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76A -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Google Patents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0976A KR20140000976A KR1020120069017A KR20120069017A KR20140000976A KR 20140000976 A KR20140000976 A KR 20140000976A KR 1020120069017 A KR1020120069017 A KR 1020120069017A KR 20120069017 A KR20120069017 A KR 20120069017A KR 20140000976 A KR20140000976 A KR 201400009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resin
- light
- heat conversion
- donor fil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사용 도너필름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 열전사 방법(Light Induced Thermal Imaging) 또는 이와 유사한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열전사 이미지 형성 요소를 갖는 열전사용 도너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전사용 도너필름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 열전사 방법(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또는 이와 유사한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열전사 이미지 형성 요소를 갖는 열전사용 도너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술의 발전 동향은 에너지를 적게 이용하면서도 동시에 시인성이 뛰어난 기술의 개발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발광방식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적다고 알려진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OLED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풀컬러(full color)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발광소자에 컬러를 패터닝(patterning)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결과적으로는 발광소자의 색상을 결정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 구현 효과의 차이가 발생한다. OLED에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증착법, 잉크젯 방식, 레이저 열전사 방법(LITI) 등이 있다. 이 중 일반적으로 LITI라는 용어로서 통용되는 레이저 열전사 방법은 레이저에서 나온 빛을 열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열에너지에 의해 전사층을 OLED의 기판으로 전사시켜, OLED에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전사방법에 대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00828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LITI 방법은 고해상도의 패턴형성, 필름두께의 균일성, 다중층 구현 능력, 대형 마더 글래스로의 확장성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LITI 방법에 있어서, 빛을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발광소자의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결정적 매개체는 적색화소영역(R), 녹색화소영역(G), 청색화소영역(B)을 보유한 전사층을 포함하는 LITI 도너필름이다. LITI 도너 필름은 기재층(Base film), 광-열 변환층(Light-to-Heat conversional layer), 전사층(Pattern-directing layer)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LITI 도너필름은 광-열 변환층에 함유된 물질이 전사층에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열 변환층과 전사층 사이에 차단층(Interlayer)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LITI 공정에서는, LITI 도너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하면 광-열 변환층에서 레이저의 빛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고, 열에너지에 의해 광-열변환층 및 차단층의 부피팽창이 발생하여 부피팽창에 의해 전사층이 OLED기판에 전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은 LITI 공정 시 과량의 열 발생에 의해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LTHC층에서 UV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킨 도너필름을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광-열 변환층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사층이 전사되며, 이때 광-열 변환층 내부에 존재하는 광-열 변환물질이 전사층화 함께 전사되거나, 타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열 변환층과 전사층의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 중간층은 광-열 변환층을 보호하고, 전사층이 쉽게 이형되도록 하며, 전사 시 형태추종성 확보를 위해 UV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중간층에 UV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도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UV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광-열변환층의 광-열 변환물질이 빛 에너지를 흡수해 급격한 발열을 하게되므로 전체 기재필름에 열주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자외선경화형 중간층과 광-열변환층 사이에 별도의 자외선차단층을 도입함으로써 자외선 경화형 중간층 코팅 시 발생하는 열 주름 문제를 제거 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광-열 변환층과 자외선 경화형 중간층 사이에 별도의 UV차단층을 삽입함으로써 열 주름이 제거된 도너필름을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필름, 프라이머층, 광-열 변환층, 자외선차단층, 자외선경화형중간층 및 전사층으로 이루어진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그 조성 및 두께에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재필름, 프라이머층, 광-열 변환층, 자외선차단층, 중간층 및 전사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자외선 차단 입자와 고분자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은 UV경화형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추가적인 자외선 차단층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UV경화형수지를 이용한 중간층 형성 시, UV를 조사하는 경우 중간층뿐만 아니라 광-열 변환층까지 UV가 전달됨에 따라 광-열 변환물질이 상기 UV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어 과다한 발열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기재필름에 열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자외선 차단 입자와 고분자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으로 이루어진 자외선차단층을 광-열 변환층과 중간층의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기재필름의 열주름이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상기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고분자수지로 열경화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열경화형수지를 사용하여 자외선차단층을 형성하는 경우 자외선차단 물질이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응집된 경우, 위치에 따른 자외선차단율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연구한 결과, 자외선차단층의 건조 후 도공량을 0.5 ~ 3.0g/㎡로 조절하고, 상기 자외선차단층에 사용된 자외선 차단 입자의 함량을 30 ~ 80 중량%로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자외선차단층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입자의 분산도를 최적화 하기위해 1차 니딩 혹은 믹싱, 2차 밀링, 3차 필터릴 공정을 거침으로써 응집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조액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점증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 할 수 있다.
자외선차단층에 사용된 열경화성 수지는 다양한 수지를 사용 할 수 있으나, 층분리 문제 최소화를 위해서는 광-열변환층에 사용된 동일한 수지조성 및 수지조성비를 사용함으로써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열 주름 문제를 최소화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재필름, 프라이머층, 광-열 변환층, 자외선차단층, 중간층 및 전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자외선 차단 입자와 고분자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은 UV경화형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기재필름, 프라이머층, 광-열 변환층, 자외선차단층, 중간층 및 전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알루미늄 증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은 UV경화형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층은 자외선 차단 입자를 30 ~ 80 중량%로 포함하며, 건조 후 코팅두께가 0.5 ~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 입자는 이산화티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표면저항이 1.0 ~ 7.0Ω/squar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광-열 변환층은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과 광-열 변환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광-열 변환층은 건조 후 도공량이 1.0 ~ 3.5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광-열 변환층은 표면조도가 10 ~ 2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광-열 변환층에서 열경화성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이고, 광-열 변환물질은 카본블랙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광-열 변환층은 열가소성수지를 전체 수지조성물 중 50 중량% 미만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중간층은 표면에너지가 18mN/m 내지 35m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중간층은 두께가 1.0 ~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통해 광-열변환층과 자외선경화형 중간층 사이에 자외선차단층을 포함함으로써, 자외선경화형 중간층 코팅공정 중에 발생하는 발열에 의한 열주름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 전사층이 전사되었을 때 완벽한 밀착이 가능해 균일한 전사표면을 얻을 수 있고, 궁극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최적화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재필름(base film)
본 발명에서 기재필름은 유리, 투명필름 또는 중합체 필름일 수 있다. 중합체 필름의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공성, 열안정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LITI방법의 실행 중 조사되는 빛의 투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광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필름의 표면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표면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플라즈마 등의 표면처리로 개질하여 후속 공정 시 부착성, 표면장력 등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는 0.025 ~ 0.1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1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라이머층(primer layer)
본 발명에서 프라이머층은 기재필름과 인접한 층 사이의 온도 전달을 제어하고, 기재필름과 인접한 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광-열변환층으로의 이미지 형성 방사선 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경우 레이저를 이용한 전사공정에서 기재와 광-열 변환층이 분리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라이머층에 적합한 소재로는 아크릴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과 기재필름 간 혹은 프라이머층과 광-열 변환층간 내열밀착력이 불량하면 레이저를 이용한 전사공정에서 기재필름과 광-열 변환층이 분리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기재필름 제조 시 인라인 코팅공정에 의해 기재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경우, 필름의 연신 단계에서 수분산성 프라이머 코팅액을 도포한 후 일축 또는 이축 연신을 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프라이머 코팅액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재필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의 굴절율 차이가 적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광투과율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며, 이러한 예로는 아크릴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수분산성 프라이머 코팅액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1 ~ 0.5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열 변환층(Light-To-Heat Conversion layer; LTHC layer)
본 발명의 광-열 변환층은 적외선-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상기 빛의 일부를 열로 변환시키는 층으로,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과 광-열 변환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지조성물은 열경화성수지 단독 또는 열경화성수지와 열가소성수지의 혼합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경화성수지와 열가소성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열경화성수지는 경화제를 포함하여 전체 수지 성분 중 50중량%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성수지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내용제성이 떨어져 중간층 코팅 시 중간층의 용제가 광-열 변환층에 침투가 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 중 열경화성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리전이온도 10 ~ 5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는 광-열변환층 코팅 후 에이징공정에서 코팅층이 반대면으로 일부 전사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초과인 경우에는 레이저 조사 시 부피팽창이 작아져서 원하는 모양의 전사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과산화물,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조성에 열가소정 수지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고형분 함량 기준으로 열경화성수지와 가교제 고형분의 합보다 작은 양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지조성물 전체 함량 중 5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호모폴리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전이온도가 4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40℃ 미만이면 블로킹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광-열 변환물질은 입사되는 레이저 빛을 흡수하여 열로 변환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가시광선 염료, 자외선 염료, 적외선 염료, 형광염료 및 방사선 편광 염료 등의 염료, 안료, 금속, 금속 화합물, 금속필름, 카본블랙, 금속산화물, 금속황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블랙을 사용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카본블랙 이외에 가시광선염료, 자외선염료, 적외선염료, 형광염료, 방사선-편광 염료 등의 염료와, 안료, 유기 안료, 무기 안료, 금속, 금속화합물, 금속필름, 시안화철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시아닌 안료, 시아닌 염료, 금속 다이티올렌 안료, 금속 다이티올렌 염료 및 다른 흡수재료 등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평균입경이 10 ~ 30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평탄한 표면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카본블랙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수지로 1차 분산을 하여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수지 내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1차 분산을 하는 방법으로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의 수지에 카본블랙을 첨가하여 니딩 또는 믹싱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1차 분산을 할 수 있다. 니딩은 용제를 포함 하며, 니딩은 고형분 함량이 30 ~ 70 중량%인 준비액 제조 후 니딩기를 이용하여 실시 할 수 있으며, 고형분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낮아 카본의 분산도가 떨어 질수 있으며, 고형분 함량이 70 중량%초과이면 너무 과도한 토크가 걸려 분산이 어려워진다. 니딩된 조액은 분산도 최적화를 위해 추가적인 밀링 및 필터링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니딩에 사용되는 용제는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수지를 용해할 수 있는 용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톨루엔 : 메틸에틸케톤 : 사이클로헥사논을 1~5 : 1~5 : 1~5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열 변환물질의 함량은 20 ~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열 변환물질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는 레이저를 이용한 전사공정이 광-열 변환층이 부풀어 오르는데 한계가 있어 원하는 패턴이 균일하게 전사되지 않을 수 있으며,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레이저 전사공정에서 과량의 열이 발생해 광-열변환층이 타버려 전사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열변환층은 니딩, 밀링, 필터링 및 코팅 공정에 의해 형성 될 수 있으며, 밀링, 필터링 및 코팅 공정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니딩 및 밀링은 입자의 분산최적화를 위해 실시되며, 밀링방법은 링밀, 센드밀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밀링은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링밀을 사용하는 경우 1차 니딩 된 조액에 전체액의 고형분이 10중량% ~ 20중량%가 되도록 잔여의 수지 및 용제를 첨가한 조액 혹은 수지/카본블랙/용제 혼합액(고형분 10중량%~20중량%)을 밀링기의 주용기에 주입하고, 링부에 0.5~2.0mm 지르코늄입자를 50~80부피% 충진 한 후 교반을 실시한다. 교반은 이중으로 실시한다. 하나는 주밀링용기내부액이 순환되면서 링부 내부로 투입하는 목적으로 실시하며, 나머지 하나는 링부 내부에서 입자분산을 목적으로 실시한다. 링부에 충진되는 입자는 지르코늄 이외의 다른 밀링용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밀링은 여러 단계로 나누어서 실시할 수 있다. 1차로 2.0mm 지르코늄 입자를 충진해 1차 밀링을 실시한 후 2차로 1.5mm 입자를 충진해 밀링을 실시하고, 3차로 0.5mm 입자를 충진해 밀링을 실시하면 보다 균일한 카본블랙입자 분산을 이룰 수 있다.
또는 각 크기별 입자가 순차적으로 충진 된 밀링기를 이용해 순차적으로 밀링을 실시해도 무방하다.
밀링 시 고형분 함량은 10중량%~20중량%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조성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10중량% 미만이 되면 입자분산효율이 떨어지고, 20중량%를 초과하면 밀링된 액의 액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필터링 공정은 입도크기가 2.5㎛ 이상인 큰 입자를 제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팅 공정은 바코팅, 다이 코팅방식 및 롤 코팅 방식을 사용 할 수 있으며, 필요 시 다양한 코팅방법을 적용 할 수 있다. 코팅 공정 후 별도의 추가적인 가교가 필요한 경우는 별도의 에이징을 통해 가교도를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광-열 변환층은 프리이머층을 포함하는 기재상에 도포, 건조시켜 제조한다. 본 층이 열경화 타입이므로 적절한 가열처리에 의해 가교 처리가 필요하다. 가교처리는 건조 공정의 온도에서 건조공정과 병행해도 되고, 건조 공정 후에 별도 가교 처리 공정이 형성하여 행해도 된다.
상기 광열변환층은 건조 도공량이 1 ~ 3.5g/㎡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열 변환층의 건조 후 도공량이 1g/㎡ 미만인 경우는 전사공정에서 광-열 변환층이 타버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3.5g/㎡을 초과하는 경우는 적절한 열전달이 되지 않아 전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열변환층은 표면조도(Ra)가 2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 2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조도가 2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사층의 표면이 매끄럽고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자외선차단층
본 발명의 자외선차단층은 자외선 차단 입자와 고분자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외선차단층이 자외선 차단 입자와 고분자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고분자수지는 열경화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열 변환층과 동일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광-열 변환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경화제를 포함하여 전체 수지 성분 중 50중량%이상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0중량%미만이면, 내용제성이 떨어져 중간층 코팅 시 중간층의 용제가 자외선차단층에 침투해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차단층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 입자는 자외선경화형 전사층의 자외선 경화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주름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의미하며, 상기 자외선 차단 입자로는 TiO2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TiO2 이외에 산화아연, 규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및 카올린 등의 자외선차단기능을 하는 다양한 물질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입자 함량은 자외선차단층을 형성하는 전체 고형분 중 30~80 중량%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중량% 미만인 경우는 자외선차단율이 떨어져 자외선경화형 수지를 이용한 중간층 제조공정에서 광-열 변환층에 과다한 발열이 발생하여 기재필름에 열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입자분산공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입자는 평균입경이 10 ~ 300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평탄한 표면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자외선 차단 입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수지로 1차분산을 함으로써 수지 내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를 하는 방법으로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의 수지에 자외선 차단 입자를 첨가하여 니딩 및 믹싱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1차분산을 할 수 있다. 니딩은 용제를 포함 하며, 니딩된 조액은 분산도 최적화를 위해 추가적인 밀링 및 필터링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의 건조 후 두께는 0.5 ~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0.5㎛ 미만인 경우는 입자의 돌출에 의해 표면평활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3.0㎛을 초과하는 경우는 적절한 열전달이 되지 않아 전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과산화물,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고형분 함량 기준으로 열경화성수지와 가교제 고형분의 합보다 작은 양을 사용한다.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호모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된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40℃ 미만이면 블라킹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자외선차단층으로 알루미늄 증착층을 도입하는 경우 증착층의 표면저항 값은 1.0 ~ 7.0Ω/square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값이 1.0미만이면 빛이 투과되지 않아 공정 중 얼라인먼트를 맞추기 어렵고, 7.0초과이면 증착층이 너무 얇아 자외선경화성 중간층 코팅공정에서 증착층이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증착은 스퍼터링 방법 등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중간층(interlayer)
본 발명에서 중간층은 광-열 변환층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사층이 전사될 때, 광-열 변환층 내부에 존재하는 광-열 변환물질이 함께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광-열변환층에서 발생한 열이 전사층에 전달되어 열에 의해 타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층은 UV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며, 전사층이 분리되도록 하는 이형기능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므로, 표면에너지가 낮은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수지를 첨가하여 표면에너지가 35mN/m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18mN/m 내지 35m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8mN/m 내지 25mN/m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에너지가 35mN/m를 초과하는 경우는 전사공정에서 중간층이 이형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전사층이 분리되지 않아 전사가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층의 표면에너지가 낮을수록 전사층과의 접착력이 낮아져 전사공정에서 원활한 전사가 이루어 질 수 있고, 중간층의 표면에너지가 높을수록 전사층과의 접착력이 높아져 전사공정에서 원활한 전사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형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범위는 18mN/m 내지 35m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8mN/m 내지 25mN/m인 범위에서 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간층은 건조 후 코팅두께가 1.0 ~ 3.5㎛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미만인 경우는 열차단 효과가 떨어져 전사층이 타버릴 수 있으며, 또한 균일한 표면형상을 얻을 수 없어 전사층이 전사된 표면이 불균일하게 되어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떨어질 수 있다. 3.5㎛초과인 경우 열을 너무 많이 차단해 전사층이 전사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층의 두께는 광-열 변환층의 표면조도가 증가하면 평탄한 표면형상을 확보하기 위해 증가 되어야 한다. 광-열변환층의 표면조도(Ra) 값이 10nm~20nm 이면 2.5 ~ 3.5㎛범위이고, 광-열변환층의 표면조도 값이 5~10nm범위이면 중간층의 두께는 2 ~ 3.5㎛, 광-열변환층의 표면조도 값이 5nm 이하이면 1 ~ 3㎛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에 사용 가능한 UV 경화형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표면장력을 35mN/m이하로 조절하기위해 상기 UV 경화형 수지의 backbone에 불소를 포함하는 치환기를 그라프팅(grafting)하거나, 첨가제로 반응성 혹은 비반응성 불소계 및 실리콘계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에는 정전기 제거를 위한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첨가제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비닐반응기를 가진 불소계 화합물 및 비반응성 불소계 첨가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첨가제는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 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폴리실록산계 및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계, 메틸알킬실록산계 및 반응성을 지닌 실리콘아크릴레이트 첨가제 등이 사용 가능하며, 상품명으로는 BYK사의 BYK-300, BYK-301, BYK-302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간층은 바코팅, 롤코팅, 다이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층은 필요 시 2층 구조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상기의 중간층의 상부에 알루미늄 증착층을 더 형성 할 수 있다.
전사층(transfer layer)
전사층은 증발, 스퍼터링, 용액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균일한 층으로 코팅하여 중간층의 상부에 형성한다. 전사층은 전형적으로 리셉터로 전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계발광재료 또는 전기적으로 활성인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무기, 유기금속성 및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비닐렌), 폴리-파라-페닐렌, 폴리플루오렌, 폴리디알킬플루오렌, 폴리티오펜, 폴리(9-비닐카바졸), 폴리(N-비닐카바졸-비닐알콜)공중합체, 트리아릴아민, 폴리노르보넨, 폴리아닐린, 폴리아릴폴리아민, 트리페닐아민-폴리에테르케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사층은 제조하고자 하는 유기발광소자의 특성에 합치되도록 공지의 발광물질, 홀 전달성 유기물질, 전자 전달성 유기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비발광 저분자 물질, 비발광 전하전달 고분자 물질 및 경화 가능 유기반인더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사층의 구성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성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층은 이형성 개선을 위해 알루미늄 증착층을 포함하는 2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일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또는 동등한 범위의 물질 범위내에서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 물성은 다음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 증착층 파괴 유무
육안검사 시 증착층이 뿌옇게 변하면 : 파괴됨
육안검사 시 증착층의 광택에 이상이 없으면 : 없음
2) 얼라인먼트 가능 유무
가시광선 투과율(550nm 기준)이 5.0% 이상 : 가능
가시광선 투과율(550nm 기준)이 5.0% 미만 : 불가능
(측정기기 : Varian社 UV-VIS-NIR Spectrophotometer 5000 )
3) 열주름
평탄한 유리판위에 샘플을 놓고 육안으로 확인 시 코팅필름 롤 길이방향으로 선형상의 울퉁불퉁한 부분이 확인되면 ; 불량
선형상은 아니지만 불규칙하게 울퉁불퉁한 부분이 확인되면 ; 보통
울퉁불퉁한 부분이 관찰되지 않으면 ; 양호
4) 전사성
중간층 위에 전사층으로 Tris(8-hydroxyquinolinato)aluminium(Alq3)를 500Å 코팅한 후 전사는 1064nm 파장의 Nd 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100~130W 에너지 범위에서 전사를 하였다.
전사 후 전사된 외관이 레이저를 조사한 부분과 일치하면 ; 양호
전사 후 전사된 외관이 레이저를 조사한 부분과 일부 일치하면 ; 보통
레이저를 조사한 부분에서 전사가 되지 않으면 ; 불량
5) 표면평활성
2차원 표면조도 측정기(Kousaka Lab. Surfcorder SE-3300)를 사용하여 촉침 반경 1 ㎛, 하중 0.7 mN 및 컷오프치 80 ㎛의 조건하에서 측정하였고 필름단면의 곡선으로부터 그 중심선 방향으로 기준길이 1.5 mm부분을 선택하여 총 다섯 번을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중심선을 x축, 수직방향을 y축으로 하여 조도곡선을 y=f(x)로 나타냈을 때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측정된 표면조도(Ra)값이 10 ~ 20nm이면 양호
측정된 표면조도(Ra)값이 20nm 초과이면 불량
[실시예 1]
광열변환층 제조용 조성물(A-1)의 제조
폴리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Dow chemical사, VMCH grade)12wt%, 폴리우레탄수지(루브지졸사, ESTANE 5715 grade)30wt%, 폴리이소시아네이트(애경화학, AK75 grade)8wt%, 카본블랙(데구사, Mogul L)50wt%를톨루엔:메틸에틸케톤:사이클로헥사논 = 1: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에 고형분 함량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광열변환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조액 제조는 다음과 같이 니딩 및 밀링 필터링 공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먼저, 니딩은 톨루엔:메틸에틸케톤:사이클로헥사논 = 1: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에 폴리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50℃에서 가온 용해하여 13 중량% 폴리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용액을 제조하였다. 니딩기에 일정량의 카본블랙을 투입한 후 니딩기를 가동시키면서 소량씩 폴리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용액을 투입하고, 1시간동안 니딩을 실시하였다.
니딩이 종료된 후 니딩 된 액을 1.2mm 지르코늄 입자가 80% 충진 된 링밀의 주밀링용기에 투입하고, 미리 준비된 톨루엔:메틸에틸케톤:사이클로헥사논 = 1: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이용해 50℃에서 가온 용해한 20중량% 폴리우레탄수지 및 혼합용제(톨루엔:메틸에틸케톤:사이클로헥사논 = 1:1:1 중량비)를 첨가해 고형분 비율이 15중량%인 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액을 투입한 후 밀링기내 2개의 교반기를 작동시켜 밀링을 실시하였다. 코팅액을 혼합해 밀링기 내부로 투입하기위해 사용되는 교반기는 1000rpm으로 조정하고, 입자분산작용을 위해 링부에 설치된 교반기는 2000rpm으로 6시간 동안 교반 시켰다.
밀링된 액은 2.5㎛ 이상의 입자를 걸러줄 수 있는 필터를 이용해 필터링을 실시하였다. 필터링된 액을 메이어바 #8번을 이용해 코팅한 후 120℃에서 30초간 건조시킨 후 표면 상태를 현미경으로 확인해 2.5㎛ 이상의 입자가 없는 것이 확인되면 필터링을 완료하였다. 필터링 후 경화제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투입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광열변환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중간층 제조용 조성물(B-1)의 제조
UV경화형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Toyo ink社 Lioduras LCH)에 실리콘계 첨가제(BYK社, BYK-302)를 전체 배합액의 0.2wt%로 첨가하여 중간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차단층용 조성물(C-1)의 제조
폴리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Dow chemical사, VMCH grade)18wt%, 폴리우레탄수지(루브지졸사, ESTANE 5715 grade)43wt%, 폴리이소시아네이트(애경화학, AK75 grade)9wt%, TiO2(SACHTLEBEN사, RDI-S grade)30wt%를 톨루엔:메틸에틸케톤:사이클로헥사논 = 1: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에 고형분 함량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광열변환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조액 제조는 상기 광-열 변환층 제조용 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LITI 도너필름의 제조
양면 폴리에스테르 프라이머 처리된 PET 필름(코오롱인더스트리(주), U43R)을 기재필름으로 준비하였다.
준비된 기재필름의 아크릴프라이머층 상부에 광열변환층 제조용 조성물(A-1)을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코팅 후 건조하여 광열변환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건조 후 도공량이 1.5g/㎡이 되도록 하였다. 추가적으로 50℃에서 3일간 에이징을 하였다.
상기 광열변환층의 상부에 준비된 자외선차단층용 조성물(C-1)을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코팅 후 건조 시킨 후 두께가 0.7㎛이 되도록 자외선차단층을 형성하였다. 추가적으로 50℃에서 3일간 에이징을 하였다.
상기 자외선차단층의 상부에 준비된 중간층 제조용 조성물(B-1)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 후 건조하여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코팅두께가 2.0㎛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자외선차단층의 조성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자외선차단층용 조성물(C-2)의 제조
폴리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Dow chemical사, VMCH grade)16wt%, 폴리우레탄수지(루브지졸사, ESTANE 5715 grade)37wt%, 폴리이소시아네이트(애경화학, AK75 grade)7wt%, TiO2(SACHTLEBEN사, RDI-S grade)40wt%를 톨루엔:메틸에틸케톤:사이클로헥사논 = 1: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에 고형분 함량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광열변환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조액 제조는 상기 자외선차단층용 조성물(C-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자외선 차단층으로 알루미늄증착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즉, 양면 폴리에스테르 프라이머 처리된 PET 필름(코오롱인더스트리(주), U43R)을 기재필름으로 준비하였다.
준비된 기재필름의 아크릴프라이머층 상부에 광열변환층 제조용 조성물(A-1)을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방식으로 코팅 후 건조하여 광열변환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건조 후 도공량이 1.5g/㎡이 되도록 하였다. 추가적으로 50℃에서 3일간 에이징을 하였다.
상기 광열변환층의 상부에 진공증착기를 이용해 알루미늄의 표면저항이 4.0Ω/square이 되도록 자외선차단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자외선차단층의 상부에 준비된 중간층 제조용 조성물(B-1)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 후 건조하여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코팅두께가 2.0㎛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자외선 차단층 형성 시 알루미늄의 표면저항이 1.0Ω/square이 되도록 자외선차단층을 형성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자외선 차단층 형성 시 알루미늄의 표면저항이 7.0Ω/square이 되도록 자외선차단층을 형성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자외선차단층의 조성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자외선차단층용 조성물(C-3)의 제조
폴리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Dow chemical사, VMCH grade)20wt%, 폴리우레탄수지(루브지졸사, ESTANE 5715 grade)50wt%, 폴리이소시아네이트(애경화학, AK75 grade)10wt%, TiO2(SACHTLEBEN사, RDI-S grade) 20wt%를 톨루엔:메틸에틸케톤:사이클로헥사논 = 1: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에 고형분 함량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광열변환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조액 제조는 상기 자외선차단층용 조성물(C-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자외선차단층의 조성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자외선차단층용 조성물(C-4)의 제조
폴리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Dow chemical사, VMCH grade)11wt%, 폴리우레탄수지(루브지졸사, ESTANE 5715 grade)30wt%, 폴리이소시아네이트(애경화학, AK75 grade)9wt%, TiO2(SACHTLEBEN사, RDI-S grade) 50wt%를 톨루엔:메틸에틸케톤:사이클로헥사논 = 1: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에 고형분 함량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광열변환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조액 제조는 상기 자외선차단층용 조성물(C-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자외선차단층의 조성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자외선차단층용 조성물(C-4)의 제조
폴리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Dow chemical사, VMCH grade)5wt%, 폴리우레탄수지(루브지졸사, ESTANE 5715 grade)13wt%, 폴리이소시아네이트(애경화학, AK75 grade)2wt%, TiO2(SACHTLEBEN사, RDI-S grade) 80wt%를 톨루엔:메틸에틸케톤:사이클로헥사논 = 1: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에 고형분 함량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광열변환층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조액 제조는 상기 자외선차단층용 조성물(C-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로 자외선 차단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6에서 자외선차단입자의 함량이 20 중량%인 경우 약간의 열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심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1 ~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자외선차단층을 형성한 경우 열주름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차단입자의 함량이 30 ~ 80 중량%이고, 두께가 0.5 ~ 3.0㎛인 범위에서 열주름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전사성 및 표면평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4)
- 기재필름, 프라이머층, 광-열 변환층, 자외선차단층, 중간층 및 전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UV경화형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자외선 차단 입자와 고분자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것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층은 알루미늄 증착층으로 이루어진 것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층은 자외선 차단 입자를 30 ~ 80 중량%로 포함하며, 건조 후 코팅두께가 0.5 ~ 3.0㎛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입자는 이산화티탄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표면저항이 1.0 ~ 7.0Ω/square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열 변환층은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과 광-열 변환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열 변환층은 건조 후 도공량이 1.0 ~ 3.5g/㎡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열 변환층은 표면조도가 10 ~ 20nm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열 변환층에서 열경화성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이고, 광-열 변환물질은 카본블랙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열 변환층은 열가소성수지를 전체 수지조성물 중 50 중량% 미만으로 더 포함하는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아크릴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표면에너지가 18mN/m 내지 35mN/m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두께가 1.0 ~ 3.5㎛인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9017A KR20140000976A (ko) | 2012-06-27 | 2012-06-27 |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9017A KR20140000976A (ko) | 2012-06-27 | 2012-06-27 |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0976A true KR20140000976A (ko) | 2014-01-06 |
Family
ID=5013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9017A KR20140000976A (ko) | 2012-06-27 | 2012-06-27 |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097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29420A (zh) * | 2016-08-18 | 2016-12-14 |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 薄膜封装结构及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
-
2012
- 2012-06-27 KR KR1020120069017A patent/KR201400009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29420A (zh) * | 2016-08-18 | 2016-12-14 |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 薄膜封装结构及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38691A (ko) |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
CN103120018B (zh) | 有机el器件 | |
CN101044030A (zh) | 辐射诱导的热转移用供体元件 | |
JP2016009634A (ja) | 光熱変換層、ドナーシート | |
KR101721551B1 (ko) |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
CN103568616A (zh) | 热转印膜及使用其制备的有机电致发光装置 | |
KR101525999B1 (ko) | 열전사 필름 | |
JP5731711B2 (ja) | レーザ熱転写法用ドナーフィルム | |
KR20140000976A (ko) |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
KR102107661B1 (ko) |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 |
JP2014516840A5 (ko) | ||
KR20130079263A (ko) |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
KR101450279B1 (ko) |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
US7223467B2 (en) |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 |
KR101937878B1 (ko) | 파장 선택적 광열변환 필름 및 이를 이용한 oled용 전사 필름 | |
KR20110132021A (ko) | Liti 도너필름 | |
TWI550934B (zh) | 雷射熱轉印製程用的施體薄膜 | |
KR20150037039A (ko) |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 |
KR20140095294A (ko) | 레이저 열전사용 투명성 도너필름 | |
WO2016152344A1 (ja) | 電飾用記録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電飾用画像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飾看板 | |
KR20140012582A (ko) | 열전사 필름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20150106265A (ko) | 열전사 필름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101587678B1 (ko) | 기재층과 광열변환층이 일체화된 광열변환필름 및 이를 이용한 oled용 전사 필름 | |
KR102132279B1 (ko) |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 |
CN114667214A (zh) | 层叠体及其制造方法、成型物及其制造方法、电子器件的壳体面板以及电子器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