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989A - 자극편 - Google Patents

자극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989A
KR20130135989A KR1020137028530A KR20137028530A KR20130135989A KR 20130135989 A KR20130135989 A KR 20130135989A KR 1020137028530 A KR1020137028530 A KR 1020137028530A KR 20137028530 A KR20137028530 A KR 20137028530A KR 20130135989 A KR20130135989 A KR 20130135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iece
heat sink
heat
winding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175B1 (ko
Inventor
게르하르트 렌쇼브
Original Assignee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3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with channels or ducts for cooling medium between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2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 H02K7/18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wherein the turbine is a wind turbine
    • H02K7/1838Generators mounted in a nacelle or similar structure of a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H02K9/227Heat sin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기기, 특히 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기의 회전자의 자극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극편은 자장을 유도하기 위한 그리고 자장의 발생을 위한 전류, 특히 여자 전류를 유도하는 권선을 수납하기 위한 자극편 바디와 이 자극편을 냉각하기 위해 자극편 바디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히트 싱크를 포함하며, 히트 싱크는 자극편 바디와 권선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자극편{POLE SHOE}
본 발명은 전기 기기, 특히 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기의 회전자의 자극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기, 링 발전기(ring generator) 및 자극편 히트 싱크와 풍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외에도, 본 발명은 상기 자극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풍력 발전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극편은 일반적으로 자장을 유도하여 자력선들을 일정한 형태로 나오게 하여 분포하는 데 이용된다. 이 경우 그와 같은 자극편은 고투자율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전기 기기에서, 예를 들어 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기에서 자극편은 발전기의 고정자 안에 및/또는 회전자 안에 배치되어 있다. 자극편은 하기에서 자극편 적층 스택(pole shoe lamination stack)을 의미하며, 이때 자극편 적층 스택은 와전류를 제거하기 위해 또는 줄이기 위해 서로 절연된 개개의 다수의 금속 판재 래미네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그와 같은 자극편은 실질적으로 자극편 헤드(pole shoe head)와 자극편 바디(pole shoe body)로 이루어진다.
특히 무기어 풍력 발전 시스템에서처럼 발전기가 천천히 회전하는 경우에, 큰 여자 전류, 즉 여자 권선을 흘러 이 때 자장을 형성하는 전류가 필요하다. 이는 여자기 출력 손실의 상승을 초래한다. 이와 같은 발전기의 출력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은 여자 전류를 크게 하는 데 있다. 이 경우 증가하는 출력 에너지를 배출하기 위해, 냉각 시스템이 발전기를 냉각하는데 이용된다.
종래 기술 DE 10 124 268 A1호에는 예를 들어 발전기 냉각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링 발전기와 이 링 발전기를 에워싸는 풍력 발전 시스템의 나셀 하우징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나셀 하우징은 링 발전기의 영역에서 열전도성 하우징 영역을 가지며 링 발전기의 외주와 열전도성 하우징 영역 사이에 사전에 정해진 거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에너지가 공기에 의해 또는 공기를 통해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발전기에 대하여 수냉 장치들, 공랭 장치들 또는 일체식 공랭/수냉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해법들은 부분적으로 작은 냉각 성능을 가지거나 또는 발전기의 구조 변경으로 인해 매우 비싸고 복잡하다.
이런 점에서 그외 종래 기술로서 일반적으로 하기의 문헌이 참고가 될 것이다: CH 425 984 A호, US 6 774 504 B1호 및 EP 0 793 870 B1호.
본 발명의 과제는 위에서 설명한 문제들 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줄이는 데 있다. 특히, 전기 기기, 특히 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기의 회전자의 자극편의 냉각 개선이 가능하게 된다. 적어도 대안적 해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전기 기기의 자극편이 제안되어 있다.
전기 기기, 특히 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기의 회전자의 그와 같은 자극편은 자장을 유도하기 위해 그리고 자장을 발생하기 위한 전류, 특히 여자 전류를 유도하는 권선을 수납하기 위한 자극편 바디를 갖는다. 이 경우 이 자극편 바디는 자극편의 냉각을 위해, 자극편 히트 싱크라고도 부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히트 싱크에 의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에워싸여 있다. 이 히트 싱크는 자극편 바디와 권선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권선은 자극편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히트 싱크는 권선을 수용하고 그 결과 냉각되는, 특히 수냉식으로 냉각되는 코일 포머를 형성하도록, 히트 싱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자극편 바디는 예를 들어 적층 구조를 하며 철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와전류가 자극편 내에서 제거되거나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극편 바디는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코너들이 중공형을 갖는다. 이런 중공화에 의해 권선의 재료가 절약된다. 예를 들어 특히 구리로 이루어지는 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기의 회전자의 자극편의 권선의 경우에, 자극편마다 최고 2kg 또는 3kg 또는 심지어는 2kg이상 또는 3kg이상의 재료가 절약될 수 있다.
만약 이와 같은 자극편이 예를 들어 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기의 회전자 안에 고정되어 있으면, 냉각 장치의 배치로 인해 권선에 공급되는 여자 전류 및 발전기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다. 히트 싱크가 자극편 바디와 권선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히트 싱크와 열원, 즉 권선 사이에 협소한 열접촉이 가능해져 이 열원이 직접 냉각된다. 그러므로 자극편이 너무 뜨거워지기 전에, 상기 열이 배출되므로, 권선의 과열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자극편 바디에서 나타나는 발열, 예를 들어 와전류 손실 및 철손으로 인한 발열 역시 자극편 바디로부터 히트 싱크에 이를 수 있고 용이한 방식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극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는 권선 바디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이 권선 바디는 바람직하게는 자극편 바디에 적응되어 이것 위로 슬라이딩된다. 권선 바디 위에 권선이 배치된다. 그러므로 히트 싱크가 자극편 바디와 권선 사이에 위치하며 열원의 열이 직접 배출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권선 바디와 히트 싱크가 권선과 자극편 바디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자극편은 전기 절연 수단을 가지므로, 히트 싱크가 권선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및/또는 열이 권선으로부터 히트 싱크에 전달될 수 있다. 절연 수단은 예를 들어 절연 필름, 마이카 디스크들 또는 작은 세라믹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을 위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패시베이션 층으로서 알려진 층들이 고려된다. 또한, 절연을 위해 예를 들어 구리선의 절연 바니시와 유사하게 바니시 형태의 층들이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극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히트 싱크는 냉각 매체의 유도를 위해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 매체로서 특히 냉각액이 이용된다. 그와 같은 냉각액은 예를 들어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균일한 열전달이 보장되며 많은 열량이 배출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와 냉각액이 부동제, 예를 들어 글리콜을 가지면 유리하다. 그러므로 냉각액이 전기 기기의 정지 동안에도 얼지 않게 된다.
대안으로서 냉각 매체는 기체일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고체 또는 혼합물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젤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라 히트 싱크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어 있다. 알루미늄의 장점으로서 알루미늄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이어서 그 결과 손실열이 열발생 소자, 즉 권선의 열전도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히트 싱크 역시 구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리 역시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이다.
바람직하게는 히트 싱크가 냉각 시스템에의 연결을 위한 2개 이상의 연결부를 가지므로, 냉각 시스템이 히트 싱크와 함께 냉각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연결부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한 냉각 매체 또는 상기 냉각 매체가 도입되고 다른 연결부들 중 하나에 의해 이 냉각 매체가 배출된다. 그러므로 냉각 매체가 열원의 온도보다 더 작은 입력 온도를 가지고 히트 싱크 안으로 흘러들어오며 더 고온의 매체로부터 더 저온의 매체, 즉 냉각 매체로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그 후 고온의 냉각 매체가 배출되고 냉각 후 다시 냉각 회로 안으로 도입된다. 이 경우 냉각은 예를 들어 열교환기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 열교환기는 배출될 열을 대기로 내보낸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는 예를 들어 풍력 발전 시스템의 경우에 풍력 발전 시스템의 나셀 안에 또는 나셀에 배치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자극편 바디가 이의 코너에서 리세스를 가지면, 히트 싱크의 연결부들은 이 리세스들 안에 또는 리세스들 중 2개 안에 배치되어 자리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극편은 돌극형 기기(salient pole machine), 특히 링 발전기에서 이용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그와 같은 돌극형 기기는 예를 들어 풍력 발전 시스템에서 발전기로서 이용되는 저속형 교류 동기기이다. 링 발전기는 많은 회전자 자극과 고정자 자극을 특징으로 하며, 이들은 링의 형태로 공극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30개, 40개, 특히 48개, 50개 및 그 이상의 회전자 자극이 제공될 수 있으며, 많은 수의 자극에 의해 매우 천천히 회전하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발전기는 분당 30회, 20회, 15회이하 및 특히 10회이하로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발전기, 특히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한 링 발전기를 포함한다. 이 경우 고정자 및/또는 회전자는 2개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자극편을 갖는다. 그와 같은 링 발전기의 경우에, 예를 들어 풍력 발전 시스템의 경우에 회전자에 설치된 자극편에 의해 자장이 여기된다. 이 자극편이 직접 냉각되면, 풍력 발전 시스템의 출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또는 증가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큰 여자 전류에 의해 발생된 손실 출력이 배출된다. 다른 한편으로 풍력 발전 시스템의 내구 연한은 우수한 냉각에 의해 그리고 고온의 제거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대기를 통한 냉각 대신에 액체 냉각을 사용하면 대기로 인한 부담이 제거될 수 있다. 습기와 오물이 이 시스템에서 배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자극편이 회전자에서 또는 고정자에서 각각 각 히트 싱크 둘레에 배치되는 권선을 가지므로, 히트 싱크가 자극편 바디와 권선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열원의 직접적인 냉각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극편을 냉각하기 위해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극편과 함께 이용하기 위해 자극편 히트 싱크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극편 히트 싱크는 강성 바디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자극편에, 특히 이 자극편의 자극편 바디에 적응된다. 그러므로 이런 자극편 히트 싱크는 예를 들어 다른 크기 또는 형상처럼 자극편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자극편 자체는 어떤 변경도 받지 않거나 또는 단지 적은 구조적 변경을 받는다. 자극편 바디는 히트 싱크와 절연 필름의 설치 후 권선을 가질 수 있으며 전기 기기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냉각 회로 및 이것과 관련된 냉각 시스템을 위한 연결부들만이 다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또는 포함하지 않는 발전기에 비해 다른 구조적 형태로 도출된다.
한 실시예에 따라, 여기에서는 줄여 단지 히트 싱크로 표기한 자극편 히트 싱크가 자극편 바디의 수납을 위한 수납 공간을 가지거나 또는 형성한다. 수납 공간은 히트 싱크의 형상에 의해 정해지는 공간을 말하며, 이 공간은 자극편 히트 싱크에 의해 에워싸이는 자극편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강성 바디로서 형성되어 있는 히트 싱크가 큰 비용 없이 자극편 바디 위에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외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발전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필요한 열출력이 냉각 시스템에 의해 배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출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극편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 먼저, 한 히트 싱크 또는 상기 히트 싱크가 자극편의 냉각을 위한 한 자극편 바디 또는 상기 자극편 바디에 배치된다. 이는 예를 들어 자극편 바디 위로 슬라이딩하여 실시될 수 있다.
2. 이어서, 한 권선 또는 상기 권선이 히트 싱크에 배치된다. 이 경우 히트 싱크가 자극편 바디 위에 배치되어, 이것이 자극편 바디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에워싸며 권선과 자극편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극편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은 단지 히트 싱크의 배치를 통해 보완된다.
대안으로서, 이 히트 싱크에 권선을 제공하고 그 후 이 히트 싱크를 이미 배치되어 있는 권선과 함께 자극편 바디 위로 슬라이딩하도록 제안되어 있다.
그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시스템의 작동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발전기는 냉각 매체, 특히 냉각액에 의해 냉각되며, 이 냉각 매체는 하나 이상의 자극편 히트 싱크에 의해 펌핑된다. 바람직하게는 풍력 발전 시스템의 작동 시에 발전기를 냉각하는 매체가 한 연결부 또는 상기 연결부를 지나 열교환기로 유도된다. 이 열교환기는 풍력 발전 시스템의 나셀 안에 또는 나셀에, 바람직하게는 나셀의 하나 이상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와 같은 열교환기는 예를 들어 공기 흐름에 노출되어 있으며 충분히 큰 표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필요한 열배출이 보장될 수 있다. 그 결과, 냉각 매체는 열교환기 안에서 냉각될 수 있으며 한 연결부 또는 그외 연결부에 의해 다시 자극편 히트 싱크 안으로 펌핑될 수 있으므로, 자극편의 손실열이 배출될 수 있다.
하기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고 실시예들을 활용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극편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권선 바디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자극편 히트 싱크의 한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자극편 히트 싱크의 그외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그외 실시예에 따른 자극편 히트 싱크의 연결 영역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그외 실시예에 따른 자극편의 자극편 바디 및 자극편 히트 싱크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극편의 한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그외 실시예에 따른 자극편의 일부 영역에 관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자극편 히트 싱크(101)로서 히트 싱크, 2개의 연결부(102) 및 수납 공간(103)을 포함하는 자극편용 권선 바디(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들(10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3개의 부분 바디(106)로 이루어지는 자극편 히트 싱크(101)가 권선 바디(100)에 형성되어 있다. 자극편 바디를 수납하기 위해, 수납 공간(103)이 제공되어 있다. 히트 싱크(101)는 수납 공간(103)을 에워싸고 그 결과 자극편 바디의 삽입 후에는 자극편 바디도 완전히 에워싸므로, 균일한 냉각이 보장된다.
냉각 매체, 바람직하게는 물을 히트 싱크 안으로 펌핑하고 다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히트 싱크(101)에 2개의 연결부들(102)이 위치한다. 이 연결부들(10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냉각 매체가 예를 들어 열교환기 쪽으로 유도되어 거기에서 냉각된다. 제2 연결부(102)에 의해 냉각 매체가 다시 히트 싱크(101) 안으로 펌핑된다.
도시되어 있는 권선 바디(100)는 자극편의 자극편 바디 위로 슬라이딩된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절연 수단이 히트 싱크(101)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절연 수단 위에 다시 권선이 배치된다. 그 후, 그와 같이 제공된 자극편이 전기 기기의 대응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강성 히트 싱크(201)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히트 싱크 역시 3개의 부분 바디(206)를 포함하고 있다. 히트 싱크(201)는 자극편 바디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203)을 제한한다. 3개의 부분 히트 싱크들은 각각 강성의 환형의 중공형 밴드 유사 부재를 형성하며, 이것을 통해 물이 냉각액으로서 유도될 수 있다. 만약 자극편 바디가 수납 공간(203) 안에 삽입되면, 히트 싱크(201)는 이것을 거의 전부 에워싸므로, 균일한 냉각이 보장된다.
또한, 도 2에서 2개의 연결부들(202)을 볼 수 있다. 이것을 통해 냉각 매체가 히트 싱크(201) 안으로 도입되거나 또는 배출될 수 있다.
도 3에는 3개의 부분 바디(306)를 포함하는 히트 싱크(301)의 그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 역시 자극편 바디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303) 및 냉각 매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2개의 연결부들(302)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따른 히트 싱크(201)와 도 3에 따른 히트 싱크(301)는 수납될 자극편 또는 이 자극편의 자극편 바디의 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다르다.
도 4에는 연결부들(402)에 연결되어 있는 3개의 부분 바디(406)로 이루어지는 히트 싱크(401)의 일부 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이 연결부들(402)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공형으로 실시되어 있는 부분 바디(406)에 대한 연결 지점들(405)을 관 형상의 연결부들(402) 내에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냉각 매체는 연결부들(40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결 지점(405)을 지나 히트 싱크(401) 안으로 펌핑될 수 있으므로, 냉각 매체가 관류하여 열이 배출될 수 있다. 양 연결부들(402) 중 다른 것을 통해 냉각 매체는 연결 지점(405)을 지나 다시 배출된다.
또한, 도 4에는 자극편 바디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403)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자극편의 자극편 바디(504)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3개의 부분 바디(506)를 포함하는 히트 싱크(501)를 볼 수 있으며, 이 히트 싱크는 자극편 바디(504)를 에워싸고 있다. 이 경우 자극편 바디(504)는 예를 들어 철과 같은 고투자율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또한, 자극편 내에서 와전류를 제거하거나 또는 줄이기 위해, 이것은 적층 형태로 실시되어 있다. 자극편 바디(504)는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각 코너(507)는 플랫하게 형성되어 있다. 플랫하게 형성된 코너들의 영역에 히트 싱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들이 냉각 회로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쪽으로 또는 열교환기로부터 냉각 매체를 유도하기 위한 연결부들(502)을 볼 수 있다.
자극편은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히트 싱크(501)에 설치되는 권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자극편은 전기 기기, 예를 들어 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기의 회전자 안에 내장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극편(600)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자극편(600)은 자극편 헤드(610)의 영역에서 화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자극편 헤드(610) 및 자극편 바디(620)는 함께 자극편(600)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자극편(600)은 서로 절연되어 있는 개개의 금속 판재 래미네이트로 제조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자극편(600)은 자극편 적층 스택이라고도 부른다.
도시되어 있는 자극편 바디(620)에 본 발명에 따른,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자극편 히트 싱크가 배치되어, 이 자극편 히트 싱크가 자극편 바디(620)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에워싸고 있다. 그 위에 권선이 설치되고, 이 권선이 히트 싱크와의 협소한 열접촉에 의해 직접 냉각된다.
도 7에는 자극편의 자극편 바디(704)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히트 싱크(701)를 볼 수 있으며, 이 히트 싱크는 부분 바디로 분할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하나의 바디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히트 싱크(701)는 실질적으로 3면에서 자극편 바디(704)를 에워싸고 있다. 자극편 바디(704)의 영역에 2개의 코너 영역(707)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코너 영역은 각각 하나의 리세스(717)를 갖는다. 양 리세스들(717) 중 어느 하나 안에 히트 싱크(701)의 연결을 위해 연결부(727)가 연결관의 형태로 제공되어 있으므로, 히트 싱크(701)가 냉각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그외 리세스의 영역에는 대응 연결부(727)가 없으며 유도 채널들(730)이 보이며, 이 유도 채널들은 냉각 매체의 유도를 위해 히트 싱크(701) 안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완성 시에는 그와 같은 연결부(727)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는 리세스들(717) 중 어느 하나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결과 자극편 바디(704)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된다. 이 경우 히트 싱크는 경우에 따라서는 절연부에 의해 보충되어 권선을 수납할 수 있고 그 결과 냉각되는 코일 포머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5)

  1. 전기 기기, 특히 풍력 발전 시스템의 발전기의 회전자의 자극편(600)으로서,
    - 자장을 유도하기 위한 그리고 자장의 발생을 위한 전류, 특히 여자 전류를 유도하는 권선을 수납하기 위한 자극편 바디(504)와,
    - 이 자극편(100, 500)을 냉각하기 위해 자극편 바디(504)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히트 싱크(101, 201, 301, 501)를 포함하며,
    히트 싱크(101, 201, 301, 501)는 자극편 바디(504)와 권선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자극편.
  2. 제1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101, 201, 301, 501)가 권선을 수납하기 위한 권선 바디(100)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권선으로부터 히트 싱크(101, 201, 301, 501)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및/또는 권선으로부터 히트 싱크(101, 201, 301, 501)로 열의 전도를 위한 절연 수단, 특히 절연 필름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101, 201, 301, 501)가 냉각 매체의 유도를 위해, 특히 냉각액의 유도를 위해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101, 201, 301, 501)가 알루미늄으로 제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트 싱크(101, 201, 301, 501)가 냉각 시스템에의 연결을 위해 2개 이상의 연결부들(102, 202, 303, 403, 503)을 가지며, 이 연결부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한 냉각 매체 또는 상기 냉각 매체가 도입되고 다른 연결부들(102, 202, 302, 402, 50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냉각 매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극형 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편.
  8.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하는 발전기, 특히 링 발전기로서, 고정자 및/또는 회전자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 이상의 자극편(600)을 가지는 발전기.
  9. 제8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자극편(600)이 회전자에 또는 고정자에 고정되어 있으며, 각 자극편은 각 히트 싱크(101, 201, 301, 501)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권선을 가지며, 히트 싱크(101, 201, 301, 501)가 자극편 바디(504)와 권선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10. 자극편(600)을 냉각하기 위한 그리고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극편(600)과 함께 이용하기 위한 자극편 히트 싱크로서, 자극편 히트 싱크(101, 201, 301, 501)가 강성 바디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자극편(100, 500)에, 특히 자극편(100, 500)의 자극편 바디(504)에 적응되어 있는 자극편 히트 싱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자극편 바디(504)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103, 203, 303, 403)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편 히트 싱크.
  12.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전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극편(600)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기의 순서로 단계들, 즉
    1. 자극편(600)을 냉각하기 위해 한 자극편 바디(504) 또는 상기 자극편 바디에 한 히트 싱크(101, 201, 301, 501) 또는 상기 히트 싱크를 배치하는 단계,
    2. 히트 싱크(101, 201, 301, 501) 위에 한 권선 또는 상기 권선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히트 싱크(101, 201, 301, 501)가 자극편 바디(504) 위에 배치되어, 히트 싱크가 자극편 바디(504)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에워싸며 권선과 자극편 바디(504)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따른 풍력 발전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발전기가 냉각 수단에 의해, 특히 냉각액에 의해 냉각되고, 이 냉각액은 하나 이상의 자극편 히트 싱크(101, 201, 301, 501)에 의해 펌핑되는 작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냉각 매체가 한 연결부(102, 202, 302, 402, 502) 또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열교환기로 유도되어, 냉각 매체가 열교환기 안에서 냉각되고 한 연결부(102, 202, 302, 402, 502) 또는 그외 연결부에 의해 다시 자극편 히트 싱크(101, 201, 301, 501) 안으로 펌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
KR1020137028530A 2011-04-01 2012-03-26 자극편 KR101546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6681.0 2011-04-01
DE102011006681A DE102011006681A1 (de) 2011-04-01 2011-04-01 Polschuh
PCT/EP2012/055350 WO2012130814A2 (de) 2011-04-01 2012-03-26 Polschu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989A true KR20130135989A (ko) 2013-12-11
KR101546175B1 KR101546175B1 (ko) 2015-08-20

Family

ID=4593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530A KR101546175B1 (ko) 2011-04-01 2012-03-26 자극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40091650A1 (ko)
EP (1) EP2572442A2 (ko)
JP (1) JP5746417B2 (ko)
KR (1) KR101546175B1 (ko)
CN (1) CN103460567A (ko)
AU (1) AU2012234318B2 (ko)
BR (1) BR112013024947A2 (ko)
CA (1) CA2830803A1 (ko)
CL (1) CL2013002800A1 (ko)
DE (1) DE102011006681A1 (ko)
MX (1) MX2013011321A (ko)
RU (1) RU2013148723A (ko)
WO (1) WO20121308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3988B2 (en) * 2013-03-15 2016-06-21 Teco-Westinghouse Motor Company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oling electric machines
WO2014201018A1 (en) * 2013-06-10 2014-12-18 Uprise Energy, LLC Wind energ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DE112014003748A5 (de) * 2013-08-13 2016-05-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ärmetransfereinrichtung, sowie unter Einschluss derselben gebildetes Wicklungsmodul
US9819239B2 (en) 2015-05-07 2017-11-1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End winding support and heat sink for liquid-cooled generator
WO2017091872A1 (pt) * 2015-11-30 2017-06-08 Weg Equipamentos Elétricos S.a. Suporte da cabeça de bobina do rotor para máquinas elétricas girantes e máquina elétrica correspondente
DE102016108710A1 (de) * 2016-05-11 2017-11-16 Wobben Properties Gmbh Läuferpol für einen Generator einer Windenergieanlage sowie Windenergieanlagen-Generat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äuferpols
CN113795898A (zh) 2019-03-27 2021-12-14 恩纽尔有限公司 多相开关调节器
WO2021164946A1 (en) * 2020-02-21 2021-08-2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 motor with integrated cooling system
DE102021124315A1 (de) 2021-09-21 2023-03-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otor und elektrische Maschine mit einer Wicklungskühlu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25984A (de) * 1962-10-26 1966-12-15 Licentia Gmbh Einrichtung zur Wasserkühlung der Polspulen eines Schenkelpolläufers einer Synchronmaschine
DE2037794A1 (de) * 1970-07-30 1972-02-03 Siemens Ag Flüssigkeitsgekühlte elektrische Maschine, insb. Turbogenerator
US3715610A (en) * 1972-03-07 1973-02-06 Gen Electric Dynamoelectric machine cooled by a rotating heat pipe
JPS5930645U (ja) * 1982-08-19 1984-02-25 デンヨ−株式会社 回転子
JPS59126554U (ja) * 1983-02-09 1984-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S63105443U (ko) * 1986-12-23 1988-07-08
FR2726948B1 (fr) * 1994-11-16 1996-12-20 Wavre Nicolas Moteur synchrone a aimants permanents
JPH09215240A (ja) * 1996-02-06 1997-08-15 Toshiba Corp 突極回転界磁形同期電動機
NL1013129C2 (nl) * 1999-09-24 2001-03-27 Lagerwey Windturbine B V Windmolen.
DE10124268B4 (de) * 2001-05-18 2006-02-09 Wobben, Aloys, Dipl.-Ing. Generatorkühlung
US6661133B2 (en) * 2001-07-12 2003-12-09 Eli Liebermann Rotor cooling arrangement
JP4026496B2 (ja) * 2002-12-26 2007-12-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冷却構造
EP1564865A1 (de) * 2004-02-12 2005-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enkelpol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Polspule
JP4786380B2 (ja) * 2006-03-24 2011-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絶縁構造
DE102007023606A1 (de) 2007-05-21 2008-12-04 Siemens Ag Zahnmodul für ein Primärteil einer elektrischen Maschine
JP4888558B2 (ja) * 2007-06-13 2012-02-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冷却構造
US20090058206A1 (en) * 2007-08-29 2009-03-05 Ronald Dean Bremner Motor winding assembly
JP2010011686A (ja) * 2008-06-30 2010-01-14 Mitsuba Corp 発電機およびこの発電機を備える風力発電装置
CN102217173A (zh) * 2008-09-17 2011-10-12 因达尔电气有限公司 用于风成应用的、且在至少一个线圈头部中具有冷却流的发电机转子
DE102009025929A1 (de) * 2009-06-05 2010-12-09 Ulrich Spevacek Läuferaufbau für eine permanentmagneterregte, rotierende elektrische 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3011321A (es) 2013-11-01
EP2572442A2 (de) 2013-03-27
AU2012234318A1 (en) 2013-10-10
JP2014514902A (ja) 2014-06-19
DE102011006681A1 (de) 2012-10-04
US20140091650A1 (en) 2014-04-03
CA2830803A1 (en) 2012-10-04
CN103460567A (zh) 2013-12-18
WO2012130814A2 (de) 2012-10-04
AU2012234318B2 (en) 2015-10-08
JP5746417B2 (ja) 2015-07-08
CL2013002800A1 (es) 2014-03-07
BR112013024947A2 (pt) 2016-12-20
KR101546175B1 (ko) 2015-08-20
RU2013148723A (ru) 2015-05-10
WO2012130814A3 (de)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175B1 (ko) 자극편
US11025138B2 (en) Electric machine
US11264854B2 (en) Electric machine with phase change material for a turbomachine starter/generator
US8242644B2 (en) Arrangement for cooling of an electrical machine
CA2693149C (en) Electric machine
US9935520B2 (en) Electronic assembly for a rotary electric machine for a motor vehicle
EP2182570A1 (en) Arrangement for cooling of an electrical machine
US20160028284A1 (en) Electric machine
US20130270937A1 (en) Wind turbine with improved cooling
JP2010110204A (ja) 電気機器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
JP2010110206A6 (ja) 電気機械の冷却のための装置
EP3091642B1 (en) End winding support and heat sink for liquid-cooled generator
US20160226325A1 (en) Cooling device for an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machine comprising a cooling device
JP2016226277A (ja) 一体化された放熱器を具備したステータ
US20140265654A1 (en) Heat sink for armatures
JP2013146120A (ja) 車両用回転電機
US11058036B2 (en) Electronic assembly for a rotary electric machine for a motor vehicle
KR20130095669A (ko) 제너레이터
EP2445087B1 (en) A generator, in particular for a wind turbine
JP2007325341A (ja) モータ及び発電機
US20110198944A1 (en) Conductor arrangement,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a conductor arrangement
KR101243291B1 (ko) 공랭식 고정자코일 냉각장치
KR101165230B1 (ko) 초전도 회전기
KR20110012174A (ko) 회전전기기용 회전자코어 및 회전자
JP2012228118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