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720A -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720A
KR20130142720A KR1020120066179A KR20120066179A KR20130142720A KR 20130142720 A KR20130142720 A KR 20130142720A KR 1020120066179 A KR1020120066179 A KR 1020120066179A KR 20120066179 A KR20120066179 A KR 20120066179A KR 20130142720 A KR20130142720 A KR 2013014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rtabl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Priority to KR1020120066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2720A/ko
Publication of KR2013014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각종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휴대 단말이 진동, 알람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정보 수신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각각의 산업 설비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 식별코드와 동일한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부; 및 상기 제어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각종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휴대 단말이 진동, 알람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수신된 정보가 있음을 알림으로써, 작업자가 각종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바로 확인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PORTABLE TERMINAL FOR SAFETY MANAGEMENT}
본 발명은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각종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휴대 단말이 진동, 알람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정보 수신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전기 발전업, 가스 공급/관리업 및 화학 관련 제조업 등과 같은 대규모 산업 현장에서는 현장에 설치된 산업 설비의 고장이나 부품 노후로 인하여 가동 중단 시 막대한 비용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설비가 정상 작동하고 있는지, 아니면 오작동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거나 설비의 부품 교체 시기 등을 점검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작업자가 계측기를 사용하여 산업 설비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구동 정보와 산업 설비의 작동 온도 및 배출 가스량 등을 포함한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직접 계측하고, 그 계측 결과를 수기로 기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산업 설비의 점검을 위해, 작업자가 산업 설비에 근접하여 직접 계측 및 기록 작업을 일일이 수행함에 따라, 작업자에게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을 요구하며, 이로 인해 장시간의 설비 점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높은 작동 온도와 다량의 배출 가스를 방출하는 산업 설비에 근접하여 장시간 계측 및 기록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극도로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028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각종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휴대 단말은 진동, 알람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수신된 정보가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각각의 산업 설비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 식별코드와 동일한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부; 및 상기 제어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에 따르면,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각종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 단말로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진동, 알람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수신된 정보가 있음을 알림으로써, 작업자가 각종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작업자가 위험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센서 노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에서, 센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센서 노드(100)로 이루어지되, 각 센서 노드(100)는 산업 설비에 탑재되며, 탑재되어 있는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송출한다.
여기서, 각각의 센서 노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고유 식별코드 부여부(140), 전원 공급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센서부(110)는 산업 설비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구동 정보, 산업 설비의 작동 온도 및 배출 가스량 등을 포함하는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된 센싱 정보를 일정 주기에 따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센서(예를 들어, 환경 센서, 건물 붕괴 감지 센서, 화재 센서, 설비물 낙하감지 센서, 침하 센서, 가스 누출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센서부(110)에 구비된 센서들은 각각 485 규격, RS232 규격 또는 RS232C 규격 등 고유의 출력 규격을 보유하며, 보유한 출력 규격에 따라 센싱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 또는 BCD(Binary Coded Decimal) 등의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에 구비된 각 센서는 써미스터 등과 같이 저항값을 출력하는 저항 출력 센서나, 4 mA 내지 20 mA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출력하는 전류 출력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20)는 센서부(110)를 통해 센싱된 센싱 정보를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무선통신 신호 처리하여 상위 노드로 송출한다,
전술한, 통신부(120)는 상위 노드, 즉 타 센서 노드 또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예를 들어, 지그비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UWB 통신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서 센싱된 센싱 정보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하여 통신부(120)로 전달한다.
전술한,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 구비된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각 센서의 출력 규격을 지원하는, 즉 출력 규격에 대응하는 다중 통신 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구비된 다중 통신 포트를 통해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정보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센싱 정보를 통신부(1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MCU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 구비된 각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되는 센싱 정보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센싱 정보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통신부(120)로 전달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 구비된 특정 센서 예를 들어, 저항 출력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되는 저항값을 전류값으로 변환시켜 A/D 컨버터로 입력하는 저항 전류 변환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 구비된 각 센서의 출력 규격이 각기 다르더라도,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정보를 다중 통신 포트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으며, 그 입력된 센싱 정보들을 통신부(120)를 통해 일정한 통신 규격, 예를 들어 지그비, 블루투스, UWB 중에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에 따라 신호 처리하여 상위 노드로 송출할 수 있게 된다.
고유 식별코드 부여부(140)는 센서 노드(100)가 탑재된 산업 설비의 고유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부(120)를 통해 송출되는 데이터에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한다.
전원 공급부(150)는 센서 노드(100) 전체에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300)는 서버(400)와 유선으로 직접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고, 센서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센서 노드(100) 또는 휴대 단말(500)과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서버(400)가 유선으로 직접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액세스 포인트(300)와 서버(400)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서버(400)는 센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센서 노드(100)들로부터 송출되는 작동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작동 상태 정보를 휴대 단말(500)로 전송한다.
전술한, 서버(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410), 메모리부(420), 정보 제공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통신부(410)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센서 노드(100) 및 휴대 단말(500)과 통신을 수행한다.
메모리부(420)는 액세스 포인트(300) 및 통신부(410)를 통해 각각의 센서 노드(100)로부터 수신한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저장하되, 작동 상태 정보에 부여된 산업 설비의 고유 식별코드에 따라 분류(Sorting)하여 저장한다.
정보 제공부(430)는 메모리부(420)에 저장된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그 작동 상태 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산업 설비의 고유 식별코드와 함께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통신부(410) 및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휴대 단말(500)로 전송한다.
전술한, 서버(400)는 사용자 입력 모듈 및 표시 모듈을 구비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HMI부를 통해 산업 설비의 부품 교체 주기 및 점검 이력 정보 등을 산업 설비의 고유 식별코드별로 구분 입력하여 메모리부(420)에 저장시킬 수 있고, 메모리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HMI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시켜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보 제공부(430)는 메모리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 및 그 작동 상태 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산업 설비의 고유 식별코드를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통신부(410) 및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휴대 단말(500)로 전송할 때, 부품 교체 주기 및 점검 이력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 단말(500)은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서버(400)로부터 각종 산업 설비의 작동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되, 서버(400)로부터 작동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진동, 알람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수신된 정보가 있음을 알린다.
전술한, 휴대 단말(50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부(510), 메모리부(520), 제어부(530), 터치 스크린부(540), 진동 발생부(550), 알람 발생부(560), 전원 공급부(5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통신부(510)는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서버(40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전술한, 통신부(51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예를 들어, 지그비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UWB 통신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520)는 각각의 산업 설비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530)는 통신부(510)를 통해 서버(4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 식별코드로 메모리부(520)를 검색하여 해당 고유 식별코드와 동일한 고유 식별코드가 메모리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 식별코드와 동일한 고유 식별코드가 메모리부(5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한 정보를 무시하고,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 식별코드와 동일한 고유 식별코드가 메모리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정보를 터치 스크린부(540)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작업자에게 수신된 정보가 있음을 알리기 위해 진동 발생부(550)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알람 발생부(560)를 제어하여 알람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530)는 터치 스크린부(540)를 통해 작업자로부터 정보 요청 등의 요청 명령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요청 명령을 통신부(510)를 통해 서버(400)로 전송한다.
터치 스크린부(540)는 제어부(530)의 확인 결과에 따라 메모리부(520)에 해당 고유 식별코드와 동일한 고유 식별코드가 메모리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어부(530)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부(540)는 작업자의 터치 스크린 입력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530)로 인가한다.
진동 발생부(550)는 제어부(530)의 확인 결과에 따라 메모리부(520)에 해당 고유 식별코드와 동일한 고유 식별코드가 메모리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30)의 제어하에 작업자에게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전술한, 진동 발생부(550)는 진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알람 발생부(560)는 제어부(530)의 확인 결과에 따라 메모리부(520)에 해당 고유 식별코드와 동일한 고유 식별코드가 메모리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30)의 제어하에 작업자에게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알람을 발생시킨다.
전술한, 알람 발생부(560)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70)는 휴대 단말(500) 전체에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한다.
전술한, 전원 공급부(570)는 배터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500)은 시간에 따라 전원 공급부(570)의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절전 모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전 모드 제어부(미도시)는 실시간으로 현재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리얼 타임 클럭(Real Time Clock) 모듈과, 리얼 타임 클럭 모듈에서 생성된 현재 시각 정보에 의해 사용자 조작이 발생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지를 판단하는 시각 판단 모듈과, 시각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조작이 일어나지 않으면, 절전 모드 진입 신호 생성하여 전원 공급부(570)로 전달하는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500)은 산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는 외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센서 노드, 110. 센서부,
120, 410, 510. 통신부, 130, 530. 제어부,
140. 고유 식별코드 부여부, 150, 570. 전원 공급부,
200. 센서 네트워크, 300. 액세스 포인트,
400. 서버, 420, 520. 메모리부,
430. 정보 제공부, 500. 휴대 단말,
540. 터치 스크린부, 550. 진동 발생부,
560. 알람 발생부

Claims (2)

  1.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각각의 산업 설비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 식별코드와 동일한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부; 및
    상기 제어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
KR1020120066179A 2012-06-20 2012-06-20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 KR20130142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179A KR20130142720A (ko) 2012-06-20 2012-06-20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179A KR20130142720A (ko) 2012-06-20 2012-06-20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720A true KR20130142720A (ko) 2013-12-30

Family

ID=4998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179A KR20130142720A (ko) 2012-06-20 2012-06-20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27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9917A (ko) 산업용 IoT 기반 설비데이터와 센서데이터 취득 시스템 및 장치
US11586256B2 (en) Server rack for improved data center management
JP6546907B2 (ja) 機器用統合データ収集及び報告インタフェース
JP5227049B2 (ja) 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制御方法
CN106066637B (zh) 一种现场设备及其运行方法
KR101730451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65321B1 (ko) 센서융합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실험실 통합관리 시스템
KR101770254B1 (ko) 탄화수소 검출 단말기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스누출 검출시스템
KR102352606B1 (ko) 설비상태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75745A (ko) 풀코드 스위치 모니터링 방법, 풀코드 스위치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콘베어 시스템
JP2019106158A (ja) 生産管理システム
KR20170070643A (ko) 관리 장치 및 설비의 관리 방법
US20220053307A1 (en) Device, Particularly a Hand-Held Power Tool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or Managing a Plurality of Objects
KR101451702B1 (ko) 휴대용 센서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CN113465777A (zh) 一种电缆温度监控平台及方法
KR20130142425A (ko)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
KR20130142720A (ko) 안전 관리용 휴대 단말
KR102237792B1 (ko) 센스 디바이스 상태 모니터링 장치
CN111406239B (zh) 用于运行加工设备的方法和加工设备的构造
KR101877375B1 (ko) 건조현장 내 작업자 측위 시스템
KR20160099902A (ko) 부품 수명관리 시스템
SE1300138A1 (sv) Förfarande och datapresentationsanordning för att assistera en användare att serva ett processtyrobjekt
WO2021028753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wing machines
KR20160069888A (ko) 오프라인 기기의 능동형 유지보수 시스템
JP2013187737A (ja) 分析装置用携帯端末及びそれを用いた分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