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483A - 건축용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483A
KR20130137483A KR1020120061136A KR20120061136A KR20130137483A KR 20130137483 A KR20130137483 A KR 20130137483A KR 1020120061136 A KR1020120061136 A KR 1020120061136A KR 20120061136 A KR20120061136 A KR 20120061136A KR 20130137483 A KR20130137483 A KR 20130137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bracket
panel assembl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355B1 (ko
Inventor
이상미
Original Assignee
이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미 filed Critical 이상미
Priority to KR102012006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35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 등 건물의 내외벽체로 시공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재로 된 장방형의 납작한 판 형의 베이스 벽판(21)과, 베이스 벽판(21)의 상하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암수결합부(26, 24)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20a)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베이스 벽판(21)과 암수결합부(26, 24)에 의해 폐쇄된 공간부에 충전되는 단열부재(30a)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에 면접 고정되는 고정부(42)와, 고정부(42)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 이격되게 일정 길이(D)로 노출된 걸이부(44)로 이루어진 브래킷(40a)과; 상기 브래킷(40a)이 면접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수결합부(24) 위에 추가로 베이스 플레이트(20b)의 암결합부(26)를 끼워 결합 적층하고 추가 적층된 베이스 플레이트(20b) 상면의 수결합부(24)에 추가로 브래킷(40b)이 면접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의 수결합부(24)에 각각 면접지지된 두 개의 브래킷(40a, 40b)의 걸이부(4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 플레이트(50a)로 구성된 건축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공기층 간격 즉 패널 자체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 소음이나 냉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패널 조립체{PANEL ASSEMBLIES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장, 창고 등 건물의 내외벽체 시공 현장에서 이격 길이(D)가 다른 브래킷(40a, 40b)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손쉽게 공기층(60) 간격 즉 패널 자체 두께를 조절할 수 있어 외부 소음 유입의 차단과 냉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 발생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창고 등 건물의 내외벽체 시공시에 조립식 단열 패널이 사용되며, 이러한 다수개의 조립식 단열 패널이 서로 연결되면서 공장, 창고 등 건물의 벽체가 시공된다. 즉, 지면상에 다수개의 H빔, 보강빔 등 골조가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패널들을 순차적으로 끼워 연결 조립해 수직 방향으로 높게, 수평 방향으로 길게 벽체가 시공된다. 이러한 조립식 단열 패널은 단열 효율을 좋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화재시 불길이 빠른시간에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고, 외부 소음이나 냉기의 유입을 저감시키는 공기층이 없어 소음이 벽체를 매질로 유입되고 외부 냉기가 내부에 전달되어 내부 벽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립식 단열 패널에서 발생되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용 조립식 패널"(한국 등록특허 제10-0683570호)(이하 "종래 기술"이라 한다)가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건축용 조립식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표면판(100a)과 외측표면판(100b) 사이에 단열/보온부재(200)와 불연/난연부재(300)를 서로 엇갈리게 번갈아 적층시켜 제작하며, 불연/난연부재(300)와 맞닿는 단열/보온부재(2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홈부(210)를 한개 또는 다수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화재시 불길이 불연/난연부재(300)에 의해 급속하게 번지지 않고, 외부 소음(소리에너지)이 상기 홈부(200)내의 공기층에 의해 감소되어 방음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공기층을 형성하는 홈부(210)가 불연/난연부재(300)와 맞닿는 부분에만 수평 방향으로 일부분만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소음이나 냉기가 외측표면판(100b)과 단열/보온부재(200)와 불연/난연부재(300)의 홈부(210)가 없는 부분(소음 및 냉기 전달 매질 기능)들을 통해 내측표면판(100a)에 전달되어 소음이 유입되고 내측표면판(100a)의 실내 벽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별도의 공장에서 내측표면판(100a)과 외측표면판(100b) 사이에 단열/보온부재(200)와 불연/난연부재(300)를 서로 엇갈리게 번갈아 적층시켜 제작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패널의 무게가 무거워 인력으로 들어올려 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 임의로 패널 두께를 조절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소음이나 결로발생이 심한 환경의 시공 현장에는 허용 기준을 맞출 수 없어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 현장에서 이격 길이(D)가 다른 브래킷으로 교체함으로써, 공기층 간격 즉 패널 자체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 구조로 이루어진 건축용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탈 플레이트의 교체 벽판이 변형되거나 외부 노출 벽면이 훼손된 경우에 착탈 플레이트만 교체할 수 있는 조립 구조로 이루어진 건축용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장방형의 납작한 판 형의 베이스 벽판(21)과, 베이스 벽판(21)의 상하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암수결합부(26, 24)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20a)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베이스 벽판(21)과 암수결합부(26, 24)에 의해 폐쇄된 공간부에 충전되는 단열부재(30a)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에 면접 고정되는 고정부(42)와, 고정부(42)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 이격되게 일정 길이(D)로 노출된 걸이부(44)로 이루어진 브래킷(40a)과; 상기 브래킷(40a)이 면접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수결합부(24) 위에 추가로 베이스 플레이트(20b)의 암결합부(26)를 끼워 결합 적층하고 추가 적층된 베이스 플레이트(20b) 상면의 수결합부(24)에 추가로 브래킷(40b)이 면접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의 수결합부(24)에 각각 면접지지된 두 개의 브래킷(40a, 40b)의 걸이부(4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 플레이트(50a)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는 시공 현장에서 이격 길이(D)가 다른 브래킷으로 교체함으로써, 공기층 간격 즉 패널 자체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 소음이나 냉기 유입으로 인한 결로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탈 플레이트의 교체 벽판이 변형되거나 외부 노출 벽면이 훼손된 경우에 금속재, 석재, 플라스틱재 또는 강화유리재 등 다양한 종류 중 하나를 건물의 활용 용도에 맞게 선택해 착탈 플레이트만 교체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이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단열부재/난연부재가 서로 엇갈리게 충전된 두 개의 패널이 서로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가 결합 시공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가 결합 시공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가 결합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의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가 결합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단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브래킷을 일부 절개해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의 브래킷을 일부 절개해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가 결합 시공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가 결합 시공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가 결합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단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의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의 수결합부(24)에 수 개의 브래킷(40a, 40b)이 서로 일정 거리로 떨어져 안착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확대된 도면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브래킷의 두께만큼 틈(L)이 생길 수 있으나 틈이 생기지 않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조시에 해당되는 틈부분이 면접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면적이 서로 다른 형태의 건축용 패널 조립체를 일례로, 브래킷(40a, 40b)이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한 개만으로 즉,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 전체에 면접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건축용 패널 조립체(10a, 10b)가 지면상에 다수개의 H빔(1), 보강빔(2) 등이 설치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수직 방향으로는 높게 적층 시공되며 수평 방향으로는 길게 두께면이 연접 시공되며, 건축용 패널 조립체(10a, 10b)들 사이의 벌어진 틈새는 별도의 틈새마감재(3)로 실링 마감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a와 같이 건축용 패널 조립체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의 수결합부(24)에 수 개의 브래킷(40a, 40b)이 서로 일정 거리로 떨어져 안착 지지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10a, 10b)는 공장, 창고 등 건물의 내외벽체로 사용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의 내부에 충전되는 단열부재(30a, 30b)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 상면에 각각 고정되는 브래킷(40a, 40b)과, 상기 브래킷(40a, 40b)에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 플레이트(50a)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는 장방형의 납작한 판 형의 베이스 벽판(21)과, 베이스 벽판(21)의 상하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암수결합부(26, 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부재(30a)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의 베이스 벽판(21)과 암수결합부(26, 24)에 의해 폐쇄된 공간부에 충전된다.
상기 브래킷(40a, 40b)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 상면의 수결합부(24)에 면접 고정되는 고정부(42)와, 고정부(42)에서 외측방향(패널 자체 두께 방향)으로 연장 이격되게 일정 길이(D)로 노출된 걸이부(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40a)이 면접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수결합부(24) 위에 추가로 단열부재(30b)가 충전된 베이스 플레이트(20b)의 암결합부(26)를 끼워 결합 적층하고 추가 적층된 베이스 플레이트(20b) 상면의 수결합부(24)에 추가로 브래킷(40b)이 면접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높이 만큼 격차지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의 수결합부(24)에 각각 면접지지된 두 개의 브래킷(40a, 40b)의 각각의 걸이부(44)에 착탈 플레이트(50a)를 착탈 가능하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끼워져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재(30a, 30b)는 별도의 제작 공장 또는 시공 현장에서 다양한 재질의 단열재로 충진 또는 삽입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시공 현장(또는 제작 공장)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의 개방 부분을 임시로 거푸집판(도시 안함)으로 막고 발포우레탄 등의 단열부재(내장재)를 포설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가 단열부재가 충전되기 이전의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만을 손쉽게 들어올려 조립 설치한 후 단열부재를 포설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 현장에서 적절하게 외측방향으로 연장 이격된 일정 길이(D)의 브래킷(40a, 40b)을 선택해 시공하면 손쉽게 공기층(60) 간격 즉 패널 자체 두께를 조절할 수 있고, 건물의 활용 용도에 적절한 금속재, 석재, 플라스틱재 또는 강화유리재 등 다양한 종류의 착탈 플레이트(50a, 50b)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시공 및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는 장방형의 납작한 판 형의 교체 벽판(51)과, 교체 벽판(51)의 상하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두 개의 브래킷(40a, 40b) 걸이부(4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형상으로 절곡된 상하단 끼움고정부(54, 56)로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40a) 걸이부(44)의 외측 단부의 상단부(45)에는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의 하단 끼움고정부(56)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40b)의 걸이부(44)의 외측 단부의 하단부(46)에는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의 상단 끼움고정부(54)가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40b) 걸이부(44)의 외측 단부의 상단부(45)에는 추가로 착탈 플레이트(50b)의 하단 끼움고정부(56)가 끼워져 결합되면서 하단 끼움고정부(56)의 하단 일부면(57)이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의 상단 끼움고정부(54)의 상단 일부면(55)을 이탈되지 않도록 면접 지지한다.
즉,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 50b)는 착탈 플레이트(50b)의 하단 끼움고정부(56)의 하단 일부면(57)이 착탈 플레이트(50a)의 상단 끼움고정부(54)의 상단 일부면(55)을 겹침 면접 지지하기 때문에 착탈 플레이트들 서로 간에 빠지지 않도록 서로 교차되게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 높게, 수평 방향으로 길게 적층 조립 시공되어도 견고하게 결합 설치되는 구조이다. 일례로 8단으로 적층 조립 시공시 서로 7군데에서 겹쳐져 교차되게 끼워지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의 시공 순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 이외의 단열부재가 충전된 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지면상에 다수개의 H빔(1), 보강빔(2) 등이 설치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수직 방향으로는 높게 적층 시공되며 수평 방향으로는 길게 두께면이 연접 시공된다.
그 후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 이외의 수개의 착탈 플레이트가 결합 시공된다.
그 후, 상기 시공된 상단 천장면과 연접되는 상단부가 폐쇄되도록 상단차단캡(도시 안함)이 별도로 체결 결합되어 상부가 폐쇄된다. 이때, 바닥 지면과 면접되는 저면과 단열부재가 충진된 두께면(양측면)은 시공 과정에서 차단된다.
그 후,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들 사이의 틈(L)과 착탈 플레이트(50a, 50b)들 사이의 벌어진 틈새는 별도의 틈새마감재(3)로 실링 마감할 수 있다. 이때, 틈새마감재(3)로 실링 마감한 경우에는 시공 완료 후 착탈 플레이트(50a, 50b)를 교체하는 경우에 후술된 틈새마감재(3)를 제거한 후 교체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되면 시공된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단열부재(30a)의 노출면과 착탈 플레이트(50a)의 교체 벽판(51)의 내측면과의 사이 빈 공간에는 외부 소음 방지 및 냉기의 유입으로 인한 결로를 방지하도록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층(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층(6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연결 조립해 건물의 내외벽체의 건축이 완료되면, 건물의 내외벽체 내부의 수직(상하단) 및 수평(좌우 양단) 방향으로 수개의 브래킷(40) 결합 부분만을 제외한 전체가 통공홀 상태로 형성된다(도 2a 참조).
따라서, 외부 소음이나 냉기가 착탈 플레이트(50a, 50b)를 통해 내부로 고체를 매질로 내부로 유입시 손쉽게 전체적으로 형성된 공기층(6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특히 결로는 대부분 착탈 플레이트(50a, 50b) 교체 벽판(51)의 내측면에 발생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내부에는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건물 내부로의 소음 유입의 방지를 위해 시공 현장에서 추가 시공비용이 소요되지 않고 간편하게 이격 길이(D)가 긴 브래킷으로 교체해 조립시공하면, 건물 벽체를 이루는 착탈 플레이트(50a, 50b)와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간의 이격 길이(D)가 더 길게되어 공기층(60)의 두께가 더 두껍게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의 교체 벽판(51)의 내측면에는 난연 또는 단열재를 일정 두께로 도포시켜 교체 벽판(51)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7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폐쇄된 공간부에 충전된 단열부재(30a)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 단열면(32)에는 화재시 불길이 급속하게 번지지 않도록 내화페인트나 알루미늄시트 등 난연재부(39)가 도포 또는 부착형성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가 결합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단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브래킷을 일부 절개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를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하고 설명하면, 브래킷(40a)은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에 면접 고정되는 고정부(42)와, 상기 고정부(4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4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42)의 끼움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걸이부(44)의 끼움돌기부는 베이스 플레이트(20a)에 충진된 단열부재(30a, 30b)의 단열면(32)이나 난연재부(39)의 면에 흔들리지 않게 견고하게 면접 지지된다.
그리고, 일례로 이격 길이(D)가 긴 걸이부(44)만을 손쉽게 교체해 공기층(60) 간격 즉 패널 자체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40a, 40b)은 고정부(42)는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한 개만으로 형성할 수 있다(도 2b 참조).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에 안착되어 면접 지지되는 한 개의 고정부(42)에 수 개의 걸이부(44)가 분리가능하게(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수 개의 고정부(42)를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에 안착 지지하는 것에 비교해서,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한 개의 고정부(42)만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에 안착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조립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브래킷(40a)이 면접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수결합부(24) 위에 추가로 베이스 플레이트(20b)의 암결합부(26)를 끼워 결합 적층하고 추가 적층된 베이스 플레이트(20b) 상면의 수결합부(24)에 추가로 브래킷(40b)이 면접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는 금속재 또는 석재 또는 플라스틱재 또는 강화유리재 중 어느 하나로 장방형의 납작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양단부에는 상기 두 개의 브래킷(40a, 40b) 걸이부(4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하단 끼움홈(54, 56)이 형성된다.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의 하단 끼움홈(56)은 상기 브래킷(40a) 걸이부(44)의 외측 단부의 상단부(45)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 상단 끼움홈(54)에는 상기 브래킷(40b) 고정부(42)에서 분리된 상태의 걸이부(44)의 내측단부가 고정부(42)에 결합되면서 외측 단부의 하단부(46)가 끼워져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 조립체의 브래킷을 일부 절개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하고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40a)의 걸이부(44)는 상기 고정부(42)에 분리 및 회전가능하게 축봉(49)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40a)의 고정부(42)에 걸이부(44)가 일례로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회전된 상태로 결합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를 끼워 결합하는 것을 반복하면 착탈 플레이트(50a, 50b)들이 전체적으로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 시공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심미감을 갖도록 디자인을 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a, 10b. 건축용 패널 조립체 20a, 20b. 베이스 플레이트
21. 베이스 벽판 24. 수결합부
26. 암결합부 30a, 30b. 단열부재
32. 단열면 39. 난연재부
40a, 40b. 브래킷 42. 고정부
44. 걸이부 45. 상단부
46. 하단부 49. 축봉
D. 이격 길이 50a, 50b. 착탈 플레이트
51. 교체 벽판 54. 상단 끼움고정부
55. 상단 일부면 56. 하단 끼움고정부
57. 하단 일부면 60. 공기층
70. 보강부재

Claims (9)

  1. 공장 등 건물의 내외벽체로 시공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10a, 10b)로서,
    금속재로 된 장방형의 납작한 판 형의 베이스 벽판(21)과, 베이스 벽판(21)의 상하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암수결합부(26, 24)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20a)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베이스 벽판(21)과 암수결합부(26, 24)에 의해 폐쇄된 공간부에 충전되는 단열부재(30a)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에 면접 고정되는 고정부(42)와, 고정부(42)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 이격되게 일정 길이(D)로 노출된 걸이부(44)로 이루어진 브래킷(40a)과;
    상기 브래킷(40a)이 면접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수결합부(24) 위에 추가로 베이스 플레이트(20b)의 암결합부(26)를 끼워 결합 적층하고 추가 적층된 베이스 플레이트(20b) 상면의 수결합부(24)에 추가로 브래킷(40b)이 면접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의 수결합부(24)에 각각 면접지지된 두 개의 브래킷(40a, 40b)의 걸이부(4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 플레이트(5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는 장방형의 납작한 판 형의 교체 벽판(51)과, 교체 벽판(51)의 상하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두 개의 브래킷(40a, 40b) 걸이부(4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형상으로 절곡된 상하단 끼움고정부(54, 56)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40a) 걸이부(44)의 외측 단부의 상단부(45)에는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 하단 끼움고정부(56)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40b) 걸이부(44)의 외측 단부의 하단부(46)에는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 상단 끼움고정부(54)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브래킷(40b) 걸이부(44)의 외측 단부의 상단부(45)에는 추가로 착탈 플레이트(50b) 하단 끼움고정부(56)가 끼워져 결합되면서 하단 끼움고정부(56)의 하단 일부면(57)이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 상단 끼움고정부(54)의 상단 일부면(55)을 이탈되지 않도록 면접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 20b) 이외의 단열부재가 충전된 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수직 방향으로는 높게 적층 시공되며 수평 방향으로는 길게 두께면이 연접 시공되고,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 이외의 수개의 착탈 플레이트가 결합 시공되고,
    상기 시공된 상단부가 폐쇄되도록 상단차단캡(도시 안함)이 체결 결합되면,
    상기 시공된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단열부재(30a)의 노출면과 착탈 플레이트(50a)의 교체 벽판(51)의 내측면과의 사이 빈 공간에는 공기층(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의 교체 벽판(51)의 내측면에는 난연 또는 단열재를 일정 두께로 도포시켜 교체 벽판(51)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폐쇄된 공간부에 충전된 단열부재(30a)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 단열면(32)에는 화재시 불길이 급속하게 번지지 않도록 난연재부(39)가 부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40a)은 베이스 플레이트(20a) 상면의 수결합부(24)에 면접 고정되는 고정부(42)와, 상기 고정부(4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40a)이 면접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20a)의 수결합부(24) 위에 추가로 베이스 플레이트(20b)의 암결합부(26)를 끼워 결합 적층하고 추가 적층된 베이스 플레이트(20b) 상면의 수결합부(24)에 추가로 브래킷(40b)이 면접 지지되며,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는 금속재 또는 석재 또는 플라스틱재 또는 강화유리재 중 어느 하나로 장방형의 납작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양단부에는 상기 두 개의 브래킷(40a, 40b) 걸이부(4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하단 끼움홈(54, 56)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 하단 끼움홈(56)은 상기 브래킷(40a) 걸이부(44)의 외측 단부의 상단부(45)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착탈 플레이트(50a) 상단 끼움홈(54)에는 상기 브래킷(40b) 고정부(42)에서 분리된 상태의 걸이부(44)의 내측단부가 고정부(42)에 결합되면서 외측 단부의 하단부(46)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40a)의 걸이부(44)는 상기 고정부(42)에 분리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축봉(49)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조립체.
KR1020120061136A 2012-06-07 2012-06-07 건축용 패널 조립체 KR101380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36A KR101380355B1 (ko) 2012-06-07 2012-06-07 건축용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36A KR101380355B1 (ko) 2012-06-07 2012-06-07 건축용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83A true KR20130137483A (ko) 2013-12-17
KR101380355B1 KR101380355B1 (ko) 2014-04-02

Family

ID=4998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136A KR101380355B1 (ko) 2012-06-07 2012-06-07 건축용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871A1 (en) * 2014-10-20 2016-04-28 Enphase Energy, Inc. Energy storage/delivery device mounting plate
CN114482329A (zh) * 2022-03-04 2022-05-13 广州工程总承包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调节功能的乐高型装配式墙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570B1 (ko) 2006-06-14 2007-02-20 조은판넬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884774B1 (ko) 2008-06-20 2009-02-23 (주)간삼파트너스 종합건축사사무소 세라믹 복합패널을 이용한 설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871A1 (en) * 2014-10-20 2016-04-28 Enphase Energy, Inc. Energy storage/delivery device mounting plate
US9801293B2 (en) 2014-10-20 2017-10-24 Enphase Energy, Inc. Energy storage/delivery device mounting plate
CN114482329A (zh) * 2022-03-04 2022-05-13 广州工程总承包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调节功能的乐高型装配式墙板系统
CN114482329B (zh) * 2022-03-04 2024-03-08 广州工程总承包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调节功能的乐高型装配式墙板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355B1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270B2 (en) Foam wall structure
EP3102750B1 (en) Building with modules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 building
KR100643075B1 (ko) 모듈형 조립식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08113207A1 (fr) Panneau mural extérieur et son procédé de montage
US20160024789A1 (en) Composite Building Panel
CA3069574A1 (en) Frame, basic framework, module, profile and set of structural elements for modular construction and a modular-construction building
US20160145859A1 (en) Ecological building and insulation structural body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insulation structural body
CN111705969A (zh) 一种装配式墙体顶部封装结构及其安装方法
JP4628308B2 (ja) 建造物の外壁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380355B1 (ko) 건축용 패널 조립체
KR102039324B1 (ko) 내화 칸막이 보강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11339562B2 (en) Area-covering structure module
US8640416B2 (en) Sliding and locking energy-efficient wall assembly
KR101681848B1 (ko) 고효율 모듈러 하우스용 조립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하우스 시공 방법
KR20190001270U (ko) 건축용 벽체 블록 및 건축용 벽체 모듈 조립체
JP7286438B2 (ja) 梁の耐火構造とその施工方法
WO2011042848A1 (en) Elements for construction
JP6422694B2 (ja) 建物
JP6353304B2 (ja) 建物
CN115030367B (zh) 一种带有装饰板的墙体、墙体安装结构及施工方法
KR20110103632A (ko) 건식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817057B1 (ko) 건축물 기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JP2013079545A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KR102460796B1 (ko) 벽식 구조를 갖는 조립식 건축용 모듈 유닛
KR20120076981A (ko) 건축물의 일체형 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