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724A -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724A
KR20130136724A KR1020120060353A KR20120060353A KR20130136724A KR 20130136724 A KR20130136724 A KR 20130136724A KR 1020120060353 A KR1020120060353 A KR 1020120060353A KR 20120060353 A KR20120060353 A KR 20120060353A KR 20130136724 A KR20130136724 A KR 20130136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erminal
cabinet
slots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553B1 (ko
Inventor
장용성
김덕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553B1/ko
Priority to US13/903,401 priority patent/US9484752B2/en
Priority to CN201310221060.1A priority patent/CN103475039B/zh
Publication of KR2013013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충전 함체; 각각의 상기 충전 함체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 상기 슬롯에 각각 제공되는 충전 단자들; 및 각각의 상기 충전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power supply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들 중 하나를 통해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면 상기 충전 단자가 상기 슬롯으로 삽입된 휴대 단말기의 충전단에 접속되는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중 충전 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휴대 단말기를 충전 단자와 접속할 수 있어,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하고자 할 때, 유용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 {MULTIPLE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다중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 또는 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기술 및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서비스 영역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초기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상대방 호출,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점차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과 같은 금융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확대되었고, 사용자들도 점차 청소년 계층으로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일반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강화되고,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통상적인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에 근접한 휴대용 단말기가 상용화되었다. 따라서 이동 중에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동영상 감상, 더 나아가서는 사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아울러, 학교와 같은 교육, 강의 현장, 각종 학회 등에서는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책자 형태의 교과서나 배포용 유인물을 대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다중이 동시에 이용하게 되는 학교나 강의실, 학회 등에서 활용되는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는 학교나 주최 측에서 관리하면서 필요할 때 일시적으로 배포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시간 동안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십에서 수백대에 이르는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장치가 미비한 실정이다. 대체로, 휴대 단말기는 개인 사용자 위주로 제작, 판매되기 때문에, 1 단말에 1 충전 세트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일반적인 충전 장치들은 케이블을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접속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휴대 단말기를 충전 장치에 접속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교육 현장이나 학회 등에서 일시적으로 다수에게 동시에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들의 배터리 팩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충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충전 장치에 접속시키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하면서도 접속이 용이한 다중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 가능하면서도 개별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다중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삽입하여 접속하여 케이블 등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다중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충전 함체; 각각의 상기 충전 함체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 상기 슬롯에 각각 제공되는 충전 단자들; 및 각각의 상기 충전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power supply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들 중 하나를 통해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면 상기 충전 단자가 상기 슬롯으로 삽입된 휴대 단말기의 충전단에 접속되는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다중 충전 장치는 상기 슬롯에 각각 제공되는 탄성체 재질의 안내 부재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슬롯으로 삽입되는 휴대 단말기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상태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충전 단자가 휴대 단말기의 충전단으로 접속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슬롯의 입구로부터 상기 충전 단자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홈은 상기 슬롯의 입구로부터 상기 충전 단자에 근접할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다중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함체에 수용되는 트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롯들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함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슬롯들과 상응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들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다중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함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후면 패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충전 단자들은 상기 슬롯들과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후면 패널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중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함체에 장착되어 충전 중인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소자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들은 각각 상기 슬롯들 중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 충전 장치는 상기 전원 공급 유닛과 상기 충전 단자들 각각을 연결하는 케이블 뭉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중 충전 장치의 충전 함체에는 5개의 상기 슬롯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닛에는 9개의 상기 충전 함체들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 충전 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각 팬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중 충전 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 후면,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된 흡기구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다중 충전 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휠(wheel)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휠은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 레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다중 충전 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 함체를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충전 함체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를 잠그는 잠금 장치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중 충전 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휴대 단말기를 충전 단자와 접속할 수 있어,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따라서 학교나 강의실과 같은 교육 현장이나 학회에서 일시적으로 참석자에게 제공되는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는 개별 충전 케이블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충전 장치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다중 충전 장치의 개별 슬롯에 상응하는 발광 소자를 배치하여 충전 중인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각 팬을 설치하여 다중 충전 장치의 캐비닛 내부의 열을 방출함으로써 충전 장치의 작동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휠을 더 설치한다면 충전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에 충전 함체, 더 구체적으로, 충전 중인 휴대 단말기를 폐쇄할 수 있는 덮개와 덮개를 고정하는 잠금 장치를 설치하여 휴대 단말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중 충전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중 충전 장치의 충전 함체 및 전원 공급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중 충전 장치의 안내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중 충전 장치의 휠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휠의 잠금이 해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용 다중 충전 장치(100)는 캐비닛(101) 내에 복수의 충전 함체(102)를 수용하고, 각 충전 함체(102)에는 복수의 슬롯(123b)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롯(123b)에는 전원 공급 유닛(137)에 연결된 충전 단자(125b)가 설치되어 있는데, 휴대 단말기(10)는 상기 슬롯(123b)으로 삽입되어 상기 충전 단자(125b)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충전 함체(102)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9개의 상기 충전 함체(102)가 상기 캐비닛(101)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충전 함체(102)의 슬롯(123b)에는 상기 충전 단자(125b)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원 공급 유닛(137)은 케이블 뭉치(139)를 통해 각각의 상기 충전 단자(125b)에 연결되어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충전 함체(102)의 구성은 도 3 등을 통해 더 상세하게 살펴보게 될 것이다.
상기 캐비닛(101)에는 냉각 팬(117)과 흡기구(11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팬(117)은 상기 캐비닛(101)의 배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10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10)를 충전할 때 상기 전원 공급 유닛(137)이나 단말기(10)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가 다수의 단말기(10)를 동시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닛(101) 내부에서 발생된 열로 인하여 상기 전원 공급 유닛(137)의 동작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가 작동할 때에는 상기 냉각 팬(117)을 가동함으로써, 상기 캐비닛(101) 내부의 열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흡기구(119)를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01)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캐비닛(101) 내부의 열 방출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흡기구(119)에 방진 스크린을 설치하여 먼지의 유입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각 팬(117)이 배치되는 개구는 완전히 개방되어 상기 냉각 팬(117)이 완전히 노출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가동형 격막 등을 설치하여 상기 냉각 팬(117)이 작동하지 않은 때에는 상기 냉각 팬(117)이 배치된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가동형 격막은 상기 냉각 팬(117)의 작동 속도나 상기 충전 장치(100)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기 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흡기구(119)에 방진 스크린을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상기 흡기구(119)의 형상을 이용하여 먼지 유입을 최소화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냉각 팬(117)이 설치되는 개구 또한 상기 흡기구(119)와 유사한 슬릿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충전 함체(102)들을 폐쇄하여 일상적인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고, 충전 중에 단말기(10)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는 덮개(111)와 잠금 장치(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111)는 상기 캐비닛(10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충전 함체(102)들을 개폐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덮개(111)가 상기 캐비닛(101)의 전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충전 함체(102)들을 개폐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덮개(111)에는 개폐 손잡이(113)와 잠금 장치(115)가 설치된다. 단말기(10)를 충전하고 있을 때 상기 덮개(111)가 상기 충전 함체(102)들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 장치(115)로 상기 덮개(111)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여 단말기(10)의 도난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는 이동이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휠(112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휠(112a)은 상기 캐비닛(101)의 저면에 복수,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4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캐비닛(101)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휠(112a)이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112a)은 잠금 레버(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레버(112b)의 위치에 따라 상기 휠(112a)의 잠금 상태로 유지하거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휠(112a)이 잠금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은 상기 휠(112a)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롤 도시하고 있다. 이로써,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의 운용자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를 이동하고,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가 이동하지 않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충전 함체(102)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충전 함체(102)는 실질적으로 충전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10)를 수용하고 충전 단자(125b)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함체(121)의 내부에는 복수의 슬롯(123b)들이 형성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10)는 상기 슬롯(123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롯(123b)의 내부로 제공된 충전 단자(125b)에 접속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함체(121)의 내부에는 별도의 트레이(123a)가 수용되어 있으며, 개별 휴대 단말기(10)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슬롯(123b)이 상기 트레이(123a)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 함체(102)는 상기 함체(12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하는 패널들을 구비한다. 상기 패널들 중 전면 패널(129a)은 각각의 상기 슬롯(123b)에 상응하는 개구(129b)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를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휴대 단말기(10)는 상기 개구(129b)를 통해 상기 슬롯(123b)에 삽입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를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에서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129a)은 상기 슬롯(123b)에 삽입된 휴대 단말기(10)의 일부분을 노출하게 된다. 즉, 상기 전면 패널(129a)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휴대 단말기(10)가 상기 슬롯(123b)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일부분이 상기 충전 함체(102)의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상기 함체(121)의 후면에 결합하는 후면 패널(125a)에는 복수의 충전 단자(125b)들이 설치된다. 각각의 충전 단자(125b)들은 상기 슬롯(123b)들 중 하나에 상응하게 배치되어, 상기 슬롯(123b)에 삽입되는 휴대 단말기(10)와 접속하게 된다. 상기 충전 단자(125b)들은 케이블 뭉치(139)의 일부분을 통해 상기 전원 공급 유닛(137)에 연결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 유닛(137)은 각각의 상기 충전 단자(125b)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충전을 위해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에 삽입되는 휴대 단말기(10)는 개별 충전기나 케이블을 통하지 않더라도 상기 전원 공급 유닛(137)으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용 전원을 통해 충전된다.
한편, 상기 충전 함체(102)에는 안내 부재(124a)가 설치되어 상기 슬롯(123b)으로 삽입되는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 단자, 즉, 충전단을 상기 충전 단자(125b)에 접속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안내 부재(124a)에는 상기 슬롯(123b)으로 삽입되는 휴대 단말기(10)의 측면을 감싸는 안내 홈(124b)이 형성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10)의 삽입은 용이하게 하면서도 휴대 단말기(10)의 충전단을 상기 충전 단자(125b)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안내 홈(124b)은 상기 충전 단자(125b)에 근접할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내 홈(124b)은 상기 슬롯(123b)의 입구로부터 상기 충전 단자(125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그 폭은 점차 좁아지는 형상인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의 충전단을 상기 충전 단자(125b)에 정렬하지 않더라도, 단지, 휴대 단말기(10)를 상기 슬롯(123b)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휴대 단말기(10)의 충전단을 상기 충전 단자(125b)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124a)는 상기 슬롯(123b) 내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슬롯(123b)으로 삽입되는 단말기(10)의 양 측면을 감싸면서 휴대 단말기(1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슬롯(123b)으로 삽입되는 휴대 단말기(10)의 크기나 인터페이스 커넥터, 즉, 충전단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안내 부재(124a)의 형상과 크기가 설정된다. 이로써, 상기 슬롯(123b)으로 삽입되는 휴대 단말기(10)의 충전단을 상기 충전 단자(125b)에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 함체(102)는 각각 5개의 슬롯(123b)들을 구비하며, 9개의 상기 충전 함체(102)가 상기 캐비닛(101)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는 동시에 45개의 휴대 단말기(10)를 충전할 수 있게 구성되지만, 다중 충전 장치의 운용자가 요구하는 바에 따라 상기 슬롯(123b)의 수나 상기 캐비닛(101)에 설치되는 충전 함체(102)의 수는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는 충전 중인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소자(127b)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27b)는 상기 충전 함체(102) 또는 캐비닛(101)에 장착되되, 각각의 상기 슬롯(123b)에 대응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123b)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 팩이 완전히 충전되면 상기 발광 소자(127b)는 녹색으로 발광하고, 아직 충전이 진행 중이라면 적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다중 충전 장치(100)의 운용자는 충전 중인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27b)들은 개별적으로 상기 충전 함체(102)나 캐비닛(101)에 장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상기 충전 함체(102)에 형성된 슬롯(123b)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발광 소자(127b)들을 하나의 모듈(127a) 형태로 배치하고 리본 케이블(127c) 등을 통해 상기 전원 공급 유닛(137)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슬롯(123b)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면, 운용자가 상기 충전 장치(100)의 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하는 동안에는 충전 중인 휴대 단말기의 식별이 용이하고, 각 슬롯의 충전 기능이 정상 작동하는지의 여부, 즉, 특정 슬롯의 충전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쉽게 인지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다중 충전 장치 101: 캐비닛
102: 충전 함체 124a: 안내 부재
137: 전원 공급 유닛

Claims (14)

  1.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에 있어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충전 함체;
    각각의 상기 충전 함체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
    상기 슬롯에 각각 제공되는 충전 단자들; 및
    각각의 상기 충전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power supply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들 중 하나를 통해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면 상기 충전 단자가 상기 슬롯으로 삽입된 휴대 단말기의 충전단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에 각각 제공되는 탄성체 재질의 안내 부재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슬롯으로 삽입되는 휴대 단말기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상태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충전 단자가 휴대 단말기의 충전단으로 접속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슬롯의 입구로부터 상기 충전 단자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홈은 상기 슬롯의 입구로부터 상기 충전 단자에 근접할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함체에 수용되는 트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롯들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함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슬롯들과 상응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함체의 후면에 장착되는 후면 패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충전 단자들은 상기 슬롯들과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후면 패널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함체에 장착되어 충전 중인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소자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들은 각각 상기 슬롯들 중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유닛과 상기 충전 단자들 각각을 연결하는 케이블 뭉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함체에는 5개의 상기 슬롯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닛에는 9개의 상기 충전 함체들이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캐비닛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각 팬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 후면,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된 흡기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12.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휠(wheel)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 레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14.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 함체를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충전 함체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를 잠그는 잠금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충전 장치.
KR1020120060353A 2012-06-05 2012-06-05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 KR101850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53A KR101850553B1 (ko) 2012-06-05 2012-06-05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
US13/903,401 US9484752B2 (en) 2012-06-05 2013-05-28 Multi-charging device for connecting and charging portable terminal
CN201310221060.1A CN103475039B (zh) 2012-06-05 2013-06-05 用于便携式终端的多充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53A KR101850553B1 (ko) 2012-06-05 2012-06-05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724A true KR20130136724A (ko) 2013-12-13
KR101850553B1 KR101850553B1 (ko) 2018-04-19

Family

ID=4966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353A KR101850553B1 (ko) 2012-06-05 2012-06-05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84752B2 (ko)
KR (1) KR101850553B1 (ko)
CN (1) CN10347503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611B1 (ko) * 2020-02-17 2020-06-10 서철승 전자 기기 충전 장비
KR102150370B1 (ko) * 2020-04-20 2020-09-01 더블유에스코퍼레이션주식회사 핸드폰 충전함
KR200495154Y1 (ko) * 2021-03-18 2022-03-16 (주)젤루텍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KR200495153Y1 (ko) * 2021-03-18 2022-03-16 (주)젤루텍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2609B2 (en) * 2013-11-01 2016-02-02 Dok Solution Llc Hanging folder device charging system
US10044205B1 (en) 2015-09-04 2018-08-07 Borroughs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cart and charging rack
JP6173397B2 (ja) * 2015-09-15 2017-08-02 テック・パワ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充電保管装置
KR102049890B1 (ko) * 2016-11-01 2019-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격강도가 향상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abs계 사출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200062724A (ko)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아모센스 안테나 모듈
KR20200062723A (ko)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아모센스 멀티 충전 시스템
TWI688186B (zh) * 2018-12-06 2020-03-11 圓展科技股份有限公司 充電櫃
KR102611696B1 (ko) 2019-01-31 2023-12-08 주식회사 아모센스 멀티 충전 장치 및 방법
US11385681B1 (en) 2020-08-05 2022-07-12 Bretford Manufacturing, Inc. Docking computer storage system
CN115003081B (zh) * 2022-06-15 2024-02-02 宁波格澜特电器有限公司 一种机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380B1 (ko) * 2005-09-27 2007-01-04 (주)갑진 전지 충방전기
US8860377B2 (en) * 2006-02-09 2014-10-14 Karl F. Scheucher Scalable intelligent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CN1812224A (zh) 2006-02-27 2006-08-02 孙超 电动车电池座充柜
US7844770B2 (en) 2006-11-02 2010-11-30 Bretford Manufacturing, Inc. Hub structure for enabling communication with a large number of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2008178011A (ja) * 2007-01-22 2008-07-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コールシステム
KR101144936B1 (ko) * 2010-12-27 2012-05-30 주식회사 피코 이동형 하이브리드 전원공급장치
CN202167876U (zh) * 2011-07-21 2012-03-14 顺丰速运(集团)有限公司 一种电池充电柜及充电系统
TWM424624U (en) 2011-11-10 2012-03-11 Chen Source Inc Tablet computer storing charge vehicle
US9130385B2 (en) * 2012-01-11 2015-09-08 Chen-Source Inc. Tablet storage and charging cart
US20150061571A1 (en) * 2013-08-29 2015-03-05 Chung Chioa Holding Corp. Storing and charging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611B1 (ko) * 2020-02-17 2020-06-10 서철승 전자 기기 충전 장비
KR102150370B1 (ko) * 2020-04-20 2020-09-01 더블유에스코퍼레이션주식회사 핸드폰 충전함
KR200495154Y1 (ko) * 2021-03-18 2022-03-16 (주)젤루텍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KR200495153Y1 (ko) * 2021-03-18 2022-03-16 (주)젤루텍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84752B2 (en) 2016-11-01
US20130320916A1 (en) 2013-12-05
CN103475039A (zh) 2013-12-25
KR101850553B1 (ko) 2018-04-19
CN103475039B (zh)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6724A (ko)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
US6937468B2 (en) Portable computer and portable docking station arrangement
US9130385B2 (en) Tablet storage and charging cart
US5604663A (en)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having a rotatable member and audio speakers mounted on the rotatable member
US8320110B2 (en) Notebook computer storage and charging cart
US6626543B2 (en) Electronic image projection device
US8699211B2 (en) Peripheral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002350A1 (en) Integrated monitor and docking station
US2016030924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220124424A1 (en) Earphone charging device
TWI597009B (zh) 可攜式終端
US6071640A (en) Battery mounting assembly for a radio
TW201202954A (en) Intelligent platform with an exchangeable intelligent core
WO2015108228A1 (ko) 전자기기 다량 충전장치
US10606309B2 (en) Notebook computer
US10064307B2 (en) Server and case thereof
CA2390453A1 (en) Chassis for fiber optic communication equipment
CN202694201U (zh) 一种可在显示器下边框内取放主机的一体电脑
WO2021164715A1 (zh) 电子设备
CN201828891U (zh) 内嵌手机的便携式触控显示器
CN113970957A (zh) 便携式显示器和外围设备集线器系统
TW201927106A (zh) 終端設備及其保護殼
WO2019014986A1 (zh) 电子设备保护壳组件
KR100198740B1 (ko) 휴대용 컴퓨터 도킹 스테이션
CN209448788U (zh) 一种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