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620A - 이유식 조리기 - Google Patents

이유식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620A
KR20130135620A KR1020120059356A KR20120059356A KR20130135620A KR 20130135620 A KR20130135620 A KR 20130135620A KR 1020120059356 A KR1020120059356 A KR 1020120059356A KR 20120059356 A KR20120059356 A KR 20120059356A KR 20130135620 A KR20130135620 A KR 20130135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food
container
water tank
food cooker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0373B1 (ko
Inventor
신동주
Original Assignee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한일전기그룹 주식회사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한일전기그룹 주식회사,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37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발생부 및 스팀유동부를 청결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유식의 조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유식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용기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수조;
상기 수조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하우징 및 히터로부터 분리 가능한 착탈식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유식 조리기{Baby food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이유식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발생부 및 스팀유동부를 청결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유식의 조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유식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유아기 초기의 아기는 모유나 분유만으로 필요한 영양을 얻을 수 있으나 생후 6개월 정도가 되면 모유나 분유만으로는 충분한 영양공급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유아기 초기를 벗어난 아기에게는 연하고 소화가 잘 되는 반고형 상태의 음식을 제공하여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고, 고형식에 익숙해지도록 훈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아기 초기를 벗어난 아기에게 제공하는 반고형 상태의 음식을 이유식이라 한다.
한편, 이유식 식재료는 분쇄 및 찜 과정을 거쳐 반고형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이유식 조리과정에서는 식재료를 분쇄하고 쪄내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때, 일반 조리 용구를 통해 이유식을 조리하는 경우 분쇄기 및 찜기 등을 각각 사용해야만 했으므로 조리 과정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분쇄기 및 찜기 사용 이후 이를 세척하고 정리하는데 상당한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이유식 식재료를 간단히 분쇄하고 쪄낼 수 있도록 하는 이유식 조리기가 제안된바 있다.
이와 같은 이유식 조리기는 일반 조리 용구를 사용하는 것에 이유식 조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 이유식 조리기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 내부로 고온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부 즉, 수조가 이유식 조리기의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것이어서 스팀발생부의 청소가 곤란하였으므로 자칫 그 내부에 이물질이 침전되거나 유해균이 서식하게 되는 경우 이유식 조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이유식 조리기는 스팀발생부로부터의 스팀을 용기로 유도하는 스팀유동부가 수조와 용기 사이에 고정되는 것이어서 스팀유동부의 청소가 곤란하였으므로 자칫 그 내부에 이물질이 끼거나 유해균이 서식하게 되는 경우 이유식 조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스팀발생부 및 스팀유동부를 청결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유식의 조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유식 조리기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팀발생부 및 스팀유동부의 청결 관리가 곤란함에 따라 이유식의 조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식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용기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수조;
상기 수조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하우징 및 히터로부터 분리 가능한 착탈식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조는 바닥면에 히터 외면을 감싸는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조는 스테인리스스틸로 되고, 상단에 분리 가능한 덮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조에서 발생한 스팀은 수조와 용기 사이 및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착탈식 튜브카트리지를 통해 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브카트리지는 실리콘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는 상단에 분리 가능한 덮개가 마련되고, 손잡이 및 손잡이에 인접하는 몸체에 열전달을 완화하는 착탈식 실리콘 패킹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 내부에는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커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터는 중심축에 형성된 돌기가 중심축을 가이드하는 지지관에 형성된 경사홈을 타고 이동함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터는 높이에 차등을 둔 다단의 칼날에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용기 안착면에는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이 마련되고, 회전축은 커터의 중심축과 결합하여 회전축 회전에 의해 커터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는 수조 및 튜브카트리지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인바, 하우징으로부터 수조 및 튜브카트리지를 분리하게 되면 수조 및 튜브카트리지의 내부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수조 및 튜브카트리지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어 이유식의 제조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에서 수조를 통한 스팀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에서 튜브카트리지를 통한 스팀 유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에서 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에서 커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에서 커터의 승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A)는 용기(10), 하우징(20), 수조(30), 히터(4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용기(10)는 상단에 분리 가능한 덮개(1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0) 상단에 분리 가능한 덮개(11)가 마련됨으로써 용기(11)로부터 덮개 분리에 의해 용기(10) 내부로 식재료가 투입될 수 있게 되고, 용기(10)와 덮개(11)의 결합에 의해 용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기(10)는 손잡이(12) 및 손잡이(12)에 인접하는 몸체(10')에 열전달을 완화하는 착탈식 실리콘 패킹(1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0)의 손잡이(12) 및 손잡이(12)에 인접하는 몸체(10')에 열전달을 완화하는 착탈식 실리콘 패킹(13)이 마련됨으로써 고온 스팀 유입에 의해 가열된 용기(10)를 파지하더라도 실리콘 패킹(13)이 열전달을 완화하여 화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기(10)는 그 내부에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커터(6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0) 내부에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커터(60)가 마련됨으로써 용기(10) 내의 식재료를 분쇄하고자 할 때 커터(60)를 하강시킴에 따라 식재료의 분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커터(60)의 승하강은 중심축(62)에 형성된 돌기(62a)가 중심축(62)을 가이드하는 지지관(63)에 형성된 경사홈(63a)을 타고 이동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식재료를 분쇄하고자 할 때 중심축(62)에 형성된 돌기(62a)가 중심축(62)을 가이드하는 지지관(63)에 형성된 경사홈(63a) 하단에 위치함으로써 커터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고, 식재료를 찌고자 할 때 중심축(62)에 형성된 돌기(62a)가 중심축(62)을 가이드하는 지지관(63)에 형성된 경사홈(63a) 상단에 위치함으로써 커터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커터(60)의 칼날(61)은 높이에 차등을 두어 다단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60)의 칼날(61)이 높이에 차등을 두어 다단으로 됨으로써 용기(20)에 수용되는 식재료의 분쇄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터(60)의 각 칼날(61)에는 통공(6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60)의 칼날(61)에 통공(61a)이 형성됨으로써 용기(10)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스팀이 칼날(61)의 통공(61a)을 통해 용기(10) 바닥에까지 고르게 미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용기(10)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우징(20)의 용기(10) 안착면에는 모터(21)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2)이 마련된다.
하우징(20)의 용기(10) 안착면에 모터(21)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2)이 마련됨으로써 회전축(22)의 상단이 용기(10) 내부에 위치하는 커터(60)의 중심축(62)과 결합함에 따라 회전축(22) 회전에 의해 커터(60)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조(30)는 용기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조(30)는 상단에 분리 가능한 덮개(3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3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한 덮개(31)가 마련됨으로써 수조(30)로부터 덮개(31) 분리에 의해 수조(10) 내부로 물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수조(30)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수조(30)와 덮개(31)의 결합에 의해 수조(3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조(30)의 바닥면에는 히터(40) 외면을 감싸는 홈(32)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30)의 바닥면에 히터(40) 외면을 감싸는 홈(32)이 마련됨으로써 수조(30)와 히터(40)의 접촉면이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히터(40)상에서 수조(30) 유동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조(30)는 스테인리스스틸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30)가 스테인리스스틸로 됨으로써 히터(40)로부터의 열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세척을 통해 청결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조(30)에서 발생한 스팀은 수조(30)와 용기(10) 사이 및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착탈식 튜브카트리지(50)를 통해 용기(10) 내부로 공급된다.
수조(30)에서 발생한 스팀이 수조(30)와 용기(10) 사이 및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착탈식 튜브카트리지(50)를 통해 용기(10)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수조(30)와 용기(10) 사이에 위치하는 튜브카트리지(50)를 하우징(20) 외부로 분리하게 되면 튜브카트리지(50)의 내부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튜브카트리지(50)는 실리콘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카트리지(50)가 실리콘으로 됨으로써 튜브카트리지(50)가 유연해질 수 있게 되므로 수조(30)와 용기(10) 사이에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수조(30)와 용기(10)에 긴밀히 접촉할 수 있어 스팀의 누설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튜브카트리지(50)와 접촉하는 수조(30) 일측에는 스팀유출구(도면부호 미표시)가 마련되고, 용기(10) 일측에는 스팀유입구(도면부호 미표시)가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히터(40)는 수조(30)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히터(40)는 전원 인가에 따라 발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히터(4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A)의 사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조(30) 내에는 물이 채워지고, 용기(10) 내에는 식재료가 채워진다.
본 발명에서 수조(30) 및 용기(10)는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이므로 분리된 수조(30)로부터 덮개(31)를 제거하게 되면 수조(30) 내에 간편하게 물을 채울 수 있게 되고, 분리된 용기(10)로부터 덮개(11)를 제거하게 되면 용기(10) 내에 간편하게 식재료를 채울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조(30)로부터 제거된 덮개(31)는 수조(30) 내에 물이 채워진 후 수조(30)에 결합되는 것이고, 용기(10)로부터 제거된 덮개(11)는 용기(10) 내에 식재료가 채워진 후 용기(10)에 결합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용기(20) 내의 식재료가 분쇄된다.
본 발명에서 용기 내에는 커터(60)가 마련되어 있고, 커터(60)의 중심축(62)은 하우징(20)상의 모터(21)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2)과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모터(21)를 구동하여 회전축(22)을 회전시키게 되면 커터(6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용기(10) 내의 식재료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커터(60)는 식재료 분쇄 과정에서 용기(10) 저면에 근접하는 것인바, 식재료의 분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용기(10) 내에 스팀이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수조(30)의 홈(32)은 히터(40) 외면을 감싸고 있다.
따라서, 히터(40)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하게 하면, 히터(40)로부터의 열이 수조(30)에 미치게 되므로 수조(30) 내부의 물이 끓게 되어 스팀 발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수조(30)와 용기(10) 사이에는 튜브카트리지(5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수조(30)에서 발생하는 스팀은 스팀유출구를 통해 튜브카트리지(50)로 유입된 후 튜브카트리지(50)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용기(10)의 스팀유입구를 통해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므로 수조(30)로부터의 스팀이 용기(10) 내에 공급될 수 있어 용기(10) 내의 식재료를 찔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A)는 이유식 조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수조(30)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것임)되거나, 유해균 또는 해충이 유입되는 경우 오염이 따르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수조(30)는 하우징(20) 및 히터(4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이고, 스테인리스스틸로 된 것인바, 하우징(20) 및 히터(40)로부터 수조(3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단의 덮개(31)를 제거한 후 세제 등을 이용하여 세척하게 되면 수조(30)를 청결히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수조(30)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에 의해 쪄지는 이유식이 위생적으로 조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튜브카트리지(50)는 내부로 이물질(스팀에 함유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것임)이 유입되거나, 유해균 또는 해충이 유입되는 경우 오염이 따르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튜브카트리지(50)는 수조(30)와 용기(10) 사이 및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이고, 실리콘으로 된 것인바, 수조(30)와 용기(10) 사이 및 하우징(20)으로부터 튜브카트리지(50)를 분리한 상태에서 세제 등을 이용하여 세척하게 되면 튜브카트리지(50)를 청결히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튜브카트리지(50)를 거치며 유동하는 스팀에 의해 쪄지는 이유식이 위생적으로 조리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A)는 화상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고온 스팀이 유입된 용기(10)는 가열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가열된 용기(10)를 파지할 때 자칫 화상을 입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용기(10)의 손잡이(12) 및 손잡이(12)와 인접하는 몸체(10')에는 실리콘 패킹(13)이 마련되어 있는바, 실리콘 패킹(13)이 열전달을 완화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된 용기(10)를 파지하더라도 화상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유식 조리기(A)는 수조(30) 및 튜브카트리지(50)가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인바, 하우징(20)으로부터 수조(30) 및 튜브카트리지(50)를 분리하게 되면 수조(30) 및 튜브카트리지(50)의 내부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수조(30) 및 튜브카트리지(50)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어 이유식의 제조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용기 10' : 몸체
11 : 덮개 12 : 손잡이
13 : 실리콘 패킹 20 : 하우징
21 : 모터 22 : 회전축
30 : 수조 31 : 덮개
32 : 홈 40 : 히터
50 : 튜브카트리지 60 : 커터
61 : 칼날 61a : 통공
62 : 중심축 62a : 돌기
63 : 지지관 63a : 경사홈
A : 이유식 조리기

Claims (10)

  1.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용기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수조;
    상기 수조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하우징 및 히터로부터 분리 가능한 착탈식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그 바닥면에 히터 외면을 감싸는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스테인리스스틸로 되고, 상단에 분리 가능한 덮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조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서 발생한 스팀은 수조와 용기 사이 및 하우징에서 분리 가능한 착탈식 튜브카트리지를 통해 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카트리지는 실리콘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조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단에 분리 가능한 덮개가 마련되고, 손잡이 및 손잡이에 인접하는 몸체에 열전달을 완화하는 착탈식 실리콘 패킹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조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에는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커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조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중심축에 형성된 돌기가 중심축을 가이드하는 지지관에 형성된 경사홈을 타고 이동함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조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높이에 차등을 둔 다단의 칼날에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조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용기 안착면에는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이 마련되고, 회전축은 커터의 중심축과 결합하여 회전축 회전에 의해 커터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조리기.
KR1020120059356A 2012-06-01 2012-06-01 이유식 조리기 KR101360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356A KR101360373B1 (ko) 2012-06-01 2012-06-01 이유식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356A KR101360373B1 (ko) 2012-06-01 2012-06-01 이유식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620A true KR20130135620A (ko) 2013-12-11
KR101360373B1 KR101360373B1 (ko) 2014-02-10

Family

ID=4998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356A KR101360373B1 (ko) 2012-06-01 2012-06-01 이유식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3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183A (zh) * 2014-09-22 2016-04-20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食物蒸制料理一体机
KR20170016070A (ko) 2015-08-03 2017-02-13 임근배 이유식 조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5099B (zh) * 2015-11-11 2018-01-19 山东胜阳生活电器有限公司 全自动辅食机及辅食自动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863A (ko) * 2004-02-03 2005-08-08 이관일 이유식 제조기
KR100622781B1 (ko) * 2004-04-27 2006-09-14 김홍배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제조기구
KR101072542B1 (ko) 2009-02-17 2011-10-11 신한일전기주식회사 음식 조리기
KR20110002123U (ko) * 2009-08-26 2011-03-04 정병일 복합 이유식 조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183A (zh) * 2014-09-22 2016-04-20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食物蒸制料理一体机
KR20170016070A (ko) 2015-08-03 2017-02-13 임근배 이유식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373B1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5249B2 (en) Baby food maker
US8993025B2 (en) Fryer and procedure for cooking in a small volume of oil
KR101003235B1 (ko) 조리용 쿠커
JP2024038454A (ja) 食品プロセッサの熱管理
JP2018502633A (ja) 食品を蒸し及び混合するための装置
JP5796018B2 (ja) 加熱調理器および炊飯器
JP2018504940A (ja) 食品加工調理機器
CN102273945A (zh) 一种研磨豆浆机及其自动清洗方法
CN104783651B (zh) 蒸汽加热式食物料理机
CN209360444U (zh) 双发热管空气炸锅
KR101360373B1 (ko) 이유식 조리기
CN210185391U (zh) 一种烹调器具
CN109276159A (zh) 一种烹调器具
US20200397185A1 (en) Baby food maker
US8616121B1 (en) Cooktop drain
CN204931439U (zh) 一种炸锅
KR100622781B1 (ko)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제조기구
CN2762712Y (zh) 一种婴儿食物处理器
CN105147047B (zh) 可视汽烧烹饪装置
KR101613206B1 (ko) 음식물 가공기
CA2392506A1 (en) Multi-use device for house use, in particular for children's feeding
CN208755679U (zh) 一种水果蒸汽蒸煮罐
CN102415817B (zh) 冷热两用果汁机
KR100691423B1 (ko) 회전식 교반 수단을 갖는 엑기스 제조용 전열식 약탕기
KR200343444Y1 (ko) 전동과 전열을 이용한 다용도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