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429A - 조류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조류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429A
KR20130135429A KR1020120058968A KR20120058968A KR20130135429A KR 20130135429 A KR20130135429 A KR 20130135429A KR 1020120058968 A KR1020120058968 A KR 1020120058968A KR 20120058968 A KR20120058968 A KR 20120058968A KR 20130135429 A KR20130135429 A KR 20130135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mber
elastic wire
fixing
guide groov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536B1 (ko
Inventor
오제하
김은성
이학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5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536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와이어에 구비되어 바람 등을 포함한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추부재를 통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추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통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접근하는 조류를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퇴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둥지를 번거롭게 일일이 제거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류 퇴치장치{APPARATUS FOR REPELLING BIRDS}
본 발명은 탄성와이어에 구비되어 바람 등을 포함한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추부재를 통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추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통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접근하는 조류를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퇴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둥지를 번거롭게 일일이 제거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조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란기의 조류들은 알을 낳기 위해 둥지를 틀게 되며, 특히, 까치 등을 포함한 조류들은 나뭇가지 이외에도 철사와 젓가락, 옷걸이 등을 물어다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의 상부에 둥지를 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류들이 금속성의 재질을 이용하여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의 상부에 둥지를 틀게 되면, 접촉에 의해 정전사고나 고장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인력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의 상부에서 둥지를 철거하는데 투입되었으나, 조류의 둥지를 철거한 후에도 까치 등을 포함한 조류들은 매년 같은 장소에서 둥지를 틀어 여러번의 철거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탄성와이어에 구비되어 바람 등을 포함한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추부재를 통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추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통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접근하는 조류를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퇴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둥지를 번거롭게 일일이 제거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조류 퇴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탄성와이어 고정부와;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추부재가 구비되는 탄성와이어와; 상기 탄성와이어의 일측과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의 상측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캡부와; 상기 탄성와이어의 타측에 구비된 추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는 철탑, 전신주를 포함한 구조물에 구비된 볼트를 수용하는 관통공이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수직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의 수직봉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봉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고정대의 상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관체와; 상기 지지관체의 하측에 형성되는 판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부재의 하부면에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의 내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에 상기 탄성와이어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캡부의 하부면에 상기 캡부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와이어의 일측을 상기 탄성와이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환형의 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하측에 상기 탄성와이어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의 내주면에 상기 고정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추부재의 외주면에 상측이 첨예하게 형성되는 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돌출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탄성와이어의 타단부에 상기 추부재의 일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추부재의 외주면에 상측이 첨예하게 형성되는 수직침부재와; 상기 추부재의 타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첨예하게 형성되는 수평침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추부재는 상기 탄성와이어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추부재는 상기 탄성와이어의 타측이 일측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와이어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 추부재와; 상기 일측 추부재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 추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와이어의 타측에는 상기 일측 추부재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탄성와이어의 타측이 상기 일측 추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의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추부재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일측 추부재의 타측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의 일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상하폭은 상기 일측 추부재의 타측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의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자 좁아지고, 상기 타측 추부재의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타측 추부재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 추부재의 일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내에 수용되는 가이드바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탄성와이어에 구비되어 바람 등을 포함한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추부재를 통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추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통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접근하는 조류를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퇴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로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둥지를 번거롭게 일일이 제거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철탑에 고정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고정대에서 지지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전신주에 고정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고정대에서 지지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0은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C - C선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13은 탄성와이어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탄성와이어 고정부와 지지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9는 추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20은 추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21은 추부재의 또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분리측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E - E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류 퇴치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대(10), 지지대(20), 탄성와이어 고정부(30), 탄성와이어(40), 캡부(50) 및 돌출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고정대(10)는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3)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고정대(10)의 상부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는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와이어(40)는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를 중심으로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은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는 바람 등을 포함한 외력에 의해 유동되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3)로 접근하는 까치 등을 포함한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추부재(41)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와이어(40)는 내구성과 절연성이 우수한 FRP 등을 포함한 비전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캡부(50)는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과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상측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상부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부(60)는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추부재(41)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 구비되어 바람 등을 포함한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추부재(41)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상기 돌출부(60)를 통해 철탑, 전신주 등을 포함한 구조물(3)로 접근하는 조류를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퇴치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고정대(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대(1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판(110)과 수직봉(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0)의 일측 표면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철탑(310)에 고정대(10)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고정대(10)에서 지지대(2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전신주(320)에 고정대(10)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고정대(10)에서 지지대(2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10)의 관통공(111)내에는 기존의 철탑(310), 기존의 전신주(320) 등을 포함한 기존 구조물(3)에 구비된 볼트(31)가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철탑(310), 기존 전신주(320) 등을 포함한 기존 구조물(3)과 상기 고정대(10)와의 호환성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봉(120)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10)의 타측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0)의 수직봉(120) 외주면에는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30)은 상기 수직봉(120)의 외주면에서 상기 수직봉(120)의 내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30)은 상기 수직봉(12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대(20)의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체결관체(21)가 일체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관체(2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지지대(20)의 체결관체(2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선과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체결관체(21)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봉(120)의 홈(130) 중 어느 하나의 홈(130)내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하측 내부에 상기 수직봉(120)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20)는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고,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고정부재(70)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지지대(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C - C선에 따른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20)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관체(210)와 환형의 판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관체(210)는 지지관(211)과 돌출핀(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관(211)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대(10)의 고정판(110)의 타측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된 수직봉(12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돌출핀(212)은 상기 지지관(211)의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핀(212)의 상측에는 상측이 첨예하게 형성되는 침부재(212a)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핀(212)의 침부재(212a)로 인해 까치 등을 포함한 조류가 상기 지지대(20)의 상부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환형의 상기 판부재(220)는 상기 지지관체(210)의 지지관(211) 하측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상기 판부재(220)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판부재(220)의 하부면 타측에는 환형의 상기 판부재(2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수직함몰되는 하측이 개방된 홈(2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판부재(220)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판부재(220)의 하부면 타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홈(211)내에는 영구자석(80)이 일체형으로 수용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고정대(10)의 고정판(110)의 관통공(111)내에 기존의 철탑(310)에 구비된 볼트(31)가 수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기존의 철탑(310)의 보수작업을 행할 시 보수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작업구간(도 4의 S1)내에 상기 추부재(41)가 위치하여 보수작업의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기 고정부재(7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지지대(20)를 상기 고정대(10)로부터 분리한 후 분리된 상기 지지대(20)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작업구간에 해당되지 않는 기존의 철탑(310) 표면 부위(도 5의 S2)에 상기 지지대(20)의 판부재(22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20)의 판부재(220)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영구자석(80)의 자력에 의해 상기 판부재(220)는 작업자의 작업구간에 해당되지 않는 기존의 철탑(310) 표면 부위(도 5의 S2)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기존의 철탑(310)의 보수작업을 마친 후 상기 고정대(10)에서 분리된 상기 지지대(20)를 다시 상기 고정대(10)에 설치하여 원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고정대(10)의 고정판(110)의 관통공(111)내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전신주(32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평구비되는 공지된 금속재질의 완금(321)에 구비된 볼트(31)가 수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기존의 전신주(320)의 보수작업을 행할 시 보수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작업구간(도 6의 S3)내에 상기 추부재(41)가 위치하여 보수작업의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기 고정부재(7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지지대(20)를 상기 고정대(10)로부터 분리한 후 분리된 상기 지지대(20)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작업구간에 해당되지 않는 기존의 전신주(320)의 완금(321)표면 부위(도 6의 S4)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20)의 판부재(220)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영구자석(80)의 자력에 의해 상기 판부재(220)는 작업자의 작업구간에 해당되지 않는 기존의 전신주(320)의 완금(321) 표면 부위(도 7의 S4)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탄성와이어 고정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링부(330)와 갓부재(340)로 구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링부(330)의 내주면 일측과 환형의 상기 링부(330)의 내주면 타측에는 환형의 상기 링부(330)의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끼움돌기(331)가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갓부재(340)는 환형의 상기 링부(330)의 상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갓부재(340)의 내경크기는 상기 갓부재(34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갓부재(340)의 내주면에는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9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90)의 내부 중심부에는 삽입공(9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90)의 삽입공(910)내에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이 작업자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도 15는 탄성와이어 고정부(30)와 지지대(20)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한편, 도 10, 도 12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지지관체(210)의 지지관(211)의 상측 외주면 일측과 상측 외주면 타측에는 상기 지지관(211)의 내측으로 각각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가이드홈(5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00)은 상기 지지관(211)의 상측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형상의 일측 가이드홈(510)과; 상기 지지관(211)의 상측 외주면 타측에 형성되는 '┗'형상의 타측 가이드홈(5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형상의 상기 일측 가이드홈(510)은 일측 수직가이드홈(511)과 일측 수평가이드홈(5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수직가이드홈(511)은 상기 지지관(211)의 상측 외주면 일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수평가이드홈(512)은 상기 일측 수직가이드홈(5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일측 수직가이드홈(511)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관(211)의 상측 외주면 일측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형상의 상기 타측 가이드홈(520)은 타측 수직가이드홈(521)과 타측 수평가이드홈(5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 수직가이드홈(521)은 상기 지지관(211)의 상측 외주면 타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수평가이드홈(522)은 상기 타측 수직가이드홈(52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타측 수직가이드홈(521)의 하부 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관(211)의 상측 외주면 타측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를 상기 지지대(20)에 연결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환형의 상기 링부(330)의 끼움돌기(331)를 상기 일측 가이드홈(510)의 일측 수직가이드홈(511)과 상기 타측 가이드홈(520)의 타측 수직가이드홈(521)내에 수용시키게 되면,
환형의 상기 링부(330)의 내측에 상기 지지대(20)의 지지관체(210)의 지지관(211)의 상측이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상기 링부(330)의 상측에 일체형성된 갓부재(3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환형의 상기 링부(330)의 끼움돌기(331)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일측 가이드홈(510)의 일측 수평가이드홈(512)과 상기 타측 가이드홈(520)의 타측 수평가이드홈(522)내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를 상기 지지대(20)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갓부재(3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환형의 상기 링부(330)의 끼움돌기(331)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일측 가이드홈(510)의 일측 수직가이드홈(511)과 상기 타측 가이드홈(520)의 타측 수직가이드홈(521)내에 수용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를 상기 지지대(2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대(20)에서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캡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캡부(50)는 도 16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만곡판(530), 환형의 수평판(540) 및 환형의 가압부(550)로 구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만곡판(530)의 상측은 환형의 상기 만곡판(530)의 상부 내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만곡판(530)의 하측 내주면은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갓부재(340)의 상측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상기 갓부재(340)의 상측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만곡판(530)의 하측에는 환형의 상기 만곡판(53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홈(53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531)내에는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이 수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수평판(540)은 환형의 상기 만곡판(530)의 상부 내측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가압부(550)는 상기 캡부(50)의 환형의 상기 수평판(540)의 하부면에서 상기 캡부(50)의 환형의 상기 수평판(540)의 하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을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가압부(550)의 하측에는 하측이 개방된 상태인 수용홈(55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측이 개방된 상태인 상기 수용홈(551)은 환형의 상기 가압부(55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하측이 개방된 상태인 상기 수용홈(551)내에는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수평판(540)의 내측 및 환형의 상기 가압부(550)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대(20)의 지지관체(210)의 돌출핀(212)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돌출핀(212)의 하측 외주면에 수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핀(212)의 수나사선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캡부(50)의 환형의 상기 수평판(540)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환형의 상기 수평판(540)의 상부면과 접하는 나비너트 등을 포함한 너트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을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갓부재(340)의 내주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공(910)이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90)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갓부재(340)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추부재(41)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추부재(41)의 외주면 중심부에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추부재(41)의 외주면 상부방향으로 수직돌출되는 상기 돌출부(60)가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60)는 상측이 첨예하게 형성되는 침부재(6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은 추부재(41)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또는,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 상기 추부재(41)의 일측이 일체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60)는 수직침부재(620)와 수평침부재(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침부재(620)는 상기 추부재(41)의 외주면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침부재(620)의 상측은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침부재(630)의 일측은 상기 추부재(41)의 타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침부재(630)의 타측은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은 추부재(41)의 또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분리측면도이다.
또는, 상기 추부재(41)는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부재(41)는 상기 추부재(41)로 부는 바람 등을 포함한 외력에 의해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서 정역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추부재(41)가 바람 등을 포함한 외력에 의해 정역회전됨에 따라 까치 등을 포함한 조류가 상기 추부재(41)로 접근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와이어(40)에 안착한 까치 등을 포함한 조류가 호기심에 의해 상기 추부재(41)를 건드림에 따라 상기 추부재(41)가 정역회전하여 상기 탄성와이어(40)에 안착한 까치 등을 포함한 조류를 퇴치하게 된다.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추부재(41)는 도 21 및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추부재(410)와 타측 추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일측 외주면에 상기 수직침부재(620)가 일정간격으로 수직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타측에는 상기 수평침부재(63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도 23은 도 22의 E - E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 내부에는 수용구(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구(411)는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 내부에는 일측 관부재(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관부재(412)의 내경크기는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관부재(412)는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측관부재(412)의 내부는 상기 수용구(41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관부재(412)의 외주면과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 내주면 사이에 환형의 가이드홈(413)이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일측은 상기 타측 추부재(41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내부에는 타측 관부재(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관부재(430)는 제 1타측 관부재(431)와 제 2타측 관부재(4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관부재(431)의 내경크기는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관부재(431)는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관부재(432)는 상기 제 1타측 관부재(431)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관부재(432)는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관부재(432)의 내경크기는 상기 제 1타측 관부재(43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관부재(431)의 외주면과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일측 내주면 사이에는 환형의 제 1가이드홈(433)이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관부재(432)의 외주면과 상기 제 1타측 관부재(431)의 내주면 사이에는 환형의 제 2가이드홈(434)이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는 환형의 이탈방지부(20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이탈방지부(200)의 외경크기는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관부재(412)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이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내부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 외주면에는 가이드홈(30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300)은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300)내에 수용되는 가이드바(40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400)는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가이드바(400)가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가이드홈(300)내로 좌우슬라이딩이동하여 수용될 시,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은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환형의 상기 제 1가이드홈(433)내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 관부재(412)는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환형의 상기 제 2가이드홈(434)내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제 1타측 관부재(431)는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가이드홈(413)내로 좌우슬라이딩이동하여 수용될 수 있고,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제 2타측 관부재(432)는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 관부재(412)내로 좌우슬라이딩이동하여 수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상기 가이드홈(300)의 상하폭(도 22의 W)은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이로서,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가이드바(400)가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가이드홈(30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바(400)가 상기 가이드홈(300)의 내주면에 점차 강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타측 추부재(420)가 상기 일측 추부재(410)에서 너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와이어(40)에 구비되어 바람 등을 포함한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추부재(41)를 통해 철탑(310), 전신주(320) 등을 포함한 구조물(3)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추부재(41)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상기 돌출부(60)를 통해 철탑(310), 전신주(320) 등을 포함한 구조물(3)로 접근하는 조류를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퇴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철탑(310), 전신주(320) 등을 포함한 구조물(3)로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둥지를 번거롭게 일일이 제거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10; 고정대, 20; 지지대,
30; 고정부, 40; 탄성와이어,
50; 캡부, 60; 돌출부.

Claims (11)

  1.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부에 구비되는 탄성와이어 고정부(30)와;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추부재(41)가 구비되는 탄성와이어(40)와;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과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상측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캡부(50)와;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 구비된 추부재(41)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0)는 철탑, 전신주를 포함한 구조물(3)에 구비된 볼트(31)를 수용하는 관통공(111)이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수직봉(1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0)의 수직봉(120)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지지대(20)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봉(120)의 홈(13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고정대(10)의 상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관체(210)와;
    상기 지지관체(20)의 하측에 형성되는 판부재(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220)의 하부면에 영구자석(8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내주면에 고정돌기(9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90)에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공(910)이 형성되며,
    상기 캡부(50)의 하부면에 상기 캡부(5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을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환형의 가압부(550)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550)의 하측에 상기 탄성와이어(40)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홈(55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 고정부(30)의 내주면에 상기 고정돌기(90)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재(41)의 외주면에 상측이 첨예하게 형성되는 침부재(610)로 이루어지는 상기 돌출부(6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 상기 추부재(41)의 일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60)는 상기 추부재(41)의 외주면에 상측이 첨예하게 형성되는 수직침부재(620)와;
    상기 추부재(41)의 타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첨예하게 형성되는 수평침부재(6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재(41)는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재(41)는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이 일측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 추부재(410)와;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 추부재(420);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에는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타측이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내부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200)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홈(30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00)의 상하폭(W)은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타측에서 상기 일측 추부재(410)의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자 좁아지고,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타측에서 상기 타측 추부재(420)의 일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300)내에 수용되는 가이드바(40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KR1020120058968A 2012-06-01 2012-06-01 조류 퇴치장치 KR101424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968A KR101424536B1 (ko) 2012-06-01 2012-06-01 조류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968A KR101424536B1 (ko) 2012-06-01 2012-06-01 조류 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429A true KR20130135429A (ko) 2013-12-11
KR101424536B1 KR101424536B1 (ko) 2014-07-31

Family

ID=4998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968A KR101424536B1 (ko) 2012-06-01 2012-06-01 조류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5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508A1 (ko) * 2017-03-08 2018-09-13 (주)하이쏠라에너지 조류 퇴치구
JP2020074689A (ja) * 2018-11-05 2020-05-21 中国電力株式会社 鳥害防止具
KR20200068430A (ko) * 2018-12-05 2020-06-15 한국전력공사 회전형 조류 착지 방지 장치
KR102365762B1 (ko) 2021-05-24 2022-02-23 주식회사 에이로 조류 퇴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087A (ko) 2015-05-29 2016-12-07 이동주 유해성 조류 퇴치용 기구
KR102358679B1 (ko) * 2019-11-25 2022-02-07 이채복 농경지용 조류 방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250Y2 (ja) * 1989-11-21 1995-08-3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コンベヤ用スカートゴムの支持構造
JPH08163758A (ja) * 1994-11-30 1996-06-21 Miura Kagaku:Kk 鳥害防止装置
JP3761467B2 (ja) 2002-01-17 2006-03-29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鳥害防止装置
KR101350391B1 (ko) * 2012-04-23 2014-01-13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조류착지 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508A1 (ko) * 2017-03-08 2018-09-13 (주)하이쏠라에너지 조류 퇴치구
JP2020074689A (ja) * 2018-11-05 2020-05-21 中国電力株式会社 鳥害防止具
KR20200068430A (ko) * 2018-12-05 2020-06-15 한국전력공사 회전형 조류 착지 방지 장치
KR102365762B1 (ko) 2021-05-24 2022-02-23 주식회사 에이로 조류 퇴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536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536B1 (ko) 조류 퇴치장치
JP4970463B2 (ja) ポスト用アンカー留めシステム
CN201502216U (zh) 组装式护栏
US11375683B2 (en) Barrier components for animal stalls
US10290238B1 (en) Sign clip for chain link fence
EP3055913A2 (en) Multi-member channel bar
CN213953219U (zh) 一种新型园林护栏
KR20120095092A (ko) 송전 철탑 인상 장치
KR100916718B1 (ko) 배전선로용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선 고정장치
CN206655241U (zh) 电线杆水塘立杆预制基础装置
KR101193025B1 (ko) 송?배전용 케이블 이탈 방지용 애자
KR101300319B1 (ko) 전기울타리용 절연애자
KR20000063651A (ko) 조류퇴치기
KR101762562B1 (ko) 회전이 가능한 전력구용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EP2607575A1 (en) Fixing system, fixing element, fence, and method for fixing a fence to a fence support
US9668468B1 (en) Nesting deterrent
JP2016019307A (ja) 引込用鋼管柱用の継柱
CN203536764U (zh) 一种低压配电柜出线结构
KR20130001008U (ko) 오메가 형상의 침기능을 가지며 탈부착이 가능한 조류피해방지용 보호캡
CN204920447U (zh) 灵活拆装式羊舍围栏
KR20140118536A (ko) 조류둥지 방지장치
CN211448063U (zh) 一种铁艺护栏
CN219196548U (zh) 一种阳台护栏结构
KR20140003072U (ko) 배전선로 연결장치
KR100499678B1 (ko) 조류접근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