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639B1 -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 - Google Patents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639B1
KR102239639B1 KR1020190127073A KR20190127073A KR102239639B1 KR 102239639 B1 KR102239639 B1 KR 102239639B1 KR 1020190127073 A KR1020190127073 A KR 1020190127073A KR 20190127073 A KR20190127073 A KR 20190127073A KR 102239639 B1 KR102239639 B1 KR 102239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suture
group
microtub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삼열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07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for artificial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7Double-armed sutures, i.e. sutures having a needle attached to each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f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혈관 봉합 기구는 이격된 제1 혈관부와 제2 혈관부를 상호 봉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혈관부와 상기 제2 혈관부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마이크로 튜브, 상기 마이크로 튜브의 중앙부나 그 인접부에 상호 이격하여 구비된 제1 및 제2 고리부, 상기 제1 고리부에 연결된 제1군의 봉합사 부재 및 제1군의 바늘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고리부에 연결된 제2군의 봉합사 부재 및 제2군의 바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Blood vessel suturing device and blood vessel su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혈관 봉합 기구 및 방법,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혈관을 문합하기 위한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관 문합술(blood vessel anastomosis 또는 vascular anastomosis), 특히, 미세혈관 문합술은 여러 형태의 수술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신장 이식, 간 이식 등과 같은 장기 이식에서 필수적인 수술 방법이다. 또한, 폐쇄 혈관이나 거의 폐쇄된 혈관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약물 또는 수술에 의한 방법이 채택될 수 있고, 수술에 의한 방법으로 문제가 되는 혈관부분을 잘라내고 남은 혈관들을 문합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쥐(rat) 및 햄스터(hamster) 등의 소형 실험동물에서 간 이식, 소장 이식 및 이종 이식 등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실험동물에 대해서는 비교적 큰 사이즈의 개(dog) 또는 원숭이 등의 영장류와 달리 복강내 마취, 흡입 또는 근육 마취 등을 시행하며, 이러한 마취기법은 마취유도시간을 30분 내지 1시간 이상 유지하기 어렵다. 용량 이상의 무리한 마취약 사용, 복강 노출에 의한 저체온증 및 약간의 실혈 또한 이들 실험동물에게 치명적일 수 있고, 수술에 성공하더라도 24시간 내에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신속 정확한 미세혈관 수술(microvascular surgery), 즉,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으며 개존율(patency rate)이 좋은 미세혈관 문합술(microvascular anastomosis)이 중요하며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빠르고 쉽고 정확하며 시간이 지나도 혈류가 잘 유지될 수 있는 미세혈관 문합법은 소동물에서의 장기 이식, 이종 이식과 같은 실험을 용이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짧은 시간 내에 쉽고 정확하게 혈관(미세혈관)을 봉합(문합)할 수 있는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격된 제1 혈관부와 제2 혈관부를 상호 봉합하기 위한 혈관 봉합 기구로서, 상기 제1 혈관부와 상기 제2 혈관부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마이크로 튜브; 상기 마이크로 튜브의 중앙부나 그 인접부에 구비된 것으로, 제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제1 고리부; 상기 마이크로 튜브의 상기 중앙부나 그 인접부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고리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제2 고리부; 상기 제1 고리부에 연결된 제1군의 봉합사 부재 및 상기 제1군의 봉합사 부재에 연결된 제1군의 바늘 부재; 및 상기 제2 고리부에 연결된 제2군의 봉합사 부재 및 상기 제2군의 봉합사 부재에 연결된 제2군의 바늘 부재;를 포함하는 혈관 봉합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제1군의 봉합사 부재는 제1 봉합사 및 제2 봉합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군의 바늘 부재는 상기 제1 봉합사에 연결된 제1 바늘 및 상기 제2 봉합사에 연결된 제2 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군의 봉합사 부재는 제3 봉합사 및 제4 봉합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군의 바늘 부재는 상기 제3 봉합사에 연결된 제3 바늘 및 상기 제4 봉합사에 연결된 제4 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리부와 상기 제2 고리부는 상기 마이크로 튜브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튜브는 상기 제1 혈관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혈관부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마이크로 튜브의 단부 측에서 중앙부 측으로 절곡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 각각의 외주면에 복수의 상기 돌기부가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튜브, 상기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2 고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빠르고 쉽게 미세혈관 문합의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수한 개존율을 확보할 수 있는 혈관 봉합 기구(예컨대, 미세혈관 문합 기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소동물에서의 장기 이식, 이종간 이식과 같은 실험이 상당히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혈관 봉합 기구를 이용해서 혈관을 봉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실험용 쥐의 대동맥(aorta)에 삽입한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및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내용을 보다 명료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폭 및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는 이격된 제1 혈관부(미도시)와 제2 혈관부(미도시)를 상호 봉합하기 위한 기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혈관 봉합 기구는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혈관부를 엔드-투-엔드(end-to-end) 방식으로 문합(anatromosis)하기 위한 '혈관 문합 기구'일 수 있다.
상기 혈관 봉합 기구는 봉합(문합)하고자 하는 상기 제1 혈관부(미도시)와 상기 제2 혈관부(미도시)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마이크로 튜브(microtube)(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라는 용어는 마이크로 튜브(10)가 반드시 마이크로 스케일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라기 보다는 마이크로 튜브(10)가 상당히 '미세'하다는 것으로, 넓게 이해될 수 있다. 마이크로 튜브(10)는 일종의 본체부라고 할 수 있다. 마이크로 튜브(10)는, 예컨대,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등으로 형성된 실리콘 튜브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성 물질은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로 튜브(10)는, 예를 들어, 대략 1mm 정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튜브(10)는 쥐나 햄스터와 같은 소형 실험동물의 미세혈관에 적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 튜브(10)의 직경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혈관 봉합 기구는 마이크로 튜브(10)의 중앙부나 그 인접부에 구비된 제1 고리부(21) 및 제2 고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리부(21)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리부(22)는 제1 고리부(21)와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리부(21)와 제2 고리부(22)는 마이크로 튜브(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고리부(21) 및 제2 고리부(22)는, 마이크로 튜브(10)와 유사하게,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혈관 봉합 기구는 제1 고리부(21)에 연결된 제1군의 봉합사 부재 및 상기 제1군의 봉합사 부재에 연결된 제1군의 바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관 봉합 기구는 제2 고리부(22)에 연결된 제2군의 봉합사 부재 및 상기 제2군의 봉합사 부재에 연결된 제2군의 바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제1군의 봉합사 부재는 제1 봉합사(31) 및 제2 봉합사(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군의 바늘 부재는 제1 봉합사(31)에 연결된 제1 바늘(41) 및 제2 봉합사(32)에 연결된 제2 바늘(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군의 봉합사 부재는 제3 봉합사(33) 및 제4 봉합사(3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군의 바늘 부재는 제3 봉합사(33)에 연결된 제3 바늘(43) 및 제4 봉합사(34)에 연결된 제4 바늘(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고리부(21 or 22)에 한 쌍의 봉합사(31/32 or 33/34)와 한 쌍의 바늘(41/42 or 43/44)을 구비시키면 혈관 봉합(문합)을 용이하게 수행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고리부(21 or 22) 하나에 연결된 봉합사의 개수와 바늘의 개수는 달라질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4 봉합사(31∼34)로는, 예컨대, 나일론 10-0 또는 11-0 규격의 실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봉합사를 본 실시예의 봉합사(31∼34)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의 구성에 돌기부(50)가 부가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는 마이크로 튜브(1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돌기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튜브(10)는 제1 혈관부(미도시)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0a) 및 제2 혈관부(미도시)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10b)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삽입부(10a) 및 제2 삽입부(10b) 각각의 외주면에 돌기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50)는 문합하려는 혈관이 마이크로 튜브(10)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잡아주는(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돌기부(50)는 마이크로 튜브(10)의 단부 측에서 중앙부 측으로 절곡하여(휘어져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혈관이 빠져나가는 것을 더 잘 방지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0a) 및 제2 삽입부(10b) 각각의 외주면에 복수의 상기 돌기부(50)가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도시된 돌기부(5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고 달라질 수 있다. 돌기부(50)의 구성 물질은, 마이크로 튜브(10)와 유사하게,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등일 수 있다.
도 1에서 제1 및 제2 고리부(21, 22)가 형성된 마이크로 튜브(10)와 도 2에서 고리부들(21, 22) 및 돌기부(50)가 형성된 마이크로 튜브(10)는 모두 3차원 프린팅(3D printing) 방법을 이용해서 미세한 크기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혈관 봉합 기구를 이용해서 혈관을 봉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이격된 제1 혈관부(71)와 제2 혈관부(72)를 상호 봉합(문합)하는데 있어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혈관 봉합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혈관 봉합 기구의 본체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튜브(10)의 제1 삽입부(10a)를 제1 혈관부(71) 내에 삽입할 수 있고, 제2 삽입부(10b)를 제2 혈관부(72) 내에 삽입할 수 있다. 혈관부(71, 72)의 내측면에 돌기부(50)가 흡사 갈고리 형태로 걸릴 수 있고, 혈관부(71, 72)는 마이크로 튜브(10)의 바깥쪽으로는 빠져나가기 어렵고 안쪽(중앙부)으로는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봉합사(31)에 연결된 제1 바늘(41)을 이용해서 제1 혈관부(71)의 도면상 상단부를 바느질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제2 봉합사(32)가 연결된 제2 바늘(42)을 이용해서 제2 혈관부(72)의 도면상 상단부를 바느질할 수 있다. 또한, 제3 봉합사(33)에 연결된 제3 바늘(43)을 이용해서 제1 혈관부(71)의 도면상 하단부를 바느질할 수 있고, 제4 봉합사(34)가 연결된 제4 바늘(44)을 이용해서 제2 혈관부(72)의 도면상 하단부를 바느질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1 봉합사(31)와 제2 봉합사(32)를 서로 당기듯이 잡아매어 묶어줄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제3 봉합사(33)와 제4 봉합사(34)를 서로 당기듯이 잡아매어 묶을 수 있다. 그 결과물이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혈관부(71)와 제2 혈관부(72)는 상호 접합하거나 거의 접합된 상태가 될 수 있고, 봉합사들(31∼34)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들을 바느질 위치를 조금씩 옮겨가면서 여러번 반복할 수도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봉합사(31)와 제3 봉합사(33)를 이용해서 제1 삽입부(10a) 둘레의 제1 혈관부(71)의 외주면을 1회 이상 감아서 매듭을 만들고, 제1 및 제3 바늘(41, 43)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 봉합사(32)와 제4 봉합사(34)를 이용해서 제2 삽입부(10b) 둘레의 제2 혈관부(72)의 외주면을 1회 이상 감아서 매듭을 만들고, 제2 및 제4 바늘(42, 44)은 제거할 수 있다. 두 개의 봉합사(31/33 or 32/34)가 짝을 이루어 감기는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튜브(10)의 중앙부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혈관부들(71, 72)을 감아서 매듭을 만들어 주면, 마이크로 튜브(10)에 혈관부들(71, 72)이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3c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도 3b의 단계에서 문합을 마무리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이용하면, 쉽고 빠르게 혈관(미세혈관)을 봉합(문합)할 수 있고, 혈관 봉합의 개존율을 확보하는 데도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기구를 일종의 키트(kit)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면 고가의 장비 없이도 소동물에서의 미세혈관 문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소동물에서의 장기 이식, 이종간 이식과 같은 실험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은 예시적인 것이고, 이 방법은 시술자의 의도나 혈관의 상태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혈관 봉합 기구의 마이크로 튜브(10)에 대해서 두 개의 고리부(21, 22)가 반대편에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고리부의 개수 및 형성 위치 등은 변형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3개 또는 4개 이상의 고리부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고리부에 하나 이상의 봉합사 및 하나 이상의 바늘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혈관 봉합 기구의 마이크로 튜브(10)에 대한 고리부들의 다양한 배치 형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편의상, 도 4에서는 봉합사 및 바늘 부재는 도시되지 않았고, 이는 도 5 및 도 6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튜브(10)에 대하여 양측(도면상 상하부)에 제1 고리부(21)와 제2 고리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형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튜브(10)에 대하여 사방에(도면상 상하좌우)에 제1 고리부(23), 제2 고리부(24), 제3 고리부(25) 및 제4 고리부(26)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튜브(10)에 대하여 세 방향으로 제1 고리부(27), 제2 고리부(28) 및 제3 고리부(29)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리부(27), 제2 고리부(28) 및 제3 고리부(29)는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고리부의 개수 및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고, 그 밖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실험용 쥐의 대동맥(aorta)에 삽입한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혈관 봉합 기구를 이용해서 실험용 쥐의 대동맥에 대한 미세혈관 문합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마이크로 튜브 21 : 제1 고리부
22 : 제2 고리부 31 : 제1 봉합사
32 : 제2 봉합사 33 : 제3 봉합사
34 : 제4 봉합사 41 : 제1 바늘
42 : 제2 바늘 43 : 제3 바늘
44 : 제4 바늘 50 : 돌기부
71 : 제1 혈관부 72 : 제2 혈관부

Claims (8)

  1. 이격된 제1 혈관부와 제2 혈관부를 상호 봉합하기 위한 혈관 봉합 기구로서,
    상기 제1 혈관부와 상기 제2 혈관부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마이크로 튜브;
    상기 마이크로 튜브의 중앙부나 그 인접부에 구비된 것으로, 제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제1 고리부;
    상기 마이크로 튜브의 상기 중앙부나 그 인접부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고리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제2 고리부;
    상기 제1 고리부에 연결된 제1군의 봉합사 부재 및 상기 제1군의 봉합사 부재에 연결된 제1군의 바늘 부재; 및
    상기 제2 고리부에 연결된 제2군의 봉합사 부재 및 상기 제2군의 봉합사 부재에 연결된 제2군의 바늘 부재;를 포함하는,
    혈관 봉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군의 봉합사 부재는 제1 봉합사 및 제2 봉합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군의 바늘 부재는 상기 제1 봉합사에 연결된 제1 바늘 및 상기 제2 봉합사에 연결된 제2 바늘을 포함하는 혈관 봉합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군의 봉합사 부재는 제3 봉합사 및 제4 봉합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군의 바늘 부재는 상기 제3 봉합사에 연결된 제3 바늘 및 상기 제4 봉합사에 연결된 제4 바늘을 포함하는 혈관 봉합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부와 상기 제2 고리부는 상기 마이크로 튜브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혈관 봉합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튜브는 상기 제1 혈관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혈관부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혈관 봉합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마이크로 튜브의 단부 측에서 중앙부 측으로 절곡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 혈관 봉합 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 각각의 외주면에 복수의 상기 돌기부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혈관 봉합 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튜브, 상기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2 고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혈관 봉합 기구.
KR1020190127073A 2019-10-14 2019-10-14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 KR102239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73A KR102239639B1 (ko) 2019-10-14 2019-10-14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73A KR102239639B1 (ko) 2019-10-14 2019-10-14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639B1 true KR102239639B1 (ko) 2021-04-13

Family

ID=7548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073A KR102239639B1 (ko) 2019-10-14 2019-10-14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6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947A (ko) * 1999-03-31 2000-10-25 신경민 인조혈관 삽입장치
KR20130141977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KR101618236B1 (ko) * 2014-10-24 2016-05-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혈관 봉합 보조 기구
WO2019097328A1 (en) * 2017-11-16 2019-05-23 Vicchio Mariano Vascular prosthesi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rterial disea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947A (ko) * 1999-03-31 2000-10-25 신경민 인조혈관 삽입장치
KR20130141977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생체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KR101618236B1 (ko) * 2014-10-24 2016-05-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혈관 봉합 보조 기구
WO2019097328A1 (en) * 2017-11-16 2019-05-23 Vicchio Mariano Vascular prosthesi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rterial disea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25204B2 (en) Visceral anchors for purse-string closure of perforations
EP3128927B1 (en) Surgical suturing device for a replacement anatomical structure
CN104487022B (zh) 具有锁定元件的减小外形的瓣膜
RU2559223C2 (ru) Шовная нить
JP4641790B2 (ja) 血管内切開部封止装置
US11369382B2 (en) Tissue compression assemblies with biodegradable interlinks
CN104619269A (zh) 磁性压缩吻合装置
GB2081099A (en) Instrument for placing purse-string sutures
EP2883506A1 (en) Knotless collapsible surgical sutures
US20180214150A1 (en) Magnetic tissue compression device with backup mechanical latch
US20210068839A1 (en) Implantable sphincter assistance device with tuned magnetic features
US20180214152A1 (en) Tissue compression device with features to contain needles and suture during packaging and placement in body
EP1083832B1 (en) Tissue connector apparatus
KR102239639B1 (ko) 혈관 봉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봉합 방법
WO2021161884A1 (ja) 血管吻合部の保護カバー
US20200188081A1 (en) Coupling assembly for implantable sphincter assistance device
Mullen et al. Gastrointestinal thickness, duration, and leak pressure of six intestinal anastomoses in dogs
CN116157077A (zh) 用于吻合被切割血管的设备
KR100848401B1 (ko)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 문합방법
JP2014515653A (ja) 解剖学的管を連結するための人工器官
EP4197455A1 (en) Plugging device
CN105530891A (zh) 包括双重缝合套的复合带瓣膜移植物
CA2346192C (en) Catheter button system and surgical method of anchoring catheter button
JP2019022740A (ja) 吻合補助具の本体部、および吻合補助具
US20230277361A1 (en) Organ protecting me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