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089U - 통풍 베개 - Google Patents

통풍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089U
KR20140000089U KR2020120005580U KR20120005580U KR20140000089U KR 20140000089 U KR20140000089 U KR 20140000089U KR 2020120005580 U KR2020120005580 U KR 2020120005580U KR 20120005580 U KR20120005580 U KR 20120005580U KR 20140000089 U KR20140000089 U KR 201400000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hell
ventilation
outer shell
endothel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득
Original Assignee
이관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득 filed Critical 이관득
Priority to KR2020120005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089U/ko
Publication of KR20140000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베개의 외피와 내피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통풍 부재로 재봉하여 통풍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피 하부 부재 및 내피의 상부와 하부 부재를 방수 부재로 제작하여 물과 기름이 흡수되지 않아 세균번식을 억제하여 안락하게 휴식 및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통풍 베개에 관한 것으로, 충전재를 포장하는 외피를 구비하는 통풍 베개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제1 외피 및 제2 외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 사이에는 제1 통기 부재(101) 및 제1 결합 부재(102)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의 각각은 상부 부재(103)와 하부 부재(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부재(103)는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부재(104)는 방수재로 이루어진 구성을 마련한다.
이와 같은 통풍 베개에 의하면, 베개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마련된 통기 부재는 베개 내부의 습기 및 곰팡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연탈취기능이 우수해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통풍 베개{VENTILATION PILLOW}
본 고안은 통풍 부재를 이용하여 베개를 제작함에 통풍이 잘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개의 외피와 내피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통풍 부재로 재봉하여 통풍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피 하부 부재 및 내피의 상부와 하부 부재를 방수재, 즉,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제작하여 물과 기름이 흡수되지 않아 세균번식을 억제하여 안락하게 휴식 및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통풍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절기 장마때 수면시 인체에 접촉되는 부위가 땀이 차게 되어 습진과 같은 질병 및 냄새 등 청결치 않은 위생상의 문제점과 그의 사용에 있어 쿠션감 저하가 발생된다.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해 페브리즈(상표명)를 뿌리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는 일시적인 효과일 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즉, 하기 문헌 1에는 대나무 베개로서, 베개의 양측 면에 구성된 베개 프레임에 대나무를 끼워 고정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베개를 제작하여 베개 내부에 지지대를 구성시킬 필요가 없는 통풍이 용이한 대나무를 이용한 베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문헌 2에는 황토 볼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낭(囊) 형태의 외피 내에 황토 볼이 수개 내장된 베개에 있어서, 상기 황토 볼은 8∼12mm 직경으로 500℃에서 소성 제작되며, 상기 베개를 구성하는 낭 형태의 외피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황토 볼의 충격흡수를 위한 우레탄스펀지가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포함한 쾌적함과 원적외선 방사효과로 신체의 원활한 신진대사를 도우며, 쿠션감을 갖는 베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문헌 3에는 대나무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가 놓여 지는 대나무발 부분으로 통기성 및 쿠션력을 갖는 패드를 간편하게 씌우고 베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다 안락하게 휴식 및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양측으로 위치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으로 다수의 대나무발이 결합되어 형성된 재치부를 구비하는 대나무발 베개에 있어서, 상기 재치부를 감싸도록 통기성 및 쿠션력을 갖는 패드와 상기 재치부의 밑면으로 고정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하고 상기 패드의 양끝단 동일면으로 각각의 부착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발 베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233439호(2001.05.28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2009-0009582호(2009.09.23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2419800000호(2001.07.30 등록)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통기성은 우수하지만 대나무 및 황토로 제작되어 촉감과 세균 번식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통풍 부재를 사용하여 베개의 내부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베개 내부의 습기 및 곰팡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연 탈취 기능이 우수한 통풍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두피에 편한 감촉의 통풍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피의 하부 부재 및 내피를 방수재 즉,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제작하여 땀 및 기름 흡수를 차단하고,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쾌적한 통풍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는 충전재를 포장하는 외피를 구비하는 통풍 베개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제1 외피 및 제2 외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 사이에는 제1 통기 부재(101) 및 제1 결합 부재(102)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는 각각 상부 부재(103)와 하부 부재(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부재(103)는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부재(104)는 방수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분리되고, 상기 충전재를 포장하는 내피(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피(200)는 제1 내피 및 제2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피와 제2 내피 사이에는 제2 통기 부재(201) 및 제2 결합 부재(202)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내피와 제2 내피는 각각 상부 부재(103)와 하부 부재(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부재(103)는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부재(104)는 방수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 부재(101)는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 사이에 적어도 2곳 이상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외피 및 제2 외피와 재봉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기 부재(201)는 상기 제1 내피와 제2 내피 사이에 적어도 2곳 이상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내피 및 제2 내피와 재봉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102) 및 제2 결합 부재(202)는 파스너이고, 상기 파스너는 제1 통기 부재(101) 및 제2 통기 부재(201)에 적어도 1개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에 의하면, 베개의 제1 외피와 제2 외피 또는 제1 내피와 제2 내피 사이에 마련된 통기 부재를 마련하므로, 베개 내부의 습기 및 곰팡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연탈취기능이 우수해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에 의하면, 외피의 상부 부재를 순면으로 재봉하여 감촉이 좋으며, 외피의 하부 부재 또는 내피를 방수재로 형성하므로, 땀과 기름, 비듬, 피부 각질의 흡수를 차단하여 눅눅하지 않고 위생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에 의하면, 파스너의 슬라이더의 손잡이부를 외피의 내측에 마련하므로, 머리 가락이 파스너에 끼는 것을 방지하고, 수면시 결합 부재가 개봉됨을 방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게 된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의 외피 및 내피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의 외피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의 외피(100) 및 내피(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의 외피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충전재를 포장하는 외피를 구비하는 통풍 베개로서, 상기 외피(100)는 제1 외피 및 제2 외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 사이에는 제1 통기 부재(101) 및 제1 결합 부재(102)가 마련된다.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의 제1 외피 및 제2 외피는 각각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통기 부재(101)는 상기 외피의 4개의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2곳 이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102)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1곳 이상에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고안의 통풍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 머리의 무게로 인해 베개가 압축되면, 외피(100)의 모서리에 적어도 2곳 이상에 마련된 제1 통기 부재(101)를 통해 용이하게 외피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된다. 또 미사용시에는 제1 통기 부재(10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외피의 내부로 인입된다.
본 고안과 같이 제1 통기 부재(10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외피 내의 공기가 외부로 통할 수 있어 습기와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는 자연탈취기능이 가능하고, 수면시에 매우 민감해지는 사람의 머리 부분에 대한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기 부재(101)는 신축성이 좋고 통풍이 가능한 재료이면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항균 기능성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에서는 상기 제1 통기 부재(101)가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 사이를 따라 직선 배열로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관을 고려하여 물결 배열, 지그재그 배열, 굴곡 배열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 상기 제1 통기 부재(101)는 재봉에 의해 상기 제1 외피 및 제2 외피와 일체화된다.
한편,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의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103)와 하부 부재(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부재(103)는 사용자의 땀을 흡수하고, 얼굴 및 머리와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서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해 순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땀 또는 물의 흡수가 가능한 직물이면 제작가능하다. 또, 상기 하부 부재(104)는 통상의 방수재로 이루어지나 상세하게는 멤브레인 구조의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사용자의 수면시 입자가 큰 땀과 기름, 비듬, 피부 각질의 흡수는 차단하고 입자가 작은 공기는 통함으로 외피 내에 충전된 충전재에서 세균 번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 부재(103)와 하부 부재(104)는 통상의 열 접합, 초음파 접합, 도트 방식의 부분접합 중 상기 하부 부재(104)의 미세한 구멍의 역할이 극대화 되도록 도트 방식의 부분접합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는 통상의 솜, 다양한 종류의 종자, 귤 껍질, 누에의 변, 솔잎 또는 이들의 혼합물, 황토, 복숭아씨 등 어떠한 것으로 채워도 무관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1 결합 부재(10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fastener) 이고, 상기 파스너의 슬라이더의 손잡이부(105)는 상기 외피의 내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머리 가락이 파스너에 끼는 것을 방지하고, 수면시 결합 부재가 개봉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1 결합 부재(102)는 파스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벨크로 부재, 스냅 파스너(snap fastner) 나 각종 단추 또는 끈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는 상기 외피(100)와 분리되고, 상기 충전재를 포장하는 내피(200)를 더 마련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외피(100)는 내피(200)를 포장하게 된다.
이러한 내피(200)는 제1 내피 및 제2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피와 제2 내피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기 부재(201) 및 제2 결합 부재(202)가 마련된다. 상기 제1 내피와 제2 내피는 각각 방수재, 보다 상세하게는 멤브레인 구조의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피 및 제2 내피도 상기 제1 외피 및 제2 외피와 마찬가지로 각각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통기 부재(201)는 상기 내피의 4개의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2곳 이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202)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1곳 이상에 마련된다.
또 상기 제2 통기 부재(201)도 제1 통기 부재(10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내피와 제2 내피 사이를 따라 직선 배열로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관을 고려하여 물결 배열, 지그재그 배열, 굴곡 배열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 상기 제2 통기 부재(201)는 재봉에 의해 상기 제1 내피 및 제2 내피와 일체화된다.
한편, 상기 제1 내피와 제2 내피는 도 2에 도시된 제1 외피, 제2 외피와 같이, 각각 상부 부재(103)와 하부 부재(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부재(103)는 사용자의 땀을 흡수하고, 얼굴 및 머리와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서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해 순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땀 또는 물의 흡수가 가능한 직물이면 제작가능하다. 또, 상기 하부 부재(104)는 통상의 방수재로 이루어지나 상세하게는 멤브레인 구조의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사용자의 수면시 입자가 큰 땀과 기름, 비듬, 피부 각질의 흡수는 차단하고 입자가 작은 공기는 통함으로 외피 내에 충전된 충전재에서 세균 번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 부재(103)와 하부 부재(104)는 통상의 열 접합, 초음파 접합, 도트 방식의 부분접합 중 상기 하부 부재(104)의 미세한 구멍의 역할이 극대화 되도록 도트 방식의 부분접합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내피(20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땀이나 기름 등이 충전재에 침입하는 것을 더욱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통풍 베개를 사용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에서 편안하게 잠자리에 들 수 있다.
100 : 외피
101 : 제1 통기 부재
102 : 제1 결합 부재
103 : 상부 부재
104 : 하부 부재
105 : 손잡이부
200 : 내피
201 : 제2 통기 부재
202 : 제2 결합 부재

Claims (5)

  1. 충전재를 포장하는 외피를 구비하는 통풍 베개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제1 외피 및 제2 외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 사이에는 제1 통기 부재(101) 및 제1 결합 부재(102)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는 각각 상부 부재(103)와 하부 부재(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부재(103)는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부재(104)는 방수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분리되고, 상기 충전재를 포장하는 내피(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피(200)는 제1 내피 및 제2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피와 제2 내피 사이에는 제2 통기 부재(201) 및 제2 결합 부재(202)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내피와 제2 내피는 각각 상부 부재(103)와 하부 부재(10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부재(103)는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부재(104)는 방수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 부재(101)는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 사이에 적어도 2곳 이상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외피 및 제2 외피와 재봉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기 부재(201)는 상기 제1 내피와 제2 내피 사이에 적어도 2곳 이상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내피 및 제2 내피와 재봉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102) 및 제2 결합 부재(202)는 파스너이고, 상기 파스너는 제1 통기 부재(101) 및 제2 통기 부재(201)에 적어도 1개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베개.
KR2020120005580U 2012-06-28 2012-06-28 통풍 베개 KR201400000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580U KR20140000089U (ko) 2012-06-28 2012-06-28 통풍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580U KR20140000089U (ko) 2012-06-28 2012-06-28 통풍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89U true KR20140000089U (ko) 2014-01-07

Family

ID=5244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580U KR20140000089U (ko) 2012-06-28 2012-06-28 통풍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08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293A (ko) * 2021-07-02 2023-01-10 유지훈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293A (ko) * 2021-07-02 2023-01-10 유지훈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230026368A (ko) * 2021-07-02 2023-02-24 유지훈 높낮이 조절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17733A1 (en) Pillow construction
KR100930289B1 (ko) 유아 침구
KR20180002727U (ko) 탈착식 유아용 침구세트
KR20140000089U (ko) 통풍 베개
JP2003235708A (ja) 機能性枕
US6988771B1 (en) Healthful cushion
KR20160004194U (ko) 베개
KR101058801B1 (ko) 필로우 탑 매트리스
JP3094910U (ja) 人体部位支持体
JP3187535U (ja) 医療介護用ボトムベッド上のマットレス構造
JP2000189290A (ja) クッション
KR200407202Y1 (ko) 흡습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KR20080001199U (ko) 통기성부재가 구비된 매트리스
JP2009201961A (ja) 最適な枕
KR20140109748A (ko) 베개
KR101237557B1 (ko) 한지를 이용한 방석
CN219762945U (zh) 一种便于拆卸的床垫结构
CN210748333U (zh) 一种竹炭透气床垫
CN217285256U (zh) 一种黄麻纤维双面床垫
JP3061949U (ja) シ―プスキンおよびシ―プスキン製クッション体
KR200402467Y1 (ko) 숯 매트리스
US20030214162A1 (en) Arm support cover
JP2005058698A (ja) 蒸れにくく、横向きに寝る時、高さが2倍近くにできる機能性枕
JP3066102U (ja) 加工石を配置した布団
JP3103284U (ja) 冷風をおさえる耳付き座布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