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483A -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483A
KR20140000483A KR1020120067521A KR20120067521A KR20140000483A KR 20140000483 A KR20140000483 A KR 20140000483A KR 1020120067521 A KR1020120067521 A KR 1020120067521A KR 20120067521 A KR20120067521 A KR 20120067521A KR 20140000483 A KR20140000483 A KR 20140000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t
unit
fillet
treatment apparatus
surfac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식
최민규
배한진
윤원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483A/ko
Publication of KR2014000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flash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3Removing abrasive powder out of the blast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6Treatment of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렛용접부의 일면에 그리트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그리트의 비산을 방지하는 차단부와 그리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단부의 내부에 비산된 그리트 및 분진을 흡입하여 상기 저장부로 이동시키는 진공 흡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Surface pretreatment device for fillet joints}
본 발명은 표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개된 장소에서 블라스팅으로 필렛용접부의 표면처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에 사용하는 대형 철구조물의 제작은 각종 형강 자재들을 용접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용접 후에는, 용접부 검사와 이물질 제거을 위해서 도장 작업 전에 블라스팅을 하게되며, 블라스팅 후 결함이 발견되면, 보수 용접 후 재 블라스팅을 하게된다. 이 때, 사용되는 블라스팅은 외부 분진이 날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공개된 장소에서는 그리트 및 분진이 비산되어 블라스팅을 할 수 없으므로, 블라스팅 샵에 필렛용접부를 입고하여 블라스팅 작업을 하였다.
또한, 비산된 그리트 및 분진을 처리하기 위하여, 흡입장치로 비산된 그리트 및 분진을 흡입하여 폐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표면처리 장치는 별도의 블라스팅 샵으로 필렛용접부를 이동시켜 블라스팅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동에 따른 작업 공정 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산된 그리트 및 분진을 함께 흡입하여 폐기하기 때문에, 블라스팅 작업에 따른 원재료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5873(등록일:2007.01.09)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블라스팅 장치에 대한 기술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렛용접부의 블라스팅 작업에 따른 그리트 및 분진의 비산을 차단함으로써, 공개된 장소에서 블라스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산된 그리트 및 분진을 함께 흡입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여과된 그리트의 재사용이 가능한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는, 필렛용접부의 일면에 그리트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그리트의 비산을 방지하는 차단부와 그리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단부의 내부에 비산된 그리트 및 분진을 흡입하여 상기 저장부로 이동시키는 진공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는 상기 필렛용접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필렛용접부와 접합되는 일면과 바닥면이 개방되고, 상기 필렛용접부에 접합 시 주변을 밀폐시킨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진공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그리트 및 분진을 필터링하는 사이클론 챔버를 구비한다.
또한, 그리트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이젝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바퀴와 상기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블라스팅 작업에 따른 그리트 및 분진의 비산을 차단함으로써, 공개된 장소에서 블라스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비산된 그리트 및 분진을 함께 흡입하여 필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된 그리트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리트의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블라스팅 작업 시 사용되는 원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에서 차단부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의 작동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는 필렛용접부에 대한 그리트 블라스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분사부(100)와, 차단부(200)와, 저장부(300)와, 진공 흡입부(400) 및, 구동부(5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구동부(5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500)의 상부에는 후술 될 저장부(300)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60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600)은, 수직 프레임(610)의 상단에 수평 프레임(620)이 결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평 프레임(620)은 그리트의 통과를 위하여 관통 홀(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부(500)의 공간 내부 및 외부에는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의 수평 이동을 위한 다수의 바퀴(5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500)의 상부에는 상기 바퀴(5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5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의 하부에는, 상기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의 이동 시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이동을 위한 자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 롤러(5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가이드 롤러(530)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500)의 일측의 양단에서 후술 될 차단부(200)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 롤러(530)의 타단에는 바퀴(미도시)가 설치되어 필렛용접부에 접합된다.
분사부(100)는, 그리트가 분사되는 토출구(미도시)가 후술 될 차단부(200)의 상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필렛용접부에 그리트를 분사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100)에는 상단에 돌출형성되고, 수평 프레임(620)의 일단과 연결되기 위한 결합부재(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프레임(620)의 일단과 결합부재(110)는 이음부재(120)를 통하여 연결된다.
차단부(200)는, 구동부(500)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분사부(100)에서 분사된 그리트의 비산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200)는 필렛용접부와 접합되는 일면과 바닥면이 개방된 챔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차단부(200)는 일면과 바닥면이 필렛용접부에 부착되어 밀폐상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200)는 밀폐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후술 될 이젝터(330)를 사용하여 상기 차단부(200)에 비산된 그리트 및 분진이 저장부(300)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단부(200)에는 후술될 저장부(300)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제1흡입부재(210)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300)는, 수평 프레임(620)의 타단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분사부(100)로 그리트가 공급되도록 다수의 그리트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300)에는 차단부(200)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부에 제2흡입부재(3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300)에는 후술 될 진공 흡입부(400)를 따라 상기 차단부의 비산된 그리트 및 분진이 흡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이젝터(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젝터(330)는 압력을 갖는 물, 증기, 공기 등을 분출구에서 분출하여 주위의 유체를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는 일종의 펌프를 말한다.
즉, 차단부(200)가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차단부(200)내의 그리트 및 분진이 상기 이젝터(300)의 작용에 의하여 저장부(3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입부(400)는, 상기 차단부(200) 내의 그리트 및 분진이 상기 저장부(3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흡입부재(210)과 제2흡입부재(320)을 연결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 흡입부(400)는 그리트가 통과되기 위한 관(pipe) 형상이고,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설계될 수 있다.
이하, 도 2는 본 발명의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에서 차단부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200)는 사각의 챔버 형상을 가지며, 필렛용접부에 부착되는 일면과 바닥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200)는 상면에 분사부(100)의 토출구(미도시)가 관통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먼저, 필렛용접부의 표면을 블라스팅하기 위하여 필렛용접부의 일면에 상기 차단부(200)의 개방된 일면을 밀착시킨다.
이후, 상기 분사부(100)의 토출구(미도시)에서 그리트가 분사되어 필렛용접부의 일면을 블라스팅한다.
이때, 차단부(200)는 분사된 그리트 및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는 공개된 장소에서 그리트 및 분해된 용접금속의 비산 없이 그리트 블라스팅 작업이 가능하다.
이하, 도 3은 본 발명의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의 이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단부(200)는 개방된 일면이 필렛용접부의 일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200)의 상부에 관통 결합된 분사부(100)는 상기 필렛용접부로 그리트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200)의 단부는 부착 및 이동 시에 상기 필렛용접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후, 구동수단(52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부(500)의 하부에 위치한 바퀴(51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의 이동방향은 필렛용접부의 표면을 따라 좌, 우로의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만일,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구동부(500)의 일측에서 차단부(200) 측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한쌍의 가이드 롤러(530)가 필렛용접부의 일면에 맞닿아 상기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의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도 5에서 실선은 그리트의 순환라인을 나타내고, 점선은 공기의 순환라인을 나타낸다.
먼저, 필렛용접부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하여, 필렛용접부의 일면에 차단부(200)의 개방된 일면을 부착시킨다.
이후, 저장부(300)의 하단에 위치한 밸브를 개방하여 그리트를 수평 프레임(620)으로 흘려보낸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프레임(620)을 통과한 그리트가 이음부재(120)를 통과하여 분사부(100)로 주입된다.
이때,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분사부(100) 및 이젝터(330)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컴프레서(700)를 동작시켜, 필렛용접부로 그리트를 분사시킨다.
즉, 상기 필렛용접부의 돌출된 용접금속에 그리트를 분사시켜 상기 필렛용접부를 가공한다.
상기 분사된 그리트는, 차단부(200)에 의해 외부로의 비산 없이 분진 및 공기와 함께 상기 차단부(200) 내부에 남게된다.
상기 차단부(200)에 남아있는 그리트와 분진 및 공기는, 컴프레서(700)를 통한 이젝터(330)의 작동을 통하여 진공 흡입부(400)를 통과하여 저장부(300)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이젝터(330)는 상기 저장부(30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컴프레서(7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330)는 상기 컴프레서(700)로부터 압축공기를 주입받으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차단부(200)에 위치한 그리트를 흡입하게 된다.
상기 저장부(300)로 이동된 그리트는 상기 저장부(300) 내부에 설치된 사이클론 챔버(340)에 의해 그리트와 분진 및 공기로 분리된다.
즉, 상기 사이클론 챔버(340)는 이젝터(330)의 작동을 통해 흡입된 차단부(200)의 그리트와 분진 및 공기를 필터링한다.
여기서, 공기는 상기 이젝터(330)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고, 분진은 걸러지게 되어 저장부(300)에는 그리트만 남게된다.
사이클론 챔버(340)를 통해 필터링된 그리트는 다시 분사부(100)로 이동하고, 계속적인 그리트의 순환이 일어난다.
따라서, 그리트의 순환으로 인한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블라스팅 작업의 원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블라스팅 작업에 따른 그리트 및 분진의 비산을 차단부를 설치하여 해결함으로써, 공개된 장소에서 블라스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산된 그리트 및 분진을 함께 흡입하여 사이클링 챔버를 통해 필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된 그리트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리트의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블라스팅 작업시 사용되는 원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분사부 110 : 결합부재
120 : 이음부재 200 : 차단부
210 : 제1흡입부재 300 : 저장부
310 : 밸브 320 : 제2흡입부재
330 : 이젝터 340 : 사이클론 챔버
400 : 진공 흡입부 500 : 구동부
510 : 바퀴 520 : 구동수단
530 : 가이드 롤러 600 : 프레임
610 : 수직 프레임 620 : 수평 프레임
700 : 컴프레서

Claims (6)

  1. 필렛용접부의 일면에 그리트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그리트의 비산을 방지하는 차단부;
    그리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단부의 내부에 비산된 그리트 및 분진을 흡입하여 상기 저장부로 이동시키는 진공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는,
    상기 필렛용접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필렛용접부와 접합되는 일면과 바닥면이 개방되고, 상기 필렛용접부에 접합 시 주변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진공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그리트 및 분진을 필터링하는 사이클론 챔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그리트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이젝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바퀴 및,
    상기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KR1020120067521A 2012-06-22 2012-06-22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KR20140000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521A KR20140000483A (ko) 2012-06-22 2012-06-22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521A KR20140000483A (ko) 2012-06-22 2012-06-22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83A true KR20140000483A (ko) 2014-01-03

Family

ID=5013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521A KR20140000483A (ko) 2012-06-22 2012-06-22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4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2549A (ko) 프레스 금형 클리너 장치
KR101581871B1 (ko) 휴대형 사이클론 집진 연마장치
JP5823272B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治具
KR101892806B1 (ko) 용접 분진 세척기
KR101622759B1 (ko) 친환경 광폭 와류 블라스팅 인젝트 집진 챔버를 이용한 블라스팅 인젝트 집진 시스템
KR20140033866A (ko) 플럭스 회수 장치
KR20110024946A (ko) 선체 외판 블라스팅 장치
KR101178291B1 (ko) 복합세척 및 에어블로우 장치
KR20110094965A (ko) 플럭스 자동세척기 및 자동세척 방법
KR101338965B1 (ko) 자동용접기의 노즐용 크리닝장치
KR20140000483A (ko) 필렛용접부 표면처리 장치
KR101346786B1 (ko) 프레스 유형 브라스트 사상기
KR101830686B1 (ko) 에어 분사 장치
KR101417491B1 (ko) 크린 도포 시스템 및 클린 도포 건
KR20180063686A (ko) 카메라 모듈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40003069U (ko) 이동용 블라스팅 장치
JP6749822B2 (ja) 放射性汚染物貯蔵タンク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20130019868A (ko) 폐회로 블라스팅장치
KR101402812B1 (ko) 건식 및 습식 겸용 진공 청소장치
JP7293954B2 (ja) 表面処理装置、表面処理装置を使用する際に用いる補助床形成装置及び保護壁形成装置
KR102177042B1 (ko) 스킨패스 밀의 워크롤 세척장치
KR101400019B1 (ko) 블라스팅 장치
KR200324381Y1 (ko) 고주파모터를 이용한 숏블라스트
KR102092086B1 (ko) 에어 블라스트 머신
KR101410038B1 (ko) 유리기판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