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413A -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413A
KR20130142413A KR1020120065616A KR20120065616A KR20130142413A KR 20130142413 A KR20130142413 A KR 20130142413A KR 1020120065616 A KR1020120065616 A KR 1020120065616A KR 20120065616 A KR20120065616 A KR 20120065616A KR 20130142413 A KR20130142413 A KR 20130142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formation
unit
information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200B1 (ko
Inventor
임지수
이용준
이해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5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200B1/ko
Priority to US13/648,743 priority patent/US9395815B2/en
Priority to TW101141069A priority patent/TWI604713B/zh
Priority to EP13151759.1A priority patent/EP2677395B1/en
Priority to CN201310029591.0A priority patent/CN103516890B/zh
Priority to CN201320041248.3U priority patent/CN203445928U/zh
Priority to JP2013121759A priority patent/JP6278617B2/ja
Publication of KR2013014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도록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그 변형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표시하는 단말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Terminal system and flexible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단말기는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 중, 휴대 전화는 기존의 전화 기능외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컴퓨터 운영체제와 유사한 시스템을 탑재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녹음, 어플리케이션 실행의 기능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외에 기능성 칩과 같은 별도의 부재의 삽입을 통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근래 사용자는 자전거 또는 달리기와 같은 활동 중에도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전화를 소지하는 추세인데, 이 경우 스마트폰의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용이하게 향상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그 변형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표시하는 단말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 변형된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가 변형된 정도가 소정의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가 변형된 정도가 소정의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중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고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변형 감지부를 구비하는 제2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변형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은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 수행시와 미수행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시에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 미수행시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생성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되고.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가 소정의 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지 않도록 불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휴대 전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휘고 접히도록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하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통신부는 일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와 상기 제2 통신부는 일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는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는 그 변형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의 변형 정도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표시하는 플렉시블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의 변형 정도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 변형된 경우에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은 활성화되고,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가 소정의 크기 미만으로 변형된 경우에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은 불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 변형된 경우에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은 활성화되어 외부의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가 소정의 크기 미만으로 변형된 경우에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단말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기 시스템의 구체적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단말기가 휘어졌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단말기가 평탄하게 되었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단말기의 표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단말기의 표시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단말기의 표시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단말기의 표시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단말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단말기 시스템(30)은 제1 단말기(10) 및 제2 단말기(20)를 포함한다. 제1 단말기(10)와 제2 단말기(20)는 서로 분리되어 이격되어 있고, 특정한 조건에서 블루투쓰와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방법에 의하여 연결된다(구체적인 내용은 후술).
제1 단말기(10)는 제1 제어부(11) 및 제1 통신부(12)를 구비한다. 도 1에는 제1 제어부(11)와 제1 통신부(12)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제어부(11)와 제1 통신부(12)가 서로 일체화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단말기(10)는 휴대 전화, 특히 스마트폰일 수 있다.
제1 제어부(11)는 제1 통신부(12)를 제어하여 제1 단말기(10)와 제2 단말기(20)가 통신하게끔 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단말기(20)는 제2 제어부(21), 제2 통신부(22), 변형 감지부(23) 및 표시부(24)를 구비한다.
제2 단말기(2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휘고 접힐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단말기(20)는 밴드 형태로 손목에 착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연성을 갖는 제2 단말기(20)를 신체의 어느 부위에나 착용이 가능하고, 또한 도 2에 도시된 사이클의 일부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제2 단말기(20)는 사용자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이클을 타는 중 용이하게 표시부(24)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신체의 일부 또는 사이클의 일부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변형 감지부(23)는 제2 단말기(20)가 상기와 같이 손목 등 신체의 일부에 착용시 휘거나 접혀서 변형될 때 변형의 정도를 감지한다. 변형 감지부(23)는 이를 위하여 다양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압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1)는 변형 감지부(23)가 감지한 제2 단말기(20)의 변형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제2 통신부(22)는 제2 제어부(21)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즉, 제2 제어부(21)는 변형 감지부(23)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하여 제2 단말기(20)가 소정의 양 이상 변형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제2 통신부(22)와 제1 통신부(12)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고 상호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2 제어부(21)는 변형 감지부(23)로부터 받은 정보에 따라 제2 통신부(22)를 근거리 무선통신, 예를 들면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킨다. 또한 제2 제어부(21)는 제1 제어부(11)에 신호를 보내고, 제1 제어부(11)는 제2 제어부(21)로부터 받은 신호에 따라 제1 통신부(12)를 근거리 무선통신, 예를 들면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제1 통신부(12) 및 제2 통신부(22)는 서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하여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제1 단말기(10)로부터 정보를 제2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 제어부(21)는 변형 감지부(23)로부터 받은 정보에 따라 제2 통신부(22)를 근거리 무선통신, 예를 들면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킨다. 또한 제2 통신부(22)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으로 제1 제어부(11)에 신호를 보내고, 제1 제어부(11)는 제2 통신부(22)로부터 받은 신호에 따라 제1 통신부(12)를 근거리 무선통신, 예를 들면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킨다.
제1 제어부(11)는 상기와 같이 제2 제어부(21) 또는 제2 통신부(22)로부터 신호를 받은 경우 제1 통신부(12)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미리 선택된 소정의 정보를 제1 통신부(12)로부터 제2 통신부(22)로 전달하도록 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통신부(12)로부터 제2 통신부(22)로 전달하는 정보는 제1 단말기(10)가 수신한 문자 메시지일 수 있고, 기타 제1 단말기(10)가 측정한 사용자의 현재 운동 거리 또는 운동 시간일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1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제1 통신부(12)로부터 제2 통신부(22)로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24)는 제1 통신부(12)와 제2 통신부(22)의 통신을 통하여 전달 받은 제1 단말기(10)의 정보를 표시한다. 즉, 전술한 대로 제1 단말기(10)가 수신한 문자 메시지 또는 제1 단말기(10)가 측정한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 때 제2 제어부(21)는 제2 통신부(22)가 제1 통신부(12)로부터 받은 정보를 표시부(24)가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24)를 제어한다.
한편, 표시부(24)는 변형 감지부(23)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제2 단말기(20)에서 생성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변형 감지부(23)가 감지한 제2 단말기(20)의 변형의 정도가 소정의 값보다 작으면 제1 단말기(10)의 정보 대신 제2 단말기(20)가 생성한 간략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단말기 시스템(3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가 휘어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제2 단말기(20)를 손목에 착용하고 있을 때를 도시하고 있는 경우이다.
도 3과 같이 제2 단말기(20)가 휘어지게 되면, 즉 사용자가 제2 단말기(20)를 손목에 착용하게 되면, 제2 단말기(20)의 변형 감지부(23)는 이를 감지하여 이러한 정보를 제2 제어부(21)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2 제어부(21)는 이 정보를 통하여 제2 단말기(20)가 소정의 정도 이상으로 휘어졌다고 판단하고, 제2 통신부(22)를 활성화하여 제2 통신부(22)가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하도록 준비한다.
그리고 나서 제2 제어부(21)는 이러한 정보에 따라 제1 제어부(11)에 신호를 전달한다. 물론,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2 제어부(21)에 의하여 활성화된 제2 통신부(22)가 제2 제어부(21)대신 이러한 신호를 제1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제어부(21) 또는 제2 통신부(22)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1 제어부(11)는 제1 통신부(12)를 활성화시켜 제1 통신부(12)와 제2 통신부(22)가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1 단말기(10)의 정보가 제2 단말기(20)에 전달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단말기(1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전화일 수 있는데, 제1 단말기(10)가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제2 단말기(2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사이클을 타고 이동하는 경우 특정 시점에서 이동한 거리 및 이동 시간을 제1 단말기(10)가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값을 제2 단말기(20)에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단말기(10)는 GPS기능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2 통신부(22)가 제1 단말기(10)의 정보를 전달받으면, 제2 통신부(22) 및 표시부(24)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21)는 이러한 제1 단말기(10)의 정보를 표시부(24)가 적절한 형태로 표시하도록 한다. 즉, 구체적인 예로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시부(24)의 상단에 제1 단말기(10)가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고, 표시부(24)의 하단에 제1 단말기(10)가 측정한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을 표시한다.
이러한 정보는 하나의 예로서, 제1 단말기(10)는 다양한 정보를 가공 및 취합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10)는 스마트폰으로서, 자체 내장된 소프트 웨어, 사용자가 다운로드 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별도 장착한 칩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통화 대기 정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부근의 교통량 등 기타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 중 소정의 정보를 제2 단말기(20)의 표시부(24)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제1 단말기(10)에서 취득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2 단말기(20)가 그대로 받아서 제2 단말기(20)가 별도의 정보 생성 부재 없이 표시부(24)에 사용하므로 제2 단말기(20)를 경량화, 박형화 및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2 단말기(20)를 신체의 일부에 용이하게 착용한 채로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단말기(20)가 평탄하게 되면, 즉 사용자가 제2 단말기(20)를 손목에 착용하지 않게 되면, 예를 들면, 제2 단말기(2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변형 감지부(23)는 이를 감지하여 이러한 정보를 제2 제어부(21)에 전달하고, 제2 제어부(21)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부(22)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 단말기(20)의 제2 제어부(21)는 소정의 간략한 정보, 즉 현재 시간과 같은 정보를 생성 또는 제2 단말기(20)에 별도로 구비된 시계 정보 칩(미도시)으로부터 전달받아 이러한 정보를 표시부(24)가 표시하도록 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단말기(20)는 제1 단말기(10)의 정보와 무관한 정보를 직접 표시한다.
이 때 제2 단말기(20)의 제2 통신부(22)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정지되어있으므로 제2 제어부(21)는 제1 단말기(10)의 제1 제어부(11)에 별도의 신호를 전달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선택적인 예로서, 제2 제어부(21)가 제1 제어부(11)에 별도의 신호를 전송하여 제1 제어부(11)는 제1 통신부(12)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멈추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단말기 시스템(30)은 사용자가 사이클을 타거나 달리기를 하는 등 활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제1 단말기(10)를 배낭 등에 소지하여 용이하게 제1 단말기(1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제2 단말기(20)를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20)가 유연성을 갖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 등 신체 부위에 쉽게 착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한다.
특히 제2 단말기(20)의 변형을 감지하도록 하여 제2 단말기(20)가 변형, 즉, 제2 단말기(2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제2 단말기(20)만을 실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제2 단말기(20)가 제1 단말기(10)와 통신하도록 하고, 제2 단말기(20)가 변형되지 않고 평탄한 경우, 즉 사용자가 제2 단말기(20)를 착용하지 않아 사용자가 제2 단말기(20)를 확인할 필요 없는 경우 제1 단말기(10)와 제2 단말기(20)의 통신 기능을 불활성화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면서 단말기 시스템(30)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 및 제2 단말기(20)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제1 단말기(10) 및 제2 단말기(20)의 전력 사용 효율성을 증대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제2 단말기(20)가 복잡한 정보가 아닌 간략한 정보만을 생성하므로 제2 단말기(20)를 소형화, 박형화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착용 방법의 다양성을 증대할 수 있고, 제2 단말기(20)의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제2 단말기(20)는 유연성을 가지므로 표시부(24)도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단말기(20)는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부(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4)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제2 단말기의 표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표시부는 기판(101), 제1 전극(110), 중간층(114) 및 제2 전극(115)을 포함한다.
각 부재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101)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기판(101)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기판(101)상에 형성된다. 제1 전극(110)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목적 및 설계 조건에 따라서 제1 전극(110)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Yb 또는 Ca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판(101)과 제1 전극(110)사이에 버퍼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미도시)은 기판(101)을 통한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기판(101)상부에 평탄한 면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버퍼층(미도시)은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알루미늄나이트라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티타늄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이나,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유기물을 함유할 수 있고, 예시한 재료들 중 복수의 적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114)이 제1 전극(110)상에 형성된다. 중간층(114)은 가시 광선을 구현하도록 유기 발광층을 구비한다. 중간층(114)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114)이 저분자 유기막으로 형성되는 경우,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HIL)은 구리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또는 스타버스트(Starburst)형 아민류인 TCTA, m-MTDATA, m-MTDAPB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HTL)은 N,N'-비스(3-메틸페닐)- 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 벤지딘(α-NPD)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주입층(EIL)은 LiF, NaCl, CsF, Li2O, BaO, Liq 등의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ETL)은 Alq3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호스트 물질과 도판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의 호스트 물질로는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리나토)알루미늄 (Alq3), 9,10-디(나프티-2-일)안트라센 (AND), 3-Tert-부틸-9,10-디(나프티-2-일)안트라센 (TBADN), 4,4'-비스(2,2-디페닐-에텐-1-일)-4,4'-디메틸페닐 (DPVBi), 4,4'-비스Bis(2,2-디페닐-에텐-1-일)-4,4'-디메틸페닐 (p-DMDPVBi), Tert(9,9-디아릴플루오렌)s (TDAF), 2-(9,9'-스피로비플루오렌-2-일)-9,9'-스피로비플루오렌 (BSDF), 2,7-비스(9,9'-스피로비플루오렌-2-일)-9,9'-스피로비플루오렌 (TSDF), 비스(9,9-디아릴플루오렌)s (BDAF), 4,4'-비스(2,2-디페닐-에텐-1-일)-4,4'-디-(tert-부틸)페닐 (p-TDPVBi), 1,3-비스(카바졸-9-일)벤젠 (mCP), 1,3,5-트리스(카바졸-9-일)벤젠 (tCP), 4,4',4"-트리스(카바졸-9-일)트리페닐아민 (TcTa), 4,4'-비스(카바졸-9-일)비페닐 (CBP), 4,4'-비스Bis(9-카바졸일)-2,2'-디메틸-비페닐 (CBDP), 4,4'-비스(카바졸-9-일)-9,9-디메틸-플루오렌 (DMFL-CBP), 4,4'-비스(카바졸-9-일)-9,9-비스bis(9-페닐-9H-카바졸)플루오렌 (FL-4CBP), 4,4'-비스(카바졸-9-일)-9,9-디-톨일-플루오렌 (DPFL-CBP), 9,9-비스(9-페닐-9H-카바졸)플루오렌 (FL-2CB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의 도판트 물질로는 DPAVBi (4,4'-비스[4-(디-p-톨일아미노)스티릴]비페닐), ADN (9,10-디(나프-2-틸)안트라센), TBADN (3-터트-부틸-9,10-디(나프-2-틸)안트라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극(115)은 중간층(114)상에 형성된다. 제2 전극(115)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또는 Ca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제2 단말기의 표시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부는 기판(201), 제1 전극(210), 화소 정의막(219), 중간층(214) 및 제2 전극(215)을 포함한다. 각 부재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01)상에 제1 전극(210)이 형성된다.
제1 전극(210)상에 절연물을 이용하여 화소 정의막(219)이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정의막(219)은 제1 전극(210)의 상면을 노출하도록 개구를 갖도록 형성된다.
중간층(214)은 제1 전극(210)의 노출된 상면에 형성된다. 중간층(214)은 가시 광선을 구현하도록 유기 발광층을 구비한다.
제2 전극(215)은 중간층(214)상에 형성된다.
도 7은 제2 단말기의 표시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부는 기판(301)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활성층(303), 게이트 전극(305), 소스 전극(307) 및 드레인 전극(308)을 구비한다.
기판(301)상에 버퍼층(302)이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닌 바, 생략이 가능하다.
버퍼층(302)상에 소정 패턴의 활성층(303)이 형성된다. 활성층(303)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고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한다. 활성층(303)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한 후에 3족 또는 5족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할 수 있다.
활성층(303)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304)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막(304)상부의 소정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305)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304)은 활성층(303)과 게이트 전극(305)을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물 또는 SiNx, SiO2같은 무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05)은 Au, Ag, Cu, Ni, Pt, Pd, Al, Mo를 함유할 수 있고, Al:Nd, Mo:W 합금 등과 같은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접한 층과의 밀착성, 평탄성, 전기 저항 및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05)의 상부로는 층간 절연막(317)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317) 및 게이트 절연막(304)은 활성층(303)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활성층(303)의 노출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접하도록 소스 전극(307) 및 드레인 전극(308)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307) 및 드레인 전극(308)은 다양한 도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복층 구조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상부에 패시베이션층(318)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소스 전극(307) 및 드레인 전극(308)상에 패시베이션층(318)이 형성된다.
패시베이션층(318)은 드레인 전극(308)의 전체를 덮지 않고 소정의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노출된 드레인 전극(308)과 연결되도록 제1 전극(310)이 형성된다.
제1 전극(310)상에 절연물로 화소 정의막(319)을 형성한다. 화소 정의막(319)은 제1 전극(310)의 소정의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노출된 제1 전극(310)과 접하도록 중간층(3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중간층(314)과 연결되도록 제2 전극(315)을 형성한다.
제2 전극(315) 상에 밀봉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밀봉 부재(미도시)는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중간층(314) 및 기타층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밀봉 부재(미도시)는 플라스틱 또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복수의 중첩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제2 단말기의 표시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부는 기판(401)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캐패시터(418)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활성층(403), 게이트 전극(405), 소스 전극(407) 및 드레인 전극(408)을 구비한다.
기판(401)상에 버퍼층(402)이 형성된다. 버퍼층(402)상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활성층(403)이 형성된다. 또한 버퍼층(402)상에 제1 캐패시터 전극(411)이 형성된다. 제1 캐패시터 전극(411)은 활성층(403)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층(402)상에 활성층(403) 및 제1 캐패시터 전극(411)을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404)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406)상에 게이트 전극(405), 제1 전극(410) 및 제2 캐패시터 전극(413)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405)은 제1 도전층(405a) 및 제2 도전층(405b)을 구비한다.
제1 전극(410)은 제1 도전층(405a)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410)의 상부의 소정의 영역에는 도전부(410a)가 배치되는데 도전부(410a)는 제2 도전층(405b) 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제2 캐패시터 전극(413)은 제1 층(413a) 및 제2 층(413b)을 구비하는데, 제1 층(413a)은 제1 도전층(405a)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층(413b)은 제2 도전층(405b) 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제2 층(413b)은 제1 층(413a)보다 작게 제1 층(413a)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캐패시터 전극(413)은 제1 캐패시터 전극(411)과 중첩되고 제1 캐패시터 전극(411)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 전극(410), 게이트 전극(405) 및 제2 캐패시터 전극(413)상에 층간 절연막(417)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417)상에 소스 전극(407) 및 드레인 전극(408)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407) 및 드레인 전극(408)은 활성층(403)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소스 전극(407) 및 드레인 전극(408)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제1 전극(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도 8에는 드레인 전극(408)이 제1 전극(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드레인 전극(408)은 도전부(410a)와 접한다.
층간 절연막(417)상에 소스 전극(407), 드레인 전극(408) 및 캐패시터(418)를 덮도록 화소 정의막(419)이 형성된다.
화소 정의막(419)은 제1 전극(410)의 상면에 대응되는 소정의 개구부(419a)를 갖도록 형성되고, 화소 정의막(419)의 개구부(419a)를 통하여 노출된 제1 전극(410)상에 중간층(414)이 형성된다.
중간층(414)상에 제2 전극(415)이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전극(415)상에 밀봉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제1 전극(410), 중간층(414) 또는 제2 전극(415)을 외부의 이물 또는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되고 유리, 금속 박막 등으로 형성되거나 유기물과 무기물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는 제2 단말기(20)의 표시부(24)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는 중간층, 즉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2 단말기(20)의 표시부(24)가 액정 소자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 단말기
11: 제1 제어부
12: 제1 통신부
20: 제2 단말기
21: 제2 제어부
22: 제2 통신부
23: 변형 감지부
24: 표시부
30: 단말기 시스템

Claims (29)

  1.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그 변형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표시하는 단말기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말기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 변형된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표시하는 단말기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가 변형된 정도가 소정의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표시하는 단말기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가 변형된 정도가 소정의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중단되는 단말기 시스템.
  6.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고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변형 감지부를 구비하는 제2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감지부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변형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말기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은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개시되는 단말기 시스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 수행시와 미수행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가 상이한 단말기 시스템.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시에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 미수행시 상기 제2 단말기에서 생성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말기 시스템.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되고.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가 소정의 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지 않도록 불활성화되는 단말기 시스템.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말기 시스템.
  13.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말기 시스템.
  14.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 단말기의 변형 정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변형 감지부가 감지한 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말기 시스템.
  15.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시스템.
  16.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휴대 전화인 단말기 시스템.
  1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휘고 접히도록 유연성을 갖는 단말기 시스템.
  1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하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된 단말기 시스템.
  1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통신부는 일체화된 단말기 시스템.
  2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와 상기 제2 통신부는 일체화된 단말기 시스템.
  2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단말기 시스템.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는 단말기 시스템.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단말기 시스템.
  24.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단말기 시스템.
  25.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는 그 변형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의 변형 정도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표시하는 플렉시블 단말기.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의 변형 정도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정보를 표시하는 플렉시블 단말기.
  27.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 변형된 경우에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은 활성화되고,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가 소정의 크기 미만으로 변형된 경우에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은 불활성화되는 플렉시블 단말기.
  28.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가 소정의 크기 이상 변형된 경우에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은 활성화되어 외부의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플렉시블 단말기.
  29.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가 소정의 크기 미만으로 변형된 경우에 상기 플렉시블 단말기가 생성한 정보를 표시하는 플렉시블 단말기.
KR1020120065616A 2012-06-19 2012-06-19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KR101971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616A KR101971200B1 (ko) 2012-06-19 2012-06-19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US13/648,743 US9395815B2 (en) 2012-06-19 2012-10-10 Terminal system and flexible terminal
TW101141069A TWI604713B (zh) 2012-06-19 2012-11-06 終端系統及可撓式終端
EP13151759.1A EP2677395B1 (en) 2012-06-19 2013-01-18 Terminal System and Flexible Terminal
CN201310029591.0A CN103516890B (zh) 2012-06-19 2013-01-25 终端系统及柔性终端
CN201320041248.3U CN203445928U (zh) 2012-06-19 2013-01-25 终端系统及柔性终端
JP2013121759A JP6278617B2 (ja) 2012-06-19 2013-06-10 端末システム及びフレキシブル端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616A KR101971200B1 (ko) 2012-06-19 2012-06-19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413A true KR20130142413A (ko) 2013-12-30
KR101971200B1 KR101971200B1 (ko) 2019-04-23

Family

ID=4773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616A KR101971200B1 (ko) 2012-06-19 2012-06-19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95815B2 (ko)
EP (1) EP2677395B1 (ko)
JP (1) JP6278617B2 (ko)
KR (1) KR101971200B1 (ko)
CN (2) CN103516890B (ko)
TW (1) TWI6047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11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통신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200B1 (ko) * 2012-06-19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EP3095023A1 (en) * 2014-01-15 2016-11-23 Sony Corporation Haptic notification on wearables
JP6264499B2 (ja) 2015-02-27 2018-01-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Rfモジュール及びrfシステム
US10386941B2 (en) * 2015-06-16 2019-08-20 Intel Corporation Gyratory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US9787346B2 (en) * 2016-01-28 2017-10-10 Motorola Mobility Llc Configurabl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8684025B (zh) * 2018-04-28 2021-09-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可折叠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547619B (zh) * 2018-11-28 2020-09-04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基于柔性屏幕的检测建立设备间连接的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1262A1 (en) * 2000-10-06 2002-04-11 Masaki Mukai Data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ose
US20060022219A1 (en) * 2004-07-29 2006-02-02 Werner Humbs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456823B2 (en) * 2002-06-14 2008-11-25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US20090039353A1 (en) * 2007-08-08 2009-02-12 Samsung Sdi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35061A (ko) * 2008-09-25 2010-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KR20100052227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8650A (ko) * 2008-07-10 2011-03-21 노키아 코포레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실행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및 디바이스
US7953462B2 (en) * 2008-08-04 2011-05-31 Vartanian Harr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aptively responsive flexibl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4609B2 (ja) * 2002-03-29 2010-03-17 株式会社東芝 表示入力システム
KR20060019869A (ko)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형 압박 센서를 통한 운동량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E102004050907A1 (de) * 2004-10-19 2006-04-27 Siemens Ag Gestaltungselement für ein Bedienfeld einer Vorrichtung
CN101247610B (zh) * 2007-02-13 2012-03-28 艾威梯科技(北京)有限公司 管理多种短距离无线技术通信的方法、设备及系统
KR101507786B1 (ko) * 2008-03-31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
KR101139297B1 (ko) 2008-09-27 2012-04-26 정세린 블루투스 시계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0046732A1 (en) * 2008-10-24 2010-04-29 Nokia Corporation Feature 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JP2010250708A (ja) * 2009-04-17 2010-11-04 Toshiba Corp 手袋型携帯端末
TWI401600B (zh) * 2009-05-11 2013-07-11 Compal Electronics Inc 管理無線通訊元件功能的方法及使用者介面裝置
KR101097341B1 (ko) 2010-03-09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2635939B1 (en) 2010-11-01 2023-05-03 NIKE Innovate C.V.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CN102413235A (zh) * 2011-11-02 2012-04-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以及利用该移动终端进行信息显示的方法
US20130201215A1 (en) * 2012-02-03 2013-08-08 John A. MARTELLARO Accessing applications in a mobil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9411423B2 (en) * 2012-02-08 2016-08-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flex gesturing
US9186077B2 (en) * 2012-02-16 2015-11-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device with customizable power management
KR101971200B1 (ko) * 2012-06-19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1262A1 (en) * 2000-10-06 2002-04-11 Masaki Mukai Data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ose
US7456823B2 (en) * 2002-06-14 2008-11-25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US20060022219A1 (en) * 2004-07-29 2006-02-02 Werner Humbs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039353A1 (en) * 2007-08-08 2009-02-12 Samsung Sdi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28650A (ko) * 2008-07-10 2011-03-21 노키아 코포레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실행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및 디바이스
US7953462B2 (en) * 2008-08-04 2011-05-31 Vartanian Harr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aptively responsive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00035061A (ko) * 2008-09-25 2010-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KR20100052227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11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통신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7395B1 (en) 2018-10-24
JP2014003604A (ja) 2014-01-09
US9395815B2 (en) 2016-07-19
EP2677395A1 (en) 2013-12-25
KR101971200B1 (ko) 2019-04-23
JP6278617B2 (ja) 2018-02-14
CN103516890B (zh) 2017-10-31
TWI604713B (zh) 2017-11-01
US20130336304A1 (en) 2013-12-19
CN203445928U (zh) 2014-02-19
TW201401836A (zh) 2014-01-01
CN103516890A (zh)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200B1 (ko)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KR101420330B1 (ko) 플렉시블 표시 장치
EP2608288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584451B (zh) 顯示基板與其製造方法
KR10110817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79831B1 (ko) 플렉시블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시블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US8994703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bimetal element which can be controllably bent
KR2012004487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10204342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1370447A (zh) 显示装置
JP5889659B2 (ja) 発光素子、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88991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400463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915754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표시 장치
KR20190047968A (ko) 표시장치
KR2013012375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954982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200020414A (ko) 휴대용 전자장치
KR2014000768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6531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1799309A (zh) 压敏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