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977A -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977A
KR20130141977A KR1020120065151A KR20120065151A KR20130141977A KR 20130141977 A KR20130141977 A KR 20130141977A KR 1020120065151 A KR1020120065151 A KR 1020120065151A KR 20120065151 A KR20120065151 A KR 20120065151A KR 20130141977 A KR20130141977 A KR 20130141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vessel
main body
anastomosis
anastomosi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교창
송승호
김윤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2006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1977A/ko
Publication of KR2013014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f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42Purse-string su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을 문합하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로서, 관(管) 모양으로서 생체에 흡수되는 재질로 형성된 본체, 본체의 전단에 위치하고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및 본체의 후단에 위치하고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링 모양의 홈부를 포함하고, 제 1 혈관이 본체의 전단을 통해 내부로 관통된 후 뒤집어져 내벽이 노출된 채로 복수의 돌기부를 통해 고정되고, 제 2 혈관의 내부로 제 1 혈관의 내벽이 노출된 본체가 삽입되어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서로 접촉되면, 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소정의 연결수단을 통해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이 연결되어 문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혈관을 문합함에 있어서 문합이 더욱 단단해지도록 하며, 문합 후에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는 즉, 봉합사 등을 이용하여 혈관을 연결한 후 연결부위에서 새살이 자라나 혈관 내부에 협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Bioabsorbable vascular anastomosis device}
본 발명은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혈관을 서로 연결하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동 부족과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하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거의 막힘으로써 발생하는 소위 혈관폐쇄 질환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심장 질환의 대부분은 심장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허혈증(ischemia)에 의해 나타나는 심근경색 및 협심증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폐쇄 혈관 또는 거의 폐쇄된 혈관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수술에 의한 방법이 종종 채택되고 있다. 이 수술에 의한 방법으로 흔히 채용되는 방법은 문제가 되고 있는 혈관부분을 잘라낸 다음에 잘라진 혈관들을 문합하는 소의 단부 대 단부 문합(end-to-end anastomosis) 방법이다. 이 때 잘라낸 혈관 부분이 너무 길거나 문제가 되고 있는 혈관부분을 우회(bypass)하기 위해서 긴 혈관이 필요하면 보통 다리정맥을 절단하여 활용한다.
한편, 혈관의 단면은 주로 내층(intima), 중간층(media) 및 외층(adventitia)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혈관을 문합할 경우에 반드시 내층은 내층끼리 밀착시켜서 문합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심장의 혈관폐쇄질환의 치료뿐만 아니라 피판 이전 수술에 의한 재건수술이나 절단된 혈관의 문합수술 시에 미세수술 전문의사가 직접 봉합사(suture)를 사용하여 현미경이나 고배율 확대경으로 수술시야를 확보하고 수작업(manual)에 의해 일일이 봉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봉합수술은 고도로 숙련된 전문의사에 의해서만 시행될 수 있고, 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심장과 같이 연속적으로 주기적 박동이 진행되고 있는 부위의 혈관을 일일이 봉합하여 문합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심장수술 시에는 적어도 3시간 이상 동안 인위적으로 심장 마비를 일으켜 심장의 박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봉합사(suture)를 사용하여 일일이 손으로 혈관을 직접 봉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수의 혈관문합 장치들이 고안되었다. 그 중, 혈관의 단부 대 단부 방식의 문합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미국 특허 제3,774,615호, 미국 특허 제4,214,586호 그리고 미국 특허 제4,917,087호 등이 있고, 이미 상품화되어 있는 예로는 미국 Synovis Micro Companies Alliance사의 미세혈관 문합용 커플러(microvascular anastomotic coupler)가 있다.
림(Drahoslav Lim) 외 2명은 미국 특허 제3,774,615호에서 단절된 혈관을 수술하지 않고 문합하는 장치를 제시(disclosed)하였는데 이 장치는 혈관이 문합되는 부위에서 혈관들을 완전히 고정시키지 않고, 절단된 두 혈관 주변들을 돌아가면서 골고루 접착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며, 단절된 부분이 서로 만나는 부위의 면적이 너무 작기 때문에 문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혈액이 샐 가능성이 있다.
메리클(Robert W.Mericle)은 미국 특허 제4,214,586호에서 그 기본원리는 미국 특허 제3,774,615호와 흡사하지만 단절된 혈관 끝 부위들을 잘 고정시키는 장치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혈관의 단절된 부분이 서로 만나는 부위의 면적이 여전히 너무 작아서 문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은 향상되지 않았다.
월쉬(David J.Walsh) 외 3명은 미국 특허 제4,917,087호에서 고정된 관 모양(tubular shape)으로 된 혈관 문합 장치를 제시하였는데 이 장치는 단부 대 단부(end-to-end) 또는 단부 대 측부(end-to-side) 문합에 사용할 수 있지만 두 혈관의 직경이 같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내층과 내층의 문합 후 내층부분과 관련 고정하는 힘이 약하여 문합 전으로 되돌아오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에 대해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복수의 돌기부 및 홈부를 포함하여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을 문합하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에 있어서, 제 1 혈관이 본체의 내부로 관통된 후 뒤집어져 내벽이 노출된 채로 돌기부를 통해 고정되고, 제 2 혈관의 내부로 제 1 혈관의 내벽이 노출된 본체가 삽입되면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소정의 연결수단을 통해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이 연결되어 문합되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는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을 문합하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로서, 관(管) 모양으로서 생체에 흡수되는 재질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단에 위치하고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및 상기 본체의 후단에 위치하고 상기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링 모양의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혈관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관통된 후 뒤집어져 내벽이 노출된 채로 상기 복수의 돌기부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제 2 혈관의 내부로 상기 제 1 혈관의 내벽이 노출된 상기 본체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서로 접촉되면,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소정의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이 연결되어 문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문합은 상기 제 1 혈관의 단부의 끝이 상기 본체의 전단을 통해 내부로 관통된 후 뒤집어지고 상기 돌기부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하고, 상기 제 1 혈관의 내벽이 노출된 채로 완전히 둘러싸인 상기 본체를 상기 제 2 혈관의 단부에 완전히 삽입하여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서로 접촉되고, 상기 소정의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접촉된 채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문합은 상기 제 1 혈관의 단부의 끝이 상기 본체의 후단을 통해 내부로 관통된 후 뒤집어지고 상기 돌기부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제 1 혈관의 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하고, 상기 제 1 혈관의 내벽이 노출된 채로 둘러싸인 상기 본체를 상기 제 2 혈관의 단부에 완전히 삽입하여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서로 접촉되고, 상기 소정의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접촉된 채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연결수단은 봉합사(suture) 또는 기계적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홈부는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접촉된 채로 상기 본체 위에 고정되도록 상기 봉합사 또는 다른 기계적인 수단이 상기 링 모양을 따라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본체의 전단에 90 도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0.1~0.2mm 의 두께를 갖는 속이 빈 원통형 관일 수 있다.
또한, 본체는 poly(a-ester) 계열의 생체분해성 고분자, poly(a-ester) 계열의 단독 중합 또는 공중합 형태의 생체에 흡수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에 따르면, 혈관을 문합함에 있어서 문합이 더욱 단단해지도록 하며, 문합 후에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는 즉, 봉합사 등을 이용하여 혈관을 연결한 후 연결부위에서 새살이 자라나 혈관 내부에 협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는 속이 빈 관(管)모양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를 이용하여 혈관을 문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를 이용하여 혈관을 문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100)는 본체(110), 돌기부(120) 및 홈부(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10)는 내부가 빈 관(管)모양의 형상으로서 전단(111)과 후단(112)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관으로서 전단(111)과 후단(112)을 합친 총 길이는 약 5mm 이고, 그 두께(d, 도 2 참조)는 0.3mm 이하로서 바람직하게는 0.1~0.2mm 이다. 이러한 본체(110)의 길이 및 두께(d)는 미세수술에서 가장 흔히 문합하는 2~3mm 직경의 혈관을 문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께(d)가 너무 두꺼우면 혈액이 흐르는데 방해 받고, 본체의 성분이 분해되면서 혈관을 압박하는 점을 반영한 혈관 문합 장치(100)의 바람직한 크기이며, 문합하고자 하는 혈관 직경의 변화에 따라 그 크기를 크게 또는 작게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체(110)는 poly(a-ester) 계열의 생체분해성 고분자, poly(a-ester) 계열의 단독 중합 또는 공중합 형태의 생체에 흡수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혈관문합 후 혈관 내면의 간극이 혈관 내피세포로 완전히 메워지는 데는 2~3 주면 충분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100)는 수개월 내에 생체에서 흡수되도록 PLGA(polylactic-glycolic acid)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생체에 흡수되는 시간은 젖산(lactic acid)와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혼합비율을 조정하여 조절하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 흡수성 고분자의 분해는 주로 물이나 토양 속의 미생물에 의해 가수 분해될 수 있는 주쇄 결합에서 일어나며,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분자량을 감소시키고 최종적으로 단량체로 재생되거나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
여기서 가수 분해성 주쇄로는 'amide, ester, urea, urethane'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중 물리적, 화학적 물성을 가지면서 충분한 분해성을 보이며 미생물 혹은 화학적 합성으로부터 얻어지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중요하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들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그룹으로 분류되는데, 화학적 합성으로 얻어지는 PLA(poly lactide), PGA(polyglycolide), PCL(poly caprolactone) 등과 미생물로부터 합성되는 PHB(poly hydroxybutyrate)와 HB-co-HV(poly hydroxybutyrate-co-valerate)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PLA 는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공정 중에 범용 용매에 쉽게 용해되는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생체 의료용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LA 는 낮은 생분해 속도를 가지기 때문에 특정 생체 의료용 용도에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공중합을 통해 고분자 사슬 내에 글리콜라이드(glycolide)를 도입함으로써 생분해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PLA와 PGA의 공중합체인 PLGA는 공중합체 내 LA와 GA 의 비율에 의해 서로 다른 분해속도를 나타내는데, LA:GA의 비가 50:50일 때 가장 분해속도가 빨라 약 두 달 후에는 완전히 생체 내로 분해된다.
또한, 본체(100)의 전단(111)에는 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120)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돌기부(1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0.3mm 의 직경을 가진 4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혈관의 단부가 돌기부(120)에 걸려 혈관의 문합이 이루어진 후에도 본체(110)에 고정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돌기를 가진 돌기부(120)를 도시하였으나, 혈관을 본체(110)에서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다수의 돌기를 더 형성하거나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체(110)의 후단(112)에는 본체(110)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링 모양의 홈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130)는 상기 외주면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와 평행하게 봉합사 또는 소정의 연결수단의 설치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복수의 혈관의 단부가 내벽끼리 접촉된 채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홈부(130)는 봉합사나 다른 기계적인 방법으로 혈관 문합장치(100)와 혈관을 고정시킬 때 좀더 안정된 구조를 도모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본체(110)의 후단(112)에 봉합사가 설치되는 홈부(130)를 형성하였으나, 상기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홈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100)를 사용하여 혈관을 문합하는 방법을 도 4 를 통해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를 이용하여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을 문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 의 (a)는 제 1 혈관이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내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의 (b) 는 제 1 혈관이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내로 삽입되어 돌기부에 의해 고정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의 (c) 는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이 문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의 (a) 를 살펴보면,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 1 혈관(200)과 제 2 혈관(300)을 문합하기 위한 첫번째 과정으로서, 제 1 혈관(200)이 혈관문합 장치(100)의 본체의 전단을 통해 후단 측으로 돌출되도록 내부로 삽입된다. 즉, 제 1 혈관(200)의 단부의 끝을 속이 비어있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도 4 의 (b)와 같이, 제 1 혈관(200)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관통된 후 뒤집어져(반대로 접어서) 제 1 혈관(200)의 내벽이 상기 본체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한다.
이렇게 본체에 고정된 제 1 혈관(200)은 도 4 의 (c)에서와 같이, 제 2 혈관(300)의 단부가 본체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제 2 혈관(3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1 혈관(200)과 제 2 혈관(300)의 내벽이 서로 접촉되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 연결수단(400), 예를 들면 봉합사 또는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여 홈부(13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묶어 주거나 기계적인 방법으로 혈관들(200,300)을 고정시켜 아물도록 한다. 따라서, 양 혈관(200,300)의 내벽이 서로 접촉된 채로 혈관 내벽은 4~5일 내에 혈관 내피세포로 덮여서 문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를 이용하여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을 문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도 5 의 (a) 와 같이, 제 1 혈관(100)을 혈관문합 장치(100)의 본체의 후단을 통해 전단 측으로 돌출되도록 내부로 삽입하고, 도 5 의 (b) 와 같이,
제 1 혈관(200)을 상기 본체의 내부로 관통시킨 후 반대로 접어서 제 1 혈관(200)의 내벽이 상기 본체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돌기부(120)를 통해 고정한다. 이때, 제 1 혈관(200)의 단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의 소정의 범위까지 둘러싸도록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 1 혈관(200)의 단부가 홈부(130)를 둘러싸도록 한다. 또한, 도 5 의 (c) 와 같이, 제 2 혈관(300)의 단부가 본체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제 2 혈관(3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1 혈관(200)과 제 2 혈관(300)의 내벽이 서로 접촉되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 봉합사(400) 또는 소정의 연결수단(400)을 사용하여 홈부(13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묶어 주거나 기계적 장치로 혈관들(200,300)을 고정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의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에 따르면, 혈관을 문합함에 있어서 문합이 더욱 단단해지도록 하며, 문합 후에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는 즉, 봉합사 등을 이용하여 혈관을 연결한 후 연결부위에서 새살이 자라나 혈관 내부에 협착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는 속이 빈 관(管)모양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혈관을 문합하는 용도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담도 등 인체 내 각 장기 및 조직 사이를 순환시키는 통로를 문합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200: 제 1 혈관
300: 제 2 혈관

Claims (8)

  1.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을 문합하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에 있어서,
    관(管) 모양으로서 생체에 흡수되는 재질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단에 위치하고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및
    상기 본체의 후단에 위치하고 상기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링 모양의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혈관이 상기 본체의 내부로 관통된 후 뒤집어져 내벽이 노출된 채로 상기 복수의 돌기부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제 2 혈관의 내부로 상기 제 1 혈관의 내벽이 노출된 상기 본체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서로 접촉되면,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소정의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이 연결되어 문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문합은
    상기 제 1 혈관의 단부의 끝이 상기 본체의 전단을 통해 내부로 관통된 후 뒤집어지고 상기 돌기부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하고, 상기 제 1 혈관의 내벽이 노출된 채로 완전히 둘러싸인 상기 본체를 상기 제 2 혈관의 단부에 완전히 삽입하여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서로 접촉되고, 상기 소정의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접촉된 채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문합은
    상기 제 1 혈관의 단부의 끝이 상기 본체의 후단을 통해 내부로 관통된 후 뒤집어지고 상기 돌기부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제 1 혈관의 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하고, 상기 제 1 혈관의 내벽이 노출된 채로 둘러싸인 상기 본체를 상기 제 2 혈관의 단부에 완전히 삽입하여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서로 접촉되고, 상기 소정의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접촉된 채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연결수단은
    봉합사(suture) 또는 기계적 장치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제 1 혈관과 제 2 혈관의 내벽이 접촉된 채로 상기 본체 위에 연결되도록 상기 봉합사 또는 다른 기계적인 수단이 상기 링 모양을 따라 설치되게 하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본체의 전단에 90 도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0.1~0.2mm 의 두께를 갖는 속이 빈 원통형 관인,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poly(a-ester) 계열의 생체분해성 고분자, poly(a-ester) 계열의 단독 중합 또는 공중합 형태의 생체에 흡수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KR1020120065151A 2012-06-18 2012-06-18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KR20130141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151A KR20130141977A (ko) 2012-06-18 2012-06-18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151A KR20130141977A (ko) 2012-06-18 2012-06-18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977A true KR20130141977A (ko) 2013-12-27

Family

ID=4998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151A KR20130141977A (ko) 2012-06-18 2012-06-18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19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735B1 (ko) * 2015-06-22 2016-12-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구조물을 구비한 혈관 문합기
KR102239639B1 (ko) * 2019-10-14 2021-04-1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735B1 (ko) * 2015-06-22 2016-12-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구조물을 구비한 혈관 문합기
KR102239639B1 (ko) * 2019-10-14 2021-04-1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516B1 (ko)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Iannelli et al. Perioperative complications of sleeve gastrectomy: review of the literature
AU20092767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affolding of anastomoses
JP5406824B2 (ja) 筋膜を閉じ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470445B (zh) 用于将可固化的流体组合物施加到身体器官的装置和方法
Blatnik et al. Stitch versus scar—Evaluation of laparoscopic pediatric inguinal hernia repair: A pilot study in a rabbit model
EP2863813B1 (en) Biodegradable blood vessel occlusion and narrowing
JP2005505322A (ja) 吻合を完全なものにするための複合ステープル
KR20190136658A (ko) 생분해성 형상기억 고분자 필름 및 스텐트를 포함하는 혈관 문합 장치
KR101065142B1 (ko)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Costamagna et al. Management of esophageal perforation after therapeutic endoscopy
KR20130141977A (ko)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WO2013185484A1 (zh) 用于人体管腔腔体的无缝合伤口吻合器
KR101748551B1 (ko) 형상기억 고분자 마이크로니들 혈관 문합 장치
CN110680557A (zh) 3d打印可降解防凝血吻合支架
Li et al. Vascular coupling system for end-to-end anastomosis: an in vivo pilot case report
Gai et al. Pancreaticojejunostomy conducive to biological healing in minimally invasive pancreaticoduodenectomy
CN203970453U (zh) 一种可降解吻合辅助缝线装置
KR20130141980A (ko) 생체 흡수성 담관문합 장치
RU2373884C2 (ru) Способ пластики медиальной поддерживающей надколенник связки у детей
US20110264117A1 (en) Tissue joining device and instrument for enabling use of a tissue joining device
Elkouri et al. Stapled aortic anastomoses: a minimally invasive, feasible alternative to videoscopic aortic suturing?
AU2004238172B2 (en) Insertion sleeve assembly
CN211484726U (zh) 一种血管自动缝合器
RU2368329C1 (ru) Способ оментогепатопексии при портальной гипертенз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