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172A -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입위 카테터 - Google Patents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입위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172A
KR20130138172A KR1020137001850A KR20137001850A KR20130138172A KR 20130138172 A KR20130138172 A KR 20130138172A KR 1020137001850 A KR1020137001850 A KR 1020137001850A KR 20137001850 A KR20137001850 A KR 20137001850A KR 20130138172 A KR20130138172 A KR 20130138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balloon
stomach
distal end
ab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6411B1 (ko
Inventor
다비드 노카
Original Assignee
메디컬 이노베이션 디벨롭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컬 이노베이션 디벨롭먼트 filed Critical 메디컬 이노베이션 디벨롭먼트
Publication of KR2013013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89Instruments for placement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1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 A61F5/0083Reducing the size of the stomach, e.g. gastr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3Means for fixing the tube inside the body, e.g. balloons, retaining means
    • A61J15/0046Expandable retainers inside body lumens of the enteral tract, e.g. fixing by radially contacting a lumen wall
    • A61J15/0049Inflatable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besit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입위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위 카테터가 오늘날 사용되는 잘 적합하지 않은 카테터에 대안으로 이점이 나타나고 외과 의사의 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신규 입위 카테터는 말단부가 유문동(pyloric antrum)(4) 안에 꽂힐 수 있는 방식으로 팽창된 상태에서 유문동(4)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는 벌룬(balloon)(25)을 지니며, 상기 팽창된 벌룬(25)의 단부가 바람직하게 유문(5)에 대하여 접하고(in abutment), 그것의 일부를 위한 상기 카테터의 몸체의 말단 단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유문동(4)에 대해 접할 수 있는 반면 상기 팽창된 벌룬(25) 상부에 배열된 상기 카테터(20)의 몸체(21)의 일부는 상기 위장(1)의 더 적은 곡률(6)의 벽에 대하여 끼워지며, 그러므로 상기 유문동(4)의 영역 안에 폐쇄 절제의 시작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폐쇄 절제 라인을 정의하고, 상기 유문동(4)과 보존될 위장 슬리브를 교정(calibrating)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입위 카테터{Orogastric catheter for longitudinal gastrectomy}
본 발명의 분야는 위장 수술 기법을 수행하는 외과 의사들에게 유용한 수술 도구이다. 더 구체적으로, 그 도구는 종방향의 위장 절제 또는 슬리브 위장 절제의 비만 수술 기법(bariatric surgical technique)에서 외과 의사를 돕기 위한 입위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입위 카테터들은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투명 플렉시블 튜브들의 형태이고, 근위(proximal) 및 말단(distal)인 양단에서 오픈된 형태이다. 이 카테터들의 말단부는 양 방향에서 액체 흐름과 가스 흐름의 경로를 가능하게 하도록 모든 일련의 측면 오리피스들(lateral orifices)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위장 카테터들은 체내에서 진행되는 위치의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도록 그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공되는 마크들을 가진다.
이러한 카테터들은 위장 내용물(공기, 분비물)을 흘러 나가게 하고, 환자를 먹이게 하고, 진단을 명확히 하고, 세척을 수행하고, 또는 종방향의 위장 절제를 가지는 비만 수술의 작업 동안 위 내용물을 흘러 나가게 하여 종방향의 위장 절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의사를 돕고자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수술 작업은 초기 포만감의 느낌을 주고 체중 감량 효과를 가지도록 위장의 용량을 줄이는(위의 약 2/3의 절제)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신 마취 하에 그리고 복부 내시경(coelioscopy)에 의한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수행되는 이 수술 동안, 하나 이상의 위장 카테터는 환자의 입을 통해 도입되고 식도를 통해 위장 공동(antrum)의 레벨까지 내려간다. 이러한 다양한 카테터를 사용하는 이점은 수술의 발생 순서에 있다.
1) 마취 중 삽관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팽만의 경우에서 위장의 강제 호흡.
2) 카테터의 환형 몸체의 수단에 의해 남은 위장 슬리브를 교정하는 것(calibrating).
3) 위장 튜브의 남은 부분의 협착증을 피하고 고품질의 절제를 수행하기 위한 해부학적 기준점들을 외과 의사에게 제공하는 것(외과 의사는 봉합(stapling)을 수행하기 위해 카테터의 몸체에 대해 의지함).
4) 봉합 후, 봉합 라인의 기밀성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위장 안에 액체(메틸렌 블루)를 주입하고 나서 빼내는 것(withdrawing).
소위 "슬리브 위장 절제" 수술을 수행하는 주요 두가지 방법이 있다는 것은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두가지 방법은 위장의 그림을 보여주는 첨부되는 도 1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첫번째 방법은 "위장 공동의 보호를 가지는 것" 이라 불리며 봉합에 의해 유문(pylorus)(5)으로부터 6~8cm의 거리(a1)에서 히스(His)(2)의 각도로부터 위장 공동 (4)의 포인트(3)까지 직선 라인의 봉합 라인(LA1)을 환자의 위장(1)에 수행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두번째 방법은 "위장 공동의 보호를 가지지 않는 것" 이라 불리며 히스(His)(2)의 각도로부터 위장(1)의 앵귤러스(angulus) 또는 작은 융기(tuberosity)(7)(도 1에서 카테터의 말단 단부 중 접합부의 포인트 참조)까지 유문(5)으로부터 2cm(a2) 떨어진 포인트(8)에 대해 기울어진 위장(1)의 더 적은 곡률(6)을 가지는 제 1 동심(concentric)에서 봉합 라인(LA2)을 만드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1에서 도트 라인에 의해 나타남).
환자의 위장 안에 존재하는 공기의 빼냄을 위한 "살렘 카테터(Salem catheter)" 타입의 위장 카테터(단계 1), 폐쇄 절제의 수술을 하기 전에 위장 슬리브를 교정하기 위한 "파우쳐 튜브(Faucher tube)" 타입의 카테터(stapling-suture)(단계 2 및 3), 및 절차의 마지막에 위장 유체의 주입 및 빼냄을 위한 "살렘 카테터(Salem catheter)" 타입의 사용이 알려져 있다. 마지막으로 언급된 카테터는 수술팀의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몇일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이 "파우쳐 튜브(Faucher tube)"는 도 2에 도시된다. 그것은 양 단이 오픈된 실리콘 튜브(114)로 구성되며, 벽은 그것의 말단부에 길쭉한 개구들(115)을 가진다. 이 카테터는 단계적 위치 마크들(10)과 함께 제공된다.
이 파우쳐 튜브는 그것의 말단 단부가 위장의 큰 곡률(7)에 대해 접할때까지 위장 안으로 도입된다. 파우쳐 튜브의 몸체는 위장의 더 적은 곡률(6)에 얹혀진다. 그러므로, 외과 의사는 이 파우쳐 튜브(114)에 의지함으로써 폐쇄 절제(스태플링)를 수행하기 위한, 해부학적 기준점들 및 가이드를 가진다(단계 2 및 3). 폐쇄 절제의 통합 수술은 절제하고 봉합에 의해 상처의 두 가장자리를 즉시 폐쇄하기 위해 설계된 수술 도구를 이용한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그것은 단지 외과 의사가 모든 절차의 단계에 적합한 단일의 카테터를 가져 사용하는데 좀 더 편리할 것이라고 말할 것도 없다. 더욱이 살렘 카테터들과 파우쳐 튜브들은 종방향의 입위관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지 않으므로 많은 단점을 가진다.
특히, 보통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이러한 도구들은 몸체 열 때문에 그들의 강성을 잃는다. 그러므로, 그들은 위장 안에서 그들의 위치를 유지하지 않고 그것은 봉합에 의해 폐쇄 절제의 수술을 수행하기 어렵게 만든다.
더욱이, 종방향의 입위관이 위장 공동의 보호 또는 보호 없이 수행하는지, 특히 보존될 위장의 부분 교정과 관련하여 살렘 카테터 또는 파우쳐 튜브들이 어떠한 특별한 도움을 제공하지 않으며, 이는 여전히 의사에게 어렵다.
통상의 카테터들에 대해 또다른 단점은 그들이 수술 중에 봉합될 위험이 있다. 사실상, 이러한 카테터들은 복강 내시경(coelioscopy)으로 위장을 관찰하는 외과 의사에게 어렵다. 그러므로, 절제-봉합 도구를 이용하여 위장의 절제(section)를 수행하기 전에 외과 의사가 카테터의 위치를 충분히 정확하게 찾아내지 못하고, 외과 의사가 때때로 카테터의 절제를 수행하는 것마저 위장 벽과 함께 이 카테터를 봉합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작은 사고와 같은 결과들은 실수로 봉합된 카테터의 제거 중 복막염과 연관된 위장 누수의 매우 큰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심각하다.
더욱이, 입위 카테터는 위장 밴드의 배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 3에 도시된 카테터는 양단이 오픈되고 단계적 위치 마크들(10)과 함께 제공되는 실리콘 튜브(13)를 포함하며, 그것의 벽은 그것의 말단부에서 길쭉한 개구들(115)을 가진다. 후단부(latter)는 또한 튜브(13)를 감싸는 벌룬(balloon)(11)을 갖춘다, 즉 상기 벌룬(11)은 튜브(13)에 의해 반대로 가로지르게 된다. 이 벌룬(11)은, 튜브(13)의 외측에 배열되고 벌룬(11)과 교정 카테터의 근위부 안에 배열된 팽창 수단(14)(공기의 주입을 허용하는 밸브에 의해 닫히는 블로워)을 연결하는 튜브(12)를 통해 팽창한다. 교정 카테터의 말단부가 위장 상부 식도에 바로 도입되면, 외과 의사는 벌룬(11)을 팽창시키고 그러므로 식도의 복부 파트와 위장 사이 접합 영역에서 위장 밴드를 놓기 위한 기준점로서 생성된 벌지(bulge)를 사용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방향의 위장 절제 절차 중 외과 의사를 돕는데 완전히 적합한 신규 입위(orogastric) 카테터에 대한 실질적인 필요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이 신규 카테터의 사양은 그것 자체에서 가능하게 한다:
1- 환자의 위장으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것;
2- 남아있는 위장의 정확한 부피를 알 수 있도록 위장 공동의 보호 또는 보호 없이 어떠한 방법으로든 남아있는 위장의 부분을 보정하는 것. 절단 타입의 선택은 수술중 외과 의사에 의해 정해짐;
3- 외과 의사에게 해부학적 기준점들을 가지게 하고, 카테터를 통해 절단하는 위험 없이 외과 의사가 선택한 기술에 따라 용이하게 위장 절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외과 의사를 가이드 하는 것;
4- 봉합의 기밀성을 확인하도록 액체의 주입 또는 빼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신규 입위 카테터의 또다른 사양은 환자의 몸체 온도를 고려하여 위장 안에서 올바른 안정적 위치에 적합한 형상과 강성의 환형 몸체(tubular body)를 가지는 것이며, 이는 카테터를 절제-봉합 수술에서 용이하게 하도록 더욱 유연하게 만든다.
이 신규 입위 카테터에 대한 외과 의사들의 또다른 요구는 절차 중에 그것이 봉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완벽하게 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아래에 나열된 적어도 하나의 목적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 종방향의 위장 절제 절차 중 외과 의사에게 제공되는 지원을 향상 가능하게 하는 신규 입위 카테터를 제공함;
- 상기 언급된 단계 1-4: 위장의 강제 호흡, 보존될 위장의 부분의 교정, 해부학적 기준점들의 안내 및 검출, 그리고 나서 특히 봉합 라인의 기밀성을 확인하기 위해 액체의 주입 및 빼냄을 수행하는 데 그것 자체로 가능하게 하는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신규 입위 카테터를 제공함;
- 외과 의사를 가이드 함으로써 봉합에 의해 폐쇄 절제의 수술을 용이하게 하도록 위장 안에서 완벽하게 끼워질 수 있는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신규 입위 카테터를 제공함;
- 카테터의 봉합과 같은 사고를 피하도록 외과 의사에 의해 완벽하게 식별 가능하고 보일 수 있는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신규 입위 카테터를 제공함;
- 위장 안에서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고, 이동 없이 비틀림 없이 옮김 없이 내구력으로 위치할 수 있고, 용이하게 빠질 수 있는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신규 입위 카테터를 제공함;
- 양질의 절제를 수행하기 위해 남아있는 위장의 잔여 부피를 아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신규 입위 카테터를 제공함;
- 소독될 수 있는 신규 다기능 입위 카테터를 제공함;
- 제조 및 사용하는데 경제적이고 간단한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신규 입위 카테터를 제공함.
이러한 목적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말단부가 특히 종방향의 위장 절제의 비만 수술 기법의 맥락에서 위장의 일부의 절제를 위해 외과 의사를 가이드 하고, 절제 후 폐쇄 라인(스태플링-봉합)을 정의하기 위해 있는 몸체를 구비하는 신규 입위 카테터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이 카테터는 이 말단부가 유문동(pyloric antrum)(4) 안에 꽂힐 수 있는 방식으로 팽창된 상태에서 유문동(4)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는 벌룬(balloon)을 지니며, 팽창된 벌룬의 단부가 바람직하게 유문(5)에 대하여 접하고(in abutment), 그것의 일부를 위한 카테터의 몸체의 말단 단부는 바람직하게 유문동(4)에 대해 접할 수 있는 반면 팽창된 벌룬 상부에 배열된 카테터의 몸체의 일부는 위장(1)의 더 적은 곡률(6)의 벽에 대하여 끼워지며, 그러므로
- 유문동(4)의 영역 안에 폐쇄 절제의 시작의 위치를 결정하고,
- 폐쇄 절제 라인을 정의하고, 및
- 유문동(4)과 보존될 위장 슬리브를 교정(calibrating)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신규 입위 카테터는 위장의 용량을 2/3 만큼 줄여 환자에게 초기 포만감의 느낌을 주어 체중을 감량시킴으로써 종방향의 위장 절제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신규 입위 카테터는 제거될 위장의 부분의 교정에 대한 이전 어려움들을 고친다. 이러한 어려움들은 충분하게 줄어든 위장 없이 후단부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종방향의 위장 절제의 효과가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 과체중일 환자의 문제가 바뀌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신규 입위 카테터는 위장 안으로 도입될 때 팽창된 벌룬에 의해 유문동(4)의 형상과 상정될 수 있는 말단부를 가진다.
팽창된 벌룬에 의해 형성되는 말단 부속물(appendage)은 유문동(4)에 의지하면서 유문(5)에 대해 접합되도록 의도된 것이고, 카테터의 말단부의 끼움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봉합에 의한 폐쇄 절제의 목적으로, 그것의 정확하고 안정한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 신규 다기능 입위 카테터는 특히 외과 의사에게 가치가 높은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비만 수술 기법을 향상시킨다. 절차는 의도한 결과와 관련하여 더욱 용이하고, 더욱 빠르고, 더욱 확실히,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횡단면(right cross-section)에서 카테터의 몸체의 크기들, 즉 몸체가 둥근 튜브일 때 외측 직경(De)이 절제 후 보존되는 위장(1)의 부피를 결정하고, 팽창된 크기들 또는 부피가 절제 후 보존되는 유문동(4)의 부피를 결정한다.
위장의 하부의 해부학적 구조에 가장 일치하는 것을 제공하기 위해, 팽창된 말단 벌룬은 바람직하게 개략적으로 (절단된) 원뿔형 형상, 바람직하게 Dt<Db≤Dm 이도록 단자 직경(Dt), 베이스에서 직경(Db) 및 중간 부분의 직경(Dm)을 가지며 비대칭이고 비틀린 절단된 형상을 가지며; 위장(1)의 각도 노치(angular notch)(9) 맞은 편에 배열되기 위한 팽창된 벌룬의 상면은 하면의 곡률보다 덜 현저한(less pronounced) 곡률을 가지는 방식으로 단부가 팽창된 벌룬 상부에 배열된 카테터의 몸체의 일부를 향해서 상방향으로 벌룬의 베이스의 축에 상대적으로 오프셋(offset)된다.
또한, 유문동(4)의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는 형상의 일치를 완벽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위장(1)의 각도 노치(9) 맞은 편에 배열되기 위한 면인 팽창된 말단 벌룬의 상면은 카테터(바람직하게 원형 단면의 튜브 모양)의 몸체와 70 및 110°사이, 바람직하게 80 및 100°사이, 더 바람직하게 대략 90°의 각도(α)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장(1) 안에 카테터의 말단부의 끼워짐을 최적화하기 위해, 그것은 카테터의 몸체의 말단 단부와, 상기 말단 단부에 가장 가까운 팽창된 벌룬의 베이스의 포인트 사이의 거리(d)가 30mm보다 작거나 같으며, 바람직하게 20mm보다 작거나 같으며, 더 바람직하게 1 및 15mm 사이인 방식으로 카테터 몸체(바람직하게 직원 단면의 튜브 모양)의 벽의 외측면에 실장될 말단 벌룬에 대한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유리하다.
카테터의 시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것은 본 발명에 따라 카테터 몸체, 바람직하게 직원 단면의 튜브 모양은 외과 의사가 벌룬을 환자의 위장(1) 안에 정확하게 위치 가능하게 하는 기준 마크를 제공하여 팽창된 이 벌룬이 유문동(4) 안에 접하여 꽂히게 하며, 상기 기준 마크는 몸체에 대해 동축이며 벌룬과 동일한 측부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21)의 벽의 일부 또는 전체 길이 유리하게는 전체 길이에 배열되는 마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유리하게도, 카테터의 몸체는 튜브 모양이고 근위 및 말단인 양 단에서 오픈되며, 후단부는 바람직하게 환자의 입과 식도 안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둥근 형상의 팁을 갖춘다.
위의 내부와 외부 사이 액체 또는 가스 유체의 이동(절차의 단계 1 및 4)에 대한 그것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카테터의 바람직한 환형 몸체는 근위 개구(opening)와 말단 개구(opeining) 사이에 유체의 순환을 위한 채널을 정의하고, 후단부는 바람직하게 복수의 측면 및/또는 단자 홀들에 의해 형성된다.
팽창 및 수축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카테터와 제공되는 말단 벌룬은 벌룬과 몸체의 근위 단부를 연결하고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벌룬의 팽창/수축을 가능하게 하는 튜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ㆍ600 및 1200mm 사이, 바람직하게 700 및 1100mm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 850 및 950mm 사이의 길이와, 24Fr 및 75F(즉, 8mm 및 25mm) 사이, 바람직하게 30Fr 및40Fr(즉, 10mm 및 13.33mm) 사이의 외측 직경(De)을 가지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말단부에 둥근 말단 팁과 루멘(lumen)을 통해 상기 위의 내부와 소화관의 외부 사이의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홀을 제공하는 환형 몸체;
ㆍ35 내지 60mm 사이의 베이스(Db)에서 직경과, 50±10mm, 바람직하게 50±5mm, 더욱 바람직하게 50±3mm의 높이(H)를 가지는 팽창된 벌룬(25);
ㆍ상기 몸체와 상기 벌룬(25)에 공통된 직경 평면(diametrical plane) 안에 벌룬(25)과 동일한 측부에 몸체의 벽의 전체 길이 위의 대조 마크에 의해 형성되는 위치 기준 마크; 및
ㆍ상기 카테터(20)의 말단부를 선택적으로 수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상적으로, 카테터는 H+De= 50 내지 100mm, 더욱더 60 내지 8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테터의 말단부를 수축하기 위한 선택적 수단이 제공될 수 있어 그것은 말단부가 후단부 안에 도입될 때 위장(1)의 해부학적 구조를 따르게 하도록 카테터의 말단부에 팔꿈치(elbow)를 형성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수축 수단은 예를 들어 카테터의 환형 몸체를 따라 배열된 하나 이상의 케이블 또는 풀링(pulling)하여 동작될 수 있는 코드(cord(s))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i. 그것의 말단 단부가 상기 환자의 위장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자의 입 안에 도입되고;
ii. 위장 유체, 특히 가스, 예를 들어 마취 중 삽입 동작에 의해 유도된 에어 팽창의 경우에서 에어를 추출하고;
iii. 벌룬을 팽창시키고, 팽창된 벌룬의 단부가 유문에 대해 접하고 카테터의 몸체의 말단 단부가 바람직하게 유문으로부터 5 내지 10cm, 더욱더 6 내지 8cm의 거리에서 유문동(4)에 대해 접하고 팽창된 벌룬 상부에 배열된 카테터의 몸체의 일부가 위장(1)의 더 적은 곡률(6)의 벽에 대해 끼워지는 방식으로 유문동(4) 안에 그것을 끼워넣고;
iv. 한편으로 유문동(4)의 영역 안에 절제 및 폐쇄(스태플링-봉합)를 위한 라인의 시작의 위치를 결정함에 따라 위장(1)의 일부의 절제에 대해 외과 의사를 가이드하고, 또다른 한편으로 외과 의사에게 해부학적 기준점들과 폐쇄 절제 단계 중 외과 의사의 도구를 위한 서포트를 제공함으로써 폐쇄 절제 라인을 정의하고;
v. 보존될 위장 슬리브와 유문동(4)을 교정하고;
vi. 폐쇄 후, 폐쇄 라인(봉합)의 기밀성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위장(1) 안에 컬러 액체를 주입하고 나서 빼고; 및
vii. 위장(1) 내부에 시각화하기 위한 수단(광원)을 선택적으로 도입시키는 것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설명된 단계들(i) 내지 (vii)를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된 종방향의 위장 절제(또는 "슬리브 위장 절제")의 수술 기법에 관한 것이다.
광 섬유와 같은 시각화를 위한 수단은 상기 절차의 임의의 시점에 도입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카테터의 환형 몸체의 벽 또는 루멘에 제공되는 동축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후단부가 시작된 이후 도입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입위 카테터의 구현의 예시이다.
-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종래의 위장의 공동 및 두 구성들을 도시한다.
- 도 4는 실리콘 안에 원형 단면의 환형 몸체에 의해 형성되고, 그것의 말단 단부가 유문동에 끼워지기 위한 팽창된 벌룬을 갖는 신규 입위 카테터의 전체도이다.
- 도 5는 팽창된 벌룬이 실장되는 카테터 중 말단부의 상세한 측면도이다.
-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 도 7은 수축된 상태에서 벌룬을 가지는 카테터의 말단부의 측면도이다.
- 도 8은 3/4 정면의 사시도에 따른 도 7의 확대도이다.
- 도 9는 위장 안에서 카테터의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에 전체적으로 도시되고 전체 참조 부호(20)에 의해 표시된 입위 카테터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직원 단면(right circular cross-section)의 환형 몸체(21)를 포함한다. 이 환형 몸체(21)는 개방성 근의 단부(22)와, 말단 팁(24)이 구비된 말단 단부(23)를 가진다. 이 환형 몸체(21) 중 도 5 내지 8에 도시된 외측 직경(De)은 예를 들어 12.5mm, 또는 37.5Fr(French bougies)이다. 이 외측 직경(De)은 보존될 위장(1)의 부피를 교정한다. 그러므로, 이 환형 몸체(21)의 다양한 직경들 그리고 이 때문에 다양한 직경들이 외과 의사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근위 단부(22)로부터 말단 단부(23)로 환형 몸체(21)의 총 길이는 예를 들어 900mm이다.
환형 몸체(21)는 그것의 말단부 특히 팽창된 벌룬(balloon)(25)이 위장(1)의 유문동(pyloric antrum)(4)에 놓일 수 있도록 유리하게 충분한 총 길이를 가진다(도 1 및 도 9 참조). 환형 몸체(21)는 바람직하게 투명한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그것의 구조 및 특히 그것의 탄성을 포함하는 그것의 기계적 성질은 카테터의 강성이 충분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선택되어, 그것은 환자의 위장(1)의 해부학적 형태와 일치하도록 특히 환형 몸체(21)의 경우에서 위장(1)의 더 적은 곡률(lesser curvature)(6)과 팽창된 벌룬(25)의 경우에서 유문동(4)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선형상을 유지하면서 환자의 입을 통해 위장까지 도입될 수 있고, 소화관의 벽을 손상시킴 없이 식도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카테터의 몸체를 형성하는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튜브인, 후단부는 유리하게 65±10의 쇼어 경도(SHORE)를 가진다.
유리하게, 카테터(20)의 환형 몸체(21)는 말단 단부(23)로부터 시작하여 5cm부터 5cm 단계(10 눈금)로 증가된다.
더욱이, 카테터(20) 중 튜브(21)의 말단부는 팽창된 상태에서 유문동(4)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벌룬(25)을 구비한다. 이 벌룬(25)은 팽창된 벌룬(20)의 중간 종방향 평면이 환형 몸체(21)의 중간 종방향 평면과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환형 몸체(21)의 벽 중 외측면(도 9의 오른쪽 해부학 면(right anatomical face))에 실장된다. 팽창된 벌룬(25)과 튜브(21)의 중간 종방향 평면들은 해부학 단면의 정면 평면과 거의 같다.
이 팽창된 벌룬(25)은 한편으로 Dt< Db≤Dm 를 만족하는 단말 직경(Dt), 베이스에서 직경(Db) 및 중간 부분의 직경(Dm)을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 위장(1)의 각도 노치(angular notch)(9) 맞은편에 배치하도록 의도된 상기 팽창된 벌룬(25)의 상면이, 하면의 하부 곡률(30){도 5에서 포인트 Cit와 Cib 사이}보다 덜 현저한 상면(28)의 상부 곡률(29){도 5에서 포인트 Cst 와 Csb 사이}을 가지는 방식으로, 팽창된 벌룬(25) 상부에 배열되는 카테터(20)의 환형 몸체(21)의 일부를 향해서 상방향으로, 팽창된 벌룬(25)의 베이스의 축에 대해 오프셋된(offset) 말단(26)을 가지는, 일반적으로 비대칭이고 비틀린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상부 곡률(29)(Cst-Csb) 중 곡률의 반경은 하부 곡률(30)(Cit-Cib) 중 곡률의 반경보다 더 크다.
팽창된 벌룬(25)의 높이(H)는 말단 팁(24)의 상류(upstream) 및 벌룬(25)의 하류(downstream)에 위치된 환형 몸체(21)의 가장 자리(위의 우측)로부터 팽창된 벌룬(25)의 상부까지 환형 몸체(21)와 팽창된 벌룬(25)의 중간 종방향의 평면에서 측정된다(도 5에 도시됨).
예를 들어, Db=40mm; H=50mm; Dm=50mm 및 Dt=10mm.
즉, 벌룬(25)의 크기 및 탄성은 팽창된 벌룬의 부피가 예를 들어 75cm3±25cm3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 위장(1)의 각도 노치(angular notch)(9) 맞은편에 배열된 팽창된 벌룬(25)의 상면(28)은 카테터(20)의 환형 몸체(21)와 이 예시에서 약 90°와 동일한 각도(α)를 형성한다(도 5 참조).
도 5로부터 분명해진 바와 같이, 각도(α)는 팽창된 벌룬(25)의 두 포인트 Csb와 Cst를 지나는 직선과, 환형 몸체(21)의 제너레이터(G)에 의해 정의된다.
이 벌룬(25)은 막(membrane),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서로 일체로 되고 팽창된 벌룬(25)을 제공하도록 선택된 크기와 도 4, 도 5, 도 6 및 도 9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형상을 가지는 여러 중첩 환상 세그먼트들(several superposed annular segments)(31)로 형성된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구성된다.
벌룬(25)의 베이스는 카테터(20)의 튜브(21)에 용접 및/또는 접착되는 립(lip)(32)을 가진다.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벌룬(25)의 베이스(32)는 그것의 둘레의 큰 부분에 튜브(21)를 감싼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으로 팁(24)의 말단 단부(23)에 대응하는 튜브(21)의 말단 단부와 또다른 한편으로 말단 단부(23)와 가장 가까운 팽창된 벌룬(25)의 베이스의 포인트 사이의 거리(d)는 예를 들어 본 경우에서 10mm이다. d는 유문동(4)의 해부학적 모양에 가장 적합하도록 가능한 한 작게 됨이 유리하다.
이 둥근 말단 팁(24)은 홀(33)을 가지고 그것의 중앙에 뚫려, 벌룬(25)의 상류인 튜브(21)의 말단부에 있는 타원 측면 홀들(34)과 같은 방식으로 튜브(21)의 루멘(lument)이 외부와 통신한다. 이 오리피스들(33, 34)은 위장의 가스 또는 액체 유체의 빼기 및 주입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보존될 위장의 부분의 교정은 환형 몸체(21)의 외측 직경(De)에 의해 제공될 뿐만 아니라 팽창된 벌룬(25)의 부피에 의해 제공된다. 벌룬(25)의 팽창의 여러 공간들은 외과 의사에게 그만큼의 여력을 제공한다.
카테터(20)는 또한 위치 기준 마크(36)를 제공한다. 이 기준 마크(36)는 근위 단부(22)로부터 말단 단부(23)까지 튜브(21)의 벽의 전체 길이 위의 대조 마크(contrasting mark)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팽창된 벌룬(25)과 튜브(21)에 공통적인 중간 종방향 평면에서 그것은 팽창된 벌룬(25)의 축(27)에 수직적이다. 그것은 위장의 우측, 즉 벌룬(25)이 유문동(4) 안에 팽창될 수 있는 측부에 놓인다. 특히, 그것은 벌룬(25)이 실장되는 튜브(21)의 벽의 외측면(도 9에서 해부학적 오른쪽 측부)을 의사에게 나타낸다. 그럼 이 면은 더 적은 곡률에 대하여 접한다. 그러므로, 유문동(4)에서 팽창된 벌룬(25)의 배치는 이 대조 기준 마크(36)에 의해 크게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20)는 또한 벌룬(25)과 환형 몸체(21)의 근위 단부(22)를 연결하는 튜브(37)를 갖추며, 예를 들어 밸브(39)를 통해 외부에 연결된 근위 단부(37)에 제공된 벌브(bulb)(38) 및/또는 밸브(39)의 상류로 튜브(37)의 팁 안으로 도입될 수 있는 주사기와 같은 유체(예를 들어, 에어) 주입기일 수 있는 팽창 부재를 이용하여 이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벌룬(25)의 팽창/수축을 가능하게 한다. 벌룬(25)의 팽창된 튜브(37)는 위치 기준 마크(36)와 동일한 측부 또는 다른 측부 상에 환형 몸체(21)의 벽의 두께 안을 따라 나아간다. 팽창된 튜브(37)의 말단 단부는 말단 벌룬(25) 내부를 오픈한다.
도 9는 더 적은 곡률(6)에 대하여 환형 몸체(21)의 말단부의 안정된 위치와, 유문동(4) 안에 팽창된 벌브(bulb)(25)의 쐐기(wedging)를 보여준다.
또한 더 적은 곡률(6)에 대하여 접하는 튜브(21)의 말단부에 의해 정의되는 교정을 따라, 도 9에 도시된 팽창된 벌룬(25)과 환형 몸체(21)의 말단부의 위치는 외과 의사에게 해부학적 기준점들과 제거될 위장(1)의 왼쪽 부분(도 9에 도트 및 대쉬 라인)의 절제-봉합을 수행하는 가이드를 제공한다.
선택적 수축 수단은 카테터의 말단부의 접힘, 예를 들어 말단 단부로부터 88mm을 예를 들어 90°의 각도로 접힘 가능하게 하고, 벌룬(25)이 위치하는 위장의 우측 상에 튜브(21)를 가지는 채널 동축 안에 삽입되는 케이블 또는 풀코드(pull-cord) 시스템을 포함한다. 케이블은 이 채널을 통해 아래로 지나가고 카테터의 말단부 안에 고정된다. 케이블과 카테터의 말단 팁(24)의 고정 포인트 상부에, 약 45°의 각도를 가지는 노치는 접힘 라인을 생성하도록 카테터(20)의 몸체(21) 안에 생성된다. 막은 노치상에 접착되어 카테터의 몸체의 기밀성을 보장한다. 카테터가 환자의 위장(1) 안에 놓이면, 케이블은 카테터의 근위에서 외과 의사의 손의 동작에 의해 묶여질 수 있고, 이 동작은 상기 환형 몸체(21)의 상부 부분과 각도, 예를 들어 90°를 형성하는 환형 몸체(21)의 단자 말단부의 접힘 또는 수축을 초래한다.
환형 몸체(21)의 루멘은 광원, 예를 들어 플렉시블 광학 섬유와 같은 시각 수단의 도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것은 마찰의 계수를 줄여 환자의 소화관의 내부 조직에 대하여 카테터(20)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환형 몸체(21)와 벌룬(25)의 외측면의 표면 처리가 고려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입위 카테터(20)는 종방향의 위장 절제 이전에 그것의 말단 단부(23)가 위장(1)에 도달할 때까지 환자의 입 안에 도입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종방향의 위장 절제의 순서는 마취시 삽관 동작에 의해 유도된 에어 팽창의 경우 위장의 강제 호흡, 벌룬(25)을 팽창하는 것, 유문동(4) 안에 그것을 꽂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 팽창된 벌룬(25)의 말단(26)이 예를 들어 유문(5)에 대하여 접하여(도 9에 도트 라인에 의해 도시됨), 환형 몸체(21)의 말단 단부(23)는 예를 들어 유문동(4)에 대하여 유문(5)으로부터 예를 들어 약 5 내지 10cm로 접한다,
- 그리고 팽창된 벌룬(25) 상부에 배열된 카테터(20)의 환형 몸체(21)의 일부가 위장의 더 적은 곡률(6)의 벽에 대하여 끼워진다.
그 후, 외과 의사는 팽창된 벌룬(25)과 튜브(21)의 말단부에 의해 가이드된 위장의 왼쪽 부분의 절제-봉합에 적합한 도구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21)의 말단부는, 해부학적 기준점들에 더하여, 폐쇄 절제 기구를 위한 서포트(support)를 공급하면서, 폐쇄 절제 라인의 시작과 폐쇄 절제 라인 자체를 스스로 나타낸다. 팽창된 벌룬(25)과 튜브(21)의 말단부는 또한 위장 슬리브와 보존될 유문동(4)을 교정한다.
왼쪽 부분의 절제 및 봉합 후에, 그것은 폐쇄 라인의 기밀성을 확인하기 위한 환자의 위장(1) 안에 컬러 액체를 주입 가능하다.
위장의 내부를 시각화하는 것을 위한 광원은 절차 중 언제든 환형 몸체(21) 안에 도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외과 의사는 환자를 위한 완벽한 안전에서 고품질 종방향의 위장 절제를 빠르게 수행 가능하게 하는 다기능 입위 카테터를 제공한다.

Claims (10)

  1. 말단부가 특히 종방향의 위장 절제의 비만 수술 기법의 맥락에서 상기 위장의 일부의 절제를 위해 외과 의사를 가이드 하고, 절제 후 폐쇄 라인을 정의하기 위해 있는 몸체(21)를 구비하는 입위 카테터(20)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는 그것이 유문동(pyloric antrum)(4) 안에 꽂힐 수 있는 방식으로 팽창된 상태에서 유문동(4)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는 벌룬(balloon)(25)을 지니며, 상기 팽창된 벌룬(25)의 단부가 바람직하게 유문(5)에 대하여 접하고(in abutment), 그것의 일부를 위한 상기 카테터의 몸체의 말단 단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유문동(4)에 대해 접할 수 있는 반면 상기 팽창된 벌룬(25) 상부에 배열된 상기 카테터(20)의 몸체(21)의 일부는 상기 위장(1)의 더 적은 곡률(6)의 벽에 대하여 끼워지며, 그러므로
    - 상기 유문동(4)의 영역 안에 폐쇄 절제의 시작의 위치를 결정하고,
    - 상기 폐쇄 절제 라인을 정의하고, 및
    - 상기 유문동(4)과 보존될 위장 슬리브를 교정(calibrating)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위 카테터(20).
  2. 청구항 1에 있어서,
    횡단면(right cross-section)에서 상기 팽창된 벌룬(25)의 크기들은 절제 후 보존된 상기 유문동(4)의 부피를 결정하고, 횡단면에서 상기 몸체(21)의 크기들이 절제 후 보존된 위장(1)의 부피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20).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팽창된 벌룬(25)은 개략적으로 (절단된) 원뿔형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 절단된 원뿔형 형상은 Dt<Db≤Dm 이도록 단자 직경(Dt), 베이스에서 직경(Db) 및 중간 부분의 직경(Dm)을 가지며 비대칭이고 비틀리고; 단부가 상기 팽창된 벌룬(25) 상부에 배열된 상기 카터터(20)의 몸체의 일부를 향해서 상방향으로 상기 벌룬(25)의 베이스의 축에 상대적으로 오프셋(offset)되어, 상기 위장의 각도 노치(angular notch) 맞은 편에 배열되기 위한 상기 팽창된 벌룬(25)의 상면은 하면의 곡률보다 덜 현저한(less pronounced)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20).
  4. 전술한 청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위장(1)의 상기 각도 노치(9) 맞은 편에 배열되기 위한 상기 팽창된 벌룬(25)의 상면은 상기 카테터(20)의 몸체(21)와 70 및 110°사이, 바람직하게 80 및 100°사이, 더 바람직하게 대략 90°의 각도(α)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20).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벌룬(25)은 상기 카테터(20)의 몸체(21)의 말단 단부(23)와, 상기 말단 단부(23)에 가장 가까운 상기 팽창된 벌룬(25)의 베이스의 포인트 사이의 거리(d)가 30mm보다 작거나 같으며, 바람직하게 20mm보다 작거나 같으며, 더 바람직하게 1 및 15mm 사이인 방식으로 상기 카테터 몸체(20)의 벽의 외측면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20).
  6. 전술한 청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몸체(21)는 상기 외과 의사가 상기 벌룬(25)을 상기 환자의 위장 안에 정확하게 위치 가능하게 하는 기준 마크(36)를 제공하여 팽창된 상기 벌룬(25)이 상기 유문동(4) 안에 접하여 꽂히게 하며, 상기 기준 마크(36)는 상기 몸체에 대해 동축이며 상기 벌룬(25)과 동일한 측부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21)의 벽의 일부 또는 전체 길이 유리하게는 전체 길이에 배열되는 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20).
  7. 전술한 청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그것은 상기 벌룬(25)과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벌룬(25)의 팽창/수축을 가능하게 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20).
  8. 전술한 청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그것은
    ㆍ600 및 1200mm 사이, 바람직하게 700 및 1100mm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 850 및 950mm 사이의 길이와, 24Fr 및 75F(즉, 8mm 및 25mm) 사이, 바람직하게 30Fr 및40Fr(즉, 10mm 및 13.33mm) 사이의 외측 직경(De)을 가지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말단부에 둥근 말단 팁과 루멘을 통해 상기 위장의 내부와 소화관의 외부 사이의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홀을 제공하는 환형 몸체;
    ㆍ35 내지 60mm 사이의 베이스(Db)에서 직경과, 50±10mm, 바람직하게 50±5mm, 더욱 바람직하게 50±3mm의 높이(H)를 가지는 팽창된 벌룬(25);
    ㆍ상기 몸체와 상기 벌룬(25)에 공통된 직경 평면(diametrical plane) 안에 상기 벌룬(25)과 동일한 측부에 상기 몸체의 벽의 전체 길이 위의 대조 마크에 의해 형성되는 위치 기준 마크; 및
    ㆍ상기 카테터(20)의 말단부를 선택적으로 수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20).
  9. 청구항 8에 있어서,
    H+De= 50 내지 100mm, 더욱더 60 내지 8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0. 전술한 청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그것은
    i. 그것의 말단 단부가 상기 환자의 위장(1)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자의 입 안에 도입되고;
    ii. 상기 위장(1)으로부터 유체를 추출하고;
    iii. 상기 벌룬(25)을 팽창시키고, 상기 팽창된 벌룬(25)의 단부가 상기 유문에 대해 접하고 상기 카테터의 몸체의 말단 단부가 바람직하게 상기 유문으로부터 5 내지 10cm, 더욱더 6 내지 8cm의 거리에서 상기 유문동(4)에 대해 접하고 상기 팽창된 벌룬(25) 상부에 배열된 상기 카테터(20)의 몸체의 일부가 상기 위장의 더 적은 곡률의 벽에 대해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유문동(4) 안에 그것을 끼워넣고;
    iv. 한편으로 상기 유문동(4)의 영역 안에 절제 및 폐쇄(스태플링-봉합)를 위한 라인의 시작의 위치를 결정함에 따라 상기 위장의 일부의 절제에 대해 외과 의사를 가이드하고, 또다른 한편으로 외과 의사에게 해부학적 기준점들과 폐쇄 절제 단계 중 외과 의사의 도구를 위한 서포트를 제공함으로써 폐쇄 절제 라인을 정의하고;
    v. 보존될 상기 위장 슬리브와 상기 유문동을 교정하고;
    vi. 폐쇄 후, 상기 폐쇄 라인의 기밀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환자의 위장 안에 컬러 액체를 주입하고 나서 빼고; 및
    vii. 상기 위장 내부에 시각화하기 위한 수단(광원)을 선택적으로 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20).

KR1020137001850A 2010-06-23 2011-06-22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입위 카테터 KR101906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54996A FR2961703B1 (fr) 2010-06-23 2010-06-23 Sonde orogastrique de gastrectomie longitudinale
FR1054996 2010-06-23
PCT/EP2011/060428 WO2011161148A1 (fr) 2010-06-23 2011-06-22 Sonde orogastrique de gastrectomie longitudina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172A true KR20130138172A (ko) 2013-12-18
KR101906411B1 KR101906411B1 (ko) 2018-10-10

Family

ID=4347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850A KR101906411B1 (ko) 2010-06-23 2011-06-22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입위 카테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10898361B2 (ko)
EP (1) EP2585006B1 (ko)
JP (1) JP5855096B2 (ko)
KR (1) KR101906411B1 (ko)
AU (1) AU2011269023B2 (ko)
BR (1) BR112012033006B1 (ko)
CA (1) CA2803871C (ko)
CL (1) CL2012003660A1 (ko)
CO (1) CO6680606A2 (ko)
ES (1) ES2554676T3 (ko)
FR (1) FR2961703B1 (ko)
IL (1) IL223772A (ko)
MX (1) MX339905B (ko)
RU (1) RU2571324C2 (ko)
SG (1) SG186813A1 (ko)
WO (1) WO20111611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069A1 (ko) * 2020-12-03 2022-06-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입 및 위치조절이 가능한 위장관수술용 발광형 튜브
KR20220094268A (ko) * 2020-12-28 2022-07-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위소매 절제술 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7698A1 (en) * 2012-10-04 2014-04-17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Gastric traction device and method
US9603735B2 (en) 2012-10-19 2017-03-28 Covidien Lp Devices and methods facilitating sleeve gastrectomy procedures
US9808368B2 (en) * 2012-11-29 2017-11-07 Boehringer Laboratories, Inc. Methods for performing bariatric surgery using gastric sizing systems and instruments
US10646625B2 (en) 2012-11-29 2020-05-12 Boehringer Laboratories, Inc. Gastric sizing systems including instruments for use in bariatric surgery
WO2014150185A1 (en) * 2013-03-15 2014-09-25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Gastric plication guide
US9623213B2 (en) * 2013-03-15 2017-04-18 Acclarent, Inc. Uncinate process support for ethmoid infundibulum illumination
US10159425B2 (en) * 2013-11-08 2018-12-25 Covidien Lp Devices and methods facilitating sleeve gastrectomy and other procedures
US9801748B2 (en) * 2013-11-08 2017-10-31 Covidien Lp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leeve gastrectomy procedures
US9655758B2 (en) * 2013-11-11 2017-05-23 Covidien Lp Devices and methods facilitating sleeve gastrectomy procedures
US9918863B2 (en) * 2013-11-13 2018-03-20 Covidien Lp Steerable gastric calibration tube
US10278707B2 (en) 2013-12-17 2019-05-07 Standard Bariatrics, Inc. Resection line guide for a medical procedure and method of using same
US9775735B2 (en) * 2014-01-31 2017-10-03 Covidien Lp Gastric calibration tube
EP3125796B1 (en) 2014-03-29 2024-03-06 Standard Bariatrics Inc. Surgical stapling devices
CA2944383C (en) 2014-03-29 2019-09-17 Standard Bariatrics, Inc. End effectors, surgical stapl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9414947B2 (en) * 2014-05-13 2016-08-16 Covidien Lp Gastric tubes having tethered plugs and methods of use
US10182933B2 (en) * 2014-05-13 2019-01-22 Covidien Lp Illuminated gastric tubes and methods of use
US9629741B2 (en) 2014-07-18 2017-04-25 Covidien Lp Gastric tubes and methods of use
US10470911B2 (en) * 2014-09-05 2019-11-12 Standard Bariatrics, Inc. Sleeve gastrectomy calibration tube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039662B2 (en) 2015-04-22 2018-08-07 Covidien Lp Reinforcement scaffolds for maintaining a reduced size of a stomach and methods of use
US11006957B1 (en) 2015-05-15 2021-05-18 Arnold Leiboff Method for maintaining suction in body cavities
US10285837B1 (en) * 2015-09-16 2019-05-14 Standard Bariatr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volume of potential sleeve in a sleeve gastrectomy
US10952726B2 (en) 2015-12-10 2021-03-23 Covidien Lp Handheld electromechanical surgical instruments
WO2019036490A1 (en) 2017-08-14 2019-02-21 Standard Bariatrics, Inc. END EFFECTORS, SURGICAL STAPL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8310595A (zh) * 2018-03-20 2018-07-24 江阴市人民医院 一种胃部esd手术辅助管及其使用方法
US11457930B2 (en) * 2018-05-15 2022-10-04 Ballast Medical Inc. Enhanced techniques for insertion and extraction of a bougie during gastroplasty
CN110025360A (zh) * 2019-04-02 2019-07-19 厦门大学附属中山医院 一种腹腔镜胃部分切除手术用胃管
MX2022005311A (es) * 2019-11-04 2022-05-26 Standard Bariatrics Inc Sistemas y metodos de realizacion de la cirugia mediante el uso de la retraccion de la tension de la ley de laplace durante la cirugia.
JP7415473B2 (ja) * 2019-11-20 2024-01-1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ガイドチューブ及びガイドチューブセット
JP7415758B2 (ja) 2020-04-10 2024-01-1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ガイドチューブ
EP4294283A1 (en) 2021-03-23 2023-12-27 Standard Bariatr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tissue migration in surgical staple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678A (en) * 1991-06-21 1993-10-26 Ecole Polytechnique Mapping electrode balloon
US5735290A (en) * 1993-02-22 1998-04-07 Heartpor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thoracoscopic coronary bypass and other procedures
US5401241A (en) * 1992-05-07 1995-03-28 Inamed Development Co. Duodenal intubation catheter
SE514860C2 (sv) * 1992-07-03 2001-05-07 Lars Wiklund Apparatur och metod för behandling av cirkulationsstillestånd
EP0989821A2 (en) * 1997-06-12 2000-04-05 LUNDGREN, Clas E.G. Noninvasive monitoring of cardiac performance
US7083629B2 (en) * 2001-05-30 2006-08-01 Satiety, Inc. Overtube apparatus for insertion into a body
US7410480B2 (en) * 2004-04-21 2008-08-12 Acclaren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therapeutic substances for the treatment of sinusitis and other disorders
US7462175B2 (en) * 2004-04-21 2008-12-09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US7918869B2 (en) * 2004-05-07 2011-04-05 Usgi Medic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ndoluminal gastroplasty
US8641729B2 (en) * 2005-07-13 2014-02-04 Creighton University Systems and techniques for minimally invasive gastrointestinal procedures
US20100081883A1 (en) * 2008-09-30 2010-04-01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gastroplasties using a multiple port access device
EP2263555B1 (en) * 2006-12-28 2017-03-15 Olympus Corporation Gastric therapy system and method for suturing gastric wall
EP2164558A4 (en) * 2007-06-08 2010-08-04 Valentx Inc METHODS AND DEVICES FOR INTRAGASTRIC SUPPORT OF FUNCTIONAL OR PROSTHETIC GASTROINTESTINAL DEVICES
US8437833B2 (en) * 2008-10-07 2013-05-07 Bard Access Systems, Inc. Percutaneous magnetic gastrostom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069A1 (ko) * 2020-12-03 2022-06-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입 및 위치조절이 가능한 위장관수술용 발광형 튜브
KR20220078758A (ko) * 2020-12-03 2022-06-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입 및 위치조절이 가능한 위장관수술용 발광형 튜브
KR20220094268A (ko) * 2020-12-28 2022-07-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위소매 절제술 보조 장치
WO2022145919A1 (ko) * 2020-12-28 2022-07-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위소매 절제술 보조 장치
KR20230037021A (ko) * 2020-12-28 2023-03-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위소매 절제술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98361B2 (en) 2021-01-26
BR112012033006B1 (pt) 2021-08-10
FR2961703A1 (fr) 2011-12-30
AU2011269023A1 (en) 2013-01-31
KR101906411B1 (ko) 2018-10-10
JP2013529487A (ja) 2013-07-22
RU2571324C2 (ru) 2015-12-20
EP2585006B1 (fr) 2015-08-26
CO6680606A2 (es) 2013-05-31
US20190224030A1 (en) 2019-07-25
CA2803871A1 (fr) 2011-12-29
AU2011269023B2 (en) 2014-10-02
MX339905B (es) 2016-06-15
SG186813A1 (en) 2013-02-28
CL2012003660A1 (es) 2013-04-19
US20130165774A1 (en) 2013-06-27
FR2961703B1 (fr) 2012-07-13
EP2585006A1 (fr) 2013-05-01
RU2013102870A (ru) 2014-07-27
IL223772A (en) 2017-06-29
ES2554676T3 (es) 2015-12-22
BR112012033006A2 (pt) 2016-12-20
MX2013000144A (es) 2013-03-05
CA2803871C (fr) 2018-11-06
JP5855096B2 (ja) 2016-02-09
WO2011161148A1 (fr)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411B1 (ko) 종방향의 위장 절제용 입위 카테터
TWI428110B (zh) 外套管
US6706017B1 (en) Percutaneous ostomy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 stoma and implanting a canula
RU2600278C2 (ru) Многобаллонное расши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катетерной трубки
US20100261962A1 (en)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overtube and method of introducing multiple endoscopes
US10603465B2 (en) Illuminated gastric tubes and methods of use
EP2499979A2 (en) Wound protector including balloon within incision
JP2016534800A (ja) スリーブ胃切除手技を促進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5124287B2 (ja) 医療用留置部材
CN108784763B (zh) 弯曲囊导管牵开装置及其牵开方法
US8540621B2 (en) Medical retainer and medical operation using the same
EP3199128B1 (en) Device for inserting an inflatable balloon
JP2004305593A (ja) 内視鏡用挿入補助具
BRPI0916800A2 (pt) overtube endoscópico flexível transluminal articulável e direcionável
JP5431166B2 (ja) 特に非侵襲性手術向けの保護手段
RU5526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ременной двухбаллонной эндоскопической обтурации перфорации желудка
RU5527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ременной баллонной эндоскопической обтурации перфорации желуд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