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520A -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520A
KR20130135520A KR1020120059146A KR20120059146A KR20130135520A KR 20130135520 A KR20130135520 A KR 20130135520A KR 1020120059146 A KR1020120059146 A KR 1020120059146A KR 20120059146 A KR20120059146 A KR 20120059146A KR 20130135520 A KR20130135520 A KR 20130135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formation
renewable energy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895B1 (ko
Inventor
김병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895B1/ko
Priority to ES13169664T priority patent/ES2710658T3/es
Priority to EP13169664.3A priority patent/EP2670022B1/en
Priority to US13/905,004 priority patent/US20130326387A1/en
Publication of KR2013013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40Filling a planar surface by adding surface attributes, e.g. colour or tex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감시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전력 계통에 공급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부; 상기 전력 계통에 연결되어 상기 신재생 에너지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거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 및 상기 전력 계통에 연결되어 상기 신재생 에너지부 및 배터리부를 관리하기 위한 전력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부로부터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 및 배터리 연결 상태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 연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감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A power monitoring system and a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power system}
본 발명은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재생 에너지 및 배터리 전력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감시 시스템이란 송배전 계통 등의 전력 계통이나 각종 산업 설비가 구비된 공장 등의 수배전 계통에서 컴퓨터를 통하여 전력 설비를 통합적으로 감시하여 각종 전력 기기들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전기량을 계측, 감시하며, 전력 사고 발생시 선로를 차단하는 등의 보호 기능과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전력 감시 시스템은 시스템 운영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종 설비와 네트워크를 이중화하고 인터페이스 모듈을 운영하여 타 시스템과 유연하게 연동시키고 있으며, 더 나아가 데이터 통신과 원격감시제어 기능 등의 추가적인 기능도 수행을 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전력 감시 시스템이 제공하는 감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력 감시 시스템은 감시 화면을 통하여 일반 발전기 설비(화력발전, 원자력발전, 수력발전 또는 가스터빈발전)에 의해 공급되는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 변압기 설비, 차단기 설비 및 전력의 공급경로를 기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전력 감시 시스템의 감시 화면 인터페이스는 전력 시스템의 정보를 기호 및 수치만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전력 감시 시스템의 상황을 직관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재생 에너지의 도입과 함께 현재 변화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부 및 배터리부(BESS)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를 포함하는 신 전력 계통의 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전력 시스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재생 에너지부로부터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배터리부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 및 배터리 연결 상태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 연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감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감시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전력 계통에 공급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부; 상기 전력 계통에 연결되어 상기 신재생 에너지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거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 및 상기 전력 계통에 연결되어 상기 신재생 에너지부 및 배터리부를 관리하기 위한 전력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부로부터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 및 배터리 연결 상태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 연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감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재생 에너지부의 유효 전력 또는 무효 전력값을 전력 감시 시스템의 감시 영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하는 전력 계통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에게 친숙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사용하여 전력 시스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력 시스템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는 감시 영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감시 영상을 통해 전력 계통의 연결 상태 또는 배터리부 연결 상태와 전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 감시 시스템의 감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감시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전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감시 시스템의 감시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전력 감시 시스템의 감시 영상 중 배터리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감시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전력 시스템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감시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전력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전력 계통(400)에 공급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부(200), 전력 계통(400)에 연결되어 신재생 에너지부(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거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300) 및 전력 계통(400)에 연결되어 신재생 에너지부(200) 및 배터리부(300)를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감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관리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력 관리부(100)는 현장설비인 신재생 에너지부(200) 및 배터리부(300)의 전력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기 위한 NOC(Network Operation Center) 서버(140), NOC 서버(140)와 호스트 서버(120)간 통신을 연계하고, NOC 서버(140)에서 제공되는 전력 정보를 호스트 서버(120)로 전달하기 위한 FEP(Front End Processor) 서버(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호스트 서버(120)에 접속하여 전력 감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거나, 감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클라이언트(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재생 에너지부(200)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전력 계통(400)에 공급하며, 전력 관리부(100)로 현재 공급되고 있는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신재생에너지(New Renewable Energy)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체계를 위한 미래에너지원을 그 특성으로 한다. 신재생에너지는 유가의 불안정과 기후변화협약의 규제 대응 등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8개 분야의 재생에너지(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와 3개 분야의 신에너지(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총11개 분야를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하고 있다.
한편, 배터리부(300)는 전력 계통(400)에 연결되어 신재생 에너지부(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거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부(300)는 배터리부 연결 상태 정보, 전력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력 관리부(100)로 전송한다.
배터리부(300)는 신재생 에너지부(200)와 연계되어 전력 계통(400)에 전력을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신재생 에너지는 각 에너지원마다의 특성이 다르고, 장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발전을 하기 위한 여러 조건 등이 가변적이어서 그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출력되는 발전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배터리부(300)와 연계하여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부(300)는 예를 들어 신재생 에너지부(200)와 연계되는 전력저장장치(BESS: Battery EnergyStorage Syste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력 관리부(100)는 신재생 에너지부(200) 및 배터리부(300)를 관리하고,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 연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감시 영상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전력 관리부(100)의 호스트 서버(120) 또는 클라이언트(110)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력 관리부(100)는 현장설비인 신재생 에너지부(200) 및 배터리부(300)의 전력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기 위한 NOC(Network Operation Center)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NOC 서버(140)는 신재생 에너지부(200)로부터 전력 계통(400)에 공급되는 무효 전력 또는 유효 전력량을 수집하여 저장하고, FEP 서버(130)를 통해 호스트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부(100)는 NOC 서버(140)와 호스트 서버(120)간 통신을 연계하고, NOC 서버(140)에서 제공되는 전력 정보를 호스트 서버(120)로 전달하기 위한 FEP(Front End Processor) 서버(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EP 서버(130)는 NOC 서버(140)와 호스트 서버(120)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FEP 서버(130)의 통신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FEP 서버(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FEP 서버(130)를 통하여 호스트 서버(120)는 NOC 서버(140)를 통하여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력 관리부(100)는 호스트 서버(120)에 접속하여 전력 감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거나, 감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클라이언트(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10)는 감시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호스트 서버(120)는 전체 전력 시스템을 제어하며, 전력 계통(400)으로부터 전력 계통의 연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전력 계통의 연결 상태 정보와 신재생 에너지부(200) 및 배터리부(3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기반의 감시 영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감시 영상은 호스트 서버(12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 또는 상술한 클라이언트 장치(110)에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서버(120)는 클라이언트 장치(110)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110)로 실시간 전력 데이터 또는 감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 정보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 정보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 전력 관리부(100)는 신재생 에너지부(200)로부터 신재생 에너지 전력정보를 수신한다(S100).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는 신재생 에너지부(200)로부터 전력 계통(400)에 공급되는 유효 전력 값 또는 무효 전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부(100)는 배터리부(300)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 및 배터리 연결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110). 배터리 전력 정보는 배터리 충전 상태를 퍼센트 값으로 환산한 배터리 충전 정보, 배터리부(300)로부터 전력 계통(400)에 공급되는 유효 전력 값 또는 무효 전력 값 및 배터리부(300)에 배터리가 복수 개 구비된 경우 각 배터리간의 연결 상태 및 차단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 관리부(100)는 전력 계통(400)을 분석하여 전력 계통(400)의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 정보를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전력 계통 정보를 수신한다(S120).
이후, 전력 관리부(100)는 수신한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 배터리 전력 정보, 배터리 연결상태 정보 및 전력 계통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기반의 감시 영상을 생성한다(S130). 이와 같은 감시 영상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전력 관리부(100)는 생성된 감시 영상을 호스트 서버(12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11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S14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감시 시스템의 감시 영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감시 시스템의 감시 영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 정보(120)는 감시 영상에 일측에 구비되어,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의 영상 또는 그림과 함께 신재생 에너지 설비 정보(121)가 제공될 수 있다. 신재생 에너지 설비 정보(121)에는 도 4와 같이 750kW의 전력 생산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기 2대가 가동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신재생 에너지원과 연결된 변압기의 변압 상태 정보(122)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감시 영상의 좌측 상단에는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110)가 표시될 수 있다.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110)는 도 4의 좌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전력 값과 무효 전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감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감시 영상에는 전력 공급 방향이 화살표(123)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력 공급 방향을 의미하는 화살표(123)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송신 선로별로 복수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감시 영상의 좌측 하단에는 배터리부(110)를 나타내는 배터리 정보(130)가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 정보(130)에는 배터리가 복수로 구비될 경우에 각 배터리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력 정보(131)가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 전력 정보(131)에는 해당 배터리에 대응하여 전력 계통에 공급하는 무효 전력 값, 유효 전력 값 및 충전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정보(130)는 각 배터리의 출력 또는 가용 용량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4의 좌측 하단에는 배터리1(BESS 1)의 가용 용량은 500kWh이고, 2MW의 출력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감시 영상에는 배터리부(110)와 연결된 변압기의 변압 상태(134)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감시 영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계통 정보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나타낼 수 있다. 각 선로와 연결된 전력 계통의 구성 요소와의 연결 관계 및 연결 상태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전력 계통의 연결 상태는 차단기 설비(133)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차단기 설비(133)가 색으로 채워진 상태는 전력이 전달되는 상태, 즉 닫힌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감시 영상에는 보상기에 의해 보상된 전력의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을 도시하는 보상기 정보(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감시 영상에는 전력이 최종 공급되는 부하(150)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종 인출되는 인출 선로의 전력 정보(160)가 표시될 수 있다. 인출 선로의 전력 정보(160)에는 인출되는 전력의 유효 전력(161), 무효 전력(162) 또는 전압 정보(163)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전력 감시 시스템의 감시 영상 중 배터리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전력 감시 시스템의 감시 영상 중 배터리부(110)의 형상을 충전 상태에 따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충전 상태가 70.0%인 경우에는 배터리 잔량을 7개의 바(bar)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부(110)의 충전 상태 또는 전력 정보에 따라 배터리부의 형태 또는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부의 상태를 수치로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상 또는 형태에 의하여 직관적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이용하여 전력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하는 전력 계통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에게 친숙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사용하여 전력 시스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력 시스템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는 감시 영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감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력 관리부
200: 신재생 에너지부
300: 배터리부
400: 전력 계통

Claims (6)

  1. 전력 시스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재생 에너지부로부터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배터리부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 및 배터리 연결 상태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 연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감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력 관리부로부터 전력 계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전력 정보,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 또는 상기 배터리 연결 상태 정보 및 상기 전력 계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 에너지 전력정보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유효 전력 값 또는 무효 전력 값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력정보는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유효 전력 값, 무효 전력 값 또는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계통 정보는 상기 전력 시스템의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감시 영상에 포함된 배터리부의 형태 또는 색상이 변화되는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20059146A 2012-06-01 2012-06-01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5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46A KR101354895B1 (ko) 2012-06-01 2012-06-01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ES13169664T ES2710658T3 (es) 2012-06-01 2013-05-29 Sistema de monitoreo de potencia y método para mostrar información del sistema de potencia
EP13169664.3A EP2670022B1 (en) 2012-06-01 2013-05-29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power system information
US13/905,004 US20130326387A1 (en) 2012-06-01 2013-05-29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power system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46A KR101354895B1 (ko) 2012-06-01 2012-06-01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520A true KR20130135520A (ko) 2013-12-11
KR101354895B1 KR101354895B1 (ko) 2014-01-23

Family

ID=4862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146A KR101354895B1 (ko) 2012-06-01 2012-06-01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326387A1 (ko)
EP (1) EP2670022B1 (ko)
KR (1) KR101354895B1 (ko)
ES (1) ES2710658T3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2529A (zh) * 2014-07-09 2014-09-24 华北电力大学 一种孤岛检测方法
CN104635114A (zh) * 2015-03-04 2015-05-20 江苏省电力公司常州供电公司 一种电能质量扰动源定位系统及定位方法
CN105143892A (zh) * 2014-02-18 2015-12-09 英科德技术股份有限公司 电能测量装置和使用该装置的电能测量信息标记系统
CN105372550A (zh) * 2015-12-10 2016-03-02 国网四川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智能通讯电源监测装置
KR101697015B1 (ko) * 2015-08-19 2017-01-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236B1 (ko) * 2012-06-19 2018-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935470A (zh) * 2014-03-18 2015-09-23 国网浙江海盐县供电公司 一种配网生命线智能监控系统
US10193932B2 (en) * 2014-11-11 2019-01-29 Solarcity Corporation Real-time energy data publishing systems and methods
CN106645935B (zh) * 2016-12-27 2019-06-18 国网浙江象山县供电公司 用电监测方法及系统
CN106556777A (zh) * 2017-02-10 2017-04-05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基于电能质量在线监测的风电并网运行监测方法及系统
KR102531845B1 (ko) 2020-10-20 2023-05-12 넥셀시스템(주) 주거 단지내 주택들의 에너지 운용 방식에 따른 에너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220062872A (ko) 2020-11-09 2022-05-17 넥셀시스템(주) 주거 단지내 주택들의 에너지 운용 방식에 따른 에너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3119A (en) * 1986-01-17 1987-09-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Lithium battery energy monitor
US6925385B2 (en) * 2003-05-16 2005-08-02 Seawest Holdings, Inc. Win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07041693A2 (en) * 2005-10-04 2007-04-12 Thompson Technology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rray and string level monitoring of a grid-connected photovoltaic power system
WO2008124185A1 (en) * 2007-04-09 2008-10-16 Live Data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energy performance
WO2009046533A1 (en) * 2007-10-11 2009-04-16 Icp Global Technologies Inc. Autonomous hybrid renewable energy controller
US7925552B2 (en) * 2008-03-13 2011-04-12 Solarcity Corporation Renewable energy system monitor
US20100057281A1 (en) * 2008-08-29 2010-03-04 Paccar Inc Information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vehicles
US8629646B2 (en) * 2009-01-09 2014-01-14 Solar Components Llc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from distributed procedures
US8600556B2 (en) * 2009-06-22 2013-12-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mart building manager
JP2011155710A (ja) * 2010-01-25 2011-08-11 Sony Corp 電力管理装置、電子機器及び電力管理方法
JP5218483B2 (ja) * 2010-07-09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電力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20022077A (ko) * 2010-07-28 2012-03-12 오재욱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
US9240687B2 (en) * 2010-10-04 2016-01-19 The Boeing Company Smart microgrid
US9331497B2 (en) * 2011-03-05 2016-05-03 Powin Energy Corporation Electrical energy storage unit and control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JPWO2013088584A1 (ja) * 2011-12-14 2015-04-27 京セラ株式会社 表示端末、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3892A (zh) * 2014-02-18 2015-12-09 英科德技术股份有限公司 电能测量装置和使用该装置的电能测量信息标记系统
CN105143892B (zh) * 2014-02-18 2018-10-26 英科德技术股份有限公司 设置在功率输入点的电能测量和标记装置
CN104062529A (zh) * 2014-07-09 2014-09-24 华北电力大学 一种孤岛检测方法
CN104635114A (zh) * 2015-03-04 2015-05-20 江苏省电力公司常州供电公司 一种电能质量扰动源定位系统及定位方法
KR101697015B1 (ko) * 2015-08-19 2017-01-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CN105372550A (zh) * 2015-12-10 2016-03-02 国网四川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智能通讯电源监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0022A3 (en) 2014-05-21
EP2670022B1 (en) 2018-12-26
ES2710658T3 (es) 2019-04-26
US20130326387A1 (en) 2013-12-05
KR101354895B1 (ko) 2014-01-23
EP2670022A2 (en)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895B1 (ko) 전력 감시 시스템 및 전력 시스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Mohd et al. Challenges in integrating distributed energy storage systems into future smart grid
Fang et al. Coordinated dispatch in multiple cooperative autonomous islanded microgrids
Isa et al. Smart grid technology: Communications, power electronics and control system
US20150066228A1 (en) Building Management and Appliance Control System
KR101298500B1 (ko) 마이크로그리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US20160329744A1 (en) Power control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Ma et al. An overview of energy routers
KR20130003409A (ko)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시스템
KR20130119180A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모니터링 시스템
US118417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loading of solar inverters
JPWO2016157576A1 (ja) 発電装置監視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Worighi et al. Modeling a smart grid using objects interaction
JP2013219881A (ja) 配電装置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JPWO2016147453A1 (ja) 管理装置、電力系統システム、発電量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32379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C et al. Correlation between energy and information
Nakahata et al. Development of smart grid demonstration systems
CN113839460A (zh) 一种供电系统、供电方法和供电装置
CN203466579U (zh) 一种并网不上网的直流微网系统
Voima et al. Technical challenges of smart-and microgrids
WO2016147456A1 (ja) 発電装置監視制御システム、電力系統システム、制御装置、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Zhou et al. SoftGrid: A green field approach of future smart grid
Wu et al. Microgrids energy management considering net-zero energy concept: The role of renewable energy landscaping design and IoT modeling in digital twin realistic simulator
CN101950979A (zh) 可再生能源的智能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