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121A - 후퇴가능한 니들 및 가동 플런저 밀봉부를 갖는 의료기구 - Google Patents

후퇴가능한 니들 및 가동 플런저 밀봉부를 갖는 의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121A
KR20130137121A KR1020137002261A KR20137002261A KR20130137121A KR 20130137121 A KR20130137121 A KR 20130137121A KR 1020137002261 A KR1020137002261 A KR 1020137002261A KR 20137002261 A KR20137002261 A KR 20137002261A KR 20130137121 A KR20130137121 A KR 20130137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needle
barrel
retainer member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876B1 (ko
Inventor
니 주
토마스 제이. 쇼
Original Assignee
리트렉터블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제이. 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4002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13712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리트렉터블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제이. 쇼 filed Critical 리트렉터블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34Fully 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8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rupting the piston seal, e.g. by pun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34Fully 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39Fully 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triggered by dislodgement of outer part anchoring the needle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syringe barrel wall, e.g. a ring-shaped po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의료기구는 배럴, 후퇴가능한 니들, 니들 후퇴 조립체, 및 플런저를 가지며,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럴에 접촉하는 리테이너 부재에 의하여 후퇴되기 전에 배럴 내에 유지되어 있고, 플런저는 이 플런저에 대하여 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일부분을 갖는 몸체를 갖는 플런저 밀봉부와, 니들의 후퇴 전에 플런저 내부의 후퇴 공동을 밀봉하는 탄성중합체 웹을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 부재 및 플런저 밀봉부 각각은 배럴의 내부벽과 상호작용하여 의료기구 내에서 밀봉된 액체 수용 챔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후퇴가능한 니들 및 가동 플런저 밀봉부를 갖는 의료기구{MEDICAL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AND MOVEABLE PLUNGER SEAL}
본 발명은 재사용의 가능성, 니들 찔림에 의한 상처, 및 특히 체액으로 운반되는 병원균의 전달에 의하여 의료계 종사자와 환자의 우연한 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 후에 후퇴될 수 있는 니들을 갖는 의료기구(medical device)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매끄러운 동작을 제공하고 니들을 후퇴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인가되어야 하는 압력을 크게 감소시키도록 협력하는, 플런저 상에서 이동가능한, 탄성중합체 리테이너 링 및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를 갖는 의료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임상의가 종종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주사기에서 니들 후퇴를 개시하도록 요구되는 엄지손가락 힘(종종 "후퇴력," "작동력" 또는 "전체 힘"이라고 함)의 크기에 대해 불평하였다. 압축 스프링의 팽창에 의해 후퇴되는 니들을 갖는 종래 주사기를 사용할 때, 추가의 엄지손가락 힘이 통상 니들 후퇴를 개시하기 위해 주사 후에 플런저 핸들의 뒤에서 축방향으로 가해진다. 필요로 하는 엄지손가락 힘의 크기는 각각 특별한 주사기의 구조 및 작동에 의존한다. 필요한 엄지손가락 힘의 한 부분은 플런저 핸들 내부의 후퇴 공동 내로 개구부를 거쳐 커버를 파괴, 파열, 제거 또는 변위시키는데 필요한 힘에 기여할 수 있다. 필요한 엄지손가락 힘의 다른 부분은 스프링을 압축상태로 유지하는 어떤 구조체라도 해제시키는데 필요한 힘에 기여할 수 있다. 필요한 엄지손가락 힘이 너무 크면, 특히 작은 손을 갖는 임상의는 주사 후에 니들을 후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것은 더 큰 레버리지(leverage)를 얻기 위해 니들이 환자 내부에 여전히 있는 동안에 사용자가 주사기를 움직이거나 비틀리게 할 수 있다. 또한, 그렇지 않으면, 의료기구의 구조적 요소들은 후퇴 공동을 개방하여 후퇴 전에 갑자기 요동함(jerk) 또는 급격한 운동이 없이 압축 스프링을 해제시키기 위해 엄지손가락 힘이 원활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종래 기술의 주사기는 후퇴 전에 플런저 핸들 내부의 후퇴 공동으로 향하는 입구를 차단하기 위해 플러그 또는 실질적인 강성 배리어(barrier)를 사용하였지만, 플러그를 제거 또는 변위시키거나 또는 실질적인 강성 배리어를 파손하는데 필요한 힘이 또한 필요한 엄지손가락 힘을 증가시켰다. 다른 종래 기술의 주사기는 2부품 플런저 핸들과 조합하여 후퇴 공동의 개구부를 덮는 고무질(rubbery) 부분을 갖는 축방향 고정형 플런저 밀봉부를 사용하였으며, 여기서 내부 부재가 디텐트(detent)를 지나 이동하여 덮개 부분을 절단하는 커터를 전진시키며 이에 의해 필요한 엄지손가락 힘을 증가시킨다. 그러한 경우에, 플러그를 제거하거나, 배리어를 파손하거나 또는 디텐트 너머로 플런저 섹션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후퇴를 개시하기 위해 요구된 엄지손가락 힘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니들 후퇴 전에 주사기가 갑자기 요동하거나 급격히 이동하도록 만들 수 있다.
U.S. 5,053,010(McGary)은 후퇴 전에 플런저 후퇴 공동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횡방향 웹 부분을 갖는 축방향 활주가능한 플런저 밀봉부를 구비한 플런저 및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주사기를 공개하고 있다. 이 주사기는 후퇴 공동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횡방향 웹과, 니들 리테이너(retainer)를 배럴(barrel) 벽에 고정하는 다른 원주방향 연장 탭(tab)을 모두 관통하는 플런저의 전방 연장 팁상에 배치된 절삭 공구를 갖는다. 횡방향 웹 뒤에 배치된 커터 때문에, 주사 도중에 웹이 너무 빨리 파손되는 위험이 있으며, 이는 주사기 내에 남아있는 약물이 환자에게로 가기보다는 후퇴 공동 내로 다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U.S. 5,064,419(Gaarde)는 피스톤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속되어 있는 피스톤 패킹(packing)을 갖는 피스톤 및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주사기를 공개하고 있다. 도 3은 피스톤 패킹에 부착된 얇은 막을 도시한다. 이 얇은 막은 니들 홀더의 평평한 헤드가 후퇴하기 위해 막을 천공하거나 파괴할 때까지 피스톤 내부의 공동을 밀봉한다. 니들 홀더는 스프링 리테이너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배럴 섹션의 폐쇄된 하단부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U.S. 5,180,369(Dysarz)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상에서 축방향 활주가능한 배럴 사이에 배치된 개스킷, 및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주사기를 공개하고 있다. 이 주사기는 후퇴 전에 플런저 내부의 후퇴 공동으로 향하는 개구부를 밀봉하는 파손판(shatter plate)을 갖는다. 니들 홀더는 파손판 및 파손링에 의해 후퇴 전에 제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며, 파손판 및 파손링 각각은 유체를 밀봉하기 위해 보조 개스킷을 필요로 한다.
U.S. 5,180,370(Gillespie)은 플런저와 배럴 사이에 유체 밀봉부를 제공하는 환형 밀봉링, 및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주사기를 공개하고 있다. 환형 밀봉링은 플런저에 대해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속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 중에 플런저에 대해 축방향으로 활주하지도 않는다. 플런저는 파손가능한 탄성 커버에 의하여 배럴 내부와 밀봉되는 중공 챔버를 갖는다.
U.S. 5,201,710(Caselli)은 예리한 모서리를 갖는 왕관 형상처럼 예리한 부분을 갖는 헤드를 구비한 니들 홀더에 의하여 유지된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주사기를 공개하며, 이 예리한 부분이 먼저 구부러지고, 다음에 플런저 실린더에 대해 축방향 활주를 방지하도록 구속되어 있는 플런저 밀봉부 요소에 연결된 막을 파괴한다.
U.S. 5,578,011(Shaw)은 배럴 내부에 니들 홀더를 보유하기 위해 그리고 배럴 벽과 니들 홀더 사이에 유체 밀봉부를 제공하기 위해 탄성중합체 마찰링, 및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주사기를 공개하고 있다. 이 주사기는 플런저를 따라 축방향으로 활주하는 것을 구속하는 플런저 밀봉부, 및 플런저 내부의 후퇴 공동에 대해 전방 개구부 내부의 해제가능한 밀봉부를 제공하는 탄성중합체 플러그(plug)를 갖는다.
U.S. 6,015,438(Shaw)은 후퇴가능한 니들과, 배럴 내부에 니들 홀더를 유지하기 위한 환형 리테이너, 및 플런저와 후퇴하기 위해 이 플런저를 따라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한 배럴 사이에 배치된 플런저 밀봉부를 갖는 주사기를 공개하고 있다. 이 주사기는 후퇴 전에 플런저 내부의 후퇴 공동으로 향하는 개구부를 밀봉하는 별개의 제거가능한 스토퍼(stopper)를 갖는다.
U.S. 6,994,690(Kiehne) 및 U.S. 7,544,182(Kiehne)은 플런저가 니들 홀더에 닿게 전진될 때 고정형 플런저 밀봉부의 취약부를 파열 또는 천공하기 위해 후방향으로 돌출하는, 니들 홀더의 헤드 내측부상의 테이퍼진 연장부와,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주사기를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사기에서 플런저 밀봉부는 축방향으로 구속되어 있으며, 플런저가 니들 홀더에 접촉할 때 배럴측에서부터 취약부를 팽팽하게 펼치기 위해 플런저 전방에 대해 후방향으로 활주할 수 없다.
따라서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의료기구는 니들 후퇴를 개시하기 위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고 그리고 후퇴를 개시하는데 필요한 엄지손가락 힘을 감소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의료기구는 배럴, 상기 배럴과 활주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런저, 및 배럴에 대하여 플런저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니들을 후퇴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니들 후퇴 조립체를 포함한다. 니들 후퇴 조립체는 양호하게 니들 홀더와 배럴의 내측벽 사이에 액체 밀봉부를 만들기 위해 배럴 내측벽과 접촉하며 그리고 니들 후퇴 전에 니들 후퇴 스프링을 압축상태로 유지하는 탄성중합체 리테이너 링을 포함한다. 양호하게 플런저는 환형 몸체부 및 횡방향 탄성중합체 웹 부분을 갖는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포함한다. 환형 몸체는 플런저와 배럴 사이에서 액체 밀봉부로서 작용할 수 있고, 횡방향 웹 부분은 후퇴 전에 플런저 내부에 배치된 후퇴 공동으로 향하는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다.
플런저 밀봉부의 환형 몸체 부분은, 니들 후퇴를 개시하기 전에 횡방향 웹 부분을 너무 빨리 파손하지 않고 후퇴 공동으로 향하는 개구부를 가로질러 횡방향 웹을 펼쳐 얇게 만들기 위해 상기 몸체 부분이 플런저의 외측벽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런저의 전방부상에 장착될 수 있다. 횡방향 탄성중합체 웹 뒤에 배치된 플런저의 전방 대면(forwardly facing) 환형 단부는 웹이 후퇴 전에 후퇴 공동으로 향하는 개구부를 가로질러 펼쳐질 때 탄성중합체 웹을 절단하지 않도록 양호하게 구성되고, 그러나 필요한 대로 리테이너 링의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또는 불균일하게 분배되는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불균일하게 분배된 힘은 후퇴 전에 배럴에 대하여 리테이너 링의 이동을 개시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플런저의 힘은 통상적으로 플런저 핸들의 전방 팁 단부를 덮는 플런저 밀봉부의 그 부분을 통해 리테이너 링에 적용되며, 그러나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웹이 리테이너 링에 접촉하기 전에 파손되는 경우와 같이, 어떤 경우에는 플런저 핸들의 일부분이 리테이너 링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후퇴 전에, 니들 후퇴 조립체의 니들 및 니들 홀더 부분들은 압축된 스프링에 의하여 후방으로 바이어스(bias)될 수 있다. 바이어스 힘은 양호하게 리테이너 부재에 의하여 니들 홀더 부분에 가해진 유지력보다 약간 작으며, 상기 리테이너 부재는 배럴의 내부와 니들 홀더 사이에 액체 밀봉부를 설정하고 그리고 후퇴될 때까지 배럴에 대하여 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니들 홀더의 전방 팁을 유지한다. 플런저가 배럴 내부에 완전히 밀려 들어갈 때,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의 몸체 부분은 플런저에 대하여 후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의 횡방향 웹 부분은, 리테이너 부재가 플런저에 의하여 변위되어 리테이너 부재 및 배럴 내측벽에 의하여 니들 홀더상에 가해진 유지력을 해제할 때 니들 홀더의 후방 돌출부에 의해 펼쳐지고, 얇아지며 결국에는 관통(penetrate), 천공(pierce) 또는 파괴될 수 있다. 다음에 이것은 압축된 스프링의 바이어스 힘이 니들 홀더, 스프링 및 니들을 후방향으로 추진하여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의 파괴된 웹을 통과하여 후퇴 공동 내로 들어가게 허용할 수 있다. 플런저가 완전히 배럴 내로 들어갈 때, 플런저 후방에 있는 엄지손가락 캡은 배럴 후방의 원통형 칼라 내부에 박히게 되어 엄지손가락 캡을 재사용을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잡을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배럴을 따라 후방으로 축방향 이동가능한 몸체 부분과 후퇴 전에 상기 몸체 부분의 그러한 후방 축방향 이동에 의하여 펼쳐지며 얇아질 수 있는 탄성중합체 웹 부분을 갖는 플런저 밀봉부와 조합하여 탄성중합체 리테이너 링을 사용하는 것은, 더욱 원활한 후퇴를 제공하며 그리고 니들 후퇴를 개시하기 위해 사용자가 적용해야 하는 엄지손가락 힘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다음에 더욱 원활한 작동과 필요한 엄지손가락 힘의 감소는 후퇴 전에 환자 내부에서 전방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니들 팁의 움직임을 감소시키며, 임상의에 의한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의료기구의 사용을 촉진시키며, 이에 의하여 불필요한 니들 찌르기에 의한 상처의 발생과 접촉에 의한 우연한 오염으로 인하여 혈액에 포함된 병원균들의 관련된 전파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는 아래 도면과 관련지어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기구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료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 3-3을 취한 확대 단면 수직 입면도로서, 니들이 전방 돌출 사용 위치에 있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취한 확대된 상세도로서, 플런저 팁이 배럴 내부에서 전방향으로 이동할 때 후퇴 공동의 전방을 가로지르는 탄성중합체 밀봉부가 니들 홀더의 후방 돌출 헤드에 의해 팽창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의료기구의 단면 입면도로서, 니들이 완전 후퇴된 위치에 있는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의 전방부에 대한 확대된 단면 상세도로서, 탄성중합체 밀봉부가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의 전방부에 대한 확대된 단면 상세도로서,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변위되어 있고, 플런저의 단부를 가로질러 미리 연장된 플런저 밀봉부의 부분이 파손되어 플런저의 전방 연장 단부의 측면들로 수축되어 있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의료기구의 하단 평면도.
도 9는 도 1의 의료기구의 상단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의료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부분적으로 절결되고 확대된 단면 수평도로서, 니들이 전방 돌출 사용 위치에 있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취한 확대 상세도.
도 12는 도 10의 의료기구의 확대된 단면 수평도로서, 기구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90도 회전하였으며, 여기서 플런저가 배럴 내로 완전히 밀려 들어가 있고, 니들이 완전히 후퇴되어 있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의료기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경사진 입면도.
도 14는 도 13의 의료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의 선 3-3을 취한 확대 단면 수평 입면도로서, 니들이 전방 돌출 사용 위치에 있으며 보호캡에 의해 덮여있는 도면.
도 16은 도 15의 선 16-16을 취한 단면 좌측 입면도.
도 17은 확대된 단면 수평 입면도로서, 플런저가 배럴 내부에 완전히 밀려 들어가 있고 니들이 완전히 후퇴되어 있는 도면.
도 18은 수평 위치에 배치될 때 본 발명의 의료기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 입면도로서, 플런저 핸들이 계단형 전방부를 갖는 도면.
도 19는 도 18의 전체(단면이 아님) 의료기구에 대한 좌측 입면도.
도 20은 도 18의 전체(단면이 아님) 의료기구에 대한 우측 입면도.
도 21은 도 21의 실시예의 단면 입면도로서, 니들 홀더의 후방 돌출 헤드가 플런저 밀봉부의 탄성중합체 웹과 결합하여 웹을 후방으로 펼치거나 팽창시키고, 플런저 밀봉부의 탄성중합체 웹에 의해 덮여진 플런저 핸들의 최전방 연장부가 니들 후퇴 전에 리테이너 부재에 접촉해 있는 도면.
도 22는 니들 후퇴를 따라가는 도 21의 실시예의 단면 입면도.
도 23은 본 주제의 의료기구의 플런저 부분의 계단형 전방부를 양호하게 도시하는 도 18로부터 취한 확대된 상세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다르게 구성된 플런저 밀봉부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하고 그리고 플런저가 예를 들어 기구 내로의 유체 흡입 중에 있었을 것 같은, 배럴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단면 상세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플런저가 예를 들어 기구 내로부터 환자 내로 유체 주입 중에 있었을 것 같은, 배럴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단면 상세도.
도 26은 도 24 및 도 25의 대안적인 플런저 밀봉부의 전방 입면도이지만 플런저 핸들에 설치되기 전 이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도 26의 플런저 밀봉부의 측면도.
도 28은 도 26의 선 28-28을 취한 확대 단면 입면도.
본 발명의 의료기구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9와 관련되어 설명되고, 여기서 주사기(10)는 기본적인 부품들로서 배럴(24), 배럴(24)의 전방부에 장착된 니들 후퇴 조립체, 및 배럴 뒤에 있는 개구부와 활주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런저 조립체(12)를 포함한다. 니들 후퇴 조립체는 니들 홀더(18), 니들(20), 압축 스프링(22), 및 리테이너 부재(16)를 포함한다. 포장, 운반 및 저장 동안에 니들(20)의 팁을 보호하는 제거식 니들 커버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적절한 니들 커버가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에서 성형 플라스틱 니들 커버(206)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되어 도시되어 있다.
배럴(24)은 사용자의 검지손가락 및 중지손가락을 위한 접촉면들을 제공하는 대향한 반경방향 연장 플랜지(28)들을 갖는 튜브형 몸체(26), 플랜지(28)들 뒤에 배치된 대직경 칼라(30), 제거식 니들 커버를 위한 정착면을 제공하며 아치형으로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 지향된 복수의 리브(98)를 선택사양으로 포함한 소직경 전방 칼라, 및 니들 후퇴 조립체가 배럴(24) 내부에 정착될 때 니들 홀더(18)의 전방 팁(70)이 양호하게 돌출하는 개방단부를 갖는 테이퍼진 전방 연장 노즈(nose)(76)를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칼라(30)는 이 칼라(30)가 플런저 조립체(12)의 단부캡(34)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하면 칼라(30)가 약간 팽창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치(29)를 선택사양으로 구비한다. 노치(29)들이 제공됨으로 인하여 칼라(30)의 내경과 단부캡(34)의 외경 사이에 정밀한 허용오차(closer tolerance)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두 부품들 사이에 억지끼워맞춤(close fit)을 보장하며 그리고 주사 및 후퇴 이후에 플런저 단부캡(34)을 잡기 힘들게 하므로 주사기(10)의 재사용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플런저 조립체(12)는 대직경 단부캡(34)을 갖는 튜브형 몸체(38), 몸체(38) 둘레에 배치되며 선택사양으로 아치형으로 이격된 복수의 길이방향 연장 리브(60), 환형 랜드(land)(42), 환형 위치결정 링(44), 전방 팁(94), 및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14)를 포함한다. 플런저 밀봉부(14)는 양호하게 압축성 고무 재료로 단일체로 성형되고, 환형 몸체 부분 및 횡방향 웹 부분을 포함한다. 플런저 밀봉부(14)의 환형 몸체 부분은 바람직하게 환형 리세스들(54, 47) 각각에 의해 분리되며 외향하는 축방향 이격된 환형 릿지들(ridges)(48, 50, 52)과, 내향하는 환형 리세스(46)를 포함한다. 본원을 읽고 기술에 숙련된 자들(이하 '통상의 기술자')은 예를 들어 도 6에서 환형 릿지(48)로 예증한 바와 같이 전방 배치된 환형 릿지 또는 플랜지가 1차 밀봉 기능을 실행하며 한편 도 6에서 릿지(50)와 같이 이격된 제2 환형 플랜지는 기본적으로 배럴 내부에 플런저 밀봉부를 정렬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환형 리세스(46)는 플런저 밀봉부(14)가 플런저 조립체(12)의 튜브형 몸체(38)상에 장착될 때 상호작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환형 위치결정 링(44)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깊으며, 경사진 전방벽 및 정사각형 후방벽을 갖는다.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14)가 튜브형 몸체(38)의 전단부상에 장착될 때, 개방 후단부가 전방 팁(94) 및 환형 위치결정 링(44) 위로 가압되어서, 환형 링(46) 후방에 있는 전방 대면 정사각형 숄더(shoulder)가 위치결정 링(44)의 후방향 대면(rearwardly facing) 정사각형 숄더에 닿을 때까지 환형 리세스(46)의 후단부에 있는 플런저 밀봉부(14)의 내향한 부분이 환형 위치결정 링(44)의 경사진 전방면을 지나서 환형 링(44)의 상단을 따라 상향으로 활주하게 된다. 플런저 밀봉부(14)의 몸체 부분이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플런저 밀봉부(14)의 횡방향 웹 부분(58)은 전방 팁(94)의 뭉툭한 환형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튜브형 몸체(38)의 전단부의 개구부를 차단하여 밀봉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뭉툭한 표면(blunt surface)"은 절삭되지 않은 에지들을 갖는 표면과 절삭될 수 있는 에지들을 갖는 표면을 구별하기 위한 의도로 사용되고, 통상의 기술자는, 특히 팁에 의해 웹상에 가해진 전단력이 웹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될 때 플런저상에서의 튜브형 몸체의 후방 이동에 의하여 웹이 펼쳐지며 얇아지게 됨에 따라, 사출성형된 플런저 몸체 또는 핸들이, 플런저 팁이 횡방향 탄성중합체 웹을 절삭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작은 반경을 각각의 에지에서 갖는 전방팁을 가질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튜브형 몸체(38)의 전방 팁(94)은 주사기(10)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축(55)에 대해 수직인 단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다른 방법으로 예를 들어 U.S. 6,572,564호에서 미리 공개된 바와 같이 플런저(12)가 후퇴를 실행하도록 배럴(24) 내로 전진될 때 전방 팁(94)의 적어도 일부분이 전방 팁(94)의 나머지보다 앞서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12)가 후퇴를 촉진하기 위해 배럴(24) 내로 전진될 때마다, 플런저(12)의 전방 팁(94)이 플런저 밀봉부(14)에 의해 양호하게 덮이며, 이에 의해 전방 팁(94)이 간접적으로 플런저 밀봉부(14)를 통해 리테이너 부재(16)에 접촉하게 되고, 또는 직접적으로 횡방향 웹 부분(58)이 먼저 파손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환형 몸체의 환형 리세스(46)는 플런저 밀봉부(14)를 튜브형 몸체(38)의 외측면에서 후방향으로 활주시킬 수 있게 하며 그리고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위치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 예정된 이동 범위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플런저 밀봉부(14)의 몸체 부분이 튜브형 몸체(38)에 대하여 최후방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 밀봉부(14)의 후방에 있는 환형 표면(86)이 튜브형 몸체(38)의 전방 대면 환형 숄더(88)에 접할 수 있고, 환형 리세스(46)의 경사진 전방벽이 유사하게 환형 위치결정 링(44)의 경사진 전방면에 접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니들 후퇴 조립체는, 니들 홀더(18)의 대직경 섹션(62)에 리테이너 부재(16)를 적용하고, 압축 스프링(22)을 통해 전방 팁(70) 및 세장형 튜브형 몸체 부분(74)을 삽입하고 다음에 리테이너 부재(16), 니들 홀더(18) 및 스프링(22)을 배럴(24)의 후방으로 삽입하여, 전방 팁(70)이 배럴(24)의 전방에 있는 좁은 개구부(63) 속으로 연장하며 니들 홀더(18)의 전방 대면 환형 숄더(68)가 배럴(24)의 노즈(76)의 전단부 내부에서의 상호작용하는 후방향 대면 환형 숄더(65)에 의해 차단될 때까지, 상기 리테이너 부재(16), 니들 홀더(18) 및 스프링(22)을 배럴(24) 내부로 전방으로 전진시킴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다. 동시에, 스프링(22)은 니들 홀더(18)의 대직경 섹션(62)의 저면과 노즈(76) 내부의 환형 숄더(65) 사이에서 압축된다. 니들 후퇴 조립체가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리테이너 부재(16)의 내측면(80)은 리테이너 부재(16)와 니들 홀더(18)의 대직경 섹션(62)의 외향 표면 사이에 액체 밀봉부를 제공하고, 그리고 리테이너 부재(16)의 외측면(82)은 배럴(24)의 튜브형 몸체(26)에 대해 액체 밀봉부를 제공한다. 니들(20)의 뭉툭한 후방향 단부는 다음에 니들 홀더(18)의 전방 연장 팁(70) 내로 삽입되어 제 위치에 접착되거나 또는 이와 유사하게 효과적인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다르게 부착되고, 이에 의하여 팁이 배럴(24)의 후방을 통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주사기(10)가 이러한 방법으로 조립될 때, 니들(20)의 경사진 전방 연장 팁으로부터 축방향 연장 챔버(84) 및 니들 홀더(18)의 횡방향 연장 통로(65)들을 통하여 배럴(24)의 유체 챔버(90)로 향하는 유체 소통이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단부캡(34)의 엄지손가락 캡(36)에 엄지손가락을 대고 압축함과 동시에 대향한 플랜지(28)들의 전방향 표면들 주위에 배치된 릿지(42)들에 대해 후방 압력을 가함으로써 플런저 조립체(12)가 주사 중에 배럴(24) 내로 전진될 때, 플런저 조립체(12)는 횡방향 웹(58)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홀더(18)의 둥근 후방 돌출 팁(64)에 접촉하여 굴곡하는 지점에 도달한다. 이것으로 인하여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14)의 몸체 부분의 환형 전방표면(100)은, 이 환형 표면(100)이 경사진 표면(102)에 정착해 있는 지점까지 아래로 계속 진행하게 됨에 따라 주사기(10)의 챔버(90) 내부에 남아있는 유체가 강제로 통로(65)들 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런 일이 발생할 때, 환형 표면(100)에 대해 경사진 표면(102)에 의해 후방으로 가해진 압력이 탄성중합체 밀봉부(14)의 환형 몸체 부분을 튜브형 몸체(38)의 환형 위치결정 링(44)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 활주, 변위시키거나 또는 펼쳐지게 만든다. 탄성중합체 밀봉부(14)의 환형 몸체 부분이 플런저(12)의 튜브형 몸체(38)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때, 양호하게 상기 환형 몸체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는 횡방향 웹 부분(58)은 전방 팁(94)에 걸쳐 팽팽하게 펼쳐지고 다음에 니들 홀더(18)의 후방 돌출 팁(64)에 의하여 후방으로 팽창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니들 홀더(18)의 전방 팁(94)뿐만 아니라 후방 돌출 팁(64)은 돌출 팁(64)이 펼쳐진 횡방향 웹(58)을 천공하거나 관통하기 전에 커터로서의 기능을 할 정도로 충분히 예리하지 않다.
플런저 조립체(12)의 엄지손가락 캡(36)에 엄지손가락 힘을 계속 적용하면(이는 실제로 하나의 부드럽고 연속적인 동작으로서 발생한다), 니들 홀더(18)의 후방 돌출 팁(64)이 횡방향 웹(58)을 파괴하며, 그리고 플런저 몸체(38)의 전방 팁(94)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기 전에 횡방향 웹 부분(58)이 파괴되면) 리테이너 부재(16)에 접촉하여 니들 홀더(18)의 대직경 섹션(62)을 벗어나 전방으로 밀고, 이에 의하여 압축된 스프링(22)이 니들 홀더(18) 및 적어도 니들(20) 부분이 플런저 몸체(38) 내부의 후퇴 공동(40) 내로 후방으로 밀고, 또한 니들(20)의 경사진 전방 팁이 배럴(24) 내부로 끌려가서 갇히게 된다. 도 4,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파괴된 횡방향 웹 부분(58)이 양호하게 탄성중합체이기 때문에 그리고 웹 부분이 파괴되기 전에 플런저 몸체(38)의 전방 팁(94)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를 가로질러 팽팽하게 펼쳐졌기 때문에, 횡방향 웹의 잔여부는 이 잔여부가 리테이너 부재(16)에 접촉함에 따라 전방 팁(94)의 경로에서 나와 수축할 수 있고, 또한 잔여부가 후퇴 중에 장애(hang-up)를 회피하기 위해 스프링(22)에 의해 후방으로 돌출될 때 니들 홀더(18) 및 니들(20)의 경로에서 나와 수축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5 및 도 7을 참고하여, 니들(20)이 배럴(24) 내로 후퇴되고, 이완된 스프링(22)의 하단이 노즈(76) 내부의 환형 숄더(65)상에 정착된 채로 유지되고,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14)의 환형 몸체 부분의 환형 후방 표면(86)이 플런저 조립체(12)의 튜브형 몸체(38)의 환형 숄더(88)를 향해 이동한다. 후퇴 후에, 스프링(22)의 전방 연장 단부는 반드시 노즈(76) 내부의 환형 숄더(65)상에 정착된 채로 유지될 필요는 없다.
도 10 내지 도 12는 주사기(110)가 전술한 바와 같은 주사기(10)와 유사하지만 약간 다르게 제조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주사기(110)에서 용이하게 인식가능한 한 가지 차이는, 니들 홀더(118) 및 니들(122)이 후퇴 중에 후방으로 추진될 때 후퇴 공동(150)을 통풍하기 위해 플런저 조립체의 튜브형 몸체(114)의 벽을 통과하며 제공되는 통풍구(116)이다. 주사기(110)에서 용이하게 인식가능한 또 하나의 차이는, 니들 홀더(118)의 형태이다. 니들 홀더(18)와 다르게, 니들 홀더(118)는 대향하며 비교적 예리한 2개의 커스프들(cusps)(140, 142)을 가지며, 이 커스프들은 상호작용하여서 활주가능한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144)의 횡방향 웹 부분(148)을 천공한다. 커스프들이 대향하며 니들 홀더(118)의 후방 연장 헤드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지 않기 때문에, 약물이 니들 홀더(118)의 중앙 배치된 보어(166) 내로 들어갈 수 있고, 니들 홀더(118)의 유체 통로(65)들과 같은 횡방향 액체 유동로들이 필요가 없어서 다른 경우에는 존재할 수 있었던 부족량(amount of ullage) 또는 "죽은 공간"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지적된 차이들 외에, 본 발명의 주사기(110)의 구조, 조립 및 작동은 주사기(10)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0을 참고하여, 주사기(110)는 플런저(114)가 밀봉 결합으로 삽입되는 배럴(112)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결합은 환형 몸체(144) 및 횡방향 탄성중합체 웹(148)을 포함하는 단일체로 성형된 고무질 플런저 밀봉부에 의해 제공된다. 플런저(114)가 니들 후퇴 전에 배럴(112) 내부로 전진됨에 따라 환형 몸체(144)가 경사진 숄더(155)에 접촉할 때, 환형 몸체(144)는 플런저(114)의 환형 표면(146)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탄성중합체 웹(148)을 펼친다. 플런저(114) 내부에 배치된 후퇴 공동(150)은 탄성중합체 웹(148)에 의해 밀봉되는 개방 전단부와, 단부캡(162)에 의해 차단되는 폐쇄 후단부를 갖는다. 플런저(114)가 주사 중에 및 주사에 이어서 배럴(112) 내로 완전히 들어감에 따라, 단부캡(162)이 양호하게 배럴 칼라의 환형 리세스(164) 내로 침입하여, 배럴(112)로부터 플런저(114)의 다음의 후퇴를 위해 단부캡(162)을 잡을 수 없게 만든다.
배럴(112)의 전방부에서, 니들 홀더(118)는 니들 홀더(118)의 전방 팁(158)이 배럴(112)의 전단부의 개구부에서 나와 전방으로 연장함에 따라 환형 숄더(156)가 배럴(112) 내측면과 결합하는 위치에 정착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니들(122)은 세장형 전방 섹션(120)의 중앙에 배치된 보어(166) 내부에서 니들 홀더(118)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후퇴 스프링(124)의 전방 연장 단부는 배럴 팁(112)의 전방에 있는 환형 숄더에 닿게 정착되고, 압축된 스프링(124)의 후방향 단부는 니들 홀더(118)의 대직경 섹션(126)의 전방향 환형 숄더(128)에 접촉하여 바이어스 힘을 가하고 있다. 니들 홀더(118)는 니들 홀더(118)와 배럴(112)의 내측벽 사이에 방수 밀봉부를 또한 제공하는 압축된 탄성중합체 리테이너 링(130)에 의하여 후퇴 전에 제위치에 유지된다. 환형 공간(154)은 양호하게 리테이너 링(130)의 전방에 제공되어 도 12에 대하여 아래에 설명한 바와 같이 후퇴를 용이하게 실행하게 한다. 다시 도 10을 참고하면, 이에 의하여 밀봉된 액체 수용 챔버(147)가 리테이너 링(130)과 환형 몸체(144)와 플런저 밀봉부의 탄성중합체 웹(148) 사이에서 배럴(112) 내부에 제공되며, 동시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유체 통로가 니들 홀더(118)의 보어와 니들(122)을 통과하고 있다.
도 10과, 견주어 보건대 도 12를 참고하면, 주사시에 따르는 사용자로부터의 엄지손가락 압력에 의하여 플런저(114)가 완전히 배럴(112) 내로 전진됨에 따라,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후방 돌출 구조체들(140, 142)은 탄성중합체 웹(148)에 접촉하여 이 웹을 후방향으로 팽창 또는 변위시킨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플런저(114)의 환형 몸체가 배럴(112) 내부에서 대향한 환형 숄더(155)에 닿게 전진하고, 이것에 의하여 환형 몸체(144)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플런저(114)가 배럴(112)에 대하여 전방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탄성중합체 웹(148)을 더욱 팽팽하게 펼친다. 플런저의 전단부가 플런저 밀봉부를 통해 작용하면서 리테이너 링(130)에 접촉하여 이를 공간(154) 내로 전방으로 밀 때, 돌출부들(140, 142)이 탄성중합체 웹(148)을 파괴하고 리테이너 링(130)이 니들 홀더(118)를 해제하여 니들 홀더(118)가 후퇴 공동(150) 내로 밀려 들어감에 따라 배럴(112) 내로의 니들(122)의 후퇴를 실행하게 된다. 후퇴를 따라가면서, 도 11과 비교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밀봉부의 환형 몸체(144)가 플런저(114)의 환형 벽(145)을 향해 변위된다. 리테이너 링(130)은 환형 공간(154) 내에 남아있고, 스프링(124)이 이완되고, 니들 홀더(118) 및 니들(122)이 모두 플런저(114)의 후퇴 공동 내부에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홀더(118) 및 니들(122)은 플랜지(164)들 및 돌출부(140)를 더 잘 예시하기 위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90도 회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200)와 관련되어 설명된다. 도 13은 주사기(200)가 포장, 운반 및 저장될 수 있는 그대로를 도시하고 있다. 주사기(200)는 양호하게 배럴(202), 배럴(202) 내에 삽입되어 활주가능하게 배럴의 내측벽과 결합하는 플런저(204),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236)을 덮고 있는 보호 커버(206)를 포함한다. 주사기(10)에 관하여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3 내지 도 15에는 사용 전에 니들(236)이 우발적으로 약해지거나 뭉툭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니들 커버(206)가 어떻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배럴(202)의 전단부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는지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니들 커버(206)는 양호하게 마찰 결합에 의하여 배럴(202)의 전단부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지만, 그러한 마찰 결합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마찰 결합은 캡 내부, 또는 배럴(202)의 노즈부분상에 또는 양쪽 모두에 배치되는, 환형 스냅링, 상호작용적으로 테이퍼진 원추형 또는 리브형 표면들, 나사 등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배럴(202)과 마주보는 단부에서 더 넓은 개구부를 갖는 캡을 제공함으로써, 조립 중에 캡을 가이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니들 커버(206)의 전방 팁은 개방되어 있어서 캡에서 공기를 통하게 하여 몰드 코어 핀들이 각 단부로부터 당겨지도록 허용한다. 분리가능한 니들을 갖는 주사기(200)에서 사용할 때에는, 캡은 심지어 렌치(wrench)로서 사용될 수 있어서 니들 홀더의 전단부에 나사식 니들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니들을 포함한 전단부 부착부(front-end attachment)를 배럴에 조립시킬 수 있게 도움을 준다.
다음에 도 14를 참고하면, 주사기(200)의 플런저(204)는 추가로 제거식 인서트(208)를 갖는 성형된 단부캡(210); 플런저(204)에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플런저(204)와 배럴(202) 사이에 가능한 마찰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축방향 연장 리브(212); 및 환형 보스(214)에 걸쳐 플런저(204)의 팁 둘레에 정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후퇴를 용이하게 하도록 플런저(204)의 숄더(216)를 향하여 리세스(218)를 가로질러 후방으로 활주할 수 있는 환형 몸체 부분(220)을 갖는 플런저 밀봉부를 포함한다. 또한 플런저 밀봉부는 후퇴 전에 플런저(204)의 전방 대면 개방단에 걸쳐 밀봉부를 제공하는 횡방향 탄성중합체 웹 부분(242)(도 15)을 갖는다. 플런저(204) 외측면상의 환형 보스(214)는 환형 몸체(220)의 상호작용하는 환형 리세스(240) 내부로 수용되며, 흡입 중에 플런저(204)가 배럴(202) 내부로 후방으로 당겨질 때 플런저(204)가 플런저 밀봉부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유지력을 제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200)의 니들 후퇴 조립체는 필요한 대로 니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함께 나사결합되는 두 부품들을 갖는 니들 홀더를 포함한다. 니들 베이스(234)는 대직경 헤드 섹션(224) 아래에서 세장형 몸체 섹션(226)의 암나사형 전단부(228)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수나사형 섹션을 가지며, 상기 대직경 헤드 섹션은 추가로 도 15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후방 대면 돌출부(246)를 포함한다. 주사기(200)의 조립 중에, 탄성중합체 리테이너 링(222)은 니들 홀더의 헤드 부분(224)에 걸쳐 적용될 수 있도록 약간 펼쳐진다. 니들 홀더의 전단부(228)는 스프링(256) 내로 삽입되고, 이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256)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니들 홀더의 헤드 부분(224)과 배럴(202)의 내측벽 사이에 액체 밀봉부를 확립하기 위해 몸체 섹션(226) 및 스프링(256)이 모두 배럴(202) 내부에 정착되며 리테이너 링(222)이 배럴(202) 내부에 대해 충분하게 압축될 때까지, 몸체 섹션(226) 둘레에 압축되어 배럴(202) 내로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15), 작은 환형 범프(bump)(272)도 역시 배럴(202)의 내측벽에 제공되어 리테이너 링(222)과 배럴(202)의 내측벽 사이에 추가의 마찰 지지 및 결합을 제공한다. 니들 후퇴 조립체의 설치에 따라서, 다음에 플런저 밀봉부(220)가 부착된 상태로 조립된 플런저는 내측벽과 활주식으로 결합하도록 배럴(202) 후방의 개방 칼라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미 니들(236)이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부착되지 않은 니들 베이스(234)는 다음에 배럴(202) 내부에 정착된 니들 홀더의 몸체 섹션(226)의 전단부(228)와 나사결합된다. 니들 커버(206)의 내부 형태에 의존하여, 니들 커버는 가능하면 니들 베이스(234)를 돌려 이 나사부와 몸체 섹션(226)의 나사부를 결합시키기 위해 렌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동시에, 니들 커버(206)의 후방 대면 개방단(261)이 배럴(202)의 전방 연장 노즈 둘레에 배치되어 있어서 적절한 나사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니들 베이스(234)와 몸체 섹션(226)의 나사단부(228)를 정렬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필요하면, 니들 베이스(234)가 유사하게 배럴(202) 내부에 플런저(204)를 삽입하기 전에 부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은 추가로 조립된 주사기(200)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다. 배럴(202)은 후방 단부 부근에 대향한 플랜지(232)들을 포함하고, 플랜지들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한 그립핑 표면들을 제공하여 주사기(200)가 지지면에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후방 연장 칼라(230)는 양호하게 플랜지(232)들 뒤에 제공되며, 배럴(202)의 개방 후방 단부에 인접한 리세스(238)를 포함한다. 리세스(238)는 양호하게 플런지 단부캡(210)이 니들 후퇴를 따라서 칼라(230)와 밀착 결합하게 배치되고 칼라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크기 및 위치에 배치된다. 인서트(208)는 후퇴 공동(244)을 위한 통풍구(209)를 구비하고, 또한 성형 중에 코어 핀의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니들 베이스(234)의 전방 부근에서 니들 커버(206)의 전방 섹션(260) 내부에 배치되어 상호작용하는 크기를 갖고 정렬된 보스 및 리세스를 포함하는 작은 환형 스냅링(258)이 제공되어 니들 커버(206)와 주사기(200) 사이에 마찰 결합을 제공한다. 이것은 커버(206)의 측벽이 배럴(202)의 노즈(268)로부터 약간 이격될 수 있게 허용한다. 개구부(262)는 양호하게 전방 섹션(260)의 전단부에 제공되지만, 주사기(200)가 사용될 때까지 살균성 포장재 내부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206)가 어떤 경우에 제거될 때에도 무균성(sterility)은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니들(236)은 양호하게 환형 리세스(254) 내부에 배치된 접착제(또는 유사하게 작용하는 다른 부착 방법)에 의하여 니들 베이스(234)에 부착되고, 니들 베이스(234)는 상호작용하는 나사부들(264, 266)에 의하여 니들 홀더 몸체(226)의 내측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된다. 후퇴 스프링(256)은 노즈(268)와 니들 홀더 몸체(226) 사이의 환형 공간 내부에서 압축된다. 스프링(256)은 니들 홀더 헤드(224) 둘레에 배치된 리테이너 링(222)에 의하여 압축상태로 보유된다. 니들 홀더의 후방에 있는 후방 대면 돌출부(246)는 중앙에 배치되고, 측방향 지지부를 제공하는 원주방향 이격된 복수의 경사진 버트레스들(buttresses)을 포함한다. 돌출부(246)의 팁을 둥글게 하면 탄성중합체 웹(242)이 후퇴 중에 파괴되기 전에 다른 방법으로 가능하였던 것보다 후방으로 더 긴 거리로 팽창될 수 있게 한다. 횡방향 유동 채널(248)은 양호하게 니들 홀더의 보어(250)와 유체 소통하게 하여 유체가 니들(236)을 통해 배럴(202)의 액체 수용 챔버(270)로 유입 및 유출할 수 있게 한다. 돌출부(246), 탄성중합체 웹(242) 및 횡방향 유동 채널(248)이 상호작용하여 액체 수용 챔버(270) 내부의 체적을 더 많이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제 도 17과 관련지어 도 15를 참고하면, 플런저(204)가 돌출부(246)를 향하여 전방으로 진행할 때, 돌출부는 탄성중합체 웹(242)에 접촉하고, 따라서 웹이 후퇴 공동 내로 후방으로 팽창하도록 만들고, 동시에 플런저 밀봉부의 환형 몸체(220)의 전방부분이 배럴(202)의 경사진 환형 숄더(274)에 접촉하게 된다. 플런저가 계속 진행함에 따라, 환형 몸체(220)는 이 몸체가 플런저(204)의 환형 숄더(216)에 접할 때까지 후방으로 활주하며, 또한 이것이 돌출부(246)에 의한 파괴 지점까지 탄성중합체 웹(242)을 펼쳐 얇게 만든다. 본원의 개시내용을 읽으면, 예리한 첨부 또는 에지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라도 후방 대면 돌출부의 사용이 플런저 팁의 원주에서 환형 몸체로부터 웹의 분리 전에 돌출부와 웹 사이의 접촉 영역에서 탄성중합체 웹을 파괴할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이것은 환형 몸체 의해 웹상에 가해진 스트레칭 힘이 원주에 균일하게 퍼지는 한편 돌출부에 의해 웹에 가해진 힘이 더 작은 면적 내에서 집중되기 때문인 것으로 믿어진다.
플런저 밀봉부가 플런저(204)상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때, 플런저 밀봉부를 통해 작용하는 플런저의 전단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리테이너 링(222)에 접촉하여 리테이너 링을 환형 공간(252) 내로 전방으로 밀기 시작한다. 탄성중합체 웹(242)이 양호하게 니들 홀더가 리테이너 링(222)에 의해 해제되기 직전에 파괴된다. 니들 홀더가 해제될 때, 스프링(256)은 탄성중합체 웹(242)이 돌출부(246)에 의해 파괴된 후에 이전에 탄성중합체 웹(242)이었던 환형 스커트가 스냅백(snap back)할 수 있을 때 형성되는 플런저(204)의 후퇴 공동(244)의 전방의 개구부를 통해 후방으로 니들 홀더를 구동한다. 일단 탄성중합체 웹(242)이 돌출부(246)에 의한 관통을 따라서 스냅백하면, 웹의 나머지가 일부 경우에 플런저의 전방 팁과 리테이너 링(222) 사이에 배치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플런저의 전방 팁이 니들 후퇴를 따라서 리테이너 링(222)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17에서, 니들 홀더 몸체(226), 니들 베이스(234), 니들(236) 및 거의 스프링(256)의 전단부가 팽창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후퇴 공동(244) 내로 가압되었다. 이완된 스프링(256)의 길이, 직경, 및 후퇴 이후의 위치가 변할 수 있지만, 니들(236)은 우발적인 니들 찔림에 대항하여 보호하기 위해 후퇴를 따라 배럴(202) 내부에 남아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의료기구의 다른 실시예가 도면들의 도 18 내지 도 23에 관하여 설명되어 있다. 이 도면들을 참고하여, 예를 들어 피하 주사기가 될 수 있는 의료기구(300)는 배럴(302), 배럴(302)의 전방부분에 정착된 후퇴 가능한 니들 조립체, 및 배럴(302) 후방에서 실질적으로 튜브형 칼라(342)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런저(304)를 포함한다. 배럴(302)은 추가로 대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횡방향 플랜지(326, 328) 및 소직경 노즈 섹션(336)을 포함한다.
후퇴가능한 니들 조립체는 배럴(302)의 전방부 내부에서 지지되고, 추가로 니들 홀더(308), 탄성중합체 리테이너 부재(310), 및 압축 스프링(312)을 포함한다. 리테이너 부재(310)는 니들 홀더(308)와 배럴(302)의 내측벽 사이에 유체 밀봉부를 제공한다. 압축 스프링(312)의 전방 연장 단부는 니들 홀더(308)의 전방 부근에 배치된 전방 대면 환형 숄더와 결합하는 노즈 섹션(336)의 후방 대면 환형 숄더(331)에 의하여 배럴(302)에 대해 전방 이동이 방지된다. 니들 홀더(308)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로는 양호하게 니들(314)의 보어와 횡방향 유체 유동로(33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횡방향 유체 유동로는 니들 홀더(308)의 후방팁(348) 바로 앞에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304)는 양호하게 후퇴 공동(330)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튜브형 벽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 벽은 리브(305)들의 소직경 섹션(318)을 그대로 두고, 플런저(304)와 배럴(302) 사이에 적절한 정렬을 유지하도록 돕기 위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원주방향 이격된 적어도 2개의 축방향 연장 리브(305)들을 갖는다. 대직경 섹션(340)은 양호하게 의료기구(300)의 후방 칼라(342)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칼라 내부와 밀접하게 연결되는 플런저(30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304)의 튜브형 벽은 길이방향 연장 후퇴 공동(330)을 형성하고, 이 후퇴 공동(330)은 그 후단부에서 단부캡(338)에 의해 폐쇄되고 그 전단부에서 플런저 밀봉부(316)의 대체로 횡방향 탄성중합체 웹(317)에 의해 폐쇄된다. 플런저 밀봉부(316)는 플런저(304)의 작은 외경 섹션(318)상에 정착되어 있다. 경사진 전방 숄더 및 비교적 정사각형 후방 숄더를 갖는 반경방향 연장 환형 돌출부(322), 또는 다른 유사한 효과의 구조체가 제공되어 플런저(304)가 예를 들어 의료기구(300)의 흡입 중에 발생할 수 있듯이 배럴(302) 내부로 후방으로 당겨질 때 그동안 플런저(304)의 전방에서 플런저 밀봉부(316)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304)의 튜브형 벽의 전방 연장 단부(320)는 다른 것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탄성중합체 웹(317)의 적어도 일부분이 의료기구(300)의 공통 길이방향 축에 대해 수직인 횡단면에서 약간 벗어나 경사지게 만든다. 이것은 또한 계단진 전단부(320)의 최전방 연장부를 덮는 탄성중합체 웹(317)의 전방 대면 표면의 부분이 먼저 후퇴가능한 니들 조립체의 리테이너 부재(310)에 접촉하게 만들고, 이에 의해 초기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힘이 리테이너 부재(310)의 한 측면에 집중되어서 니들 홀더(308) 및 배럴(302)의 내측벽에 대하여 리테이너 부재(310)의 이동을 개시하게 한다.
도 21과 연결지어 도 18을 참고하면, 플런저(304)가 배럴(300)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면, 결국 탄성중합체 웹(317)이 니들 홀더(308)의 돌출부(348)에 접촉하여 탄성중합체 웹(317)이 니들 홀더의 후방 연장부에 걸쳐 펼쳐지게 만들고 그리고 후퇴 공동(330) 내로 작은 거리로 후방으로 팽창하게 만든다. 플런저(304)가 계속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 밀봉부(316)의 전방 대면 환형 숄더가 노즈(336)에 인접한 배럴(302)의 내향 테이퍼링 숄더(323)에 접촉하며, 이로써 플런저 밀봉부(316)가 도 22에 도시된 위치로 플런저(304)의 소직경 섹션(318)상에서 후방으로 활주하게 만든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플런저(304)의 전단부(320)가 리테이너(310)에 작용하여 도 22에 도시된 위치로 공간(311)(도 21) 내로 전방으로 밀려가게 한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탄성중합체 웹(317)이 파괴되고, 니들 홀더(308)가 더 이상 압축 스프링(312)에 의하여 후방으로 가해진 힘에 대항하여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도 21을 참고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12)이 팽창할 때, 니들 홀더(308) 및 니들(314)은 플런저(304) 내부의 후퇴 공동 내로 후방으로 구동된다. 의료기구(300)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후퇴가능한 니들 조립체의 모든 부분이 배럴(302)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의료기구의 배럴은 플라스틱, 유리 또는 의도한 용도에 적합한 어떠한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플라스틱"은 기본적으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레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성형가능한 열가소성 중합체들을 지칭하며, 이들은 또한 치료제, 충전제, 보강제, 착색제, 및/또는 가소제 등과 같은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고, 그리고 열 및 압력하에서 형성(form) 또는 성형(mold)될 수 있다. 배럴이 플라스틱과 상호작용하거나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액체를 다른 방법으로 넣을 수 있는 치환제에 의해 열화될 수 있는 치료 약물과 장기간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응용예에서 본 기구가 사용되도록 의도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이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플런저의 튜브형 몸체 또는 핸들도 역시 양호하게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통상적으로 후퇴 전에 치료약물과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종래에는, 플런저 밀봉부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탄성중합 재료들은 종종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지만 의약품 등급 유체와 함께 사용하도록 승인되어 침출 또는 가스 이주에 쉽게 영향받지 않는 가교결합된 열경화성 고무 중합체를 포함하였다. 이제 본 발명의 플런저 밀봉부가 해당되는 치료약물과 함께 사용하도록 승인된 사출성형 가능한 탄성중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탄성중합 재료가 환형 몸체 부분 내로 성형될 때 플런저 핸들과 배럴 사이에 신뢰할 수 있는 액체 밀봉부를 제공하며 그리고 예로서 흡입 중에 플런저가 후퇴될 때 플런저 밀봉부로부터 플런저 핸들의 분리에 저항할 정도로 충분한 강성을 가진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또한, 플런저 밀봉부가 이상적으로는 단일 탄성중합 재료로 단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사용된 재료는 후퇴 전에 그러나 너무 빠르지는 않게 펼쳐지며 얇게 될 수있는 충분한 두께 및 인성(toughness)을 가져야 하고, 또한 후퇴를 허용하기 위해 니들 후퇴 조립체상에서 후방 대면 돌출부에 의해 관통될 때 용이하게 균열될 것이다. 그러한 용도에 적합한 탄성중합체는 약 45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Uniprene ® 고무가 될 수 있다. 리테이너 링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는 양호하게 플라스틱보다 더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고 그리고 의약품 등급 유체와 함께 사용하도록 승인되어 침출 또는 가스 이주에 쉽게 영향받지 않는 가교결합된 열경화성 고무 중합체가다.
니들 후퇴 조립체의 니들 홀더 부분은 또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조될 수 있고, 그리고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들 홀더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로 제조될 수 있다. 니들을 니들 홀더(또는 부착가능한, 분리가능한 및/또는 교체가능한 니들을 갖는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니들 팁)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그러한 중합체 수지들 및 접착제들은 상업적으로 구하기 쉽다. 유사하게, 통상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으로 제조된 압축 스프링도 역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하기 쉽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체"는 기본적으로 액체를 지칭하지만, 또한 액체 내에 분산된 고체 현탁액, 및 본 발명의 디바이스들의 유체 저장부 내부에서 액체에 용해되는 가스 또는 다른 방법으로 액체와 함께 존재하는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밀봉부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절한 종래 상업적으로 구하기 쉬운 윤활제는 밀봉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의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후퇴를 실행하도록 플런저를 통해 적용되어야 하는 힘을 낮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이점은, 얇게 팽팽하게 펼쳐진 탄성중합체 웹(148)이 파열될 때, 니들 홀더(118) 및 스프핑(124)의 전단부를 장애물 없이(그렇지 않으면 몸체(112) 내로 니들(122)의 완전한 후퇴를 방해할 수 있는) 통과시키기에 충분히 큰 개구부를 생성하게 할 정도의 충분한 속도 및 힘으로 고무질 재료가 스냅백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후퇴를 개시하는데 필요한 엄지손가락 힘이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종래의 상업적으로 구하기 쉬운 주사기에서 이미 달성할 수 있었던 것보다 실질적으로 작다는 점이다. 이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 발명이 플런저 공동에 접근하기 위해 제거되어야만 하는 플러그를 갖지 않고, 부분적으로 후퇴를 개시하는데 필요한 플라스틱 부품들의 절단 또는 파괴가 없고 그리고 부분적으로 절단 또는 파괴를 개시하기 위해 작동되어야만 하는 투피스 플런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비 검사에 기초하여, 니들을 후퇴시키는데 필요한 평균 엄지손가락 힘이 본원에 개시된 구조물 및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30% 이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니들 홀더에 의한 관통 순간에 플런저 밀봉부의 탄성중합체 웹의 활주 및 펼쳐짐이 후퇴를 개시하는데 필요한 엄지손가락 힘의 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횡방향 탄성중합체 웹과 함께 단일체로 형성된 환형 몸체를 갖는 가동 플런저 밀봉부의 사용은 후퇴 전에 제거식 플러그에 의해 밀봉되는 내부 후퇴 공동들을 갖는 플런저들을 갖는 의료기구를 생산하는데 예전에 필요로 하였던 제조공차들보다 더 크고 더 많이 허용되는 제조공차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구에 의하여, 이 기구 내에 저장된 유체에 의하여 플러그에 가해진 압력으로 인한 너무 이른 분출은 제약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작동상의 이점은 후퇴를 개시하기 위한 플런저의 원활한 전방 이동이다. 이러한 원활한 해제는 활주가능하고 파열가능한 플런저 밀봉부와, 탄성중합체 리테이너 링의 조합된 사용에 직접 기여할 수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 링은 파열되는 플라스틱 부품들과 플런저 플러그들을 제거하는 것으로부터 초래되는 부딪침 또는 덜컥거림이 없이 또는 후퇴가능한 니들을 갖는 주사기의 사용시에 예전에 경험하였던 청각적 "클릭(click)" 소리가 없이 플런저의 연속적인 전방 이동에 의하여 해제 위치로 밀려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24 내지 도 28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으며, 즉 다르게 구성된 탄성중합체 밀봉부(350)가 플런저(318)의 전방부에 장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플런저(318)의 전방에 있는 개구부에 걸쳐 펼쳐지는 탄성중합체 웹(358)의 부분은 영역(360)에서 약간 두꺼운 것이 양호하며, 상기 영역(360)에서 플런저 밀봉부(350)의 탄성중합체 웹(358)이 후퇴 전에 웹(358)의 너무 이른 파열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로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홀더의 후방 연장 돌출부에 접촉한다. 또한, 환형 노치 또는 홈(362)은 양호하게 플런저(318)의 전방 부분들(344, 346) 둘레에 제공되어서, 배럴(302) 내부에서 플런저(318)를 전진시키며 파열되는 탄성중합체 웹(358)에 의한 니들 후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플런저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350)는 양호하게 내향 대면 및 외향 대면 환형 리세스들(354, 356)을 갖는 실질적인 원통형 측벽을 구비한 단일체 성형된 탄성중합체 몸체(350)를 포함한다. 환형 리세스(356)는 플런저(318)와 배럴(302) 사이에 유체 밀봉부를 유지하면서 배럴(302)의 내측벽을 따라서 마찰 항력을 줄여준다. 환형 리세스(354)는, 플런저(318)가 도 25 및 도 24에 각각 도시된 화살표(364, 352)로 지시된 바와 같이 배럴(302)에 대하여 활주할 때 플런저 밀봉부(350)가 플런저(318)에 대하여 활주할 수 있게 허용한다.
도 24를 참고하면, 화살표(352)로 나타난 바와 같이 그리고 예를 들어 본 의료기구 내로 유체를 끌어당길 때 일어나는 바와 같이, 플런저(318)가 배럴(302)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플런저 밀봉부(350)의 몸체는 플런저(318)의 외향 돌출 환형 플랜지(322)가 내향 대면 환형 리세스(354)의 후방벽에 닿을 때까지 전방으로 활주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5를 참고하면, 화살표(364)로 나타나 바와 같이 그리고 예를 들어 본 의료기구로부터 유체를 방출할 때 일어나는 바와 같이, 배럴(302)의 내측면에 대한 플런저 밀봉부(350)의 마찰 항력은 밀봉부(350)로 하여금 플런저(318)의 환형 플랜지(322)에 대하여 후방으로 활주하게 만들고, 이에 의하여 탄성중합체 웹(358)이 니들 후퇴 공동(330)에 접근하게 하는 플런저(318) 전방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더욱 팽팽하게 펼쳐지게 된다. 출원인은, 배럴(302) 내부에서 전방으로 플런저(318)를 전진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플런저(318)의 전방 부분들(344, 346) 둘레에서 이로부터 약간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플런저 밀봉부(350)의 몸체의 전방 대면 부분에 환형 노치 또는 홈(362)을 제공함으로써 탄성중합체 웹 부분(358)의 너무 이른 파열 가능성을 증가시킴이 없이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플런저(318)가 배럴(302)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함에 따라, 플런저 밀봉부(350)의 실질적인 원통형 몸체 섹션이 플런저(318)에 대하여 후방으로 활주하며 환형 리세스(354)의 후단부와 플런저(318)의 환형 플랜지(322) 사이의 갭을 개방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변경 및 수정이 유사하게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를 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하게 나타나며,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가 발명자들이 법적으로 권리를 갖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가장 넓게 해석함에 의하여 제한되도록 의도되어 있다.

Claims (42)

  1. 배럴(barrel), 후퇴가능한 니들, 니들 후퇴 조립체, 및 상기 배럴과 활주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런저를 갖는 의료기구로서,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는 상기 니들의 후퇴 중에 상기 배럴에 대하여 후방으로 상기 니들을 돌출시키도록 바이어스(bias)되며 그리고 상기 배럴에 접촉하는 리테이너 부재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니들의 후퇴 전에 상기 배럴에 대해 제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및
    상기 플런저는 상기 니들이 후퇴를 따라가며 노출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를 충분히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후퇴 공동과, 상기 플런저상에 배치된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밀봉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플런저상에서 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플런저 밀봉부는 상기 니들의 후퇴 전에 또는 후퇴 동안에 상기 후퇴 공동으로 향하는 개구부에 걸쳐 밀봉하는 탄성중합체 웹(web)을 추가로 포함하는, 의료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배럴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탄성중합체 웹에 접촉하여 연장시키며 파열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후방향 돌출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배럴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탄성중합체 웹에 접촉하여 파열시키는 복수의 후방 연장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의료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배럴 내부에서 전진될 때 상기 배럴로부터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를 해제하도록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 접촉하는, 의료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밀봉부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배럴 내부에서 전진될 때 상기 배럴로부터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를 해제하도록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 접촉하는, 의료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는 상기 플런저 밀봉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플런저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분이 접촉하는, 의료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웹의 일부분이 상기 플런저가 상기 배럴 내부에서 전진될 때 상기 배럴로부터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를 해제하도록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변위시키는, 의료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웹은 환형 몸체의 적어도 부분이 상기 플런저상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때 펼쳐지는, 의료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주사기로서 구성되는 의료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를 통해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 가해진 힘이 상기 리테이너 부재의 한 부분에 집중하도록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단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는 상기 플런저를 통해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 가해진 힘이 초기에 상기 리테이너 부재의 후방 대면 부분의 한 측면에 집중하도록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촉 계면을 포함하는 의료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를 통해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 가해진 힘이 상기 리테이너 부재 둘레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단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 밀봉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의료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는 상기 후퇴 공동을 향하여 후방향으로 상기 후퇴가능한 니들을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의료기구.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는 상기 후퇴 공동을 향하여 상기 후퇴가능한 니들을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향 돌출 구조체는 상기 스프링이 후퇴 중에 상기 탄성중합체 웹을 통해 상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기 탄성중합체 웹을 천공하는, 의료기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의료기구의 사용 중에 또는 후퇴 전에 교체될 수 있는, 의료기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리테이너 부재의 일부분에 상기 플런저를 통해 가해진 전방 지향력을 집중시키도록 구성되는, 의료기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부재는 탄성중합체인, 의료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부재는 탄성중합체 링인, 의료기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부재 및 상기 플런저 밀봉부는 상기 의료기구 내부에 밀봉된 액체 수용 챔버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배럴의 내벽과 각각 상호작용하는, 의료기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후퇴 공동을 향하는 개구부를 둘러싸는 뭉툭한 전방 대향 표면을 갖는, 의료기구.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밀봉부의 상기 환형 몸체는 상기 배럴과 활주가능하게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외향한 환형 릿지(ridge)들을 포함하는 의료기구.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밀봉부는 적어도 하나의 내향한 환형 리세스를 갖는 환형 몸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 밀봉부의 환형 몸체의 내향한 환형 리세스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향한 돌출부를 갖는 튜브형 측벽을 포함하는 의료기구.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부재는 탄성중합 재료로 성형되는, 의료기구.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는 상기 탄성중합체 웹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후방향 돌출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는 상기 플런저가 후퇴 직전에 또는 후퇴 중에 상기 배럴 내부로 밀려 들어갈 때 상기 후퇴 공동까지 상기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상기 탄성중합체 웹에 접촉하여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향 돌출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는 상기 플런저가 후퇴 직전에 또는 후퇴 중에 상기 배럴 내부로 밀려 들어갈 때 상기 후퇴 공동까지 상기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상기 탄성중합체 웹에 접촉하여 변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향 돌출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2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구는 일회용 주사기인, 의료기구.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구의 배럴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의료기구.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구의 배럴은 유리로 제조되는, 의료기구.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측벽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의료기구.
  3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측벽은 유리로 제조되는, 의료기구.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길이방향으로 계단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향 대향한 뭉툭한 표면을 갖는, 의료기구.
  3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측벽은 니들 후퇴 전에 상기 플런저 밀봉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후방향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플런저 밀봉부를 너머 충분한 거리에 배치되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축방향 연장 리브들을 포함하는 의료기구.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밀봉부 및 리테이너 부재는 다른 탄성중합 재료로 제조되는, 의료기구.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밀봉부는 상기 의료기구에 사용되는 치료약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승인된 성형가능한 탄성중합 재료로 제조되는, 의료기구.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밀봉부는 상기 니들의 후퇴 전에 상기 플런저 밀봉부가 펼쳐지며 더 얇아질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로부터 후방향으로 돌출하는 구조체에 의해 관통될 때 또한 용이하게 균열 또는 파열되기에 충분한 두께 및 강인성을 갖는 성형가능한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되는, 의료기구.
  39.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보다 더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고 그리고 의약품 등급 유체들과 함께 사용하도록 승인되고 침출 또는 가스 이동에 쉽게 영향받지 않는 가교결합된 열경화성 고무 중합체로 제조된 리테이너 부재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4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몸체는 상기 플런저에 접촉하며 윤활유를 바른 적어도 하나의 내향한 부분을 갖는, 의료기구.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플런저 밀봉부는 추가로 상기 탄성중합체 웹에서 반경방향 외부에 배치된 전방 대면 노치 또는 홈을 포함하는 의료기구.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웹은 상기 후퇴가능한 니들의 후퇴 전에 상기 니들 후퇴 조립체의 일부분이 접촉하는 두꺼운 영역을 포함하는 의료기구.
KR1020137002261A 2010-06-30 2011-06-30 후퇴가능한 니들 및 가동 플런저 밀봉부를 갖는 의료기구 KR101838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27,548 US9642970B2 (en) 2010-06-30 2010-06-30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and moveable plunger seal
US12/827,548 2010-06-30
PCT/US2011/042628 WO2012003343A1 (en) 2010-06-30 2011-06-30 Medical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and moveable plunger se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121A true KR20130137121A (ko) 2013-12-16
KR101838876B1 KR101838876B1 (ko) 2018-03-16

Family

ID=4540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261A KR101838876B1 (ko) 2010-06-30 2011-06-30 후퇴가능한 니들 및 가동 플런저 밀봉부를 갖는 의료기구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9642970B2 (ko)
EP (1) EP2588174B1 (ko)
JP (1) JP6033220B2 (ko)
KR (1) KR101838876B1 (ko)
CN (1) CN102573966B (ko)
AP (1) AP2013006670A0 (ko)
AR (1) AR082031A1 (ko)
AU (1) AU2011272832B2 (ko)
BR (1) BR112012033775B1 (ko)
CA (1) CA2802547C (ko)
CL (1) CL2012003704A1 (ko)
CO (1) CO6640321A2 (ko)
ES (1) ES2776993T3 (ko)
GE (1) GEP20146148B (ko)
MX (1) MX342121B (ko)
PE (1) PE20131076A1 (ko)
SG (1) SG186367A1 (ko)
TW (1) TWI616217B (ko)
WO (1) WO2012003343A1 (ko)
ZA (1) ZA20120973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035B1 (ko) * 2020-12-11 2021-02-23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를 위해 잠김 구조를 갖는 일회용 주사 장치
KR102219038B1 (ko) * 2020-12-11 2021-02-23 (주)풍림파마텍 외부 하우징에 수용된 록킹 모듈과 주사액이 담긴 약액 카트리지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KR102224517B1 (ko) * 2020-12-11 2021-03-09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를 위해 외부 하우징과 록킹 모듈 간의 록킹 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7538B2 (ja) 2004-09-03 2012-04-18 エル・オー・エム・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格納可能な針を備えた使い捨て空気圧式安全注射器
WO2010093603A1 (en) 2009-02-11 2010-08-1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nsulated ablation cathet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CN113730703A (zh) * 2012-10-17 2021-12-03 椭元医疗技术有限公司 自动药物输送装置
US10940263B2 (en) * 2013-03-04 2021-03-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ingle step removal of cannula guard and adhesive liner in medical device
US9071004B2 (en) * 2013-03-15 2015-06-30 Richards Manufacturing Company Sales, Inc. Self-supported jacket seal for high voltage cable accessories
US9456775B2 (en) 2013-09-06 2016-10-04 Millaghi Medical, Inc. Passive safety I.V. blood collection catheter
CA2943721C (en) 2014-03-26 2021-06-08 L.O.M. Laboratories Inc. Gas release cell
WO2016061002A1 (en) 2014-10-13 2016-04-2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diagnosis and treatment using mini-electrodes
CN106604675B (zh) 2014-10-24 2020-01-10 波士顿科学医学有限公司 具有耦接到消融尖头的柔性电极组件的医疗设备
CA2965712C (en) 2014-10-31 2023-06-13 L.O.M. Laboratories Inc. Retractable needle syringe
US10709847B2 (en) 2015-01-20 2020-07-14 L.O.M. Laboratories Inc. Retractable needle syringe with unitary propellant release module
US9415176B1 (en) * 2015-01-22 2016-08-16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Autoinjector having an end-of-dose visual indicator
EP3271127B1 (en) 2015-03-17 2020-11-18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 for automated membrane fabrication
EP3377155B1 (en) * 2016-11-18 2022-07-27 Global Medisafe Holdings Ltd Retractable syringe
EP3562534B1 (en) 2016-12-30 2023-06-07 Novo Nordisk A/S A needle cannula, an injection needle assembly for an injection device and an injection device comprising such assembly
US20190298928A1 (en) 2018-03-29 2019-10-03 Thomas J. Shaw Syringe with Flat Indicia Display Surface
WO2020042049A1 (en) 2018-08-30 2020-03-05 Jiangsu Caina Medical Co., Ltd Safety syringe
US11298467B2 (en) * 2019-02-27 2022-04-12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Syringe with multifunctional needle holder and retainer ring assembly
CN110721368A (zh) * 2019-10-19 2020-01-24 徐州宏华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适于注射的玻璃注射器
US20220062558A1 (en) * 2020-09-03 2022-03-03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Medical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and Modified Plunger Handle with Concave Pressure Application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56414C (da) 1987-07-13 1990-01-22 Gerda Ingrid Maria Gaarde Injektionssproejte med kanyle, der kan indtraekkes og fastlaases i sproejten
US5053010A (en) * 1990-10-03 1991-10-01 Triad Technology Safety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DE59102645D1 (de) 1991-05-29 1994-09-29 Paolo Caselli Spritze mit Vorrichtung zum selbsttätigen Klemmen der Nadel und mit Mittel zum Einziehen der Nadel in die Spritze am Ende einer Einspritzung.
US5180369A (en) 1992-01-20 1993-01-19 Dysarz Edward D Self destructive safety syringe
US5180370A (en) 1992-05-18 1993-01-19 Gillespie Elgene R Safety hypodermic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US5578011A (en) 1995-05-11 1996-11-26 Shaw; Thomas J. Tamperproof retractable syringe
US6015438A (en) * 1997-11-14 2000-01-18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Full displacement retractable syringe
US5935104A (en) 1998-08-21 1999-08-10 Safety Medical Manufacturing, Incorporated Safety medical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US6099500A (en) 1999-12-03 2000-08-08 Dysarz; Edward D. Safety needle cannula module that is activated by a safety syringe and plunger module
US6228054B1 (en) 1999-12-03 2001-05-08 Edward D. Dysarz Interchangeable safety needle cannula module that is activated by a safety syringe and plunger module
AU723060B3 (en) 2000-02-22 2000-08-17 Occupational & Medical Innovations Ltd A single use syringe
US20040030294A1 (en) * 2001-11-28 2004-02-12 Mahurkar Sakharam D. Retractable needle single use safety syringe
CN2712373Y (zh) * 2004-06-16 2005-07-27 董忠浩 自动回缩针头的安全注射器
JP4917538B2 (ja) 2004-09-03 2012-04-18 エル・オー・エム・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格納可能な針を備えた使い捨て空気圧式安全注射器
US9522237B2 (en) * 2005-01-07 2016-12-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ositive displacement flush syringe
US20060258984A1 (en) 2005-05-13 2006-11-16 Kiehne Bruce L Single use syringe with improved needle retraction mechanism
JP2009543616A (ja) * 2006-07-20 2009-12-10 オキュペイショナル・アンド・メディカル・イノベイションズ・リミテッド 使い捨て注射器
US20100004597A1 (en) 2006-08-02 2010-01-07 Unomedical A/S Insertion Device
WO2008116031A2 (en) * 2007-03-21 2008-09-25 Safety Medical International, Inc. Safety medical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and including a plunger that is received within a barrel
US20080287881A1 (en) * 2007-05-14 2008-11-20 Bruce Leigh Kiehne Syringe for use with nuclear medicines
WO2009029974A1 (en) * 2007-09-04 2009-03-12 Occupational & Medical Innovations Ltd A vented plunger and piston for a syringe
US20100010450A1 (en) 2008-06-13 2010-01-14 Vincent Runfola Retractable syringe with improved stem ring and needle interchangeability
CN102131531A (zh) * 2008-06-30 2011-07-20 Cr巴德公司 聚氨酯/聚异戊二烯共混物导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035B1 (ko) * 2020-12-11 2021-02-23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를 위해 잠김 구조를 갖는 일회용 주사 장치
KR102219038B1 (ko) * 2020-12-11 2021-02-23 (주)풍림파마텍 외부 하우징에 수용된 록킹 모듈과 주사액이 담긴 약액 카트리지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KR102224517B1 (ko) * 2020-12-11 2021-03-09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를 위해 외부 하우징과 록킹 모듈 간의 록킹 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P2013006670A0 (en) 2013-01-31
GEP20146148B (en) 2014-08-25
US20170239426A1 (en) 2017-08-24
JP6033220B2 (ja) 2016-11-30
AU2011272832A1 (en) 2013-02-07
BR112012033775A2 (pt) 2017-05-02
PE20131076A1 (es) 2013-10-04
AR082031A1 (es) 2012-11-07
KR101838876B1 (ko) 2018-03-16
CN102573966B (zh) 2016-05-04
CA2802547C (en) 2018-05-22
CL2012003704A1 (es) 2013-03-22
MX2012015110A (es) 2013-04-24
ES2776993T3 (es) 2020-08-03
TW201212966A (en) 2012-04-01
EP2588174B1 (en) 2020-02-26
TWI616217B (zh) 2018-03-01
CO6640321A2 (es) 2013-03-22
ZA201209736B (en) 2013-09-25
JP2013530022A (ja) 2013-07-25
CA2802547A1 (en) 2012-01-05
MX342121B (es) 2016-09-14
SG186367A1 (en) 2013-01-30
EP2588174A4 (en) 2014-01-22
RU2013103801A (ru) 2014-08-10
WO2012003343A1 (en) 2012-01-05
BR112012033775B1 (pt) 2020-07-28
CN102573966A (zh) 2012-07-11
US20120004621A1 (en) 2012-01-05
US9642970B2 (en) 2017-05-09
EP2588174A1 (en) 2013-05-08
AU2011272832B2 (en)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7121A (ko) 후퇴가능한 니들 및 가동 플런저 밀봉부를 갖는 의료기구
ES2396687T3 (es) Conjunto de aguja retráctil para una jeringa
US8721599B2 (en) Dual chamber passive retraction needle syringe
EP2455125B1 (en) Single-use pneumatic safety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CA2338830C (en) Safety medical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EP1011766B1 (en)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assembly
US20110230844A1 (en) Glass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JP2008100111A (ja) 引っ込み自在な針を備えた医療用具
TW201625326A (zh) 可伸縮針式注射器
TW202026023A (zh) 安全注射器
US20170368267A1 (en) Retractable needle syringe with unitary propellant release module
US8303540B2 (en) Pre-filled disposable syringe
EP3628224B1 (en) Retractable blood collection devices
EP1797921A1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RU2574368C2 (ru)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отводимой иглой и способным перемещаться уплотнением поршня
OA16289A (en) Medical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and moveable plunger seal.
WO2004082758A1 (en) A syringe
WO2015037545A1 (ja) 液体投与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