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187A -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187A
KR20130143187A KR1020120066467A KR20120066467A KR20130143187A KR 20130143187 A KR20130143187 A KR 20130143187A KR 1020120066467 A KR1020120066467 A KR 1020120066467A KR 20120066467 A KR20120066467 A KR 20120066467A KR 20130143187 A KR20130143187 A KR 20130143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finishing material
truss girder
integrated
integ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482B1 (ko
Inventor
한상원
김창태
김경달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482B1/ko
Publication of KR2013014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의 하부에 다수개의 연결구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연결구에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을 결합하고, 상기 트러스거더와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 사이의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 상부에는 단열재가 포함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이 인접한 철골보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에 있어서, (a)상기 트러스거더를 완성하는 단계; (b)상기 트러스거더의 하부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을 결합하되,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의 상부에 상기 단열재가 포함되도록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를 완성하는 단계; (c)H형강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인접한 철골보가 형성되도록 일개층의 철골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d)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를 양중하여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이 인접한 철골보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는 단계; (e)다수개의 스터드볼트를 철골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f)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및 철골보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g)일개층의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후에는 순차적으로 상기 (c)단계 내지 (f)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Method to construct Insulated and Integrated Finishings Deck Plate Slab}
본 발명은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러스거더의 하부에 다수개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을 결합하되,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의 상부에 단열재가 포함되도록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를 완성하고, H형강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인접한 철골보가 형성되어지도록 일개층의 철골 구조체를 완성한 후에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된 후에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이 마감재로서 이용되도록 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방안으로 먼저, 합판, 각재, 유로폼 등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그리고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이 소요됨에 따라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체인 프리캐스트, 철골 또는 철근콘크리트 보나 빔 사이에 가설되어 그 위에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가 양생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자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라브를 구축시공하게 되면 슬라브 콘크리트 공사용 거푸집이 필요 없으므로 형틀시공과 같은 가설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위 제품을 보 상부에 연속적으로 거치 고정하는 것만으로 바닥판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공사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데크플레이트는 공장 생산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는 통상 소정의 넓이를 갖는 거푸집널의 상부에 트러스거더가 구비되고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부에 연결구가 구비되어 거푸집널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지며, 상기 트러스거더는 상부철근, 하부철근 및 래티스재로 이루어지고 양측 단부에는 지지구가 결합되어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게 될 경우,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보나 빔 사이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이어 거푸집널을 해체한 후 별도의 단열재를 후시공함에 따라 추가공정의 발생으로 인하여 시공비가 상승됨과 동시에 공기가 더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보나 빔 사이에 설치되어지는 바, 이때 일측의 거푸집널과 타측의 거푸집널의 높낮이가 일치되지 않아 단차 또는 단턱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고 이는 양생 후 거푸집널을 분리할 때 단차 또는 단턱으로 인하여 슬라브의 바닥 하부의 미관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거푸집널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는바,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제거작업을 해야 함에 따라 시공비가 상승됨과 동시에 공기가 더 길어지는 문제점 및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철골조의 슬라브 시공방법에 있어서, 트러스거더와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 사이의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 상부에 단열재가 포함되도록 배치하여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진 후 콘크리트 슬라브 하부에 별도로 단열재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거푸집널이 마감재로 사용되도록 하여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 및 자원낭비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 것이다. 아울러 철골보의 상부 양측으로 데크플레이트가 펴쳐지게 설치되어지는 과정에서 단열 데크플레이트의 돌출부 상단에 인접한 단열 데크플레이트의 인입부가 덧대어지게 배치되어 단차보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부 양측 하부철근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결구중 일부 연결구의 연결몸체 상부에 밴딩캡을 구비하여 상기 트러스거더의 하부철근이 연결구로부터의 일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11)의 하부에 다수개의 연결구(13)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연결구(13)에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을 결합하고, 상기 트러스거더(11)와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 사이의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 상부에는 단열재(15)가 포함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이 인접한 철골보(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에 있어서, (a)상기 트러스거더(11)를 완성하는 단계; (b)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구(13)를 이용하여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을 결합하되,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상부에 상기 단열재(15)가 포함되도록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를 완성하는 단계; (c)H형강(B)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인접한 철골보(20)가 형성되도록 일개층의 철골 구조체(S)를 형성하는 단계; (d)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를 양중하여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이 인접한 철골보(20)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는 단계; (e)다수개의 스터드볼트(21)를 철골보(2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f)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 및 철골보(20)의 상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 및 (g)일개층의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양생된 후에는 순차적으로 상기 (c)단계 내지 (f)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상부에 상기 단열재(15)를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일측에 인입부(1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출부(142)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단차보강이 가능하도록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돌출부(142) 상단에 인접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인입부(141)가 덧대어지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상부철근(11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웨이브형태로 절곡된 래티스재(112)를 각각 용접결합하고 상기 래티스재(112) 하부 외측에는 하부철근(113)을 각각 용접결합하되 삼각형태로 배치하여 상기 트러스거더(11)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단계는 상기 철골보(20)의 상부에 다수개의 상부연결근(22) 및 하부연결근(23)을 이용하여 인접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간의 길이방향 단부의 상부철근(111) 및 하부철근(113)을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단계는 상부철근(111) 및 하부철근(113)의 상부에 다수개의 상부배력근(24) 및 하부배력근(25)를 이용하여 인접한 단열 데크플레이트(10)간의 길이의 수직방향 단부를 보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거푸집널(14) 및 단열재(15)에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결구(13)와 대응되어지는 다수개의 볼트공(H)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13)의 연결몸체(131)와 상기 단열재(15) 사이에는 와셔(134)를 구비하며,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 양측 하부철근(113)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결구(13) 중 일부 연결구(13)의 연결몸체(131) 상부에는 밴딩캡(16)을 구비하여,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철근(113)을 감싸면서 억지끼움하며,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볼트(132)가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에 형성된 볼트공(H)과 단열재(15)에 형성된 볼트공(H) 및 와셔(134)에 형성된 볼트공(H)을 상부로 관통시켜, 상기 연결몸체(131)의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133)에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트러스거더(11)의 양단부에 지지구(12)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구(12)는 수직재(121)의 하단부에 수평재(122)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접결합하고, 상기 수직재(121)의 상단부에 상기 트러스거더(11)의 상부철근(111)이 맞대어지게 용접결합하며, 상기 수평재(122)의 양측단에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철근(113)이 맞대어지게 용접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의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이 CRC보드, 무석면시멘트합성수지, 합성수지, 목재 또는 강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단열재(15)가 합성수지, 발포수지 또는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연결구가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과 단열재를 관통한 연결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진 후 별도의 단열재 시공이 필요치 않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이 마감재로 사용되도록 하여 별도의 탈형이 요구되지 않는바,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 및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원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철골보의 상부 양측으로 데크플레이트가 펼쳐지게 설치되어지는 과정에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의 돌출부 상단에 인접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의 인입부가 덧대어지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의 연결부위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슬라브의 하부면에 단차 또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가 단차가 없는 상태로 양생되어짐으로써, 슬래브의 하부가 평평하게 됨에 따라 미관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열재의 상부에 트러스거더의 하부가 다수개의 연결구에 의하여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연결구의 연결몸체 상부에 밴딩캡이 씌워지도록 함으로써, 철골보 사이에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가 안착되어진 후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연결구에 끼워진 하부철근이 일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단열재와 단열재의 상부로 안착된 연결몸체 하부 사이에 와셔가 개재되어짐으로써, 하중에 의하여 연결구의 하부가 단열재의 내부로 매립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및 연결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가 철골구조의 철골보에 얹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가 철골구조의 철골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은 철골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또는 프리캐스트의 콘크리트 구조물 중 철골조의 건축 구조물에 적용되어지는 것으로 도1 내지 도4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거더(11), 연결구(13),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 및 단열재(15)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개의 연결구(13)에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이 인접한 철골보(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우선, (a)상기 트러스거더(11)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트러스거더(11)의 형상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부철근(11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웨이브형태로 절곡된 래티스재(112)가 각각 용접이음으로 결합되고, 상기 래티스재(112) 하부 외측에는 하부철근(113)이 각각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삼각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 트러스거더(11)는 측면에서 삼각형태를 갖는 것으로 하부 폭은 60mm이며, 높이가 100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철근(111)은 10~13mm, 래티스재(112)는 5~6mm 및 하부철근(113)은 8~10mm의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단계는 상기 트러스거더(11)의 양단부에 지지구(12)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구(12)는 수직재(121)의 하단부에 수평재(122)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접결합하고, 상기 수직재(121)의 상단부에 상기 트러스거더(11)의 상부철근(111)이 맞대어지게 용접결합하며, 상기 수평재(122)의 양측단에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철근(113)이 맞대어지게 용접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12)는 트러스거더(11)를 구성하는 상부철근(111), 래티스재(112) 및 하부철근(113)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철골보(20)의 양단에 안정되게 걸쳐질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트러스거더(11)의 양단부에 결합되어진다.
다음, (b)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구(13)를 이용하여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을 결합하되,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상부에 상기 단열재(15)가 포함되도록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하나의 트러스거더(11)는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에 3열 정도로 배열되어지게 하며 이를 위해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은 가로 3,300~4,000mm, 세로 600mm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에 트러스거더(11)가 3열로 배열되어질 경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세로로 100mm, 300mm, 500mm의 위치에 트러스거더(11)의 상부철근(111)이 위치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열재(15)와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길이는 언제나 동일하게 하며, 트러스거더(11)의 길이는 철골보(20)에 얹혀지도록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보다 길게 제작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지는 과정에서 전체적인 하중을 안정되게 받치는 기능을 하되, 마감재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 CRC보드, 무석면시멘트합성수지, 합성수지, 목재 또는 강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600mm, 3,300~4,000mm를 가지며, 10~12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재(15)는 양생된 콘크리트의 상부와 하부에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합성수지, 발포수지 또는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열재(15)는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과 동일한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가지며, 해당 건축물의 열관류율 조건에 따라 단열재의 두께를 결정하되, 80~100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는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상부에 상기 단열재(15)를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일측에 인입부(1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출부(142)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에 형성된 상기 인입부(141)과 돌출부(142)는 인접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와 단차없이 평평하게 설치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인입부(141)가 인접한 다른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돌출부(142) 상에 덧대어지게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 및 단열재(15)에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결구(13)와 대응되어지는 다수개의 볼트공(H)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13)의 연결몸체(131)와 상기 단열재(15) 사이에는 와셔(134)를 구비하며,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 양측 하부철근(113)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결구(13) 중 일부 연결구(13)의 연결몸체(131) 상부에는 밴딩캡(16)을 구비하여,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철근(113)을 감싸면서 억지끼움하며,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볼트(132)가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에 형성된 볼트공(H)과 단열재(15)에 형성된 볼트공(H) 및 와셔(134)에 형성된 볼트공(H)을 상부로 관통시켜, 상기 연결몸체(131)의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133)에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딩캡(16)은 다수개의 연결구(13) 중 일부의 연결구(13)의 연결몸체(131)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트러스거더(1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철근(113)이 감싸여지게 결합되어진다. 이때, 상기 밴딩캡(16)은 하나의 트러스거더(11)에 통상적으로 2~4개가 설치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상부에 단열재(15)가 안착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 볼트공(H)이 관통되어지도록 하거나, 미리 볼트공(H)이 형성되어졌을 경우, 각각의 볼트공(H)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연결볼트(132)가 관통되어 단열재(15)의 상부로 노출되어지도록 하고, 이어 단열재(15)의 상부로 노출된 연결볼트(132)에 와셔(134)에 형성된 볼트공(H)을 끼워 와셔(134)가 단열재(15)의 상부로 안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c)H형강(B)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인접한 철골보(20)가 형성되어지도록 일개층의 철골 구조체(S)를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일반적으로 기둥용 H형강, 보용 H형강(B), 기타 가세용 형강의 순서로 현장에 반입하게 되며, 기둥용 H형강과 보용 H형강(B)이 가볼팅되면 수평도 및 수직도를 검사하고, 이후 본조임 및 조립된 부재의 빠진 볼트 끼우기의 과정 등을 거쳐 일개층의 철골 구조체(S)를 완성하게 된다.
다음, (d)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를 양중하여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이 인접한 철골보(20)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는 단계;를 거친다. 크레인으로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를 양중하여 슬라브의 위치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d)단계는 단차보강이 가능하도록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돌출부(142) 상단에 인접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인입부(141)가 덧대어지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e)다수개의 스터드볼트(21)를 철골보(2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스터드볼트(21)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가 시공되고난 후 철골보(2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하여 접합시공하는데 콘크리트(C)타설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와 철골보(20)가 더욱 일체화 되도록 하며, 단면을 스터드볼트(21)의 높이만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터드볼트(21)의 용접시에는 불순물을 충분히 제거하고 스터드볼트(21) 주변 360도 전부를 꼼꼼히 용접하여야 한다.
상기 (e)단계는 상기 철골보(20)의 상부에 다수개의 상부연결근(22) 및 하부연결근(23)을 이용하여 인접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간의 길이방향 단부의 상부철근(111) 및 하부철근(113)을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철골보(20) 상부의 이음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연결근(22)을 이용하여 양 단부의 상부철근(111)을 연결하고, 하부연결근(23)을 이용하여 양 단부의 하부철근(113)을 연결하여 인장력에 의한 구조적 약점을 보완한 것이다.
또한, 상기 (e)단계는 상부철근(111) 및 하부철근(113)의 상부에 다수개의 상부배력근(24) 및 하부배력근(25)를 배치하여 인접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간의 길이의 수직방향 단부를 보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인접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간의 연결부분이 구조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철근(111)의 상부에 다수개의 상부배력근을 배치하고, 하부철근(113)의 상부에 다수개의 하부배력근(25)을 배치하여 구조적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f)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 및 철골보(20)의 상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를 거친다.
마지막으로 일개층의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양생된 후에는 순차적으로 상기 (c)단계 내지 (f)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는 주로 건축구조물의 최상층 슬라브에서 단열을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바, 건축구조물의 층간 슬라브에서는 상기 단열재(15) 대신 층간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재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이 마감재로 사용되도록 하여 별도의 탈형이 요구되지 않는바,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 및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원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11:트러스거더
111:상부철근 112:래티스재
113:하부철근 12:지지구
121:수직재 122:수평재
13:연결구 131:연결몸체
132:연결볼트 133:암나사공
134:와셔 14: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
141:인입부 142:돌출부
15:단열재 16:밴딩캡
20:철골보 21:스터드볼트
22:상부연결근 23:하부연결근
24:상부배력근 25:하부배력근
B:H형강 C:콘크리트
H:볼트공 S:철골 구조체

Claims (8)

  1. 트러스거더(11)의 하부에 다수개의 연결구(13)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연결구(13)에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을 결합하고, 상기 트러스거더(11)와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 사이의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 상부에는 단열재(15)가 포함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이 인접한 철골보(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에 있어서,
    (a)상기 트러스거더(11)를 완성하는 단계;
    (b)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에 다수개의 상기 연결구(13)를 이용하여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을 결합하되,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상부에 상기 단열재(15)가 포함되도록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를 완성하는 단계;
    (c)H형강(B)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인접한 철골보(20)가 형성되도록 일개층의 철골 구조체(S)를 형성하는 단계;
    (d)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를 양중하여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이 인접한 철골보(20)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는 단계;
    (e)다수개의 스터드볼트(21)를 철골보(2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f)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 및 철골보(20)의 상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 및
    (g)일개층의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양생된 후에는 순차적으로 상기 (c)단계 내지 (f)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상부에 상기 단열재(15)를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일측에 인입부(1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출부(142)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단차보강이 가능하도록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돌출부(142) 상단에 인접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인입부(141)가 덧대어지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부철근(11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웨이브형태로 절곡된 래티스재(112)를 각각 용접결합하고 상기 래티스재(112) 하부 외측에는 하부철근(113)을 각각 용접결합하되 삼각형태로 배치하여 상기 트러스거더(11)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철골보(20)의 상부에 다수개의 상부연결근(22) 및 하부연결근(23)을 이용하여 인접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간의 길이방향 단부의 상부철근(111) 및 하부철근(113)을 각각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부철근(111) 및 하부철근(113)의 상부에 다수개의 상부배력근(24) 및 하부배력근(25)를 이용하여 인접한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간의 길이의 수직방향 단부를 보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10)의 거푸집널(14) 및 단열재(15)에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결구(13)와 대응되어지는 다수개의 볼트공(H)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13)의 연결몸체(131)와 상기 단열재(15) 사이에는 와셔(134)를 구비하며,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 양측 하부철근(113)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결구(13) 중 일부 연결구(13)의 연결몸체(131) 상부에는 밴딩캡(16)을 구비하여,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철근(113)을 감싸면서 억지끼움하며,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볼트(132)가 상기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에 형성된 볼트공(H)과 단열재(15)에 형성된 볼트공(H) 및 와셔(134)에 형성된 볼트공(H)을 상부로 관통시켜, 상기 연결몸체(131)의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133)에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트러스거더(11)의 양단부에 지지구(12)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구(12)는 수직재(121)의 하단부에 수평재(122)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접결합하고, 상기 수직재(121)의 상단부에 상기 트러스거더(11)의 상부철근(111)이 맞대어지게 용접결합하며, 상기 수평재(122)의 양측단에 상기 트러스거더(11)의 하부철근(113)이 맞대어지게 용접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마감재일체형거푸집널(14)이 CRC보드, 무석면시멘트합성수지, 합성수지, 목재 또는 강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단열재(15)가 합성수지, 발포수지 또는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KR1020120066467A 2012-06-21 2012-06-21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KR101429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467A KR101429482B1 (ko) 2012-06-21 2012-06-21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467A KR101429482B1 (ko) 2012-06-21 2012-06-21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187A true KR20130143187A (ko) 2013-12-31
KR101429482B1 KR101429482B1 (ko) 2014-08-14

Family

ID=4998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467A KR101429482B1 (ko) 2012-06-21 2012-06-21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4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255B1 (ko) * 2014-12-19 2016-06-08 삼광선재 주식회사 단열재 데크 및 단열재 데크 설치 방법
CN110374240A (zh) * 2019-08-13 2019-10-25 盈创新材料(苏州)有限公司 楼板支撑结构及其制造方法
KR102644063B1 (ko) * 2023-06-12 2024-03-06 이성원 교량 슬래브 시공용 트러스 거더 거푸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196B1 (ko) * 2015-02-10 2016-12-07 (주)센벡스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JP6820970B2 (ja) 2019-05-22 2021-01-27 三菱地所株式会社 配筋付き製材型枠および配筋付き製材型枠を用いた工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003B1 (ko) * 2004-01-28 2006-09-20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섬유강화 복합소재 주차장용 바닥판 부재 및 그를 이용한주차장 바닥판 시공방법
KR20110004540A (ko) * 2009-07-08 2011-01-14 이창남 트러스데크 개선방법
KR20120008667A (ko) * 2010-07-19 2012-02-01 (주)엠씨에스에스티기술사사무소 데크플레이트용 단부보강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100993879B1 (ko) * 2010-07-30 2010-11-1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단열 데크플레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255B1 (ko) * 2014-12-19 2016-06-08 삼광선재 주식회사 단열재 데크 및 단열재 데크 설치 방법
CN110374240A (zh) * 2019-08-13 2019-10-25 盈创新材料(苏州)有限公司 楼板支撑结构及其制造方法
KR102644063B1 (ko) * 2023-06-12 2024-03-06 이성원 교량 슬래브 시공용 트러스 거더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482B1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880B1 (ko) 단차보강재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KR100993879B1 (ko) 단열 데크플레이트
KR101429480B1 (ko)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KR101429482B1 (ko)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KR101632615B1 (ko) 기둥 및 보의 맞춤연결을 위한 독립기본구조물
JP2007100336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KR101420203B1 (ko)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1621188B1 (ko) 횡방향 리브 및 중공부가 형성된 역 리브 하프 피씨 슬래브 및 역 리브 하프 피씨 슬래브의 폭방향 연결방법
JP201107475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1200563B1 (ko) 콘크리트 크로스 빔을 이용하여 강 주형을 연결한 강 합성교량 및 시공방법
KR20180094673A (ko)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910811A (zh) 一种肋板骨架混凝土现浇板
KR100865133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142384A (ko) 기둥 및 보의 맞춤연결을 위한 독립기본구조물
KR101701416B1 (ko) 장경간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GB2495319A (en) Beam and slab floor construction
KR101628255B1 (ko) 단열재 데크 및 단열재 데크 설치 방법
KR101785722B1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0695491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JP5050221B2 (ja) 床スラブ
KR101492066B1 (ko) 기둥의 기초공법
KR101436969B1 (ko)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KR101895803B1 (ko) 주택 시공방법
JP2010248746A (ja) 埋設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