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429U -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 Google Patents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429U
KR20140000429U KR2020120006052U KR20120006052U KR20140000429U KR 20140000429 U KR20140000429 U KR 20140000429U KR 2020120006052 U KR2020120006052 U KR 2020120006052U KR 20120006052 U KR20120006052 U KR 20120006052U KR 20140000429 U KR20140000429 U KR 201400004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astening
tension clamp
base plat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0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to KR2020120006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429U/en
Publication of KR20140000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42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2Rail fastenings incorporating resilient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일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철도 차륜이 접촉하는 헤드부와, 헤드부 아래쪽에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헤드부와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로 이루어지는 궤도레일을, 교량에서의 침목에 체결하는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침목 상측에 안착되고 중앙에 수용공이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수용공에 수용되는 방진패드; 방진패드 상측에 적층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 상측에 적층되고, 상측에 궤도레일이 안착되는 레일패드; 플랜지부와 베이스플레이트에 걸치도록 놓이고 탄성변형되는 제1텐션클램프; 상측이 제1텐션클램프에 걸리고 하측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체결구; 가이드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걸치도록 놓이고 탄성변형되는 제2텐션클램프; 및 상측이 제2텐션클램프에 걸리고 하측은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 fastening device, an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d portion contacting a railway wheel, a flange portion formed below the head portion and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head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A rail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track rail consisting of a joint to a sleeper in a bridge, comprising: a guide plate seated on a sleeper upper side and having a receiving hole in a center thereof; Dustproof pa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A base plate stacked on the dustproof pad; Rail pads are stacked on the base plate, the track rail is seated on the upper side; A first tension clamp placed over the flange portion and the base plate and elastically deformed; A first fastening hole having an upper side caught by the first tension clamp and a lower side fixed to the base plate; A second tension clamp placed over the guide plate and the base plate and elastically deformed; It is provided with a rail fastening device comprising a; and the upper side is fastened to the second tension clamp and the lower side is fastened to the guide plate.

Description

교량용 레일체결장치{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Rail fastening device for bridges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본 고안은 레일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에서 사용이 적합하고 궤도레일과 침목의 체결 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량용 레일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 faste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l fastening device for a bridge that can be used in the bridge and can be easily made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track rail and the sleeper.

일반적으로, 궤도는 노반 위에 도상, 침목 및 레일 등을 부설하여 구성되는데, 침목과 레일 또는 직결도상체결장치와 레일을 합쳐 궤광이라 한다.In general, the track is formed by laying a bed, a sleeper, a rail, etc. on the roadbed, the sleeper and the rail or a direct connection fastening device and the rail together is called a guide.

그리고 도상은 크게 자갈도상과 콘크리트도상으로 구분되며, 콘크리트도상은 침목매입식 콘크리트도상과 직결식 콘크리트도상 및 플로팅 슬래브(FLOATING SLAB) 도상으로 구분된다.The phases are divided into gravel phases and concrete phases, and the concrete phases are divided into sleeper embedded concrete phases, direct-type concrete phases, and floating slab phases.

또한, 직결식 콘크리트도상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도상을 형성하는 현장타설 직결식 콘크리트 도상과,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여 도상을 형성하는 공장제작 슬래브도상으로 구분된다.In addition, direct-concrete concrete statues are divided into on-site direct-concrete concrete statues in which concrete is poured at the site to form the image, and factory-fabricated slab shapes that are assembled at the site after being manufactured at the factory.

이러한 도상에 형성되는 레일 상에서 열차가 운행되는 경우, 진동이 유발되고 이 진동이 침목과 도상을 통하여 전파되어 구조물을 파손하는 등 여러 진동관련 문제가 유발되고 있다.When a train runs on a rail formed on such a figure, vibrations are induced, and the vibrations are propagated through the sleepers and the statues, thereby causing various vibration-related problems.

또한, 침목이 형성되는 궤도의 경우에는, 침목 사이의 레일에 반복적인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그 부위에서 레일이 휘게 되어 열차의 바퀴와 레일 사이의 접촉이 일정하지 않아 바퀴와 레일 간의 마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마모는 추가적인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마모 및 진동은 궤도의 큰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track in which a sleeper is formed, when a repetitive load is applied to the rail between the sleepers, the rail is bent at the site and the contact between the wheels and the rails of the train is not constant and wear between the wheels and the rails is greatly increased. This wear can cause additional noise and vibration. And such wear and vibration will cause a great damage to the track.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일과 침목 또는 도상 사이에 방진고무 등의 탄성체를 설치하여 진동의 전달을 완화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alleviating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by installing an elastic body such as a dustproof rubber between a rail and a sleeper or a bed is us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0824호는 볼트와 선 스프링을 이용한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크고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레일체결을 위해 4개의 고정볼트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80824 discloses a railway rail fastening device and a fastening method for concrete islands using bolts and wire springs, bu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high, which leads to high risk of damage and maintenance. The disadvantage is the increased cost. Moreo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time increases because four fixing bolts must be used for rail fastening.

최근, 중앙부가 레일 바닥부까지 늘려지고, 이를 바깥쪽으로 당기면 레일에서 떨어지므로 레일 교체가 가능하며, 체결 시에는 이를 조여서 2점을 닿게 하여 2단 탄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레일체결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차량이 레일을 주행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또 잦은 진동에 의해 타이플레이트의 변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레일의 변형을 유발하므로 안전성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the center portion is extended to the bottom of the rail, and when it is pulled outward, the rail can be replaced because it falls off the rail, and when fastening, a rail fastening device is disclosed that can achieve two-stage elasticity by touching two points.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of not sufficiently removing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vehicle runs on the rails, and the vibration of the tie plate is caused by frequent vibrations, which causes the deformation of the rails, thereby degrading safety.

이러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의 체결 공정이 간편하면서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개선된 형태의 레일체결장치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스틸침목이 사용되는 교량에서 사용이 적합한 레일체결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re is still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rail fastening device of an improved form that can easily prevent the vibration and noise while the rail fastening process is simple, especially in bridges using steel sleepers The development of this suitable rail fastening device is required.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궤도레일과 침목의 체결 공정이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일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 fastening device, which is simple and easy to fasten a track rail and a sleeper, ≪ / RTI >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는, 철도 차륜이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아래쪽에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헤드부와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로 이루어지는 궤도레일을, 교량에서의 침목에 체결하는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목 상측에 안착되고 중앙에 수용공이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수용공에 수용되는 방진패드; 상기 방진패드 상측에 적층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측에 적층되고, 상측에 상기 궤도레일이 안착되는 레일패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걸치도록 놓이고 탄성변형되는 제1텐션클램프; 상측이 상기 제1텐션클램프에 걸리고 하측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체결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걸치도록 놓이고 탄성변형되는 제2텐션클램프; 및 상측이 상기 제2텐션클램프에 걸리고 하측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체결구;를 포함한다.Rail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that the rail wheel is in contact with, a flange portion formed below the head portion and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joint portion connecting the head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A rail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track rail formed to a sleeper in a bridge, comprising: a guide plate seated on an upper side of the sleeper and having a receiving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Dustproof pa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A base plate stacked on the dust pad; A rail pad stacked on the base plate and having the track rail mounted thereon; A first tension clamp placed over the flange portion and the base plate and elastically deformed; A first fastening hole having an upper side caught by the first tension clamp and a lower side fixed to the base plate; A second tension clamp placed over the guide plate and the base plate and elastically deformed; And a second fastening hole having an upper side caught by the second tension clamp and a lower side fixed to the guide plate.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양측에는, 상기 침목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고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탄성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체결구는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다.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fastening part spaced upward from the sleeper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and is fixed to the guide plate.

상기 제2체결구는, 상기 체결공을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여 걸리는 제2티볼트와, 상기 제2텐션클램프 위쪽에서 상기 제2티볼트에 체결되는 제2너트와, 상기 제2텐션클램프와 제2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2와셔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 second t-bolt that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from below, a second nut that is fastened to the second t-bolt from above the second tension clamp, and between the second tension clamp and the second nut. And a second washer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탄성체결부 외측으로 상기 제2텐션클램프의 날개부가 삽입되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한 제2탄성체결홈이 형성된다.The guide plate has a second elastic fastening groove recessed downward so that the wing portion of the second tension clamp is inserted outside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측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구의 하단은 상기 걸림돌부에 걸려 상측으로 이동이 저지된다.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fastening hole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to prevent movement upward.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궤도레일의 길이방향에서 대칭되게 2 부분으로 나뉘어 형성되어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체결구는, 상기 걸림홈에 걸려 위로 돌출되는 제1티볼트와, 상기 제1텐션클램프 위쪽에서 상기 제1티볼트에 체결되는 제1너트와, 상기 제1텐션클램프와 제1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와셔로 이루어진다.The locking protrus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symmetr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and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and the first fastener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first tension bolt and above the first tension clamp. The first nut is fastened to the first tie bolt, and the first wash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tension clamp and the first nut.

상기 걸림홈은 하측의 폭이 넓고 상측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티볼트는, 상기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궤도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은 저지되되 상기 궤도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having a wide width at the lower side and a narrow width at the upper side, and the first t-bolt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in a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It is made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돌부 외측으로 상기 제1텐션클램프의 날개부가 삽입되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한 제2탄성체결홈이 형성된다.The base plate has a second elastic fastening groove recessed downward so that the wing portion of the first tension clamp is inserted outside the locking protrusion.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수용공에 꼭 맞게 삽입된다.The base plat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침목에 밀착되는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 상에서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고, 고정볼트가 상기 고정공을 관통하여 상기 침목에 체결된다.The guide plate has a fixing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sleeper, and a fixing hole penetrated on the fixing surface, and the fixing bolt is fastened to the sleeper through the fixing hol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궤도레일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은 제1텐션클램프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와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은 제2텐션클램프에 의하여 각각 흡수되는 2중의 충격흡수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진동 및 충격이 단계적으로 흡수되어 충격완화에 매우 효과적은 레일체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and shock transmitted between the track rail and the base plate by the first tension clamp, the vibration and shock transmitt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guide plate is the second tension clamp Since it has a double shock absorbing structure respectively absorbed by th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ail fastening device which is very effective in mitigating the shock is absorbed step by step vibration and shock.

그리고 가이드플레이트에서 탄성체결부가 침목으로부터 이격되어 제2텐션클램프 및 제2체결구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체결이 용이할 뿐 아니라, 침목, 가이드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 및 궤도레일 간의 순차적인 충격완화 및 자연스런 감쇄가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sleeper in the guide plate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tension clamp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thereby facilitating fastening, and sequential impact relaxation and natural attenuation between the sleeper, the guide plate, the base plate, and the track rail. Is done.

또한, 걸림홈과 제1티볼트의 구조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제1티볼트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and detachment of the first t-bolt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by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groove and the first t-bolt can be easily made.

또한,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놓인 궤도레일의 플랜지부가 제1텐션클램프를 통해 제1체결구로 용이하게 체결하면서도 궤도레일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고, 부품 간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레일시공 시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flange portion of the track rail placed on the base plate is easily fastened to the first fastener through the first tension clamp, the fastening force of the track rail is increased, and the construction time is shortened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through the organic coupling between the parts. Maintenance can be facilita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가 침목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레일체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ail fastening device is installed on a slee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1,
3 is a plan view showing a rail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rail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FIG. 1;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rail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is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in nature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readily implement the invention,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시술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operator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1)가 침목(200)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레일체결장치(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레일체결장치(1)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레일체결장치(1)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레일체결장치(1)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fasten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leeper 200,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fastening device 1 according to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rail fastening device 1 according to FIG. 1,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ail fastening device 1 according to FIG. 1, and FIG. 5 is a rail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FIG. 1.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1).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1)는 침목(200)상에 궤도레일(100)을 안정되게 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에서의 궤도레일(100)은 헤드부(110), 플랜지부(120) 및 이음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ail faste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tably fastening the track rail 100 on the sleeper 200 and the track rail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head portion 110, And includes a flange portion 120 and a joint portion 130.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1)는 교량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침목은 H빔 형상의 스틸침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rail fasten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on the bridge, the sleeper is preferably formed of steel beams of H-beam shape.

본 고안은, 상술한 형태의 침목(200)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방진패드(10), 베이스플레이트(20), 레일패드(30), 가이드플레이트(40), 제1텐션클램프(50), 제1체결구(60), 제2텐션클램프(70) 및 제2체결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leeper 200 of the above-described form, the dustproof pad 10, the base plate 20, the rail pad 30, the guide plate 40, the first tension clamp 50, It includes a first fastener 60, the second tension clamp 70 and the second fastener 80.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는 침목(200) 상측에 안착되며, 중앙에 수용공(4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41)은 평면도상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41)에 상기 방진패드(10) 및 베이스플레이트(20)가 삽입된다. The guide plate 40 is seated on the sleeper 200, the receiving hole 41 is formed in the center. The receiving hole 4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nd the dustproof pad 10 and the base plate 20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41.

특히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는 상기 수용공(41)에 꼭 맞게 삽입되며, 상기 수용공(41)에 삽입시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이 없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base plate 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41, and is formed so as not to be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41).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 양측, 즉 상기 수용공(41)의 양쪽으로는, 상기 침목(200)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고 중앙에 체결공(43)이 형성되는 탄성체결부(42)가 마련된다.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40, that is, both sides of the receiving hole 41,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fastening part 42 spaced upward from the sleeper 200 and having a fastening hole 43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에는, 상기 탄성체결부(42) 외측으로 상기 제2텐션클램프(70)의 날개부(71)가 삽입되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한 제2탄성체결홈(44)이 형성된다. 탄성체결부(42) 및 제2탄성체결홈(44)은, 상기 궤도레일(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쪽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plate 40 is formed with a second elastic fastening groove 44 recessed downward so that the wing portion 71 of the second tension clamp 70 is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42.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42 and the second elastic fastening groove 44 are formed at both sid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100.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에서, 상기 수용공(41)의 다른 양쪽으로는 고정면(4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면(45)은 상기 침목(200)에 밀착되며, 상기 고정면(45) 상에는 관통된 고정공(46)이 형성된다.In the guide plate 40, a fixed surface 4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hole 41. The fixing surface 4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leeper 200, and the fixing hole 46 is formed therethrough on the fixing surface 45.

이처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는, 중앙에 수용공(41)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사각의 틀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2쪽 변은 상기 침목(200)에 결합하고 다른 두쪽 변은 레일체결장치(1)의 다른 구성과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침목(200)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로 전달되는 진동이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된다.As such, the guide plate 40, the receiving hole 41 is provided in the cent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as a whole, the two sides are coupled to the sleeper 200 and the other two sides of the rail fastening device It is made to be combin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of (1),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sleeper 200 to the guide plate 40 is formed to proce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방진패드(10)는 대체로 넓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공(41)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방진패드(10)는 침목(200)에 직접 접촉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서는, 방진패드(10)와 침목(200) 사이에 커버(90)가 배치되며, 상기 커버(90)가 가이드플레이트(40)의 고정면(45)과 함께 레일체결장치(1)의 가장 아래쪽 면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90)는 상기 수용공(41)에 꼭 맞게 삽입되며 상기 방진패드(10)가 상기 수용공(41) 아래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anti-vibration pad 10 is generally formed in a wide plate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41 to be seated. The dustproof pad 1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leeper 200, but in the rail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90 is disposed between the dustproof pad 10 and the sleeper 200. The cover 90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fastening device 1 together with the fixing surface 45 of the guide plate 40. The cover 9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hole 41 and prevents the dustproof pad 10 from escaping below the accommodating hole 41.

상기 방진패드(10)는 탄성을 갖는 재질(고무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1)로 전달된 하중이 수직방향 하측으로 전달됨에 있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anti-vibration pad 1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rubber, etc.), and the load transmitted to the rail fasten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perform a shock absorbing a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상기 방진패드(10) 상측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결합하는 베이스플레이트(20)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역시 대체로 넓은 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는 상기 수용공(41)에 꼭 맞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41) 내부에서 전후 또는 좌우 방향 이격이 없도록 형성된다.A base plate 20 is formed to be coupled in a form stacked on the dustproof pad 10. The base plate 20 is also generally formed in a wide plate shape. The base plate 2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41 to fit snugly, and is formed so that there is no space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receiving hole 41.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측면에는 상기 레일패드(30) 측단부를 지지하는 걸림돌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부(21)는 상기 궤도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단속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late 20, a locking protrusion 21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of the rail pad 30 is formed. The locking portion 21 may b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100, it is preferably formed in an intermittent form as shown in Figs.

상기 걸림돌부(21)는 상기 레일패드(30)의 측단부를 지지함은 물론, 상기 제1체결구(60)의 하단이 걸려 상측으로 이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돌부(21)는 상기 궤도레일(100)의 길이방향에서 대칭되게 2 부분으로 나뉘어 형성된다.The locking protrusion 21 serves to support the side end of the rail pad 30 as well as to stop the movement of the first fastening hole 60 to the upper end. To this end, the engaging protrusion 21 is formed by dividing the two parts symmetr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100).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돌부(21)는 서로 마주하는 쪽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부(21) 사이에 걸림홈(2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2)은 하측의 폭이 넓고 상측의 폭이 좁은 사다리꼭 형태로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locking protrusions 21 are formed in the form of closer to each other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side facing each other, whereby the locking grooves 22 are formed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s (21). The locking groove 2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adder top wide width of the lower side and narrow width of the upper side.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는, 상기 걸림돌부(21) 외측으로 상기 제1텐션클램프(50)의 날개부(51)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제2탄성체결홈(2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20 is formed with a second elastic fastening groove 23 that is concave so that the wing portion 51 of the first tension clamp 5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trusion 21.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측에 상기 레일패드(30)가 적층되는 형태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패드(30) 상측에 상기 궤도레일(100)이 안착된다. 상기 레일패드(30) 또한,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궤도레일(100)로부터 전달되는 수직하중을 흡수하여 진동 및 충격이 감소되도록 한다.And the rail pad 30 is stacked on the base plate 20 in a laminated manner. The track rail 100 is seated on the rail pad 30. The rail pad 3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and absorbs the vertical load transmitted from the track rail 100 to reduce vibrations and impacts.

상기 레일패드(30) 하측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부면에 형성된 홈(도면번호 미표시)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돌기 및 홈에 의하여 상기 레일패드(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서 측방향 유동이 저지되고, 특히 상기 궤도레일(100)의 길이방향 유동이 효과적으로 저지된다.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below the rail pad 30, and the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not show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0. These protrusions and grooves prevent the lateral flow of the rail pad 30 on the base plate 20, and particularly the longitudinal flow of the track rail 100.

또한, 상기 레일패드(30)의 단부 중, 상기 궤도레일(100)의 길이방향 쪽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쪽으로 절곡된 걸림턱(도면번호 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레일패드(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에서 상기 궤도레일(100)의 길이 방향 쪽으로 유동이 저지되며, 전체적으로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rail pad 30, the locking step (not shown) bent toward the base plate 20 as shown in Figure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100 can be formed In this way, the rail pad 30 is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100 on the base plate 20, the overall stable coupling can be made.

상기 제1텐션클램프(50)는 상기 플랜지부(1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걸치도록 놓이며,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텐션클램프(50)는 스프링과 같이 탄성변형하며, 상기 궤도레일(10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흡수하고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1)의 안정된 결합을 보장한다. 상기 제1텐션클램프(5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깥쪽으로 볼록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와 접하는 부분을 날개부(51)로 칭하도록 한다.The first tension clamp 50 is placed to span the flange portion 120 and the base plate 20,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first tension clamp 50 is elastically deformed like a spring, absorb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track rail 100 and ensures a stable coupling of the rail fasten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nsion clamp 5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e first tension clamp 50 may be convex outward so that the portion contacting the base plate 20 may be referred to as a wing 51.

상기 제1체결구(60)는 상기 제1텐션클램프(50)에 상측이 걸리도록 이루어지며, 하측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데 하측 부분이 상기 걸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부(21)에 걸리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고정된다. The first fastening hole 6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ide is caught by the first tension clamp 50, and the lower side is fixed to the base plate 20,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2 so that the locking stones are formed. It is caught by the portion 21 and is fixed to the base plate 20.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체결구(60)는, 상기 걸림홈(22)에 걸려 위로 돌출되는 제1티볼트(61)와, 상기 제1텐션클램프(50) 위쪽에서 상기 제1티볼트(61)에 체결되는 제1너트(62)와, 상기 제1텐션클램프(50)와 제1너트(62) 사이에 개재되는 제1와셔(63)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티볼트(61)는, 상기 걸림홈(22)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궤도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되 상기 궤도레일(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텐션클램프(50)가 상기 궤도레일(100)과 베이스플레이트(20)를 안정적으로 탄성 연결시키면서도 제1체결구(60)와 베이스플레이트(2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fastening hole 60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22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first t-bolt 61 and the first t-bolt 61 above the first tension clamp 50. The first nut 62 is fastened, and the first washer 63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tension clamp 50 and the first nut 62. In particular, the first t-bolt 61 is blo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100 in a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2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100. It is made movable. Due to this structure, the first tension clamp 50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between the first fastener 60 and the base plate 20 while stably and elastically connecting the track rail 100 and the base plate 20. It can be made, the replacement of the parts can be made easily.

또한, 제1텐션클램프(50)의 날개부(51)는, 제1체결구(60)에 체결시 제1탄성체결홈(23)에 삽입되면서 제1티볼트(61)의 머리부(아래쪽)를 바깥쪽에서 지지하고, 레일패드(30) 및 궤도레일(100)의 플랜지부(120) 측면이 상기 제1티볼트(61)의 머리부 안쪽을 지지하므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티볼트(610)가 걸림홈(22)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며 안정된 결합이 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g portion 51 of the first tension clamp 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elastic fastening groove 23 at the time of fasten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60, the head portion (bottom) of the first tie bolt 61. Support from the outside, and the rail pad 30 and the side of the flange portion 120 of the track rail 100 supports the inside of the head of the first tie bolt 61, the first tie bolt 610 in a coupled state Is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locking groove 22 and a stable coupling can be ensured.

상기 제1텐션클램프(50)가 상기 플랜지부(120)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절연블럭이 개재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절연블럭은 상기 궤도레일(100)과 제1텐션클램프(5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한다.An insulating block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tension clamp 50 and the flange portion 120. The insulating block made of synthetic resi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rack rail 100 and the first tension clamp 50. Disconnect the electrical connection.

상기 제2텐션클램프(7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에 걸치도록 놓이며,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텐션클램프(70)는 스프링과 같이 탄성 변형하며, 상기 궤도레일(10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흡수하고 본 고안에 따른 레일체결장치(1)의 안정된 결합을 보장한다. 상기 제2텐션클램프(7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깥쪽으로 볼록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 특히 상기 제2탄성체결홈(44)과 접하는 부분을 날개부(71)로 칭하도록 한다.The second tension clamp 70 is placed to span the guide plate 40 and the base plate 20, and is made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The second tension clamp 70 elastically deforms like a spring, absorb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track rail 100 and ensures a stable coupling of the rail fasten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ension clamp 7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e second tension clamp 70 is convex outward so that the portion contacting the guide plate 20, in particular, the second elastic fastening groove 44 is referred to as a wing portion 71. .

상기 제2체결구(80)는 상기 제2텐션클램프(70)에 상측이 걸리도록 이루어지며, 하측은 상기 탄성체결부(42)에 고정되는데 하측 부분이 상기 체결공(43)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체결부(42)에 고정된다.The second fastener 80 is formed to be caught on the second tension clamp 70, the lower side is fixed to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42, the lower portion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43 to the elastic body It is fixed to the joint 42.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체결구(80)는, 상기 체결공(43)을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여 걸리는 제2티볼트(81)와, 상기 제2텐션클램프(70) 위쪽에서 상기 제2티볼트(81)에 체결되는 제2너트(82)와, 상기 제2텐션클램프(70)와 제2너트(82) 사이에 개재되는 제2와셔(83)로 이루어진다. 제2티볼트(81)는 상기 체결공(43)에 꼭 맞게 삽입될 뿐 아니라, 제2티볼트(81)의 머리부는 탄성체결부(42)의 안쪽으로 형성되는 걸림턱 및 제2탄성체결홈(44)이 형성된 부분에 걸려 유격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2텐션클램프(70)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와 베이스플레이트(20)를 안정적으로 탄성 연결시키면서도 제2체결구(80)와 가이드플레이트(4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fastener 80 has a second t-bolt 81 which is fastened from the bottom through the fastening hole 43 and the second t-bolt 81 above the second tension clamp 70. ) And a second nut 82 fastened to the second nut 82, and a second washer 83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tension clamp 70 and the second nut 82. The second t-bolt 81 is not on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43, but also the locking jaw and the second elastic fastening groove 44 formed inside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42 of the head of the second t-bolt 81. ) Is formed so as to prevent play therebetween, and according to the structure, the second tension clamp 70 stably elastically connects the guide plate 40 and the base plate 20 with the second fastener 80. The coupling and separation between the guide plate 40 can be made easily, and the replacement of parts can be made easily.

상술한 바와 같이, 궤도레일(100)과 베이스플레이트(20)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은 제1텐션클램프(50)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20)와 가이드플레이트(40)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은 제2텐션클램프(70)에 의하여 각각 흡수되는 2중의 충격흡수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진동 및 충격이 단계적으로 흡수되어 충격완화에 매우 효과적은 레일체결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and shock transmitted between the track rail 100 and the base plate 20 is a vibration transmitted between the base plate 20 and the guide plate 40 by the first tension clamp 50. And since the shock has a double shock absorbing structure respectively absorbed by the second tension clamp 7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ail fastening device (1) which is very effective in mitigating the shock by absorbing vibration and shock in stages.

또한, 가이드플레이트(40)에서 탄성체결부(42)가 침목으로부터 이격되어 제2텐션클램프(70) 및 제2체결구(80)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체결이 용이할 뿐 아니라, 침목(200), 가이드플레이트(40), 베이스플레이트(20) 및 궤도레일(100) 간의 순차적인 충격완화 및 자연스런 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42 is spaced apart from the sleeper in the guide plate 40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tension clamp 70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80, not only the fastening is easy, but also the sleeper 200, The sequential shock alleviation and natural attenuation between the guide plate 40, the base plate 20 and the track rail 100 can be made.

1 : 레일체결장치
10 : 방진패드 20 : 베이스플레이트
21 : 걸림돌부 22 : 걸림홈
23 : 제1탄성체결홈 30 : 레일패드
40 : 가이드플레이트 41 : 수용공
42 : 탄성체결부 43 : 체결공
44 : 제2탄성체결홈 45 : 고정면
46 : 고정공 50 : 제1텐션클램프
51 : 날개부 60 : 제1체결구
61 : 제1티볼트 62 : 제1너트
63 : 제1와셔 70 : 제2텐션클램프
71 : 날개부 80 : 제2체결구
81 : 제2티볼트 82 : 제2너트
83 : 제2와셔 90 : 커버
100 : 궤도레일 110 : 헤드부
120 : 플랜지부 130 : 이음부
200 : 침목
1: Rail fastening device
10: dustproof pad 20: base plate
21: locking protrusion 22: locking groove
23: first elastic fastening groove 30: rail pad
40: guide plate 41: receiving hole
42: elastic fastening part 43: fastening hole
44: second elastic fastening groove 45: fixed surface
46: fixing hole 50: the first tension clamp
51: wing portion 60: first fastener
61: 1st T-bolt 62: 1st Nut
63: first washer 70: second tension clamp
71: wing portion 80: second fastener
81: 2nd T-bolt 82: 2nd nut
83: second washer 90: cover
100: track rail 110: head portion
120: flange 130: joint
200: sleeper

Claims (10)

철도 차륜이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아래쪽에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헤드부와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로 이루어지는 궤도레일을, 교량에서의 침목에 체결하는 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목 상측에 안착되고 중앙에 수용공이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수용공에 수용되는 방진패드;
상기 방진패드 상측에 적층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측에 적층되고, 상측에 상기 궤도레일이 안착되는 레일패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걸치도록 놓이고 탄성변형되는 제1텐션클램프;
상측이 상기 제1텐션클램프에 걸리고 하측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체결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걸치도록 놓이고 탄성변형되는 제2텐션클램프; 및
상측이 상기 제2텐션클램프에 걸리고 하측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The rail fastening which fastens the track rail which consists of the head part which a railway wheel contacts, the flange part formed below the head part, and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joint part which connects the head part and a flange part to the sleeper in a bridge. In the device,
A guide plat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leeper and having a receiving hole in the center thereof;
Dustproof pa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A base plate stacked on the dust pad;
A rail pad stacked on the base plate and having the track rail mounted thereon;
A first tension clamp placed over the flange portion and the base plate and elastically deformed;
A first fastening hole having an upper side caught by the first tension clamp and a lower side fixed to the base plate;
A second tension clamp placed over the guide plate and the base plate and elastically deformed; And
And an upper fastening portion caught by the second tension clamp and a lower fastening portion fastened to the guid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양측에는, 상기 침목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고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탄성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체결구는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fastening part spaced upward from the sleeper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second fastener is a rail faste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s fixed to the guide plate through the fastening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구는, 상기 체결공을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여 걸리는 제2티볼트와, 상기 제2텐션클램프 위쪽에서 상기 제2티볼트에 체결되는 제2너트와, 상기 제2텐션클램프와 제2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2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 second t-bolt that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from below, a second nut that is fastened to the second t-bolt from above the second tension clamp, and between the second tension clamp and the second nut. Rail fasten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washer disposed in th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탄성체결부 외측으로 상기 제2텐션클램프의 날개부가 삽입되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한 제2탄성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plate, a rail fast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lastic fastening groove is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so that the wing portion of the second tension clamp is inserted outside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측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구의 하단은 상기 걸림돌부에 걸려 상측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ase plate,
The lower end of the first fastener is fastened to the rail faste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is prevented upwar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궤도레일의 길이방향에서 대칭되게 2 부분으로 나뉘어 형성되어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체결구는, 상기 걸림홈에 걸려 위로 돌출되는 제1티볼트와, 상기 제1텐션클램프 위쪽에서 상기 제1티볼트에 체결되는 제1너트와, 상기 제1텐션클램프와 제1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by dividing into two parts symmetr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The first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t-bolt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and protrudes upward, a first nut that is fastened to the first t-bolt above the first tension clamp,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tension clamp and the first nut. Rail fasten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washer to b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하측의 폭이 넓고 상측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티볼트는, 상기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궤도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은 저지되되 상기 궤도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having a wide width of the lower side and a narrow width of the upper side,
The first tie bolt is a rail faste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is prevented, but is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rail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돌부 외측으로 상기 제1텐션클램프의 날개부가 삽입되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한 제2탄성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se plate, the rail faste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lastic fastening groove which is concave downward to be inserted so that the wing portion of the first tension clamp to the outside of the locking projection.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수용공에 꼭 맞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base plate is a rail fast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침목에 밀착되는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 상에서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고,
고정볼트가 상기 고정공을 관통하여 상기 침목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n the guide plate, a fixing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sleeper, and a fixing hole penetrating on the fixing surface is formed,
Rail fast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olt is fastened to the sleeper through the fixing hole.
KR2020120006052U 2012-07-10 2012-07-10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KR2014000042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52U KR20140000429U (en) 2012-07-10 2012-07-10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52U KR20140000429U (en) 2012-07-10 2012-07-10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714U Division KR200479970Y1 (en) 2015-04-27 2015-04-27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29U true KR20140000429U (en) 2014-01-21

Family

ID=5244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052U KR20140000429U (en) 2012-07-10 2012-07-10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429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902B1 (en) * 2020-04-07 2020-12-01 황윤태 Railroad Structure Alteration System and Railroad Structure Alteration Eexecu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902B1 (en) * 2020-04-07 2020-12-01 황윤태 Railroad Structure Alteration System and Railroad Structure Alteration Eexecu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713B1 (en) apparatus to reinforce of railway rail,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20150125307A (en) floating railway track of vibration-proofing using precast panel
KR100986811B1 (en) Vibration Proof Apparatus of Floating Track
KR200473880Y1 (en) Rail fastening apparatus
KR101526820B1 (en) Rail floating isolation and support apparatus
KR20160117923A (en) Slab track structure of steel-fram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rc) for railwa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530965B1 (en) Rail fastening system with casing for shearing load guidance
KR20150019947A (en) Apparatus to fix insulation joint part of train rails
KR101272472B1 (en) Low-vibration Railroad Bridge of Elastic Resin Fixing Method
KR200470249Y1 (en) Rail fastening apparatus
KR20130007077U (en) Assembl reclamation rail structure
KR20140000429U (en)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KR101305455B1 (en) Rail fastening apparatus
KR200479970Y1 (en)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KR100660007B1 (en) Rail fixing structure of railway
KR101067832B1 (en) Concrete railroad rail fastener
KR101338375B1 (en) Railway and bridge
KR20120008725U (en) Rail connecting apparatus
KR200476498Y1 (en)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JP4592454B2 (en) Noise reduction structure for slab track
JPH07247503A (en) Vibration insulating device for sleeper
KR20140000516U (en)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uplift force in bridge
KR101094876B1 (en) Seperation preventive apparatus for rail
KR200312651Y1 (en) Washer bolt used for fastening device which awwests railroad sound and vibration
KR100383578B1 (en) A apparatus for preventing vibration of railroad and sub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