경우 일반적으로 신체에 많은 털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목욕 자체도 쉽지 않은 작업이 될 뿐더러, 목욕 후에 젖은 털을 건조시켜 주어야 하므로, 애완동물의 관리에 있어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다.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사람이 모발 건조를 위해 사용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열풍 건조시킬 수 있으나, 애완동물의 경우에는 털이 젖으면 몸을 흔들어 털어내려고 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건조 중에 자주 몸을 흔들어 주변에 물과 털이 튀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안겨주고 건조 후 청소가 필요하여 번거로움을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목욕이 익숙해지기 전이나 동물의 습성으로 인해, 건조시키는 동안 동물이 계속 몸을 움직이거나 다른 곳으로 도망가려 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동물을 손으로 잡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더욱 번거롭게 되고 건조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된다.
더욱이,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할 경우, 국소적으로만 열풍을 공급하게 되므로, 동물의 전체 털을 건조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신속한 건조를 위해 열풍 온도를 높일 경우, 과도한 열로 인해 털이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또, 헤어드라이어로 털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털이 빠져서 날리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애완동물의 털을 자동으로 건조시키는 펫 드라이어(또는 애완동물용 건조기)가 등장하였다(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8-0068977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72302호 등).
펫 드라이어는 내부 수용 공간에 애완동물이 수용되어야 하는데, 폐쇄된 내부 수용 공간에 애완 동물을 장시간 머무르게 하는 것은 애완 동물의 신체나 정서에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고, 열풍 건조에 따른 전기 요금 발생으로 건조 시간 단축 등과 같은 건조 효율 증대가 요구되고 있다.
KR 10-2008-0068977 A1 KR 20-0472302 Y1
본 발명은, 애완동물 털 중 가장 마르지 않는 엉덩이 부위에 집중하여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된 애완동물에 대한 건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펫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수용부 하부에 위치하여, 애완동물이 안착가능하되, 상기 내부수용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하부트레이 및 상기 내부수용부의 일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하부트레이의 좌우측단에서 상향 절곡된 좌우측벽에 형성된 제1 공기유입구와, 상기 하부트레이의 후단에서 상향 절곡된 후측벽에 형성된 제2 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부트레이의 하부 전방에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팬 및 상기 제1 팬에 의해 흡입된 외기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팬의 후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된 외기를 좌우양측의 상기 제1 공기유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제1 덕트와, 상기 흡입된 외기를 후부의 상기 제2 공기유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제2 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접면은, 상기 제1 팬의 후부에 인접하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덕트는, 기류의 상류와 하류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유로폭이 좁은 유속상승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덕트는, 기류의 상류와 하류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하여, 기류를 분기하여 우회시키는 가이드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부트레이는, 각 측단에서 상향 절곡된 상기 좌우측벽 및 상기 후측벽이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벽 및 상기 후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유로의 폭이 점점 좁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부트레이는, 상기 좌우측벽 및 후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또는 제2 공기유입구 주변에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부트레이는, 탈장착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내부수용부의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펫 드라이어는, 상기 공기배출구 전면에 이격 설치된 배출구커버와, 상기 공기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커버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공기의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가로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구의 후방에 상기 내부수용부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팬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팬은 원심형 팬이고, 상기 제2 팬은 축류형 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어는, 애완동물 털 중 가장 마르지 않는 엉덩이 부위에 집중하여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된 애완동물에 대한 건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이 수용된 내부 수용공간을 지나가는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켜, 내부 수용 공간 내 애완동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장착 가능한 하부트레이를 이용하여, 잔수 처리 및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본체 내부의 내부수용부의 형상, 내부수용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통로폭, 또는 공기유입구 주변의 형상 등을 이용하여, 내부수용부의 넓은 범위에 빠른 송풍을 가함으로써 애완동물 털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펫 드라이어에 설치되는 팬의 종류를 설치 위치와 용도에 따라 달리 함으로써 펫 드라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수용부의 기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내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배출구 주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트레이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수용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100)는, 애온동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수용부를 가진 본체(101)와, 본체(101)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1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02)가 위치하여, 도어(102)의 개폐에 따라 내부수용부(S)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도어(102)는 일 측이 본체(101)와 힌지 결합하여 개폐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도어(102) 전체가 탈착되어 내부수용부(S)를 개방하거나, 전체가 장착되어 내부수용부(S)를 폐쇄할 수도 있다.
다만, 도어(102)가 폐쇄되더라도 후술하는 외기유입구(111) 전방에는 외기가 출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구현되어, 도어(102) 폐쇄시에도 외기가 외기유입구(111)를 통해 내부수용부(S)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1)의 외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101)의 내부수용부(S)는 내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원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102)는 대부분의 영역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창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도어(102)의 일 부분에는 길이를 잴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되어, 육안으로 확인되는 애완동물의 키를 직접 재지 않더라도 대략적인 키를 가늠해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수용부의 기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내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1) 내부에는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공간인 내부수용부(S)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수용부(S)의 바닥에는 하부트레이(10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트레이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에 도시한 하부트레이(101)는 내부수용부(S) 바닥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부수용부(S)로부터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애완동물의 젖은 털에서 떨어진 물을 따라버리거나 하부트레이(101) 상하부를 용이하게 청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트레이(101)의 상면에는 일 영역에 홈부(C)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홈부(C)를 이용하여 하부트레이(101)를 외부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100)는,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수용부(S)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구(112~114)와, 내부수용부(S)의 일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15)와, 공기배출구(115)의 전면에 이격 설치된 배출구커버(120)와, 배출구커버(120)와 공기배출구(115) 사이에 형성된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 공기의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가로막(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의 유입 및 유출(또는 배출)은 내부수용부(S)를 기준으로 한 공기의 이동 방향을 가리킨다.
펫 드라이어(100) 외부로부터 외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공기유입구(112~114)를 통해 내부수용부(S)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내부수용부(S)를 순환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한 후, 공기배출구(115)를 통해 내부수용부(S)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공기배출구(115) 전면에는 배출구커버(120)가 공기배출구(115)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내부수용부(S) 내의 공기는 바로 공기배출구(115)를 향하지 않고 공기배출구(115) 전면에 위치한 배출구커버(120)를 우회하여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내부수용부(S) 내에서 공기가 순환토록 하여 애완동물의 털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도 2 참조).
더 나아가, 공기배출구(115)와 그 전면에 이격 설치된 배출구커버(120) 사이 공간에는 적어도 일부에 가로막이 설치되어, 공기배출구(115)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배출구(115)의 전(全) 방향을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지 않고 비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용공간 내의 공기가 후방으로 배출될 때 공기배출구(115)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에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배출구(115)로 배출되는 기류에 비대칭성을 부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수용부(S) 내부의 기류는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수용공간 내 애완동물의 털 건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부 수용공간 내 공기유입구(112~114)에서 공기배출구(115)를 향하여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켜 애완동물의 털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배출구(115)를 후면에 위치시키고, 내부수용부(S)를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그 공간이 점점 커지는 형상인 대략 원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수용부(S)는 후면의 공간이 좁은 형상인 것이 좋다.
이때, 내부수용부(S)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기류가 장애물에 의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공기유입구(112~114)는 내부수용부(S)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되, 일 실시예에 따라, 좌우측 하부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후면 하부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 하부에 공기유입구(114)가 위치하는 경우, 후면공기유입구(1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바로 위에 있는 내부수용부(S) 후면에 위치한 공기배출구(115)로 직접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가로막의 위치는 공기배출구(115)와 배출구커버(120) 사이 공간 중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입구(112~114)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탈장착 가능한 하부트레이(110)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트레이(1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B)과, 바닥면(B)의 좌우측단과 후단 각각에서 상향 절곡된 좌우측벽(117, 118)과 후측벽(119)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내부수용부(S)의 좌우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1 공기유입구(112, 113)는 하부트레이의 좌우측벽(117, 118)에, 그리고 후면 하부에 형성된 제2 공기유입구(114)는 하부트레이의 후측벽(119)에 배치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B)의 전면에서 하향 절곡된 전면벽(116)에 형성된 외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제1 공기유입구(112, 113)와 제2 공기유입구(114)를 통해 본체 내 내부수용부(S)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외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애완동물에 송풍시 그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트레이(110)의 각 측단에서 상향 절곡된 좌우측벽(117, 118) 및 후측벽(119)은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트레이(110)의 측벽들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외기유입구(111)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바닥면(B) 하부에서 좌우측벽(117, 118) 및 후측벽(119)을 따라 상향 이동할 때, 그 유로를 형성하는 좌우측벽(117, 118)과 마주하는 본체(101) 내측벽 사이의 공간, 그리고 후측벽(119)과 마주하는 본체(101) 내측벽 사이의 공간이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되며, 내부수용부(S)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트레이(110)의 전면벽(116)에는 외기유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고, 좌우측벽(117, 118)에는 제1 공기유입구(112, 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측벽(119)에는 제2 공기유입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외기유입구(111), 제1 및 제2 공기유입구(112~114) 각각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 타공된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좌우측벽(117, 118) 및 후측벽(119) 중 제1 및 제2 공기유입구(112~114) 주변의 일 부분(118a, 119a)은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 공기유입구(112~114)를 통해 내부수용부(S)로 제공되는 공기가 넓게 방사되며, 이에 따라 애완동물을 향한 송풍 범위가 넓어져 애완동물 털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100)는 내부수용부(S)로 외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외기를 내부수용부(S) 내에서 순환시켜 밖으로 배출시키는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팬(fan)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팬은 외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팬(130)과, 내부수용부(S)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또는 제2 공기유입구(112~114)가 내부수용부(S)의 하부 좌우측면 또는 하부 후면에 형성된 경우, 제1 팬(130)은 제1 및 제2 공기유입구(112~114)보다 낮은 하부에 위치하여 외기를 흡입하고 이를 상향의 제1 또는 제2 공기유입구(112~114)를 통해 내부수용부(S)로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트레이(110)에 제1 및 제2 공기유입구(112~114)가 타공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 팬(130)은 하부트레이(110)의 하부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하부트레이(110)는 전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전면벽(116)의 후방에 제1 팬(130)이 위치할 수 있고, 제1 팬(130)의 구동에 의해 전면벽(116)에 형성된 외기유입구(11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외기는 제1 팬(130)의 후방에 위치한 덕트(141~146)를 따라 이동하여 제1 및/또는 제2 공기유입구(112~114)로 유도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수용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팬(130)의 구동에 의해 외기는 외기유입구(111)를 통해 후방으로 보내지되, 그 중 일부는 제1 덕트(141~144)에 의해 가이드되어 좌우측공기유입구(112, 113)를 통해 내부수용부(S)로, 그리고 또 다른 일부는 제2 덕트(145, 146)에 의해 가이드되어 후면공기유입구(114)를 통해 내부수용부(S)로 보내진다.
제1 덕트(141~144)는 다시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우측공기유입구(112)로 유도하기 위한 제1a 덕트(141, 142)와 좌측공기유입구(113)로 유도하기 위한 제1b 덕트(143, 144)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제1 덕트(141~144)와 제2 덕트(145, 146)로 분기하기 위한 분기 구조는 단순히 제1 덕트(141~144)와 제2 덕트(145, 146)가 교차한 형태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덕트(141~144)와 제2 덕트(145, 146)가 교차하는 부분이 서로 접하여 그 접면이 제1 팬(130)의 후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a 덕트(141, 142)의 우측벽(142)과 제2 덕트(145, 146)의 좌측벽(145)이 서로 만나는 제1 연장부, 그리고 제1b 덕트(143, 144)의 좌측벽(144)과 제2 덕트(145, 146)의 우측벽(146)이 서로 만나는 제2 연장부가 제1 팬(130)의 직후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는, 제1 팬(130)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가 제1a 덕트(141, 142), 제2 덕트(145, 146)와, 제1b 덕트(143, 144)로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팬(130)이 원심형 팬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에 의해 구분되어지는 제1a 덕트(141, 142)의 폭, 제2 덕트(145, 146)의 폭과, 제1b 덕트(143, 144)의 폭이 균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물론, 덕트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a 덕트(141, 142)의 좌측벽(141)과 제1b 덕트(143, 144)의 우측벽(143)은 제1 팬(130)이 설치된 어셈블리의 좌우양측단 각각에서 좌우측공기유입구(112, 113)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및 제2 덕트(141~146) 각각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애완동물 털 중 가장 마르지 않는 엉덩이 부위에 집중하여 건조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덕트(145, 146)는 유로 중 일부에 유로폭이 좁은 유속상승구간(U)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제2 덕트(145, 146)를 통과하는 기류의 상류와 하루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유로폭이 좁아지도록 제2 덕트(145, 146)의 좌우 양측벽을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결국, 제2 덕트(145, 146)는 유입되는 외기의 상류에서부터 하류까지 순차적으로 광(廣)-협(狹)-광(廣)의 유로폭을 가질 수 있고, 유속상승구간(U)에 의해 유속이 빨라진 외기가 후면공기유입구(114)를 통해 내부수용부(S) 내 안착된 애완동물의 엉덩이 부분에 제공하여 속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속상승구간(U)은 제1 팬(130)과 후면공기유입구(114) 사이에서 상기 후면공기유입구(114)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여, 넓어진 유로폭에 의해 재차 유속이 제2 덕트(145, 146)에 유입시 유속으로 다시 돌아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덕트(145, 146)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류의 상류와 하류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유로폭을 좁혀 유속을 상승시키지 않고,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덕트(145, 146) 내 기류의 상류와 하류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하여 기류를 분기하여 우회시킬 수 있는 가이드날개(14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날개(149)는, 제2 덕트(145, 146)에 유입된 외기를 좌우측으로 분기하기 위해, 전방으로 갈수록 뾰족하도록 형성(149′)될 수 있고, 제2 덕트(145, 146)에 유입된 외기는 제2 덕트(145, 146)의 내벽과 가이드날개(149)의 외벽 사이 공간, 즉 좁은 폭의 유로를 통과함으로써 유속이 증가할 수 있고, 유속이 증가된 외기가 후면공기유입구(114)를 통해 내부수용부(S)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날개(149)는 뾰족한 전방(149′)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폭이 넓은 가이드날개(149)의 후방은 후면공기유입구(114) 측에 치우쳐 위치함으로써, 유속이 증가한 외기가 넓어진 유로폭에 의해 재차 유속이 제2 덕트(145, 146)에 유입시 유속으로 다시 돌아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이드날개(149)의 양측벽과 제2 덕트(145, 146)의 내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지류 각각의 유로폭은 다시 상류에서부터 하류까지 순차적으로 광(廣)-협(狹)-광(廣)의 유로폭을 가질 수 있다.
다시말해, 제2 덕트(145, 146) 전체적으로, 가이드날개(149)가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 상류에서부터 하류까지 협(狹)-광(廣)의 유로폭을 가질 수 있고, 가이드날개(149)에 의해 우회 분기되는 지류 각각은 다시 상류에서부터 하류까지 순차적으로 광(廣)-협(狹)-광(廣)의 유로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지류의 유로폭 중 좁아지는 구간이 가이드날개(149)의 후방측으로 치우쳐 위치함으로써, 빠른 유속을 유지한 채로 후면공기유입구(114)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날개(149)는 후방 양측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가이드날개(149)의 양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유속이 빨라진 외기가, 후면공기유입구(114) 중 일부에만 집중되어 공급되지 않고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및 제2 덕트(141~146)를 통과하는 유입 외기가 하부트레이(110)의 상향절곡된 좌측벽(118), 우측벽(117) 및/또는 후측벽(119)을 따라 상향 이동할때, 그 유로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상기 좌측벽(118), 우측벽(117) 및/또는 후측벽(119)은 외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유속을 빠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벽(118), 우측벽(117) 및/또는 후측벽(119) 중 제1 및/또는 제2 공기유입구(112~114) 주변(118a, 119a)은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송풍 폭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팬(130)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팬의 회전축이 좌우방향으로 가로 배치되어,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여 유입된 외기가 축의 반경방향으로 흘러나가도록 하는 원심형 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 팬(130)은 펫 드라이어(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소음에 민감하기 때문에, 낮은 회전속도로도 타 송풍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송풍량을 얻을 수 있는 원심형 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팬(130)과 외기유입구(111) 사이에는 흡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먼지 등이 펫 드라이어(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필터링하기 위한 거름망(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팬(130)의 후방에는,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150)이 위치하여, 내부수용부(S)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2 팬(140)은 공기배출구(115)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2 팬(140)의 구동에 의해 내부수용부(S)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팬(140)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팬의 회전축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흘러 들어온 공기가 축방향으로 흘러나가도록 하는 축류형 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2 팬(140)은 펫 드라이어(100)의 후방에 위치하여 다소 소음이 발생하더라도 다량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축류형 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팬(130)과 외기유입구(111) 사이에는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털 등이 펫 드라이어(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필터링하기 위한 거름망(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펫 드라이어 101: 본체
102: 도어 103: 다리
110: 하부트레이 111: 외기유입구
112: 우측공기유입구 113: 좌측공기유입구
114: 후면공기유입구 115: 공기유출구
116: 전면벽 117: 우측벽
118: 좌측벽 119: 후면벽
B: 바닥면 C: 홈부
120: 유출구커버 130: 제1 팬
140: 제2 팬 141~144: 제1 덕트
145, 146: 제2 덕트 147, 148: 접면
149: 가이드날개 150: 가열수단
S: 내부수용부 U: 유속상승구간

Claims (10)

  1. 내부수용부 하부에 위치하여, 애완동물이 안착가능하되, 상기 내부수용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하부트레이; 및
    상기 내부수용부의 일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
    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하부트레이의 좌우측단에서 상향 절곡된 좌우측벽에 형성된 제1 공기유입구와, 상기 하부트레이의 후단에서 상향 절곡된 후측벽에 형성된 제2 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펫 드라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의 하부 전방에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팬; 및
    상기 제1 팬에 의해 흡입된 외기를 상기 제1 및 제2 공기유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덕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팬의 후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된 외기를 좌우양측의 상기 제1 공기유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제1 덕트와, 상기 흡입된 외기를 후부의 상기 제2 공기유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제2 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접면은, 상기 제1 팬의 후부에 인접하도록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는, 기류의 상류와 하류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유로폭이 좁은 유속상승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는, 기류의 상류와 하류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하여, 기류를 분기하여 우회시키는 가이드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는, 각 측단에서 상향 절곡된 상기 좌우측벽 및 상기 후측벽이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벽 및 상기 후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유로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는,
    상기 좌우측벽 및 후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또는 제2 공기유입구 주변에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는, 탈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내부수용부의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펫 드라이어는, 상기 공기배출구 전면에 이격 설치된 배출구커버와, 상기 공기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커버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공기의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가로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의 후방에 상기 내부수용부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팬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팬은 원심형 팬이고, 상기 제2 팬은 축류형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KR1020180155796A 2018-12-06 2018-12-06 펫 드라이어 KR20200068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796A KR20200068892A (ko) 2018-12-06 2018-12-06 펫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796A KR20200068892A (ko) 2018-12-06 2018-12-06 펫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892A true KR20200068892A (ko) 2020-06-16

Family

ID=7114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796A KR20200068892A (ko) 2018-12-06 2018-12-06 펫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889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977A (ko) 2007-01-22 2008-07-25 김창환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0472302Y1 (ko) 2012-08-02 2014-04-18 이기영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977A (ko) 2007-01-22 2008-07-25 김창환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0472302Y1 (ko) 2012-08-02 2014-04-18 이기영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655B1 (ko) 펫 드라이 룸
US10314757B2 (en) Incubator
KR101680824B1 (ko) 펫 드라이 룸
CN110461144B (zh) 宠物用干燥装置
KR880013541A (ko) 유아용 인큐베이터
US11299842B2 (en) Drum washing machine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20200068892A (ko) 펫 드라이어
KR101595382B1 (ko) 펫 드라이 룸
JP5489094B2 (ja) 脱水兼用洗濯機
WO2019210747A1 (zh) 洗干一体机
KR20200068891A (ko) 펫 드라이어
KR20200127800A (ko) 펫 드라이어
US10506912B2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vent duct mixing
KR20160049623A (ko) 비데용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US9574298B2 (en) Laundry dryer with accessible recirculation air filter
KR20200127799A (ko) 펫 드라이어
CN211155645U (zh) 一种具有风道装置的洗碗机
KR102542103B1 (ko) 애완동물 건조 및 목욕 장치
JP7439845B2 (ja) 送風装置
KR102586570B1 (ko) 집진기 모듈을 결합 및 분리하는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JP3057907U (ja) 動物飼育ラック
JP2023170620A (ja) 浴室暖房乾燥装置
JP7394604B2 (ja) 便座装置
CN205747487U (zh) 取暖换气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