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318A - 워트마닌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워트마닌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318A
KR20130140318A KR1020120063582A KR20120063582A KR20130140318A KR 20130140318 A KR20130140318 A KR 20130140318A KR 1020120063582 A KR1020120063582 A KR 1020120063582A KR 20120063582 A KR20120063582 A KR 20120063582A KR 20130140318 A KR20130140318 A KR 20130140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skin whitening
present
tyrosin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159B1 (ko
Inventor
김주원
조은경
이태룡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6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1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40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트마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워트마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따르면, 멜라닌 생성 감소,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성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 감소에 의하여 피부 미백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세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정성을 가지므로,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워트마닌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WORTMANNIN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워트마닌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워트마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멜라닌 생성 감소,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및 멜라닌생성 관련 단백질 발현 감소에 의한 피부 미백을 가능하게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로 이 멜라닌의 양과 분포에 의해 피부색이 결정된다. 멜라닌을 만드는 세포는 피부 표피 밑에 멜라닌 형성 세포(Melanocyte)라고 불리는 세포에서 만들어져서 피부의 신진대사로 각질 표면으로 이동하여 떨어져 나간다. 피부색에 관계없이 멜라닌 형성 세포의 수는 거의 동일하다. 단지 멜라닌이 생성되는 양과 종류, 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피부색이 차이가 나는 것이다.
피부에서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인체 효소에 의해 도파(DOPA)로 전환되고, 계속되는 일련의 산화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흑갈색의 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멜라닌 형성 과정은 산화과정이므로 산화를 촉진하는 물질인 인체 내 활성산소나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에 의해서 더욱 촉진된다. 따라서 항산화제(비타민A/E, 플라보노이드, 탄닌 등)는 직접적인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지는 못한다 하여도 과다한 생성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워트마닌은 PI3K-Akt pathway의 저해제(Inhibitor)로 작용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워트마닌의 피부 미백 효능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003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워트마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워트마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워트마닌은 0.001 내지 100μM의 농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감소에 의하여 피부를 미백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에 의하여 피부를 미백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형성-관련 단백질(melanogenesis-related protein)의 발현 감소에 의하여 피부를 미백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형성-관련 단백질은 MITF, 티로시나아제, TYRP1 및 D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트마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따르면, 멜라닌 생성 감소,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성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 감소에 의하여 피부 미백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세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정성을 가지므로,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멜라닌 생성량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멜라닌 생성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세포 모폴로지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멜라닌 생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멜라닌 생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워트마닌(Wortmann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워트마닌은 푸른 곰팡이균(Penicillium funiculosum)균의 대사물로서, PI3K 저해 활성을 지닌다. 고농도에서는 PI3K와 관련한 효소 mTOR, DNA-PK, MLCK, MAPK등의 활성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워트마닌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진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종래 워트마닌은 알레르기성 기도 질환 등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진바 있으나, 피부 관련 효과는 전혀 연구된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은 워트마닌이 피부 미백에 있어서 뛰어난 효능을 가짐을 확인하고, 이를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서 함유시켰다.
본 발명에서 워트마닌은 0.001 내지 100μM의 농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μM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μM일 수 있다. 워트마닌의 농도가 0.001μM 미만인 경우, 미백 효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100μM 초과인 경우 피부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워트마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감소에 의하여 피부를 미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후술할 실험예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 억제에 의하여 피부를 미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후술할 실험예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티로시나아제라는 인체 효소에 의해 피부에서 티로신(Tyrosine)이 도파(DOPA)로 전환되고, 일련의 산화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흑갈색의 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되므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이 감소하면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피부 미백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은 멜라닌 형성-관련 단백질(melanogenesis-related protein)의 발현 감소에 의하여 피부를 미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멜라닌 형성-관련 유전자의 발현 감소에 의한 것이다. 이를 후술할 실험예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멜라닌 형성-관련 단백질은 멜라닌 형성(melanogenesis)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MITF, 티로시나아제, TYRP1(Tyrosinase-related protein 1) 및 DCT(TRP2라고도 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이 상기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부작용 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형태로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미만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는 상기 조성물 1㎍/kg 내지 200mg/kg, 바람직하게는 50㎍/kg 내지 50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이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멜라닌 측정 실험
1-1. 멜라닌 생성이 과도한 MNT-1 세포(Human melanoma cell line, Lonza, SWISS)에 1 μM 워트마닌을 이틀간 처리한 후, 세포 용해질을 원심분리(eppendorf, centrifuge 5415R, Germany)하여 그 펠렛을 분리해 색깔을 관찰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 (con)을 함께 관찰하였다.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1μM 워트마닌이 멜라닌 생성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1-2. 수산화나트륨으로 상기 펠렛 속의 내용물을 용해시키고, 멜라닌 색소에 특이적인 OD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전체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였다.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1μM 워트마닌에서 멜라닌 양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실험예 2]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 시험
세포 용해물(Cell lysate)에 DOPA (dihydroxyphenylalanine)를 첨가하여 멜라닌 합성의 열쇠 효소(key enzyme)인 티로시나아제의 작용으로 생성된 또는 도파크롬(dopachrome) 생성량을 OD490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효소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 (con) 및 용매인 DMSO만을 처리한 군(mock)을 함께 관찰하였다.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1μM 워트마닌에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세포 모폴로지(Cell morphology) 관찰
1μM 워트마닌을 이틀간 처리한 MNT-1세포를 현미경(Olympus IX71, Japan)의 DP70 camera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control)을 함께 관찰하였다.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1μM 워트마닌은 멜라닌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세포의 모폴로지에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즉,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농도에서 워트마닌은 세포에 큰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유전자/단백질 발현(Gene/Protein expression)
4-1. 1μM 워트마닌을 이틀간 MNT-1 세포(Human melanoma cell line, Lonza, SWISS)에 처리하였다. 이로부터 분리한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였고, MITF, 티로시나아제, TYRP1, DCT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PCR (Applied biosystems, 7500 Fast)로 mRNA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con 및 mock을 함께 관찰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 (con) 및 용매인 DMSO만을 처리한 군(mock)을 함께 관찰하였다. 이를 도 5에 나타내었다.
4-2. 또한, 1μM 워트마닌을 이틀간 MNT-1 세포(Human melanoma cell line, Lonza, SWISS)에 처리하였다. 상기 세포의 용해물 20μg을 로딩하여 웨스턴블랏으로 MITF, 티로시나아제, TYRP1, DCT의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서 GAPdh를 이용하였다.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MITF, 티로시나아제, TYRP1, DCT의 발현 감소가 관찰되고, GAPdh는 발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바, 워트마닌에 의한 멜라닌형성-관련 단백질 발현(melanogenesis-related protein expression)에 관하여 워트마닌 처리에 의한 멜라닌 생성 감소는 MITF, 티로시나아제, TYRP1, DCT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Claims (8)

  1. 워트마닌(Wortmann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트마닌은 0.001 내지 100μM의 농도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감소에 의하여 피부를 미백시키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에 의하여 피부를 미백시키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형성-관련 단백질(melanogenesis-related protein)의 발현 감소에 의하여 피부를 미백시키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형성-관련 단백질은 MITF, 티로시나아제, TYRP1(Tyrosinase-related protein 1) 및 DC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20063582A 2012-06-14 2012-06-14 워트마닌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1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82A KR101914159B1 (ko) 2012-06-14 2012-06-14 워트마닌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82A KR101914159B1 (ko) 2012-06-14 2012-06-14 워트마닌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318A true KR20130140318A (ko) 2013-12-24
KR101914159B1 KR101914159B1 (ko) 2018-11-02

Family

ID=4998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582A KR101914159B1 (ko) 2012-06-14 2012-06-14 워트마닌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366A (ko) * 2018-08-07 2021-06-09 경상남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효소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2250A (ja) * 2005-05-23 2008-11-27 レキット ベンキサー (ユーケイ) リミテッド ワートマンニンを含む組成物及び人間の発毛の低減のためのその局所的使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2250A (ja) * 2005-05-23 2008-11-27 レキット ベンキサー (ユーケイ) リミテッド ワートマンニンを含む組成物及び人間の発毛の低減のためのその局所的使用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n Dermatol, Vol. 24, No. 2, pp. 151~157, 2012.05.31 *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Volume 115, Issue 4, Pages 699-703, 2000.10.31 *
신정민, 충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2.0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366A (ko) * 2018-08-07 2021-06-09 경상남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효소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159B1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16654B (zh) 鞣花酸治疗灰发症的应用
KR20230019487A (ko) 활성 혼합물
WO2009127058A1 (en)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492074B1 (ko) 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93209B1 (ko)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7148264A (zh) 拟微绿球藻提取物及其应用
CA2819796A1 (fr)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e gynandropsis gynandra ou cleome gynandra et compositions cosmetiques, dermatologiques ou pharmaceutiques le comprenant
KR10113157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6029070A (ja) 脱色素剤としてのδ−トコフェリル−炭水化物の使用
KR101914159B1 (ko) 워트마닌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122013A (ko) 말굽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3966B1 (ko) Ly294002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83247B1 (ko) Fty72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40122014A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1240B1 (ko)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0421A (ko) 트랜스 쿠미닉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US11564875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KR20160119548A (ko) 현삼 온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515951B1 (ko)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8715A (ko) 티로시나제 활성저해 및 멜라닌 생성저해용 조성물
KR101970504B1 (ko) 탈수소아비에틱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71869B1 (ko) 트랜스코뮤닉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41168B1 (ko) 해바라기 오일 비누화 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조성물
KR20230167280A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과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KR20140058052A (ko) 고미신 에이 및/또는 고미신 엔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