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452A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452A
KR20130135452A KR1020120059017A KR20120059017A KR20130135452A KR 20130135452 A KR20130135452 A KR 20130135452A KR 1020120059017 A KR1020120059017 A KR 1020120059017A KR 20120059017 A KR20120059017 A KR 20120059017A KR 20130135452 A KR20130135452 A KR 20130135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 matter
container
dry
even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광
Original Assignee
김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광 filed Critical 김영광
Priority to KR1020120059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5452A/ko
Publication of KR20130135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4/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건조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병은 관리 및 사용이 편리하여 인력소모가 적고, 건조 효율이 좋아 열 에너지를 절약하며, 균일하게 건조되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치와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단식채반. 열에너지. 공기순환. 가열장치. 주변벽 회전축. 회전원심력. 선풍. 틈새.

Description

건조장치{omitted}
본 발명은 피건조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건조효율이 좋아 열에너지가 적게 소모되고 균일하게 건조되며 관리 및 사용이 편리하여 인력 소모가 적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수산물을 건조함은 부패를 방지 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으며 유통이 편리하므로 다양한 현장에서 다양한 건조장치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건조장치는 열에너지가 적게 소모되고 피건조물이 균일하게 건조되고 품질의 저하 없이 건조효율이 좋고 관리와 사용이 편리하여 인력소모가 적어야 한다.
유동상, 또는 반유동상이 적은 농수산물의 일반적인 건조 장치는 피건조물의 건조특성을 고려하여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기구, 유입구를 구비한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가열장치, 내부공기를 순환 시키고 배출 시키는 팬, 피건조물을 적재하는 다단식의 채반 및 기타 부대시설로 구비된 것이다.
상기의 건조 장치의 선행기술들은 피 건조물을 공급할 때 일일이 상자에 채워서 상기 용기내부의 채반에 적재해야 하고, 인출할 때도 상기 상자를 꺼집어 내 어야 하는 불편이 있어 일손이 많이 들고, 불균일 건조 방지를 위하여 대차 또는 채반의 위치를 상 하 로 바꾸고 내부공기를 순환 또는 배출시킬때 강풍을 사용하거나 복수개의 팬을 사용하므로서 효율적인 열 관리를 할 수 없어 에너지를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관리 및 사용이 편리하여 인력소모가 적고, 건조 효율이 좋아 열에너지를 절약하며, 균일하게 건조되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치와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
투명한 재질의 직립식 원통형 건조 용기; 상기 용기 중심부에 중력 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배설된 중공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수평으로 이격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단의 피건조물을 적재하는 원형으로 취부된 평탄한 복수의 채반; 상기 원형의 채반 가장자리에 약간의 틈새를 두고 위치하여 수직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한 원형의 채반주변벽; 상기 채반주변벽을 건조된 피건조물이 회전원심력에 의하여 낙하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시키는 장치; 상기의 채반 하방에 피건조물을 가열하기 위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발열선; 상기 발열선 하방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의 동력으로 회전하므로서 상단부로 선풍 역할을 하는 복수의 날개; 상기 건조용기 외벽 일 측에 피건조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 상기 건조용기 하방 일 측에 건조된 피건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 건조된 피건조물이 자동배출 되도록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 되어진 상기 건조용기의 내부 하부 바닥, 상기 건조용기의 외부 환경변화에 의한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발열온도를 제어하고 건조작업 실행시와 배출시의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구성에 의한 수단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공급 있어, 상기 건조장치내의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원형의 평탄한 채반에 피건조물을 공급하므로서 일일이 피건조물 공급함을 채반에 적재하는 불편을 해소하여 피건조물 공급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건조물을 인출함에 있어, 피건조물이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의 피건조물의 공급구를 닫고 상기의 원형으로 형성된 채반 가장자리에 위치한 주변벽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시키고 예정된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건조용기내벽과의 빈 공간을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건조용기 바닥에 떨어져 배출구를 통하여 자동배출됨으로서 일일이 건조된 피건조물을 꺼집어내는 번거러움을 해소하여 인출시간과 노력이 절감되는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피건조물에 열에너지를 공급함에 있어, 상기의 원형으로 취부된 평탄한 채반하방에 약간의 틈새를 두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발열선을 균등하게 배열하여 상기 채반하면을 따라 평탄하게 설치하므로서 열 접촉거리를 최소화하고 열을 균등분배하여 대차 또는 채반의 위치를 상 하로 바꾸는 번거러움을 해소하여 상 하 위치에 관계없이 미건조 과건조를 방지하고 건조 효율을 높이며 열에너지를 절약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 건조용기내에서 건조함으로서 발생하는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배출함에 있어서, 평탄하며 균등하게 배열된 상기 발열선에 고르게 선풍할수 있도록 금속으로 된 복수의 날개가 회전축의 둘레에 취부되어 회전축의 회전동력으로 회전하여 발생하는 수분함유공기를 상부로 효율적으로 배기하도록 하므로서 순환 또는 배출용 팬이 없어지고 배출로 인한 열에너지를 절약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건조용기를 구성하는 측벽과 상단의 뚜껑부분을 빛이 투과하고 보온성이 있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하여 낮에는 자연의 태양열과 병행하고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야간 또는 우천시. 외부의 환경에 의한 온도변화에 적응하는 발열 온도를 제어하므로서 열에너지를 절약하면서 피건조물의 질을 향상 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과 수단에 의한 본 발병의 건조장치는 관리 및 사용이 편리하여 인력소모가 적고, 건조 효율이 좋아 열 에너지를 절약하며, 균일하게 건조되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건조용기(1)는 다수의 다리(13)로 지지된 모터와 전기 제어판(9)을 내부에 포함한 케이싱(14) 상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건조용기(1)의 상부는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회전축(3)의 관통개구부를 두고 , 상기 관통개구부는 베아링(15) 처리하여 상기 베아링(15)내부에 상기 회전축(1)의 상부 일 측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1)이 회전운동을 하더라도 흔들림이 없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건조용기(1) 상부 일 측에는 수분을 함유한 공기 배기구(8)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용기(1) 측면 일 측에는 적당한 크기의 피건조물을 공급하는 공급구(12)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건조용기(1)의 측벽 일 측 하단에 건조된 피건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6)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건조용기(1)의 하부 바닥(16)이 상기 건조물의 상기 배출구(6)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여 건조된 피건조물이 낙하하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용기(1)의 측벽과 상부 덮게를 투명한 재질로 한다. 상기 투명한 재질은 합성수지로서 내충격성, 내열성, 내구서이 보장되면 어떤 종류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기 투명한 재질과 상부 덮게를 지탱하고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미도시)를 하부 케이싱(14) 상부면에 강성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축(1)은 회전식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하단 일 측은 상기 건조용기(1)의 바닥 관통개구부를 경유하여 모터(7)의 축과 커플링 결합하고 상단 일 측은 상단 덮게 개구부의 베아링(15)에 수납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피건조물을 적재하는 채반(2), 채반주변벽(11), 발열선(4), 선풍용 날개(5)의 배치 분해도로서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건조물을 적재하는 채반(2)은 원형으로 평탄하며 그물망으로서 원형으로 된 받침대(16)위에 취부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회전축(3)의 둘레에 강성적으로 고정되어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선(4)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절연체로 둘러싸인 금속선으로 상기 채반(2)의 평탄한 면을 따라 하방에 약간의 틈새를 두고 발열선받침대(미도시) 위에 균등하게 배열되어 제어판의 온도조절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발열선받침대는 상기 건조용기(1) 내부 빈 공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양단 일측들이 수직으로 강성적으로 고정된 지지봉(15)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반주변벽(11)은 상기 원형의 채반(2) 가장자리 둘레에 약간의 틈새를 두고 설치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채반주변벽(11)들과 상하 이동시키는 레바(10)와의 결속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복수의 채반주변벽(11)들은 계획된 간격으로 도5와 같이 일체가 되도록 하여 상 하 로 이동시키는 레버(10)의 일 측에 취부 되어 피건조물을 공급하여 건조작업 시는 상기 채반(2)과 수직으로 벽을 형성하여 대기하고 건조가 완료되어 건조물을 배출 시에는 상기 이동시키는 레바(10)에 의하여 상 또는 하 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축(3)이 회전하면 건조된 피건조물이 회전원심력에 의하여 낙하하여 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선풍용 날개(5)들은 상기 발열선(4) 하단에 상 방향으로 고르게 선풍 하도록 편향되게 상기 회전축(3)둘레에 강성적으로 취부되어 상기 회전축(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건조용기(1)내부의 수분함유공기를 상부로 배기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9)는 모터(7)등을 수용하는 케이스(14) 내부에 설치되어 낮 또는 야간, 우천 시 등 외부환경 변화에 의한 상기 건조용기(1)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제업부에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여 상기 건조용기(1)내부의 가열온도를 조절하여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피건조물의 건조작업 실행 시와 배출 시에 상기 회전축(1)의 회전속도를 기능을 가지게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어부(9)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공지되어 있음으로 생략한다.
상기에 본 발명의 기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청구항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수정, 변형, 및 변경을 할수 있음도 포함된다
[ 부호의 설명 ]
1. 건조용기 2. 채반 3. 회전축 4 발열선 5.선풍날개
6. 건조물 배출구 7.모터 8.함수공기배기구 9.제어판
10.이동래버 키트 11.채반 주변벽 12. 피건조물 공급구
13. 다리 14.케이스 15.지지대 16.받침대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피건조물을 적재하는 채반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피건조물 건조작업 시와 배출작업 시의 채반 상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채반,채반주변벽,발열선,선풍용 날개의 배치 분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채반주변벽들과 이동 시키는 레바와의 결속도이다.

Claims (2)

  1.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
    투명한 재질의 직립식 원통형 건조 용기(1), 상기 용기 중심부에 중력 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배설된 중공의 회전축(3), 상기 회전축에 수평으로 이격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단의 피건조물을 적재하는 원형으로 취부된 평탄한 복수의 채반(2), 상기 원형의 채반(2) 가장자리에 약간의 틈새를 두고 위치하여 수직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한 원형의 채반주변벽(11), 상기 채반주변벽(11)이 건조된 피건조물이 회전원심력에 의하여 낙하될 수 있도록한 구조와 장치, 상기의 채반(2) 하방에 피건조물을 가열하기 위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발열선(5), 상기 발열선(4) 하방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3)의 동력으로 회전하므로서 상단부로 선풍 역할을 하는 복수의 날개(5), 상기 건조용기(1) 외벽 일 측에 피건조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6), 상기 건조용기(1) 하방 일 측에 건조된 피건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6), 건조된 피건조물이 자동배출 되도록 상기 배출구(6) 방향으로 경사 되어진 상기 건조용기(1)의 내부 하부 바닥(16), 상기 건조용기의 외부 환경변화에 의한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발열온도를 제어하고 건조작업 실행시와 배출시의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제어장치로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
    피건조물의 공급 있어, 상기 건조용기(1)내의 회전축(3)에 의하여 회전하는 원형의 평탄한 채반(2)에 피건조물을 공급하는 수단;
    피건조물의 건조물을 인출함에 있어, 피건조물이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의 피건조물의 공급구(12)를 닫고 상기의 원형으로 형성된 채반(2) 가장자리에 위치한 채반주변벽(11)의 구조와 장치가 예정된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건조용기내벽과의 빈 공간을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하여 상기 배출구(6) 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건조용기(1) 바닥(16)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6)를 통하여 자동배출되는 수단;
    피건조물에 열에너지를 공급함에 있어, 상기의 원형으로 취부된 평탄한 채반(2)하방에 약간의 틈새를 두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발열선(4)을 균등하게 배열하여 상기 채반(2)하면을 따라 평탄하게 설치하므로서 열 접촉거리를 최소화하고 열을 균등분배하는 수단;
    상기 건조용기(1)내에서 건조함으로서 발생하는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배출함에 있어서, 평탄하며 균등하게 배열된 상기 발열선(4)에 고르게 선풍할 수 있도록 복수의 날개(5)가 상기 회전축(3)의 둘레에 취부되어 상기 회전축(3)의 회전동력으로 회전하여 발생하는 수분함유공기를 상부로 효율적으로 배기하는 수단;
    상기 건조용기(1)를 구성하는 측벽과 상단의 뚜껑부분을 빛이 투과하고 보온성이 있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하여 낮에는 자연의 태양열과 병행하고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야간 또는 우천시. 외부의 환경에 의한 온도 변화에 적응하는 발열 온도를 제어하므로서 상기 건조용기(1)내부에 항상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열에너지를 절약하면서 피건조물의 질을 향상 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KR1020120059017A 2012-06-01 2012-06-01 건조장치 KR20130135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017A KR20130135452A (ko) 2012-06-01 2012-06-01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017A KR20130135452A (ko) 2012-06-01 2012-06-01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452A true KR20130135452A (ko) 2013-12-11

Family

ID=4998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017A KR20130135452A (ko) 2012-06-01 2012-06-01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54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355A (zh) * 2014-05-28 2014-08-06 山东理工大学 直杆式红外玉米穗干燥机
CN105053151A (zh) * 2015-07-23 2015-11-18 罗美柏 一种用于烘干火腿的烘干架
KR102322572B1 (ko) * 2020-09-28 2021-11-04 차소평 농수축산물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42890B1 (ko) * 2020-12-03 2021-12-24 지준모 균일한 기류 분포도를 갖는 건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355A (zh) * 2014-05-28 2014-08-06 山东理工大学 直杆式红外玉米穗干燥机
CN105053151A (zh) * 2015-07-23 2015-11-18 罗美柏 一种用于烘干火腿的烘干架
KR102322572B1 (ko) * 2020-09-28 2021-11-04 차소평 농수축산물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42890B1 (ko) * 2020-12-03 2021-12-24 지준모 균일한 기류 분포도를 갖는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5452A (ko) 건조장치
CN107328190B (zh) 一种具有扰动干燥功能的物料干燥设备
CN204128299U (zh) 食物烘干装置
CN203758196U (zh) 太阳能烘干机
KR20180039950A (ko) 마이크로파 건조장치
CN109186240A (zh) 一种轮转循环式的水稻均匀烘干设备
CN207299830U (zh) 一种种子干燥设备
CN209605527U (zh) 一种中药微波干燥装置
CN207132638U (zh) 一种全抛釉瓷板用烘干装置
KR101332453B1 (ko) 남은 음식물 건조기
CN109237919B (zh) 一种粮食干燥装置及其干燥方法
CN207419098U (zh) 衣物烘干器
KR20080094351A (ko) 태양열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CN206291645U (zh) 一种便捷式箱式干燥机
CN204630320U (zh) 一种食用菌烘干装置
CN113300229A (zh) 一种可设置于室外的防潮配电箱
CN211400707U (zh) 一种纯电能螺旋叶片循环式粮食烘干机
CN207744670U (zh) 一种茶叶烘干装置
CN100397014C (zh) 离心甩干机的转子
CN208863546U (zh) 基于太阳能的果肉风干装置
CN208139731U (zh) 一种用于塑料粒子生产的烘干装置
CN109595916A (zh) 一种农业粮食循环干燥装置
AU2021100078A4 (en) Fruit dryer with an automatic spoiler wheel
CN210625213U (zh) 一种建筑材料干燥装置
CN207741489U (zh) 一种种子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