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53Y1 -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53Y1
KR200495153Y1 KR2020210001578U KR20210001578U KR200495153Y1 KR 200495153 Y1 KR200495153 Y1 KR 200495153Y1 KR 2020210001578 U KR2020210001578 U KR 2020210001578U KR 20210001578 U KR20210001578 U KR 20210001578U KR 200495153 Y1 KR200495153 Y1 KR 200495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charg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bod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규
Original Assignee
(주)젤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젤루텍 filed Critical (주)젤루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는, 통신 단말을 각각 보관할 수 있는 8개의 보관함이 N X N 배열 구조로 배치되는 캐비넷 구조를 가지며, 상기 캐비넷 구조의 소정 위치에 터치 방식의 지문 등록 및 지문 인식과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 모니터가 배치되고, 각 보관함은,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보관함 본체와, 상기 보관함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통신 단말을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통신 단말의 충전 및 완충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제 1 LED부와, 상기 지문 인식 또는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보관함 본체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면, 개인 보관함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제 2 LED부를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CHARGING CONTAINER FOR COMMUNICATION DEVICE}
본 고안은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의 사용이 제한되는 환경에서 통신 단말의 보관과 더불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군대의 일반 병사(의무병), 기숙 학원, 일부 학교 등과 같은 조직체에서는 하루 중에 소정시간 동안 통신 단말의 사용을 금지(또는 소정시간 동안의 통신 단말 사용 허용)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군대의 일반 병사의 경우, 평일 오후 5시부터 오후 9시까지만 스마트폰(통신 단말)의 사용이 허용되고 있다.
따라서, 통신 단말의 사용이 허용되지 않는 시간에는 모든 대상자들의 통신 단말을 수거하여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6212호(공고일: 2018. 04. 17.)
본 고안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의 사용이 제한되는 환경에서 통신 단말의 보관과 더불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일 관점에 따라, 통신 단말을 각각 보관할 수 있는 8개의 보관함이 N X N 배열 구조로 배치되는 캐비넷 구조를 가지며, 상기 캐비넷 구조의 소정 위치에 터치 방식의 지문 등록 및 지문 인식과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 모니터가 배치되고, 각 보관함은,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보관함 본체와, 상기 보관함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통신 단말을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통신 단말의 충전 및 완충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제 1 LED부와, 상기 지문 인식 또는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보관함 본체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면, 개인 보관함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제 2 LED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충전부는, 과전류 및 과충전 보호회로가 내장된 저속 또는 고속의 유선 충전기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충전부는, 과전류 및 과충전 보호회로가 내장된 저속 또는 고속의 무선 충전기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통신 단말의 외부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의 살균을 위한 UVC LED부가 상기 보관함 본체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충전부에 상기 통신 단말이 안착된 후 상기 도어부가 닫히면, 상기 통신 단말을 향해 화학적 성분의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상기 보관함 본체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의 사용이 제한되는 환경에서 통신 단말의 보관과 더불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통신 단말의 보관 효율성 및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통신 단말을 충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의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2b는 보관함 본체의 도어부의 내측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2c는 도어부의 외부에 대한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2d는 도어부의 내부에 대한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2e는 보관함의 내부 소정 위치에 장착된 UVC LED부(212)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지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의 설명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는 8개의 보관함이 N X N 배열 구조로 배치되는 캐비넷 구조(100)를 가질 수 있으며, 각 보관함의 내부에는 스마트폰(휴대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이 보관될 수 있다.
캐비넷 구조(100)의 소정 위치(예컨대, 좌측 상단 등)에는 터치 방식의 지문 등록 및 지문 인식과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 모니터(11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지문 인식 및 비밀번호 입력은 각 보관함의 도어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번호 120은 일반적인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는 물품 보관함을 의미할 수 있다.
터치 모니터(11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각 보관함의 사용자에 대한 지문 등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지문 등록은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보관함에 스마트폰 등을 보관하기 위해 도어부를 개폐할 때 사용하기 위한 제 1 수단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보관함의 도어부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열쇠나 RFID 카드 등을 휴대할 필요 없이 간편 신속하게 보관함의 도어부를 개폐할 수 있다.
터치 모니터(110)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것은 지문 인식이 불가(예컨대, 젖은 손, 지문 훼손, 다한증 등)할 때,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보관함에 스마트폰 등을 보관하기 위해 도어부를 개폐할 때 사용하기 위한 제 2 수단이다.
도 2a는 통신 단말을 충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의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보관함은 보관함 본체(202), 충전부(204), 제 1 LED부(206) 및 도어부(2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관함 본체(202)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수용 공간, 예컨대 통신 단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보관함 본체(202)의 내부에 장착되는 충전부(204)는, 예컨대 과전류 및 과충전 보호회로가 내장된 저속 또는 고속의 충전 케이블로서 내부에 수용된 통신 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C타입, 5핀, 8핀 등 모든 기종의 통신 단말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와는 달리, 충전부(204)는 과전류 및 과충전 보호회로가 내장된 저속 또는 고속의 무선 충전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 1 LED부(206)는 통신 단말의 충전 및 완충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기능을 수행, 예컨대 통신 단말에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면, 적색 LED가 점등되고, 완충시에는 적색 LED가 소등된다.
도 2b는 보관함 본체의 도어부(208)의 내측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보관함 본체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도어부(208)는 터치 모니터(비밀번호 입력) 또는 지문인식기(지문 인식)에 통해 자동으로 열리고, 소정 시간(예컨대, 30초 등)이 경과한 후 도어부(208)가 자동으로 닫히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2c는 도어부의 외부에 대한 예시적인 사진이고, 도 2d는 도어부의 내부에 대한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보관함 본체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보관함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제 2 LED부(21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 2 LED부(210)의 점등을 통해 자신의 보관함 위치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2e는 보관함의 내부 소정 위치에 장착된 UVC LED부(212)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e를 참조하면, 보관함의 내부에 통신 단말을 넣은 후 도어부가 닫히면, UVC LED가 소정 시간(예컨대, 20분 등) 동안 작동하여 통신 단말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는 바이러스 등을 살균한다. 이때, UVC LED는 사용자의 인체 보호를 위해 소정 시간(예컨대, 10초 등)이 경과한 후에 작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의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보관 장치는 보관함 내부에 통신 단말이 안착된 후 도어부가 닫히면, 통신 단말을 향해 화학적 성분의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시스템은, 예컨대 8개의 보관함(N X N 배열 구조)으로 구성되는 보관함 구조체(310), 제어 장치(MCU)(320), 운영 단말기(330), 모니터(340) 및 지문 인식기(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관함 구조체(310)의 각 보관함에는 통신 단말이 보관될 수 있으며, 보관된 통신 단말들은 각 보관함의 내부에 설치된 저속 또는 고속의 충전부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충전될 수 있다.
제어 장치(320)는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휴대폰 보관 여부, 수량, 충전 상태, 보관함 사용 시간, 사용자 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장치(320)는 그룹 사용시간 관리로 지정된 시간에만 보관함을 사용 가능(예컨대, 24시간 26개 그룹 지정 가능, 권한이 있는 관리자가 일시적인 문 열림 허용 할 수 있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관리자의 통제 없이 자율적으로 시간통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어 장치(320)는 스마트폰 보관함의 사용 정보 이력을 자동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이력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장치(320)는 관리자 등급 지정으로 기능에 대한 사용 권한의 범위 설정이 가능하게 해 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관리자의 구분으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운영 단말기(330)는 관리자가 운영하는 데스크탑 PC 또는 노트북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모니터(340)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모니터(110)를 의미하고, 지문 인식기(350)는 캐비넷 구조(10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지문 인식기를 의미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캐비넷 구조
110 : 터치 모니터
202 : 보관함 본체
204 : 충전부
206 : 제 1 LED부
208 : 도어부
210 : 제 2 LED부
212 : UVC LED부

Claims (5)

  1. 통신 단말을 각각 보관할 수 있는 8개의 보관함이 N X N 배열 구조로 배치되는 캐비넷 구조를 가지며,
    상기 캐비넷 구조의 소정 위치에 터치 방식의 지문 등록 및 지문 인식과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 모니터가 배치되고,
    각 보관함은,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보관함 본체와,
    상기 보관함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통신 단말을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통신 단말의 충전 및 완충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제 1 LED부와,
    상기 지문 인식 또는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보관함 본체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면, 개인 보관함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제 2LED부를 포함하고,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에 적용되는 관리 시스템이 보관함 구조체(310), 제어 장치(MCU)(320), 운영 단말기(330), 모니터(340) 및 지문 인식기(350)를 포함하고,
    제어 장치(320)는 휴대폰 보관 여부, 수량, 충전 상태, 보관함 사용 시간, 사용자 정보, 실시간 모니터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제어 장치(320)는 그룹 사용시간 관리로 지정된 시간에만 보관함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320)는 스마트폰 보관함의 사용 정보 이력을 자동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이력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제어 장치(320)는 관리자 등급 지정으로 기능에 대한 사용 권한의 범위 설정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통신 단말의 외부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의 살균을 위한 UVC LED부가 상기 보관함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충전부에 상기 통신 단말이 안착된 후 상기 도어부가 닫히면, 상기 통신 단말을 향해 화학적 성분의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상기 보관함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과전류 및 과충전 보호회로가 내장된 저속 또는 고속의 유선 충전기인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10001578U 2021-03-18 2021-05-18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KR20049515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45 2021-03-18
KR20210000845 2021-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53Y1 true KR200495153Y1 (ko) 2022-03-16

Family

ID=8093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578U KR200495153Y1 (ko) 2021-03-18 2021-05-18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5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724A (ko) * 2012-06-05 2013-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
KR200486212Y1 (ko) 2017-01-25 2018-04-17 (주)스마트엑세스 노트북 충전 보관함
KR101924573B1 (ko) * 2017-11-23 2018-12-04 (주)탑인프라 배터리 충전 및 보관이 가능한 캐비닛
US10439408B1 (en) * 2018-03-20 2019-10-08 Tarkan Bastiyali Modular cell phone storage loc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724A (ko) * 2012-06-05 2013-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다중 충전 장치
KR200486212Y1 (ko) 2017-01-25 2018-04-17 (주)스마트엑세스 노트북 충전 보관함
KR101924573B1 (ko) * 2017-11-23 2018-12-04 (주)탑인프라 배터리 충전 및 보관이 가능한 캐비닛
US10439408B1 (en) * 2018-03-20 2019-10-08 Tarkan Bastiyali Modular cell phone storage loc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96897A (zh) 指纹认证的智能有源电子钥匙和无源智能锁及其实现方法
ES2539535T3 (es) Cerradura electromecánica
US20160360351A1 (en) Biometric and bluetooth enabled case lock
CN104821030B (zh) 一种手势控制锁具
CN209044706U (zh) 具有3d人脸识别功能的门禁系统
CN108257266A (zh) 一种多功能的智能锁
JP3178917U (ja) 指紋センシング及び充電システム
CN106327652B (zh) 电子智能门锁指纹锁保护系统及方法
CN104835232B (zh) 一种声控锁具
US9852564B2 (en) Electronic door locks, systems, and networks
CN205477103U (zh) 一种智能物联网保险柜
US9654470B2 (en) Multi-function smart communication card
CN205881049U (zh) 智能手机柜
CN104835231B (zh) 一种人脸识别锁具
CN207458147U (zh) 基于云安全的多方式识别门禁系统
CN113034747A (zh) 一种控制用于柜体的智能锁运行的方法以及控制系统
KR200495153Y1 (ko)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KR200495154Y1 (ko) 통신 단말의 충전 보관 장치
CN103105799A (zh) 手机屏蔽柜智能化控制器
KR102407934B1 (ko) 통신단말의 맞춤형 충전 보관장치
CN109147095A (zh) 基于生物特征唯一性保护个人物品安全及执行个人职责行为的极简方法与应用
CN109326022A (zh) 一种基于蓝牙指纹锁的双核控制方法及系统
KR102010270B1 (ko) 이동 단말 보관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 보관 시스템
CN205688995U (zh) 一种行李箱
WO2021087171A1 (en) Time tra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