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006A -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스택업 - Google Patents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스택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006A
KR20130136006A KR1020137030917A KR20137030917A KR20130136006A KR 20130136006 A KR20130136006 A KR 20130136006A KR 1020137030917 A KR1020137030917 A KR 1020137030917A KR 20137030917 A KR20137030917 A KR 20137030917A KR 20130136006 A KR20130136006 A KR 2013013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housing member
external display
internal
back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503B1 (ko
Inventor
로버트 디. 폴라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13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a change of the texture state of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1Bistable or multi-stable liquid crystal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6Front 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스택업(300)이, 예컨대 조개 껍질(clamshell) 형상 이동 전화와 같은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에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스택업은 쌍안정(bi-stable) 광 상태를 갖는 백라이트부(114)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포함한다.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백라이트부(114)와 접촉하여 위치하고, 백라이트부(114)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된다. 디스플레이 스택업은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접촉하여 위치하고,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된다.

Description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스택업{DISPLAY STACK-UP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DISPLAYS}
본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좀더 구체적으로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와 같은 듀얼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 스택업(stack-up) 구성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조개 껍질 모양(clamshell style)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는 2개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 2개의 디스플레이들은 외부 디스플레이와 내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외부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내부 디스플레이보다 낮은 시각 정보 컨텐츠를 가지고, 종종 예를 들어 모바일 폰에 사용되는 경우 CLI(Callar Line Identification) 디스플레이로서 지칭된다. 2개의 디스플레이들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가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적층 구조에 사용된다. 스택업은 디스플레이를 밝히는 백라이트(backlignt)를 필요로 한다.
일부 구성에서, 2개의 백라이트부는 내부 디스플레이와 외부 디스플레이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2개의 백라이트부 각각은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광을 제공한다. 다른 구성에서, 단일 백라이트부는 2개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하나의 양면 디스플레이는 2개의 백라이트부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스택업 구성은 꽤 두껍다. 외부 디스플레이는 내부 디스플레이보다 작으므로, 외부 디스플레이는 더 작은 활성 영역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모든 구성에서, 백라이트부에 필요한 전력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백라이트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택업(stack-up)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쌍안정 광 상태(bi-stable optical states)를 포함한다.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상태는 투과 광 상태 및 반사 광 상태를 포함한다.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백라이트부와, 접촉하여 위치하므로 광학적으로 커플링된다. 디스플레이 스택업은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접촉하여 위치하므로 광학적으로 커플링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쌍안정 광 상태를 갖는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는 또한,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백라이트에 커플링되는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반사 광 상태로 절환하고 광을 백라이트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백라이트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공급된 광을 반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게다가, 방법은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을 차례로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투과시키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투과 광 상태로 변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유사한 참조 부호가 각 도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한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이론 및 이점을 설명하도록 제공된다.
도 1은 열린 위치에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갖는 조개껍질(clamshell) 형상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닫힌 위치에서 도 1의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투과광 상태(transmissive optical state)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반사 광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 내의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숙련된 기술자는 도면의 구성요소들이 간단하고 명료하게 도시되며 반드시 비율이 맞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서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목적일 뿐이며, 다양한 실시예 중의 어떠한 것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 및/또는 컴포넌트를 개략적인 표현으로 완료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그러한 표시되지 않은 구성요소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당업자들에 의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등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이러한 관련 용어들은 하나의 엔티티 또는 액션을, 반드시 그러한 엔티티 또는 액션들 간의 실제 관계 또는 순서를 요구하거나 내포하지 않고서 다른 엔티티 또는 액션과 구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열린 위치에서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의 예들은 무선 이동 전화, 랩톱, PDA 등을 포함한다.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른 치수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하우징 부재(housing member)(102) 및 제2 하우징 부재(104)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 부재(102) 및 제2 하우징 부재(104)는 금속, 플라스틱, 유리 및/또는 그 혼성물 등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102) 및 제2 하우징 부재(104)는 다른 것과 힌지식으로(hingedly) 연결되고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열린 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제1 하우징 부재(102) 및 제2 하우징 부재(104)는 둘 사이의 각이 약 180°이하가 되도록 힌지로 서로 연결되고, 닫힌 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최소 각은 약 0°또는 그보다 약간 크다.
제1 하우징 부재(102)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를 각각 볼 수 있는, 외부 디스플레이 어퍼쳐(aperture)(101)와 내부 디스플레이 어퍼쳐(103)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자체는 제1 하우징 부재(102)에 둘러싸인 3개의 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1의 단면에서, 3개의 디바이스는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및 백라이트 디바이스(108)를 갖는 "스택업(stack-up)" 구성으로 도시된다. 백라이트 디바이스(108)는,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부재(102)의 외부 디스플레이 어퍼쳐(101)를 통해서 물리적으로 노출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부재(102)를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어퍼쳐(101) 위의 코팅층 또는 다른 보호층을 통해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내부 디스플레이 어퍼쳐(103)는,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의 표면 위에 보호 플라스틱 층 또는 코팅을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는 내부 디스플레이 어퍼쳐(103)를 통해서 직접 노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적인 목적만을 위한 것이고 다양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스택업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특정 구현 접근법에 대해서 철저하게 규명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위치에서, 제1 하우징 부재(102) 및 제2 하우징 부재(104)는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가 제2 하우징 부재(104)와 비교적 평행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닫힌 위치에서, 제1 하우징 부재(102)의 적어도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부재(104)와 접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위치에서, 제1 하우징 부재(102) 및 제2 하우징 부재(104)는, 힌지로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제1 하우징 부재(102)의 어떤 부분도 제2 하우징 부재(104)와 접촉하지 않고,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는 내부 디스플레이 어퍼쳐(103)를 통해서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제1 하우징 부재(102) 및 제2 하우징 부재(104)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사용된다. 시각 정보는 텍스트, 비디오, 그래픽, 화상 등일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102)및 제2 하우징 부재(10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디바이스(110)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는 내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서브셋 뿐일 수 있다. 즉,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상에 표시된 시각 컨텐츠는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 상에 표시된 시각 컨텐츠보다 작다.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동작중인 경우, 즉, 전원이 들어온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110)는 활성화되어서 적절한 광 상태로 위치하게 될 것이고, 디바이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위치로 구성될 때에는,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가 비활성될 것이다.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위치인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전력 소비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비활성일 것이지만, 적절한 광 상태로 위치하는 한편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가 활성일 것이다.
외부 및 내부 디스플레이 사이의 절환, 및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적절한 광 상태로 절환하는 것은 제1 하우징 부재(103)에 대한 제1 하우징 부재(102)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위치 감지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닫힌 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물리적 센서 또는 스위치가 활성이 되도록 제1 하우징 부재(102) 또는 제2 하우징 부재(104) 상에 위치한 물리적 센서 또는 스위치를 통해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센서 또는 스위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열린 위치 또는 닫힌 위치인지 판정하도록 하우징 부재들 중 하나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센서 또는 스위치는 물리적 센서 또는 스위치가 아니어도 되지만, 하우징 부재 위치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태가 변하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어떠한 경우나, 일부 감지 및 제어 회로는 다양한 실시예들 중의 어떠한 것에 존재하여,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에 대해서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 및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활성 및 비활성시킬 때를 결정하도록 제2 하우징 부재(104)에 대한 제1 하우징 부재(102)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감지 및 제어 회로는 절환할 때를 결정하고,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열린 구성 또는 닫힌 구성인지에 따라서 실제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적절한 광 상태로 절환한다.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광 상태를 절환하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 이하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스택업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택업(300)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1 하우징 부재(102)에 둘러싸이고, 모두가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백라이트 디바이스(108),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및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디바이스(108)는, 함께 전체 백라이트부(114)를 형성하는 광원(112)을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백라이트부(114)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발광(light emission)이 백라이트부(114) 법선(normal)에 대해서 약 30°가 되도록 발광할 것이다. 이 발광 패턴은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에 보다 나은 휘도를 제공하고, 또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킨다.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백라이트(108)와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백라이트(108)는 투명하고 광학적으로 투과성이 높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백라이트(108)는 광원(112)으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의 광 투과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적어도 2개의 상태에서 광학적으로 안정적이고 그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도록, 적어도 광학적으로 쌍안정(bi-stable)이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적어도 투과 광 상태 및 반사 광 상태를 갖는다.
투과 광 상태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광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므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본래 투명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투과 광 상태는,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cholesteric)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포컬 코닉(focal conic) 상태일 수 있다. 반사 광 상태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광 투과를 막아서 본질적으로 거울 같다.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에서 반사 광 상태는, 예를 들면 콜레스테릭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평면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 상태 또는 포컬 코닉 상태인 동안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광학적으로 발산될 수 있으므로, 보다 나은 시각적인 투명함을 위해서 오버-화이티시(over-whitish) 디스플레이 특성을 억제한다.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투과 광 상태 및 반사 광 상태 사이에서 절환하도록 전력의 인가 또는 전력의 제거를 요구한다. 전력은 정상적으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2) 내의 배터리로 공급되지만,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충전 디바이스 또는 태양 전지로 제공될 수 있다.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는 고해상도이고, 예를 들면 고해상도 컬러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high-resolution color active matrix display)일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들은 트랜지스터 박막이나 다이오드 박막으로 만들어지며, 밝고 선명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는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유사한 쌍안정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또는 다른 경우에, 내부 디스플레이(106)가 OFF일 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콘트라스트 배경을 제공하도록, 고정된 컬러광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투과 광 상태(400)일 때 디스플레이 스택업(300)의 동작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의 감지 및 제어 회로(도시되지 않음)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열린 위치로 구성되는지를 판정한다. 따라서, 감지 및 제어 회로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투과 광 상태로 절환하고,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를 ON 상태로 절환하고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OFF 상태로 절환한다. 이후, 광원(112)으로부터의 광은 백라이트 디바이스(108)를 통해서 투과되어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통해서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로 투과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반사 광 상태(500)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스택업(300)의 동작을 도시한다.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의 감지 및 제어 회로(도시되지 않음)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닫힌 위치로 구성된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감지 및 제어 회로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반사 광 상태로 절환하고,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를 OFF 상태로 절환하고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ON 상태로 절환한다. 광원(112)으로부터의 광은 이후 백라이트 디바이스(108)를 통해서 투과되어 백라이트 디바이스(108) 및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 외부 디스플레이 어퍼쳐(101)를 통해서 광을 다시 반사시키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조명한다. 따라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볼 수 있다.
간단히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유사한 쌍안정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또는 다른 경우에, 내부 디스플레이(106)가 OFF이면 콘트라스트 배경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제공하도록, 고정된 컬러광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는, OFF 상태인 경우 어둡고 대부분의 입사광을 흡수하도록 일부 실시예에서 NB-LCD(normally black mode 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으므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반사 상태(500)인 경우에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콘트라스트비를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또한 주변의 광 조건을 감지하기 위한 광 센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측정에 의해 소정의 발광(luinescence)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정됨에 따라서 충분한 주변의 광이 있으면,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닫혀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ON되고 또한 반사 상태(500)일 때 백라이트부(114)의 광원(112)은 턴오프될 수 있다. 이후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투과성 백라이트 디바이스(108)를 통해서 주변 광을 수신하고 외부 디스플레이 가시성을 위해서 외부 디스플레이 어퍼쳐(101)를 통해서 주변광을 다시 반사시킬 것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 내의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따라서, 602에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의 감지 및 제어 회로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닫힌 위치에 있다고 판정한다.
604에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닫힌 위치에 있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스위치 ON되어서 또한 반사 광 상태로 된다. 606에서, 광은 백라이트(108)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108)는 광원(112)으로부터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광으로부터 광을 수신한다.
608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의해 광이 반사되고 시각 정보가 제공된다. 610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스위치 OFF되고,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열린 위치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투과 광 상태로 절환된다. 612에서, 광은 백라이트 디바이스(108)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통해서 투과되어,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를 조명한다. 따라서, 시각 정보는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6)에 의해서 제공된다. 방법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가 파워 OFF될 때 6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한다. 다른 경우,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가 다시 닫히면, 방법은 602로 되돌아가서 필요한 만큼 반복된다. 또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100)가 처음에 파워 온되면, 감지 및 제어 회로는 열린 위치 또는 닫힌 위치에 있는지 판정할 것이고, 방법은 적절하게 604 또는 610에서 시작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실시예들이 이렇게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수정, 변경, 변화, 대체 및 동등물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 스택업(stack-up)으로서,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조명(illumination)을 제공할 수 있는 백라이트부와,
    쌍 안정(bi-stable) 광 상태들을 갖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상기 상태들은 투과 광 상태 및 반사 광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백라이트부와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에 위치됨 -
    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 광 상태의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광이 상기 백라이트부로부터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투과하도록 하며, 상기 반사 광 상태의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백라이트부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백라이트부를 통해서 또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멀어지도록 광을 반사하는
    디스플레이 스택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콜레스테릭(cholesteric) 디스플레이인 디스플레이 스택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광 상태의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광학 확산 특성(optical diffusion property)을 갖는 디스플레이 스택업.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원이 꺼지는 경우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콘트라스트 백플레인(contrast backplane)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스택업.
  5. 이동 전자 디바이스로서,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백라이트부와,
    쌍안정 광학 특성을 갖는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백라이트부와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에 위치됨 -,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백라이트부에 결합된 제어 컴포넌트
    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 광 상태의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광이 상기 백라이트부로부터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투과하도록 하며, 상기 반사 광 상태의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백라이트부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백라이트부를 통해서 또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멀어지도록 광을 반사하는
    이동 전자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내부면 및 외부면을 갖는 제1 하우징 부재와 - 상기 제1 하우징 부재는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백라이트부를 포함함 -,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힌지식으로(hingedly) 연결된 제2 하우징 부재 -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는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가 상기 닫힌 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와 접촉함 -
    를 더 포함하는 이동 전자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내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또한 상기 내부면을 통해서 볼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또한 상기 외부면을 통해서 볼 수 있는 이동 전자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부에 결합된 광원을 더 포함하는 이동 전자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콜레스테릭 디스플레이인 이동 전자 디바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고해상도 컬러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high resolution color active matrix display)인 이동 전자 디바이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가 상기 닫힌 위치로 구성되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반사 광 상태로 전환(switch)하고,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오프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전자 디바이스.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가 상기 열린 위치로 구성되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투과 광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온(on)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전자 디바이스.

KR1020137030917A 2006-06-30 2007-03-24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스택업 KR101450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27,871 2006-06-30
US11/427,871 US7768605B2 (en) 2006-06-30 2006-06-30 Display stack-up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displays
PCT/US2007/064867 WO2008005598A2 (en) 2006-06-30 2007-03-24 Display stack-up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display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31751A Division KR101491165B1 (ko) 2006-06-30 2007-03-24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스택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006A true KR20130136006A (ko) 2013-12-11
KR101450503B1 KR101450503B1 (ko) 2014-10-13

Family

ID=38876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31751A KR101491165B1 (ko) 2006-06-30 2007-03-24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스택업
KR1020137030917A KR101450503B1 (ko) 2006-06-30 2007-03-24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스택업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31751A KR101491165B1 (ko) 2006-06-30 2007-03-24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스택업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68605B2 (ko)
EP (1) EP2036072B1 (ko)
KR (2) KR101491165B1 (ko)
CN (1) CN101484932B (ko)
BR (1) BRPI0713953A2 (ko)
WO (1) WO20080055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4489B2 (en) * 2008-03-05 2012-05-08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Dual-sided display for mobile device
US8346308B2 (en) * 2008-09-08 2013-0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US7948576B2 (en) * 2008-09-25 2011-05-24 Apple Inc. P-chassis arrangement for positioning a display stack
KR20110106616A (ko) * 2010-03-23 201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액정 표시 장치
GB201112458D0 (en) 2010-09-28 2011-08-31 Yota Group Cyprus Ltd device with display screen
JP2014503891A (ja) 2010-12-10 2014-02-13 ヨタ デバイセズ アイピーアール リミ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携帯機器
US9245492B2 (en) * 2012-06-28 2016-01-26 Intermec Ip Corp. Dual screen display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9232033B2 (en) 2013-02-20 2016-01-05 Anders Edvard Trell Attachable mobile phone keypad device
US9792014B2 (en) 2013-03-15 2017-10-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lace contextual menu for handling actions for a listing of items
KR101659032B1 (ko)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60132301A1 (en) 2014-11-06 2016-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ammatic user interface generation based on display size
US10949075B2 (en) 2014-11-06 2021-03-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command control for small screen display
US20230015286A1 (en) 2019-12-19 2023-01-19 Wacker Chemie Ag Antifoam compositions comprising branched siloxan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7936B2 (en) * 1996-10-31 2004-01-13 Kopin Corporation Color display system for a camera
US5896575A (en) * 1997-02-28 1999-04-20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viewable from two opposite ends
US6366270B1 (en) * 1998-05-29 2002-04-02 Silicon Graphics, Inc. Multiple light source color balancing system within a liquid crystal flat panel display
JP3687377B2 (ja) 1998-12-17 2005-08-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439731B1 (en) * 1999-04-05 2002-08-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lat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US6574487B1 (en) * 2000-02-23 2003-06-03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a dual-side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1312446A (ja) * 2000-04-28 2001-11-0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媒体
US20010055076A1 (en) 2000-04-28 2001-12-27 Keizou Ochi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7023418B2 (en) * 2000-07-18 2006-04-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device, electronic paper and electronic paper file
KR100362560B1 (ko) * 2000-08-19 2002-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JP3941561B2 (ja) * 2001-09-14 2007-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両面表示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情報機器
KR100518426B1 (ko) * 2003-03-27 2005-09-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7190337B2 (en) * 2003-07-02 2007-03-13 Kent Displays Incorporated Multi-configuration display driver
US6927747B2 (en) * 2003-07-30 2005-08-09 Motorola, Inc. Dual directional display for communication device
TWI308242B (en) * 2003-10-24 2009-04-01 Hon Hai Prec Ind Co Ltd Light guiding devic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7729729B2 (en) * 2003-11-21 2010-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330178B2 (en) * 2004-04-30 2008-02-12 Motorola, Inc. Display-input apparatus for a multi-configuration portable device
US8681140B2 (en) * 2004-05-21 2014-03-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042725B2 (ja) * 2004-08-17 2008-0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750886B2 (en) * 2004-09-27 2010-07-0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lighting displays
JP2006134187A (ja) * 2004-11-08 2006-05-25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5598A3 (en) 2008-04-24
US20080002115A1 (en) 2008-01-03
EP2036072B1 (en) 2016-08-24
KR101450503B1 (ko) 2014-10-13
EP2036072A2 (en) 2009-03-18
US7768605B2 (en) 2010-08-03
WO2008005598A2 (en) 2008-01-10
BRPI0713953A2 (pt) 2012-12-04
KR101491165B1 (ko) 2015-02-06
CN101484932A (zh) 2009-07-15
CN101484932B (zh) 2011-11-23
EP2036072A4 (en) 2011-02-02
KR20090034827A (ko)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503B1 (ko) 내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스택업
JP3941561B2 (ja) 両面表示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情報機器
US8174489B2 (en) Dual-sided display for mobile device
KR100453088B1 (ko) 액정표시장치
JP4727629B2 (ja) 液晶表示装置
JPWO2005008322A1 (ja) 液晶表示装置
KR100945359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50002781A1 (en) Sunlight readable lcd devices employing a display shutter
US2008015864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electrochromic layer
JP2001305525A (ja) 液晶表示素子
US726884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13472B1 (ko)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JP4202652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
KR100601927B1 (ko) 복합 액정디스플레이 모듈 및 복합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JP2004309639A (ja) 液晶表示装置
KR100765434B1 (ko) 반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4102127A (ja) 表示装置及び携帯型情報端末機器
Taguchi et al. Double‐faced TFT‐LCD having one LC panel and one lighting system
TW200634380A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01264748A (ja) 平面表示装置
KR20040070954A (ko)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