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603A - 조립식 창고 - Google Patents

조립식 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603A
KR20130142603A KR1020120065953A KR20120065953A KR20130142603A KR 20130142603 A KR20130142603 A KR 20130142603A KR 1020120065953 A KR1020120065953 A KR 1020120065953A KR 20120065953 A KR20120065953 A KR 20120065953A KR 20130142603 A KR20130142603 A KR 20130142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olt
bolts
nuts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주
Original Assignee
정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주 filed Critical 정광주
Priority to KR1020120065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2603A/ko
Publication of KR2013014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기능의 신개념 공간을 제공하는 조립식 창고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볼트 및 너트의 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부위를 대폭 줄여 신속한 조립은 물론이고 해체가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101)로 감싸지며 테두리의 상면 및 양측면에 복수 개의 볼트삽입공(102)이 각각 형성되며 전면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너트 삽입 및 체결공(103)이 형성되고, 공지의 출입문(104)이 구비된 전면부재(100)와,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301)로 감싸지며 테두리의 각 모서리부분 및 저면에 볼트삽입공(302)이 각각 형성되어 볼트(600) 및 너트(700)로 전면부재(100)에 일단이 고정되는 2개의 측면부재(300)와,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201)로 감싸지며 테두리의 상면 및 양측면에 복수 개의 볼트삽입공(202)이 각각 형성되며 배면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너트 삽입 및 체결공(203)이 형성되어 볼트(600) 및 너트(700)로 측면부재(300)의 타단에 고정되는 배면부재(200)와, 상기 측면부재(300)에 볼트(600) 및 너트(700)로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간(800)과, 상기 지지간의 상면에 얹혀지는 바닥부재(400)와, 상기 전면부재(100), 배면부재(200)에 볼트(600) 및 너트(700)로 고정되는 상부부재(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창고{omitted}
본 발명은 다용도 기능의 신개념 공간을 제공하는 조립식 창고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스패너 1개로 짧은 시간 내에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크레인으로 상, 하차하는 콘테이너박스와는 달리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는 장소에서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창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고는 설치방법에 따라 고정식 창고 및 조립식 창고로 대별된다.
상기 고정식 창고는 일정 장소의 바닥을 평탄하게 정리한 상태에서 창고를 고정식으로 지어 물건을 보관하는데, 창고를 짓고 나면 이동이 불가능하여 창고의 기능을 상실하고 나면 부득이 지었던 창고를 부셔야 되는 폐단이 있다.
그러나, 조립식 창고는 필요에 따라 창고를 지었다가 불필요하면 이를 해체하여 보관하면 되므로 농가의 농막, 건설현장의 임시 창고 등으로 급속하게 그 보급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조립식 창고의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20-2011-0010538호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의 조립식 창고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창고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창고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참고도로써, 바닥부재(10)의 전후단에 전면부재(20)와 배면부재(30)가 각각 볼트(B)에 의해 체결되어 있고 양 측면에는 측면부재(40)가 상기 바닥부재(10)와 전면부재(20) 및 배면부재(30)에 볼트(B)로 체결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상부부재(50)가 상기 전면부재(20)와 배면부재(30) 및 측면부재(40)에 볼트(B)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재(10)는 바닥프레임(11) 전후좌우 외 측면에는 ㄱ형 경첩(13)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ㄱ형 경첩(13) 수평면에는 체결공(H)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프레임(11) 상단으로는 바닥판(15)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전면부재(20)는 상기 바닥부재(10) 전면의 ㄱ형 경첩(13)에 볼트(B) 및 너트(N)로 체결되어 있는데, 수직으로 세워진 전면판(21)의 전면방향으로 2개의 수직축(22)이 구비되어 3개의 면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 하단 끝 단부는 전면방향으로 ㄱ형 절곡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면에는 체결공(H)이 형성됨과 함께 좌, 우단에는 보조판(24)이 전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에 체결공(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축(22)에 의해 3개의 면으로 구획되는 일측 전면판(21)에는 경첩(25)으로 회전되며 손잡이(27)가 형성되는 출입문(2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출입문(26)에는 열쇠 등의 잠금장치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면부재(30)는 상기 바닥부재(10) 후면의 ㄱ형 경첩(13)에 볼트(B) 및 너트(N)로 체결되어 있는데, 수직으로 세워진 배면판(31)의 배면방향으로 2개의 수직축(32)이 구비되어 3개의 면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 하단 끝단부는 배면방향으로 ㄱ형 절곡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면에는 체결공(H)이 형성됨과 함게 좌, 우단에는 보조판(34)이 배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체결공(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부재(40)는 상기 바닥부재(10) 좌우면의 ㄱ형 경첩(13)에 볼트(B) 및 너트(N)로 체결되어 있는데, 수직으로 세워진 측면판(41)의 외측방향으로 1개의 수직축(42)이 구비되어 2개의 면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 하단 끝단부는 외측방향으로 ㄱ형 절곡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면에는 체결공(H)이 형성됨과 함께 전, 후단에는 체결공(H)이 형성되는 보조판(44)이 외측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부재(50)는 상기 전면부재(20)와 배면부재(30) 및 측면부재(40)의 ㄱ형 절곡부(23,32,42)에 볼트(B) 및 너트(N)로 체결되도록 수평판(51)에는 체결공(H)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판(51) 상부면에는 사각형상의 테두리(5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52) 내측으로는 덮개프레임(53)이 탑재되어 있고, 상단에는 외측 끝단이 하부방향으로 ㄱ형 절곡부(55)를 갖는 덮개(54)가 상기 수평판(51)까지 덮도록 탑재되어 있다.
상기 측면부재(40)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구비되어 있고 전면부재(20)와 배면부재(30)는 상기 측면부재(40)의 서로 다른 전후단 높이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재(40) 상단의 상부부재(50)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로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재(10)의 전, 후단에 구비되는 ㄱ형 경첩(13)의 체결공(H)에는 전면부재(20)와 배면부재(30) 하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ㄱ형 절곡부(23,33)의 체결공(H)이 각각 위치하여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결된다.
도 4에서는 상기 바닥부재(10) 전, 후단에 전면부재(20)와 배면부재(30)가 체결된 상태에서 바닥부재(10)의 좌우단에 구비되는 ㄱ형 경첩(13)의 체결공(H)에는 측면부재(40) 하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ㄱ형 절곡부(43) 체결공(H)이 각각 위치하여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결된다.
도 5에서는 상기 바닥부재(10) 전, 후, 좌, 우단에 전면부재(20)와 배면부재(30) 및 측면부재(4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재(20)와 배면부재(30) 및 측면부재(40) 상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ㄱ형 절곡부(23,33,43)의 체결공(H)에 상부부재(50) 수평판(51)의 체결공(H)이 위치하여 볼트(B) 및 너트(N)로 체결시키고, 상기 수평판(51)의 상단 테두리(52) 내측으로는 덮개프레임(53)이 탑재된 후 외주면이 ㄱ형 절곡부(55)를 갖는 덮개(54)를 탑재시켜 조립식 창고를 완성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창고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필요에 따라 창고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갖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바닥부재, 전면부재, 배면부재, 측면부재, 상부부재의 테두리에 이들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기 위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어 창고를 조립하면 절곡부 및 볼트 그리고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이들의 부식에 따른 해체작업이 불가능한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둘째,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조립부위(26개소)가 많아 창고의 신속한 조립 또는 해체가 불가능하다.
셋째, 전면부재에 출입문이 구비된 밀폐형이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지 못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볼트 및 너트의 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부위를 대폭 줄여 신속한 조립은 물론이고 해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면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배면부재가 지붕역할을 하도록 함에 따라 그 하부에 텐트는 물론이고 모기장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바닥부재, 전면부재, 배면부재, 측면부재, 상부부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창고에 있어서,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로 감싸지며 테두리의 상면 및 양측면에 복수 개의 볼트삽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전면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너트 삽입 및 체결공이 형성되고, 공지의 출입문이 구비된 전면부재와,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로 감싸지며 테두리의 모서리부분 및 하면에 볼트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로 전면부재에 일단이 고정되는 2개의 측면부재와,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로 감싸지며 테두리의 상면 및 양측면에 복수 개의 볼트삽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배면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너트 삽입 및 체결공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로 측면부재의 타단에 고정되는 배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간과, 상기 지지간의 상면에 얹혀지는 바닥부재와, 상기 전면부재, 배면부재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는 상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젱으로 하는 조립식 창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조립식 창고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전면부재, 배면부재, 측면부재, 상부부재, 지지간을 상호 고정시키는 볼트 및 너트의 체결부위가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볼트 및 너트의 체결부위가 부식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해체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조립부위(16개소)가 적어 창고의 신속한 조립 또는 해체가 가능하다.
실제로 창고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숙련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평균 약 30분이면 가능하다.
셋째, 배면부재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창고의 통풍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냉방시설을 갖추지 않고도 하절기에 시원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개폐판이 지붕역할을 할 경우에는 텐트 또는 모기장 등을 설치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창고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종래의 조립식 창고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창고를 일 실시예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8은 전면부재 또는 배면부재에 측면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9는 전면부재 또는 배면부재에 지지간이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10은 상부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의 조립식 창고를 조립하는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사용하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창고를 일 실시예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상태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에서 조립식 창고가 전면부재(100), 배면부재(200), 2개의 측면부재(300), 바닥부재(400), 상부부재(500)로 이루어진 것은 종래의 조립식 창고와 비슷하지만, 본 발명의 전면부재(100), 배면부재(200), 2개의 측면부재(300)는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101)(201)(301)로 감싸여짐과 동시에 이들을 조립 고정하는 볼트(600) 및 너트(700)가 테두리(101)(201)(301)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부식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부재(100)는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101)로 감싸져 있고 테두리의 상면 및 양측면에는 복수 개의 볼트삽입공(10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너트 삽입 및 체결공(10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전면부재(100)의 일측면에는 공지의 출입문(10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면부재(100)의 양측으로 조립되는 2개의 측면부재(300)는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301)로 감싸져 있고 테두리의 모서리부분 및 저면에는 볼트삽입공(30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양단에는 너트 삽입 및 체결공(303)이 형성되어 있어 전면부재(100) 및 측면부재(300)에 형성된 볼트삽입공(102)(302)으로 볼트(600)를 끼운 다음 전면부재(100)에 형성된 너트 삽입 및 체결공(103)으로 너트(700)를 삽입하여 체결함에 따라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 때, 2개의 측면부재(300)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재 또는 2개의 측면부재 모두 개폐 가능한 창문(304)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2개의 측면부재(300)의 다른 일단에 조립되는 배면부재(200)는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201)로 감싸져 있고 테두리의 상면 및 양측면에 복수 개의 볼트삽입공(20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너트 삽입 및 체결공(203)이 형성되어 있어 측면부재(300) 및 배면부재(200)에 형성된 볼트삽입공(302)(202)으로 볼트(600)를 끼운 다음 배면부재(200)에 형성된 너트 삽입 및 체결공(203)으로 너트(700)를 삽입하여 체결함에 따라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이 종래의 조립식 창고와 다른 점은 바닥부재(400)를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9와 같이 2개의 측면부재(300)의 저면에 복수 개의 지지간(800)을 볼트(500) 및 너트(600)에 의해 고정한 후 상기 지지간(800)의 상면에 바닥부재(400)가 얹혀지도록 한 점이다.
상기 전면부재(100), 배면부재(200), 2개의 측면부재(300)의 조립에 따라 형성된 상면 개구부는 볼트(600) 및 너트(700)로 상부부재(500)를 고정하여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부부재(500)의 크기는 개구부를 폐쇄할 정도면 족하나, 조립부위를 통해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충분히 넓게 설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립식 창고는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식으로 하여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 가까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저면 모서리부분에 4개의 바퀴(도시는 생략함)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사용하는 상태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은 배면부재(200)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배면부재(200)가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201)와, 상기 테두리의 상부에 경첩(204)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205)으로 구성되어 상기 테두리(201)에 쇽 업저버(900)의 일단이 볼트(600) 및 너트(700)로 고정되어 있고, 다른 일단은 개폐판(205)에 고정되는 브라켓(206)에 스크류(207)로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식 창고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부재를 세운 다음 나머지 부재를 차례로 조립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전면부재(100)를 세운 다음 전면부재에 나머지 부재를 차례로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면부재(100)를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이 되게 세운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재의 일 측에 도 11b와 같이 어느 하나의 측면부재(300)를 밀착시킨 후 측면부재(300) 및 전면부재(100)의 상, 하부에 형성된 볼트삽입공(102)(302)을 통해 볼트(600)를 각각 끼우고 전면부재(100)에 형성된 너트 삽입 및 체결공(103)을 통해 너트(700)를 체결하면 전면부재(100)에 어느 하나의 측면부재(300)가 조립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나머지 측면부재(300)의 조립도 도 11c와 같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재(100)에 2개의 측면부재(300)를 조립하여 도 11c와 같이 대략 "ㄷ"형상이 되고 나면 바닥부재(400)를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측면부재(300)를 가로질러 지지간(800)을 보울트(600) 및 너트(700)로 고정한 다음 상기 지지간(800)의 상면에 바닥부재(400)를 도 11d와 같이 얹어 놓음에 따라 완성된다.
상기 바닥부재(400)의 조립을 마치고 나면 도 11e와 같이 배면부재(200)를 측면부재(300)의 일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면부재(100)에 2개의 측면부재(300)를 볼트(600) 및 너트(700)로 조립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조립하게 된다.
이 때, 배면부재(200)는 필요에 따라 일 실시예로 나타낸 도 6과 같이 패널형태를 적용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12와 같이 개폐판(205)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타입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바닥은 물론이고 벽체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도 11f와 같이 상부부재(500)를 얹고 볼트(600) 및 너트(700)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창고가 완성됨과 동시에 모든 볼트(600) 및 너트(700)가 사각파이프형태의 테두리(101)(201)(301) 내에 수용되므로 부식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완성된 조립식 창고를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는 역순으로 볼트(600)에서 너트(700)를 차례로 풀어주기만 하면 조립식 창고의 해체가 완료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100 : 전면부재 101, 201, 301 : 테두리
102, 202, 302 : 볼트삽입공 103, 203 : 너트 삽입 및 체결공
200 : 배면부재 300 : 측면부재
400 : 바닥부재 500 : 상부부재
800 : 지지간 900 : 쇽 업저버

Claims (2)

  1. 바닥부재, 전면부재, 배면부재, 측면부재, 상부부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창고에 있어서,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101)로 감싸지며 테두리의 상면 및 양측면에 복수 개의 볼트삽입공(102)이 각각 형성되며 전면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너트 삽입 및 체결공(103)이 형성되고, 공지의 출입문(104)이 구비된 전면부재(100)와,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301)로 감싸지며 테두리의 각 모서리부분 및 저면에 볼트삽입공(302)이 각각 형성되어 볼트(600) 및 너트(700)로 전면부재(100)에 일단이 고정되는 2개의 측면부재(300)와,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201)로 감싸지며 테두리의 상면 및 양측면에 복수 개의 볼트삽입공(202)이 각각 형성되며 배면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너트 삽입 및 체결공(203)이 형성되어 볼트(600) 및 너트(700)로 측면부재(300)의 타단에 고정되는 배면부재(200)와, 상기 측면부재(300)에 볼트(600) 및 너트(700)로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간(800)과, 상기 지지간의 상면에 얹혀지는 바닥부재(400)와, 상기 전면부재(100), 배면부재(200)에 볼트(600) 및 너트(700)로 고정되는 상부부재(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재(200)를 사각파이프형상의 테두리(201)와, 상기 테두리의 상부에 경첩(204)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205)으로 구성하여 상기 테두리(201)에 쇽 업저버(900)의 일단을 볼트(600) 및 너트(700)로 고정하고, 다른 일단은 개폐판(205)과 고정된 브라켓(206)에 스크류(207)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고.
KR1020120065953A 2012-06-20 2012-06-20 조립식 창고 KR20130142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953A KR20130142603A (ko) 2012-06-20 2012-06-20 조립식 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953A KR20130142603A (ko) 2012-06-20 2012-06-20 조립식 창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603A true KR20130142603A (ko) 2013-12-30

Family

ID=4998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953A KR20130142603A (ko) 2012-06-20 2012-06-20 조립식 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26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301A (ko) 2015-01-13 2016-07-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소규모 조립식 창고
KR20160087300A (ko) 2015-01-13 2016-07-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소규모 조립식 창고의 바닥 기초 베이스의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301A (ko) 2015-01-13 2016-07-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소규모 조립식 창고
KR20160087300A (ko) 2015-01-13 2016-07-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소규모 조립식 창고의 바닥 기초 베이스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304B2 (en) Prefabricated container house
KR100942599B1 (ko) 접철방식의 조립식 컨테이너
US20140076831A1 (en) Adaptable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Mounting Frame
CN102030164A (zh) 一种集装箱
KR20130142603A (ko) 조립식 창고
CN103758360B (zh) 具有压型钢板支撑的rc框架-内填充墙结构及加固方法
ITTR940003U1 (it) Monoblocco cm1
CA2822963C (en) Prefabricated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KR101107620B1 (ko) 조립식 물탱크의 코너부 보강구조
CN202578036U (zh) 一种集装箱活动房屋结构
CN202214817U (zh) 便于拆装的集装箱式活动房
CN218234542U (zh) 一种钢结构的水泥贮存库
CN201553428U (zh) 一种集装箱
CN213477444U (zh) 一种幕墙门斗龙骨安装结构
KR200463957Y1 (ko) 조립식 창고
JP6798833B2 (ja) 建物の支持構造および建物の不同沈下の修正方法
KR200470642Y1 (ko) 기둥형상의 방음구조물
JP2015101896A (ja) 組立ハウス
JP5439084B2 (ja) 出窓の固定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341351Y1 (ko) 납골 안치단
JP4368734B2 (ja) 組立ハウス
CN211341163U (zh) 一种便于移动的装配式房屋结构
JP3009391U (ja) 囲い体
JP3244225U (ja) 連結型自転車収納庫
JP2008101402A (ja) 折り畳み式ユニットハ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