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768A - 아크릴계 광학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광학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5768A KR20130135768A KR1020130061947A KR20130061947A KR20130135768A KR 20130135768 A KR20130135768 A KR 20130135768A KR 1020130061947 A KR1020130061947 A KR 1020130061947A KR 20130061947 A KR20130061947 A KR 20130061947A KR 20130135768 A KR20130135768 A KR 201301357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film
- film
- acrylic
- coating layer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을 종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상기 연신된 필름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광학필름을 80 내지 120℃의 온도로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광학필름을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크릴계 광학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립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 투명도 및 연신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전기영동 표시장치(ELD) 등의 다양하고 많은 디스플레이들이 개발 중이거나 상품화되어 있으며, 실내 전시용 디스플레이는 점점 대형화 및 박형화되는 추세에 있고, 실외 휴대용 디스플레이는 소형화 및 경량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찍부터 각종 광학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광학필름에 사용되는 재료는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높은 투광도, 무결점 표면, 높은 내열성 및 내습성, 높은 유연성, 높은 표면경도, 낮은 수축율, 공정상의 처리용이성 등의 물성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인 광학필름 재료로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있고, 디스플레이의 조건 및 광학필름 재료의 고유한 물성에 따라 선택되어 광학필름의 제조에 사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편광판에는 폴리비닐알코올 재질의 편광막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으로서 양쪽 면에 높은 투광도, 무결점 표면 등의 특성을 지닌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즈 필름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즈 필름은 열과 습도에 약하기 때문에 고온 고습의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편광도의 저하, 수분에 의한 열화로 인해 가장자리의 빛이 과다 누출되는 빛샘 현상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클로 올레핀(Cyclic Olefin)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이 수분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낮은 위상차 물성을 갖는 조성의 필름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아크릴계 조성의 필름의 경우 광학적인 특성과 내구성뿐만 아니라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장점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크릴 필름의 경우 표면 마찰력이 높아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떨어지고, 필름 권취시 또는 귄취 후 필름의 면과 면이 만나 늘러 붙는 현상인 블로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름 제막시 고무입자나 무기입자를 소량 충진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아크릴 필름은 필름의 헤이즈(haze)증가에 따른 투명도 저하 및/또는 필름의 연신성 감소 등의 단점이 있어 광학용 필름으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크릴계 조성의 필름이면서도 편광판 생산시 수행되는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에 적합한 슬립성을 가지고, 편광자와의 접착성도 우수하며, 광학 물성도 우수한 광학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슬립성 및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 투명도 및 연신성이 우수하고, 필름의 표면 특성도 우수하며, 나아가 연신 후에도 기능성 코팅층의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의 절대값이 작은 아크릴계 광학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태양은,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을 종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상기 연신된 필름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광학필름을 80 내지 120℃의 온도로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광학필름을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필름을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는 1.5 내지 3배의 연신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는 50 내지 2000n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분산성 미립자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는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수지, 수분산 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는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가교 폴리비닐알코올 및 멜라민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태양은, 상기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아크릴계 광학필름으로, 아크릴 필름이 적어도 일면에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하기 식 1 및 2에 따른 면내 위상차(Rin) 및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절대값이 연신 후에도 2nm 이하인 아크릴계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식 1]
Rin = (nx-ny) × d
[식 2]
Rth = (nz-ny) × d
상기 [식 1] 및 [식 2]에서,
nx는 기능성 코팅층의 면 방향 굴절률 중 가장 큰 굴절율이고,
ny는 기능성 코팅층의 면 방향 굴절률 중 nx와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이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정지 마찰계수는 0.01 내지 0.6일 수 있고, 외부 헤이즈는 0.3% 내지 3.0%일 수 있으며, 내부 헤이즈는 0.01% 내지 0.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태양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아크릴계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은, 종 방향 연신 후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한 다음 건조 후, 횡 방향 연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슬립성이 우수하여 원활한 권취가 가능하고 편광자 등과의 접착력 및 필름의 표면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은, 내구성, 투명도 및 연신성이 우수하고, 특히, 연신 후에도 기능성 코팅층의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의 절대값도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편광자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능성 코팅층 형성으로 인해 기재 필름의 위상차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광학필름 제조방법은, 필름을 연신하는 공정과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통합하여 제조하므로,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 없어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높은 경제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광학필름의 블로킹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 제막시 무기입자 등의 미립자를 투입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미립자를 투입하는 양에 비하여,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필름의 투명도 저하 및 광학 물성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블로킹 현상은 필름 권취시 또는 필름 귄취 후에 필름의 면과 면이 만나 늘러 붙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광학필름 제조시 아크릴 수지를 제막하여 형성된 필름을 종 방향으로 연신하고, 수십 내지 수백 nm 두께의 기능성층을 코팅한 후 이를 건조한 다음, 필름을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우, 아크릴 필름의 표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필름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표면 마찰계수가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필름의 표면 마찰계수를 저감시켜 슬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블로킹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편광자 등 기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내구성 및 투명성 등의 광학물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코팅 도막이 단단하게 형성되며, 연신이 균일하게 수행되어 표면특성이 우수하고, 필름의 파단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도 가진다. 나아가, 접착력, 대전 방지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 추가적인 기능성도 부여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필름에 형성되는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연신에 의한 위상차 발현이 억제되어 광학적으로 등방성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한 후 횡 방향 연신을 실시한 후에도, 기능성 코팅층의 연신 전후의 면내 위상차(Rin) 및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절대값이 2nm 이하인 광학필름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태양은,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을 종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상기 연신된 필름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광학필름을 80 내지 120℃의 온도로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광학필름을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광학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아크릴계 필름은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성형 재료를 압출 성형에 의해 성형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주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로 이루어진 호모 폴리머 수지뿐 아니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이외에 다른 단량체 단위가 공중합된 공중합체 수지 또는 상기와 같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 다른 수지가 블랜드된 블랜드 수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때,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는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단위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위를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의 알킬기는 탄소수 1 ~ 10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수 1 ~ 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에 공중합될 수 있는 단량체 단위로에는, 방향족 비닐계 단위,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6원 헤테로 고리 단위, 아크릴산 단위, 글리시딜 단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위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2,5-디메틸스티렌, 2-메틸-4-클로로스티렌, 2,4,6-트리메틸스티렌, cis-β-메틸스티렌, trans-β-메틸스티렌, 4-메틸-α-메틸스티렌, 4-플루오르-α-메틸스티렌, 4-클로로-α-메틸스티렌, 4-브로모-α-메틸스티렌, 4-t-부틸스티렌, 2-플루오르스티렌, 3-플루오르스티렌, 4-플루오로스티렌, 2,4-디플루오로스티렌, 2,3,4,5,6-펜타플루오로스티렌, 2-클로로스티렌, 3-틀로로스티렌, 4-틀로로스티렌, 2,4-디클로로스티렌, 2,6-디클로로스티렌, 옥타클로로스티렌, 2-브로모스티렌, 3-브로모스티렌, 4-브로모스티렌, 2,4-디브로모스티렌, α-브로모스티렌, β-브로모스티렌, 2-하이드록시스티렌 및 4-하이드록시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중에서도 특히, 스티렌 또는 α-메틸 스티렌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10원 헤테로 고리 단위는 락톤 환, 글루타르산 무수물, 글루타르이미드,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등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와 3 내지 6원 헤테로 고리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방향족 비닐계 단위 및 3 내지 6원 헤테로 고리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블랜드 수지일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 블랜드될 수 있는 수지로는 예를 들면, 페녹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필름 형성방법으로 수행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와 그 밖의 중합체 및 첨가제 등을 임의의 적절한 혼합 방법에 의해 충분히 혼합하여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필름을 형성하거나, 또는 아크릴계 수지와, 그 밖의 중합체 및 첨가제 등을 별도의 용액으로 제조한 후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액을 만든 후 필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필름은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연신하는 경우에도 위상차의 증대를 억제하게 하여 광학적 등방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편광자 보호필름과 같이 위상차가 작은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아크릴 필름에 이방성이 큰 위상차 조절제를 첨가하여 연신에 의해 위상차가 크게 발현되게 할 수 있어, 광 시야각을 위한 보상필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어 옴니 믹서 등 임의의 적절한 혼합기로 상기 필름 원료를 프리블렌드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압출 혼련하여 제조한다. 이 경우, 압출 혼련에 이용되는 혼합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나 가압 니더 등 임의의 적절한 혼합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 형성방법은 예를 들면,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또는 압축 성형법 등 임의의 적절한 필름 성형법일 수 있다. 특히, 이들 필름 성형법 중 용융 압출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 압출법은 예를 들면, T 다이법 또는 인플레이션법 등일 수 있다. 이때, 필름 형성 온도는 예를 들면, 150℃ 내지 350℃ 또는 200℃ 내지 30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 다이법으로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공지된 단축 압출기나 2축 압출기의 선단부에 T 다이를 장착하고, 필름 형상으로 압출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필름 형상으로 압출된 필름을 종 방향(Machine Direction, MD)으로 연신한다. 이때, 상기 종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는 한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단계에 걸쳐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또한, 종 방향 연신은 롤 사이의 속도 차에 의한 연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신 과정을 통해 필름의 기계적 물성 개선, 위상차 특성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종 방향(Machine Direction, MD)은 T 다이를 통해 압출된 연속상 필름이 구동 롤에 의해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종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에서 종 방향 연신비는 1.3배 내지 3배일 수 있다. 종 방향 연신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연신에 의한 물성 개선 효과가 현저하고, 필름의 파단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한다. 한편, 상기 종 방향 연신비는 일반적으로 연신 전 길이에 대한 연신 후 길이의 비, 즉, (연신 후 길이/연신 전 길이)를 의미하지만, 롤투롤(roll-to-roll) 공정과 같은 연속공정에서 종 방향 연신비는, 연신 전 롤 속도에 대한 연신 후 롤 속도의 비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종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의 연신 온도는, 필름 원료인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근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때 연신온도는 유리전이온도(Tg) 내지 유리전이온도(Tg)+30℃ 정도의 범위일 수 있다. 연신 온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연신시 파단 발생률이 적고, 안정적인 연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종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의 연신 속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폭 800 mm 이하의 소규모 연신 장비의 경우 1 내지 10 m/min의 범위에서, 그 이상의 양산 설비의 경우 5 내지 80 m/min의 범위의 속도에서 연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종 방향 연신이 완료되면, 종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 수분산성 미립자 및 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에 의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수지를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사용하는 경우, 아크릴계 필름의 표면 마찰력이 높아 주행성이나 권취성이 좋지 못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도 편광자와 아크릴계 필름간에 충분한 접착력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신된 필름에 접착력을 부여하는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와 주행성 및 권취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수분산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주행성과 권취성을 가지면서 편광자와 아크릴계 보호필름과의 우수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는 편광자와 아크릴계 보호필름과의 부착을 위해 사용하는 접착제와의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코팅액 기준으로 그 함량은 3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5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코팅액에서의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편광자와 아크릴계 보호필름간에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으며, 기능성 코팅층 형성시 레벨링이 용이하고, 기포 불량 및 미립자 분산 불량 등의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는 예를 들면,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수지, 수분산 아크릴계 수지, 수분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다.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다이올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대표적으로는 다염기산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염기산 성분은, 예를 들면 오르토(ortho)-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비페닐디카르복실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옥살산, 숙신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리놀레산, 말레산, 푸마르산, 메사콘산, 이타콘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헥사하이드로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 알킬 에스테르, 산 할라이드 등의 반응성 유도체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 성분은 분자 중에 하이드록실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절한 폴리올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올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온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올펜틸글리콜, 펜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4,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4,4'-디히드록시메틸메탄,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올,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글리세린, 1,1,1-트리메틸올프로판, 1,2,5-헥사트리올, 펜타에리트리올,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대표적으로는 다가 알코올에 알킬렌옥사이드를 개환 중합하여 부가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다가 알코올은,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은, 예를 들면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글리콜 및 폴리(사이클로헥산카보네이트)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2 이상의 NCO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NDI),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TO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자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카르복시기 또는 3급 아민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계 수지에 카르복시기 또는 3급 아민기가 포함될 경우, 물에 대한 분산성이 향상되고,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카르복시기 또는 3급 아민기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에 반응시에 유리 카르복시기 또는 유리 아민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리 카르복시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로는, 예를 들면, 디하이드록시 카르복실산, 디하이드록시 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디하이드록시 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면 디메틸올아세트산, 디메틸올부탄산,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티르산, 디메틸올펜탄산 등의 디메틸올알칸산을 포함하는 디알킬올 알칸산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리 아민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4-부탄디아민, 아미노에틸에칸올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아민 등의 지환족 디아민; 자일릴렌디아민, 톨릴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중량 평균분자량은 1만 내지 1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중량 평균분자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충분한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고, 수분산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코팅층 형성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성분을 한번에 반응시키는 원샷법, 단계적으로 반응시키는 다단법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카르복실기 또는 3급 아민기를 갖는 경우에는 다단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단법에 의하면 작용기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제조 시에 임의의 적절한 우레탄 반응 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본 발명의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성분들에 추가로 다른 폴리올이나 사슬 연장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른 폴리올은, 예를 들면 소르비톨,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히드록시기 수가 3개 이상인 폴리올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사슬 연장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펜탄디올, 1,6-헥산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필요에 따라, 중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화제를 포함할 경우 수중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중화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N-메틸모르폴린,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알킨, 모르폴린,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 아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제조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불활성이고 물에 대해 상용성을 갖는 유기 용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유기 용제로는 아세트산에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유화제를 사용하여 아크릴계 모노머를 유화중합시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예를 들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유리전이온도가 상온보다 높은 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접착력 및 도막물성 개선을 목적으로 메톡시에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이 유리전이온도가 상온보다 낮은 아크릴계 모노머를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에 저장안정성 부여를 위해 적어도 1종 이상의 수용성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트아크릴산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주쇄에 카르복시산과 알코올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다염기산(polybasic acid)과 폴리올(polyol)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염기산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오르토(ortho)-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비페닐디카르복실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옥살산, 숙신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리놀레산, 말레산, 푸마르산, 메사콘산, 이타콘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헥사하이드로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 알킬 에스테르, 산 할라이드 등의 반응성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숙신산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염기산으로 술폰산염으로 치환된 이소프탈산을 사용할 경우, 수분산성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리올로서는 분자 중에 하이드록실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절한 폴리올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올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온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펜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4,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4,4'-디히드록시메틸메탄,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올,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글리세린, 1,1,1-트리메틸올프로판, 1,2,5-헥사트리올, 펜타에리트리올,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디메틸올알칸산 디메틸올아세트산,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롤부탄산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수분산성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글리콜은 다염기산과 폴리올을 2.5 : 1 내지 1: 2.5 의 몰비, 바람직하게는 2.3 : 1 내지 1 : 2.3 의 몰비, 더 바람직하게는, 2:1 ~ 1:2의 몰비로 반응시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염기산과 폴리올의 반응 몰비를 벗어나는 경우, 미반응 단량체에 의해 냄새가 발생하거나, 코팅 불량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필요에 따라, 아크릴계 단량체 성분을 추가로 공중합하여, 에스테르 단위와 함께 아크릴계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폴리에스테르 단위는 기재의 밀착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아크릴계 단위는 내용제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예를 들면,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 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 카르보닐기를 포함한 알킬 (메트)아크릴산, 알킬 아크릴산, 술폰산염을 포함한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술폰산염을 포함한 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소듐 2-메틸-2-프로펜-1-술폰산염을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소듐 아릴 술폰산염을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2프로펜-1-술폰산염을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 중에서도 에폭시기를 함유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공중합할 경우, 에폭시 고리가 고온에서 해리되어 에폭시 고리 간의 부가 중합 반응이 발생하여 가교화되면서 폴리에스테르 주쇄의 고온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온 안정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필요에 따라, 아크릴 단량체 성분에 추가하여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시켜도 된다. 이때, 상기 다른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로 니트릴 등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류; (메트)아크릴 이미드 등과 같은 불포화아미드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과 같은 올레핀류; 할로겐화된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β-불포화 지방족 단량체; 스티렌, 메틸스티렌 등과 같은 β-불포화 방향족 단량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2종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폭시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아크릴계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경우, 상기 폴리에스테르글리콜과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1:9 내지 9:1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8:2 정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7:3 정도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아크릴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경우, 기재와의 밀착성 및 내용제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염기산과 폴리올의 에스테르화반응 후, 중축합하는 방법 또는 다염기산 무수물과 폴리올의 에스테르화반응 후, 축중합 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방법들은 (1) 폴리에스테르의 중합을 위한 중합원료를 혼합하여 원료혼합물을 수득하는 원료혼합단계, (2) 상기 원료혼합물을 에스테르화시키는 에스테르화반응단계 및 (3) 에스테르화된 원료혼합물을 중축합시켜 폴리에스테르를 수득하는 중축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20 시클로알킬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20 시클로알킬, 카르복시기, 히드록시기 또는 술폰산염기이며,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카르복시기, 히드록시기 또는 술폰산염기이다. 이중에서도, R3 또는 R4가 카르복시기, 또는 술폰산염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R,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20 시클로알킬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본 발명의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추가적인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는 에스테르계 반복단위, 우레탄계 반복단위, 및 아크릴계 반복단위 중 2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수분산성 수지는 에스테르계 반복 단위와 우레탄계 반복 단위를 함께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수지일 수도 있고, 에스테르계 반복 단위와 아크릴계 반복 단위를 함께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일 수도 있으며, 상기 3개의 반복 단위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에는, 본 발명의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추가적인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코팅층에 포함되는 수분산성 미립자는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수분산성 미립자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슬립성이 우수하고, 헤이즈(Haze) 값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필름의 투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는 임의의 적절한 미립자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미립자는, 예를 들면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산화아연 및 안티몬계 등의 무기 산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유기계 미립자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가교 폴리비닐알코올 및 멜라민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코팅층에 포함되는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는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는 블로킹 억제능이 더욱 우수하고, 또한 투명성이 우수하여, 헤이즈를 발생시키지 않고, 착색도 없으므로, 편광판의 광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작기 때문이다. 또한, 콜리이달 실리카는 코팅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므로, 코팅층 형성시의 작업성도 보다 우수하다.
한편,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는 평균 직경(평균 1차 입자 직경)이 20nm 내지 400nm 정도 또는 50nm 내지 350nm 정도인 것이 좋다. 수분산성 미립자의 평균 직경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코팅 용액 내에서 수분산성 입자의 응집 및 침전 발생율이 저하되어 용액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코팅 용액 내에서 수분산성 입자의 분산이 고르게 일어나므로, 입자가 뭉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산란하여 헤이즈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범위의 입자 직경을 갖는 미립자를 이용함으로써, 코팅층 표면에 적절히 요철을 형성하여, 특히 아크릴계 필름과 코팅층 및/또는 코팅층끼리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블로킹 억제능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은 수계이므로, 바람직하게 상기 미립자는 수분산체로 배합된다. 구체적으로, 미립자로서 실리카를 채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콜로이달 실리카로서 배합된다. 콜로이달 실리카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시판되는 제품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닛산 화학 공업(주) 제조의 스노우텍스 시리즈, 에어프로덕트의 AEROSIL 시리즈, 일본촉매의 epostar 시리즈 및 soliostar RA 시리즈, Ranco의 LSH 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광학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신된 필름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상기 종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 예를 들면, 바(bar)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슬롯다이 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코팅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아크릴계 광학 필름과 기능성 코팅층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상기 아크릴계 광학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을 건조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컨벡션(convection) 오븐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건조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코팅층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연신 후에도 필름의 표면 특성이 우수하며, 파단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한다. 이때, 상기 건조는 예를 들면, 8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온도는 기재필름에 따라 다르게 조절할 수 있으며,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코팅 도막이 단단하게 형성됨으로써, 연신 공정에서 표면 손상이나 얼룩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하여 광학 특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이 건조되면, 이를 횡 방향(TD)으로 연신한다. 일반적으로 미립자가 함유된 코팅막을 연신할 경우 미립자 주변 부위와 미립자가 없는 부위 간의 늘어나는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며, 그에 따라 표면 요철이 보다 심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능성 코팅층 형성 후 건조된 필름을 횡 방향(TD) 연신하면, 필름 폭 방향으로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기능성 코팅층의 표면 요철을 보다 심하게 만들어 슬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횡 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은 필름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폭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건조된 필름을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는 한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단계에 걸쳐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이때, 횡 방향 연신은 텐터(tenter)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텐터의 레일 개시각은 통상 10도 이내로 하여, 횡 방향 연신 시에 생기는 보잉(Bowing) 현상을 억제하고 광학 축의 각도를 규칙적으로 제어한다. 횡 방향 연신을 다 단계로 수행할 경우에도 보잉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2축 연신한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필름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에서 횡 방향 연신비는 1.5배 내지 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횡 방향 연신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연신이 용이하고, 필름 파단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한다. 한편, 상기 횡 방향 연신비는 일반적으로 연신 전 길이에 대한 연신 후 길이의 비, 즉, (연신 후 길이/연신 전 길이)를 의미하지만, 텐터(tenter)를 이용한 공정에서 횡 방향 연신비는, 텐터 입구 폭에 대한 텐터 출구 폭의 비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의 연신 온도는, 필름 원료인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근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때 연신 온도는, 필름 원료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Tg(유리 전이 온도) 내지 Tg +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g + 2℃ 내지 Tg + 20℃ 정도의 범위일 수 있다. 횡 방향 연신 온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연신시 파단 발생율이 적고, 안정적인 연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의 연신 속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폭 800 mm 이하의 소규모 연신 장비의 경우 1 내지 10 m/min의 범위에서, 그 이상의 양산 설비의 경우 5 내지 80 m/min의 범위의 속도에서 연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추가 연신 후 형성되는 최종 두께는 50nm 내지 2000nm, 100nm 내지 1000nm 또는 200nm 내지 700nm일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접착력이 우수하고, 건조가 용이하며, 슬립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필름은 기능성 코팅층의 면내 위상차(Rin) 및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절대값이 연신 후에도 모두 2.0nm 이하의 값을 가진다. 연신 후 기능성 코팅층의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의 절대값이 2.0nm 를 초과하는 경우, 이러한 광학필름을 편광자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으로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는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 감소, 시감 변화, 위상차 얼룩 등의 불량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면내 위상차(Rin)는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값을 말하며,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하기 [식 2]로 정의되는 값을 말한다.
[식 1]
Rin = (nx-ny) × d
[식 2]
Rth = (nz-ny) × d
상기 [식 1] 및 [식 2]에서,
nx는 기능성 코팅층의 면 방향 굴절률 중 가장 큰 굴절률이고,
ny는 기능성 코팅층의 면 방향 굴절률 중 nx와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이다.
덧붙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아크릴계 광학필름은 이의 광학적 특성이나 기계적 특성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연신 처리 후에 열처리(어닐링)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열처리 조건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아크릴계 광학필름 제조방법은, 필름을 연신하는 공정과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통합하여 제조하므로,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 없어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높은 경제성을 갖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태양은, 상기 아크릴계 광학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즉, 상기와 같은 아크릴계 광학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기능성 코팅층 형성 후 건조된 필름을 횡 방향 연신하는 방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슬립성이 우수하여 원활한 권취가 가능하고 편광자 등과의 접착력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광학필름은 연신한 후에도 기능성 코팅층의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의 절대값이 2.0nm 이하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기능성 코팅층의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가 작기 때문에, 상기 광학 필름을 편광자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능성 코팅층 형성으로 인해 기재 필름의 위상차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의 광투과도는 85% 이상이고, 총 헤이즈(haze)는 0.3% 내지 5% 또는 0.5% 내지 3%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총 헤이즈는 발생 요인에 따라 외부 헤이즈와 내부 헤이즈로 구분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광학필름의 총 헤이즈 값은 외부 헤이즈 및 내부 헤이즈의 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의 외부 헤이즈는 0.3% 내지 3.0% 또는 0.5% 내지 2.5%일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헤이즈는 기능성 코팅층 내의 미립자에 의해 형성된 표면의 요철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헤이즈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표면 요철은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필름에 슬립성 및 안티블로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코팅면을 접착면으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할 경우 상기 요철구조가 접착제에 의해 모두 덮이기 때문에 더 이상 헤이즈를 발생시키지 않고, 그에 따라 편광판 광투과율에도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외부 헤이즈 값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필름의 슬립성이 우수하고, 편광판 제조시 외부 헤이즈의 제거가 용이하여 제조된 편광판의 광 투과율이 우수하다. 상기 외부 헤이즈 값은 기능성 코팅층의 요철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바, 상기 수치범위와 같은 외부 헤이즈 값을 갖기 위해서는 기능성 코팅층 형성시 이용되는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미립자의 크기 및 함량,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 및 기능성 코팅층 형성 후 연신비 등이 적절히 제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의 내부 헤이즈는 0.01% 내지 0.5% 또는 0.01% 내지 0.3% 일 수 있다. 여기서, 내부 헤이즈는 기능성 코팅층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코팅층과 기재 필름의 계면에서 발생되는 발생되는 광산란에 의한 헤이즈를 의미한다. 상기 내부 헤이즈는 편광판을 제작한 후에도 제거되지 않으므로, 내부 헤이즈가 높은 광학필름이 사용되는 편광판은 광투과율을 낮고, 그 최종 제품인 LCD패널의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의 정지 마찰계수는 0.01 내지 0.6 또는 0.01 내지 0.5일 수 있다. 광학필름의 정지 마찰계수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매우 우수한 슬립성을 제공하여, 권취 주름, 블로킹 등의 권취 불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불량률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지 마찰계수는 기능성 코팅층과 기재 필름 면과의 정지마찰계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필름의 슬립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태양에 의하면,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광학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편광자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PVA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접착은 접착제층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과 편광판의 합지시 사용 가능한 접착제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폴리비닐알콜(PVA)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계(SBR계) 접착제, 또는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이 있다.
나아가, 상기 편광자와 아크릴계 보호필름의 접착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열 경화 또는 광 경화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 경화에 의한 접착은 예를 들면, 편광자용 보호 필름 또는 편광자인 PVA 필름의 표면 상에 롤 코터, 그라비어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캐필러리 코터 등을 사용하여 접착제를 먼저 코팅하고, 접착제가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보호 필름과 편광막을 합지 롤로 가열압착하거나 상온압착하여 합지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핫멜트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열 압착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 경화에 의한 접착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보호필름의 일면 또는 편광자의 일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한 다음, 편광자와 아크릴계 보호필름을 합판한 후, 전자선, 자외선, 감마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통해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충분한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 점착제도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는 합지 후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하여 충분히 경화가 일어나 기계적 강도가 접착제 수준으로 향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면접착력도 커서 점착제가 부착된 양쪽 필름 중 어느 한 쪽의 파괴없이는 박리되지 않는 정도의 점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사용 가능한 점착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광학투명성이 우수한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등과 여기에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를 첨가한 경화형 점착제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편광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은 각종 용도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용 편광판, 유기 EL 표시장치의 반사 방지용 편광판 등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각종 기능성 막, 예를 들면 λ/4판, λ/2판 등의 위상차판, 광확산판, 시야각 확대판, 휘도 향상판, 반사판 등의 여러 가지 광학층을 조합한 복합 편광판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1)코팅 조성물의 제조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조광페인트 CK-PUD-PF: 고형분 30% 수용액) 24.24g, 콜로이달 실리카(평균입경 200nm, 고형분 20% 수용액) 3.64g, 순수 72.12g을 혼합하여 고형분 8%의 기능성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콜로이달 실리카의 첨가량은 PUD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였다.
(2)광학필름의 제조
폴리(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o-메틸메타크릴레이트)(㈜LGMMA PMMA830HR) 수지를 가지고 250℃, 250rpm 조건하에서 T-다이 제막기를 이용하여 폭 800nm의 미연신 필름을 제조한 후 135℃의 온도에서 MD방향으로 roll-to-roll 방식으로 1.8배 연신하였다.
상기 연신된 아크릴 필름은 50 W/m2/min의 조건으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그 위에 #6번 메이어바(Mayer bar)로 상기 기능성 코팅액을 코팅한 후 90℃ 열풍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필름을 135℃의 온도에서 텐터 연신기를 이용하여 TD 방향으로 2.4배 연신하여 두께 50㎛의 아크릴계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는 약 330nm 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종 방향, 횡 방향 연신비를 각각 2.0배, 2.0배로 한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계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는 약 390nm 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수분산 폴리우래탄 수지 대신에 수분산 아크릴계 수지(DSM사 Neocryl A-1127)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계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는 약 350nm 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연신/코팅순서만을 달리하였다. 즉, MD방향으로 1.8배 연신 후 TD방향으로 2.4배 연신하고, 그런 다음 #3번 메이어바로 기능성 코팅액을 코팅하는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계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는 약 450nm 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아크릴 필름을 MD방향으로 1.8배 연신한 후에 코팅 공정 없이 바로 TD방향으로 2.4배 연신하여 기능성 코팅층이 없는 아크릴계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코팅 후 별도의 건조 공정 없이 바로 135℃의 온도에서 텐터 연신기를 이용하여 TD 방향으로 2.4배 연신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계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코팅한 후 50℃ 열풍에서 1분간 건조한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계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헤이즈
(
Haze
)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한 광학필름의 총 헤이즈를 Hazemeter (Murakami, HM-15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광학필름의 기능성 코팅층이 코팅된 면을 #9번 메이어바(Mayer bar)를 사용하여 PVA접착제(㈜일본합성화학 Gohsefimerz-200, 4% 수용액)로 코팅하고 이를 90℃의 열풍오븐에서 5분간 건조한 다음 Hazemeter로 내부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하기 [식 3]의 방법으로 외부 헤이즈를 구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식 3]
외부 헤이즈 = 총 헤이즈 - 내부 헤이즈
실험예
2.
정마찰계수
측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한 광학필름의 정마찰계수는 ASTM D 1894 시험법으로 기능성 코팅층이 코팅된 면과 반대 면과의 마찰력을 측정하여 구하였다. 측정 조건은 500g의 무게 추를 가지고 180mm/min의 속도로 실시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예
3.
안티블로킹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한 광학필름의 양쪽 끝 단을 슬리팅한 후 500m 이상 롤에 권취하여 필름 롤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권취 상태를 확인하고, 이후 1주일 이상 방치한 후 롤의 외관 변화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아래와 같이 안티블로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O (양호): 필름이 주름 없이 권취되며 1주일 이상 방치 후에도 외관상 변형이나 필름끼리 달라붙지 않음.
X (불량): 권취시 주름 발생 또는 방치 후에 외관 변형 또는 필름끼리 달라붙음.
실험예
4. 코팅 균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한 광학필름의 코팅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코팅 균일성 평가는 MD방향으로 1m 길이로 잘라낸 필름을 가지고 암실에서 할로겐 램프를 직접 필름 코팅면에 비친 후 육안을 통해 불량여부를 판단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O (양호): 필름 코팅 면을 육안으로 확인 시 코팅얼룩, 미코팅 등의 코팅불량이 전혀 관찰되지 않음.
X (불량): 필름 코팅 면을 육안으로 확인 시 코팅얼룩, 미코팅 등의 코팅불량이 1 개 이상 관찰됨.
연신비 (배) | 기능성코팅 후 연신 유무 | 수분산 수지 | 미립자 | 기능성코팅층 두께 | Haze (%) | 정마찰계수 | 안티블로킹성 | 코팅 균일성 |
||||
MD | TD | 평균입경 (nm) |
함량* (중량부) |
내부 | 외부 | |||||||
실시예 1 | 1.8 | 2.4 | 유 | 폴리우레탄 | 200 | 10 | 330nm | 0.3 | 1.5 | 0.42 | O | O |
실시예 2 | 2.0 | 2.0 | 유 | 폴리우레탄 | 200 | 10 | 390nm | 0.3 | 1.2 | 0.43 | O | O |
실시예 3 | 1.8 | 2.4 | 유 | 아크릴계 | 200 | 10 | 350nm | 0.3 | 2.0 | 0.40 | O | O |
비교예 1 | 1.8 | 2.4 | 무 | 폴리우레탄 | 200 | 10 | 450nm | 0.3 | 0.1 | 0.89 | X | O |
비교예 2 | 1.8 | 2.4 | 코팅없음 | - | - | - | - | 0.2 | 0 | 2.5 | - | - |
비교예 3 | 1.8 | 2.4 | 유 | 폴리우레탄 | 200 | 10 | - | - | - | - | - | X |
비교예 4 | 1.8 | 2.4 | 유 | 폴리우레탄 | 200 | 10 | - | - | - | - | - | X |
* 수분산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미립자 함량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정마찰계수가 낮고 투명성 및 안티블로킹성이 높은 광학필름이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 1 및 2에서는 외부 헤이즈 값이 매우 낮고, 정마찰계수는 높아 표면 요철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광학필름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권취시 블로킹이 발생한다. 또한, 비교예 3의 경우 별도의 건조단계 없이 연신 작업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코팅불량, 불균일 연신 및 그에 따른 잦은 파단이 발생하여 균일한 필름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4의 경우 건조단계에서 건조가 불충분하여 단단한 코팅도막이 형성되지 못하였고, 그 결과 텐터 연신 공정에서 표면 손상, 얼룩 등이 발생하여 균일한 필름을 얻을 수 없었다.
이상에서 본 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7)
-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을 종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상기 연신된 필름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광학필름을 80 내지 120℃의 온도로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광학필름을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는 1.5 내지 3배의 연신비로 수행되는 것인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는 50 내지 2000nm 범위인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분산성 미립자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는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수지, 수분산 아크릴계 수지, 수분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인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만 내지 100만인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카르복시기 또는 3급 아민기를 포함하는 것인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20 시클로알킬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20 시클로알킬,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또는 술폰산염기이며,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또는 술폰산염기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는 에스테르계 반복 단위와 아크릴계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수지인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는 에스테르계 반복 단위와 우레탄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계 수지인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는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조합인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는 평균 직경이 20nm 내지 400nm인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광학필름으로,
아크릴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하기 [식 1] 및 [식 2]에 따른 면내 위상차(Rin) 및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절대값이 연신 후 2nm 이하인 아크릴계 광학필름.
[식 1]
Rin = (nx-ny) × d
[식 2]
Rth = (nz-ny) × d
상기 [식 1] 및 [식 2]에서,
nx는 기능성 코팅층의 면 방향 굴절율 중 가장 큰 굴절율이고,
ny는 기능성 코팅층의 면 방향 굴절율 중 nx와 수직인 방향의 굴절율이며,
nz는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 방향의 굴절율이고,
d는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이다.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정지 마찰계수는 0.01 내지 0.6인 아크릴계 광학필름.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외부 헤이즈는 0.3% 내지 3.0%인 아크릴계 광학필름.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광학필름의 내부 헤이즈는 0.01% 내지 0.5%인 아크릴계 광학필름.
-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청구항 13의 아크릴계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59216 | 2012-06-01 | ||
KR1020120059216 | 2012-06-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5768A true KR20130135768A (ko) | 2013-12-11 |
KR101514129B1 KR101514129B1 (ko) | 2015-04-21 |
Family
ID=4998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1947A KR101514129B1 (ko) | 2012-06-01 | 2013-05-30 | 아크릴계 광학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4129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8766A (ko) * | 2012-06-08 | 2015-03-16 |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 편광판의 제조방법 |
WO2016048016A1 (ko) * | 2014-09-22 | 2016-03-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내수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WO2017003249A1 (ko) * | 2015-07-01 | 2017-01-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기재 필름 |
KR20180032195A (ko) * | 2016-09-21 | 2018-03-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KR20190059679A (ko) | 2017-11-23 | 2019-05-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자 보호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00117974A (ko) * | 2018-02-07 | 2020-10-14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
2013
- 2013-05-30 KR KR1020130061947A patent/KR10151412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8766A (ko) * | 2012-06-08 | 2015-03-16 |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 편광판의 제조방법 |
WO2016048016A1 (ko) * | 2014-09-22 | 2016-03-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내수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US20170101517A1 (en) * | 2014-09-22 | 2017-04-13 | Lg Chem, Ltd. | Optical film having excellent water resistance and solvent resistance, and polarization plate comprising same |
CN107075144A (zh) * | 2014-09-22 | 2017-08-18 | Lg化学株式会社 | 具有优异耐水性和耐溶剂性的光学膜及包括该光学膜的偏振板 |
US10662306B2 (en) | 2014-09-22 | 2020-05-26 | Lg Chem, Ltd. | Optical film having excellent water resistance and solvent resistance, and polarization plate comprising same |
WO2017003249A1 (ko) * | 2015-07-01 | 2017-01-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기재 필름 |
CN107810111A (zh) * | 2015-07-01 | 2018-03-16 | 株式会社Lg化学 | 基膜 |
US10647098B2 (en) | 2015-07-01 | 2020-05-12 | Lg Chem, Ltd. | Base film |
CN107810111B (zh) * | 2015-07-01 | 2020-09-01 | 株式会社Lg化学 | 基膜 |
KR20180032195A (ko) * | 2016-09-21 | 2018-03-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KR20190059679A (ko) | 2017-11-23 | 2019-05-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자 보호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00117974A (ko) * | 2018-02-07 | 2020-10-14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4129B1 (ko) | 2015-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41968B2 (ja) | 保護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偏光板 | |
US9110244B2 (en) | Polyester-based primer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 |
JP5831774B2 (ja) | 機能性コーティング層を含む光学フィルム、これを含む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 |
KR101514129B1 (ko) | 아크릴계 광학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
JP6162888B2 (ja) | 偏光板 | |
KR101549791B1 (ko) | 아크릴계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
JP2014534988A (ja) | 水系組成物、これを含む光学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 |
JP2016535321A (ja) | 機能性コーティング層を含む光学フィルム、これを含む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 |
TWI746730B (zh) | 光學積層體 | |
JP6257783B2 (ja) | 耐溶剤性に優れた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偏光板 | |
KR20140146391A (ko) | 수계 프라이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편광판 | |
EP2816085B1 (en) | Optical film using a polyester-based primer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polyester-based primer composition | |
KR101697007B1 (ko)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 |
KR20170086961A (ko) |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과 액정표시장치 | |
JP2012133314A (ja) | 光学積層体 | |
JP2019532323A (ja) | 帯電防止性に優れた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偏光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