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391B1 - 조류착지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조류착지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391B1
KR101350391B1 KR1020120042003A KR20120042003A KR101350391B1 KR 101350391 B1 KR101350391 B1 KR 101350391B1 KR 1020120042003 A KR1020120042003 A KR 1020120042003A KR 20120042003 A KR20120042003 A KR 20120042003A KR 101350391 B1 KR101350391 B1 KR 101350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coupling plate
weight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103A (ko
Inventor
정영일
오제하
김은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주)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주)이텍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4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39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 송전선로에서 조류 충돌 및 배설물로 인한 고장을 예방하기 위하여 조류의 접근 방지를 위해 방사상으로 펼쳐진 유연한 와이어가 설치된 조류착지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류착지 방지장치{Prevent apparatus for birds landing}
본 발명은 조류착지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 송전선로에서 조류 충돌 및 배설물로 인한 고장을 예방하기 위하여 조류의 접근 방지를 위해 방사상으로 펼쳐진 유연한 와이어가 설치된 조류착지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전주는 전신, 전화, 전등 등의 전선을 지지하는 기둥으로, 주로 교류배전선로의 지지물로 이용되며 목주, 철근콘크리트주, 철주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그 외관 또는 경제적인 이유로 철근콘크리트주 및 철주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주에는 고압 및 저압 배전선이 병가되는 것이 많으며, 이에 따라 전주의 상단부에는 금속재질의 완금이 고정되고, 이 완금에 애자를 장착하여 전선을 지지한다. 또한, 전주에는 교류 배전선의 고압을 저압으로 낮추기 위해 변압기가 설치된다.
최근 이러한 전주의 애자 또는 변압기 위에 까치 등과 같은 각종 조류들이 둥지를 지어 서식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이는 전주의 애자 또는 변압기가 강한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고, 그 표면이 매끄럽고 차가워서 들짐승으로부터 알을 보호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특히, 2월에서 5월까지 산란기를 맞은 까치들이 둥지를 짓기 위해 철사, 젓가락, 옷걸이 등과 같은 금속재질을 물어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까치들이 전주의 완금 또는 변압기 위에 둥지를 짓는 과정에서 각종 정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전주에 조류들이 서식하게 되면서, 정전ㆍ누전사고 등과 같은 전주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주에 조류가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각종 조류퇴치장치 또는 조류착지 방지장치가 개시되고 출시되어 왔다.
이러한 조류착지 방지장치로는 우산형 조류착지 방지장치(이하 종래기술 1)이 개시된바 있다.
종래기술 1은 조류들이 착지하는 주된 장소인 전주 또는 철탑의 상부에 중심에 기둥을 설치한 후, 상기 기둥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우산살과 유사한 직선형 와이어를 배치시킨 것으로 조류들의 착지를 곤란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제안된 것이다.
그러나, 방사상으로 배치된 와이어가 유연하지 않고 단단함에 따라, 조류들이 착지하여 지탱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조류들의 착지에 약간의 불편함을 줄 뿐, 조류 착지를 완전히 방지하기에는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 다른 조류착지 방지장치로는 풍차형 조류착지 방지장치(이하 종래기술 2)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 2는 조류들이 착지하는 주된 장소인 전주 또는 철탑의 상부에 중심에 기둥을 설치한 후, 상기 기둥의 끝단에 바람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블레이드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기술 2는 전주 또는 철탑의 상부에 바람이 불 경우, 블레이드가 바람에 의해 회전하므로, 회전하는 블레이드와 그 주변에는 조류들의 착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주 또는 철탑의 상부에 바람이 불지 않거나, 또는 매우 약한 바람이 불 경우에는 조류들이 풍차형 조류착지 방지장치에 착지할 수 있다.
특히 독수리나 수리와 같은 대형 맹금류의 경우에는 그 자체의 무게가 일정부분 나가므로, 풍차형 조류착지 방지장치에 착지한다면 전주 또는 철탑의 상부에 약한 바람이 불어도 블레이드가 바람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할 수 있다.
종래기술 3(한국공개특허공보 2000-0020647)의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애자가 취부되는 각형관 경완금의 중심부와 전주에 조류가 집을 짓지 못하도록 지붕을 형성하고 지붕의 상연으로는 조류착지방지날개를 다수개 형성하여 바람에 의해 회전되게 하는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다.
종래기술 3의 경우도 조류착지방지날개가 바람의 영향을 받아 회전하게 되므로, 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에는 조류착지 방지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 4(한국공개특허공보 2011-0031742)의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조류 퇴치 박스와 상기 조류 퇴치 박스에 수용되며, 상기 조류 퇴치 박스의 상부 모서리에 전기를 유입시켜 조류가 착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 충격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종래기술 4의 경우, 조류 퇴치를 위해, 조류에 전기 충격을 가함으로써, 구성이 복잡하고 제품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 5(한국등록실용신안 392,309)에 개시된 조류퇴치장치는 가로등에 착지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와 암으로 이루어진 가로등의 암에 케이스와 투명커버로 이루어진 등기구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등기구에는 조류가 착지하지 못하도록 상부면에 다수의 핀을 세운 조류안착방지부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조류가 착지하게 되면, 상기 핀에 발이 찔려 조류가 등기구에 착지하지 못하도록 한다.
종래기술 5의 경우, 조류가 등기구 및 암에 착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측면에 있어서는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나, 그 주위를 비행하는 조류나 핀을 확인하지 못하고 잘못 착지한 조류가 핀에 찔리거나 긁혀 부상을 당함으로써, 자연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 송전선로에서 조류 충돌 및 배설물로 인한 고장을 예방하기 위하여 조류의 접근 방지를 위해 방사상으로 펼쳐진 유연한 와이어가 설치된 조류착지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와이어;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는 추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며,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상기 본체는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깔대기 형상의 하결합판과, 상기 하결합판에 결합되는 상결합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상기 하결합판에는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하는 걸림턱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상기 추에 상기 와이어에 결합하는 슬리브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상기 하결합판에는 와이어 제1고정부와 와이어 제2고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결합판에는 상기 와이어 제1고정부와 상기 와이어 제2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 눌림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철탑 또는 전주 상부에 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에도 방사상으로 펼쳐지며, 원호형상을 갖는 와이어는 유연성, 내구성을 가진 강화플라스틱파이버 또는 그와 유사한 물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류들이 착지할 경우 조류 자체의 무게에 의해 쉽게 휘어지게 되어 조류들의 착지를 방지할 수 있다.
(2) 설치장소 및 설치환경에 따라 상부지지체의 높이 조절이 간편하다.
(3) 철탑의 종류에 따라 하부지지체를 너트 및 볼트 고정을 하므로, 철탑 또는 전주 상부에 강풍이 불더라도 하부지지체를 포함한 본체가 훼손되거나 분리될 가능성이 적다.
(4) 사출성형에 의해 구성품을 제작하므로, 저비용 경제적이다.
(5) 철탑 또는 전주 상부에 약한 바람이 불더라도 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는 추가 움직임에 따라 유연한 재질로 만든 와이어도 움직이게 되므로, 조류들의 착지를 곤란하게 만들 수 있다.
(6) 와이어 타단에 슬리브를 결합함으로써, 와이어가 상부추와 하부추 사이에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철탑 또는 전주 상부에 강풍이 불어, 추에 외력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도, 와이어가 추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7) 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는 물론이고,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와이어 타단에 결합한 추의 움직임에 의해 원호 형상의 와이어가 자유롭게 움직이므로, 조류들의 착지를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 고정용볼트가 추가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상부지지체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상부지지체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하부지지체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와이어 고정부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와이어 고정부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상결합판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추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추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1)는 와이어(400)와, 와이어 고정부(275)를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410)에 결합되는 추(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의 일단(405)은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에 고정되며,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에 매달린다.
본체(10)에는 와이어 고정부(275)가 포함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에는 와이어의 일단(405)이 고정된다.
와이어의 타단(410)에는 추(450)가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400)로 사용되는 재질은 절연성, 탄력성, 유연성, 내구성을 가진 강화플라스틱파이버 또는 그와 유사한 물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절연성, 탄력성, 유연성, 내구성을 가진 강화플라스틱파이버 또는 그와 유사한 물성을 갖는 재질을 갖는 상기 와이어(400)는 조류 등이 착지할 때 쉽게 휘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와이어의 타단(410)에 결합하는 상기 추(450)의 흔들림에 의해 쉽게 움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10)가 상부지지체(100)와 하부지지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시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부지지체(100)에는 상부지지체 바닥판(10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바닥판(103)을 위에서 내려다 볼 경우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부지지체 바닥판 상면(109)으로부터 상향으로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118)가 형성된다.
상부지지체 바닥판 하면(106) 중심으로부터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118)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지지체(100)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더욱 자세하게는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118)에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중공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중공부(121)에 하부지지체(200)가 끼워지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외주면(145)에는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13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의 제1면(133)과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의 제2면(136) 및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의 제3면(139)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의 제1면(133)과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의 제3면(139)은 서로 평행하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의 제2면(136)은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의 제1면(133)과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의 제3면(139)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의 제3면(139)은 후술할 와이어 고정부(275), 더욱 자세하게는 하결합판(300)과 접하게 된다.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상단(142)에는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148)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148)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148)은 후술할 하결합판(300)을 삽입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148)은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상단(142)에 형성된다.
먼저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148)의 형상은 상기 상부지지체(100)를 정면에서 볼 경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1공간부(151)와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2공간부(154)로 구분되며, 이 둘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1공간부(151)는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2공간부(154)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1공간부(151)의 일측면의 중간이 뚫리며, 뚫린 상태의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1공간부(151)의 일측면의 중간은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2공간부(154)의 타측면과 연통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2공간부(154)의 타측면은 전부 뚫린 상태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148)에 후술할 하결합판(300)이 결합하는 것에 대한 설명이다.
상기 하결합판(300)의 대략적인 모양은 깔대기 형상이다.
하결합판(300)의 중심에는 하결합판 관통공(310)이 형성된다.
하결합판 관통공 내주면(315)에는 2개의 하결합판 걸림돌기(320)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먼저 하결합판 걸림돌기(320)는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1공간부에 끼워진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1공간부(151)는 상기 하결합판 걸림돌기(320)를 수용하기에 넉넉한 공간을 갖는다.
상기 하결합판(300)을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2공간부(154)를 향해 살짝 돌린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2공간부(154)는 하결합판 걸림돌기(320)를 수용하기에 딱 맞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걸림턱 제2공간부(154)와 상기 하결합판 걸림돌기(320)는 기계적인 간섭 조립결합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중공부(121)에는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중공부 가이드레일(127)이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118)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중공부 가이드레일(127)은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중공부 내면(124)에 총 4개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중공부 가이드레일(127)은 하나의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230)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230) 사이에 형성된 하부지지체 지지부 가이드홈(248)에 끼워지기에 적당한 길이를 갖는다.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중공부 가이드레일(127)은 하부지지체 지지부 가이드홈(248)에 기계적인 간섭에 의한 조립, 즉 끼워 맞춰지며 상기 상부지지체(100)가 후술할 하부지지체(200)에 삽입되며 고정된다.
상기 상부지지체(100)에는 상기 상부지지체 바닥판(103)보다 위쪽에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112)는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외주면(145)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112)의 전체적인 단면은 중심에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 중공부(115)가 형성되는 원형이다.
상기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 중공부(115)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115)에 볼트(500)를 삽입한 후 상기 볼트(500)를 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나비모양을 갖는 나비볼트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부지지체 제2지지부(166)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끝단(163)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상부지지체 제2지지부(166)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2지지부(166)의 두께는 상기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118)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2지지부의 끝단(169)은 날카로운 창 형상이며, 상기 상부지지체 제2지지부의 하단(172)에는 상부지지체 제2지지부 나사산(175)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2지지부 나사산(175)은 상기 상부지지체(100)에 삽입 고정되는 상결합판(350)과 하결합판(3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너트(600)가 결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너트(600)로 나비모양을 갖는 나비너트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지지체(200)를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하부지지체(200)는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203)과,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203)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지지체 지지부(2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203)에는 하부지지체 바닥판 고정용 관통공(21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203)에서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 고정용 관통공(212)이 형성된 곳의 반대편에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 고정용 관통공(212)은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203)을 철탑(5)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지지체 바닥판 고정용 볼트(215)가 삽입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 고정용 볼트(215)에는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 상면(206)에 접하는 너트(미도시), 또는 너트와 와셔(미도시)를 추가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는 내부에 살두께를 감소시킨 하부지지체 지지부 살빼기부(218)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살빼기부(218)가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지체(200)를 포함한 본체(10)는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살빼기부(218)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의 전체적인 형상은 기둥이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 측면에 형성된 3개의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230)에는 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239)이 형성된다.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230)는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 상면(206)으로부터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0)의 끝단까지 이어진다.
반면에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 측면에 형성된 1개의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230)에는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의 중공부(233)가 형성되며,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의 중공부(233)를 분할하는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의 중공부 보강판(23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의 중공부(233)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의 중공부(233)를 복수 개로 분할하는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의 중공부 보강판(236)이 형성되는 부분을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살빼기부(218)라고 한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에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살빼기부(218)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부지지체(200)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살빼기부(218)를 형성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강도 저하는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의 중공부 보강판(236)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 측면 중에서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살빼기부(218)가 형성된 하부지지체 지지부(209) 측면 하부에는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1보강판(25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1보강판(251)은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의 중공부(233)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230)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1보강판(251)의 전체적인 형상은 삼각형이며,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1보강판의 제1면(254)은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230)에 결합하며,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1보강판의 제2면(257)은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 상면(206)과 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 측면 가운데 3개의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230)에는 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239)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239)은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의 길이 전체에 대해서 형성되지는 않으며,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의 하부(221)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의 하부(221)에는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2보강판(260)과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3보강판(269) 및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4보강판(27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2보강판(260)과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3보강판(269) 및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4보강판(272)의 전체적인 형상은 전술한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1보강판(251)의 전체적인 형상과 유사한 삼각형이나, 그 크기가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1보강판(251)보다 크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2보강판의 제1면(263)은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230)에 결합하며,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2보강판의 제2면(266)은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 상면(206)과 결합하고,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3보강판(269)과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제4보강판(272)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239)은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230)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239)에는 복수 개의 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 오목부(242)가 형성된다.
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239)은 상기 상부지지체(100)를 상기 하부지지체(200)에 끼운 다음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볼트 고정식으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 중공부(115)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115)에 상기 볼트(500)를 삽입한 후 상기 볼트(500)를 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 중공부(115)를 관통한 상기 볼트(500)를 더욱 조이게 되면, 상기 볼트(500)의 일단이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 오목부(242)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 오목부(242)에 걸리는 상기 볼트(500)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체(1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 중공부(115)에 삽입되는 상기 볼트(500)가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살빼기부(218)에 끼워질 경우에는 상기 볼트(500)는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 오목부(242)에 걸리게 되지 않으며 헛돌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112)는 상기 하부지지체 바닥판 고정용 관통공(212)이 형성된 방향으로 위치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112)에 삽입되는 상기 볼트(500)가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 오목부(242)에 걸리게 된다.
하부지지체 지지부(209)에는 하부지지체 지지부 가이드홈(248)이 형성된다.
즉, 하부지지체 지지부 가이드홈(248)은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측면의 돌출부(23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 가이드홈(248)은 상기 하부지지체 지지부(209)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중공부 가이드레일(127)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지지체(100)와 상기 하부지지체(200)가 결합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10)의 일부를 이루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는 상결합판(350)과 하결합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하결합판(3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중심에는 하결합판 관통공(310)이 형성된 깔대기 형상이다.
즉, 상기 하결합판(300)에는 하결합판 경사면(302)이 형성된다.
상기 하결합판(300)을 정면에서 볼 경우, 하결합판 경사면(302)은 상기 하결합판 관통공(310)으로부터 하결합판 외주면(305)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면이다.
상기 하결합판(300)의 강도 증가를 위한 하결합판 보강판(303)이 상기 하결합판 경사면(302),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결합판 경사면(302)의 외측에 상기 하결합판 관통공(310)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하결합판 관통공 내주면(315)에는 2개의 하결합판 걸림돌기(320)가 형성되며, 상기 하결합판 걸림돌기(320)는 하결합판 관통공 내주면(315)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하결합판 관통공(310)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결합판 관통공(310)을 기준으로 상기 상기 하결합판 경사면(302)에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의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325)가 형성된다.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325)에는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 관통공(330)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의 일단(405)가 삽입되는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 관통공(330)의 전면으로 평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 관통공(330)의 후면으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325)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복수 개의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335)가 형성된다.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335)에는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 관통공(340)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의 일단(405)가 삽입되는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 관통공(340)의 전면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 관통공(340)의 후면으로도 경사면이 형성된다.
와이어(400)는 와이어 일단(405)이 상기 하결합판 관통공(310)을 중심으로 상기 하결팝판 경사면(302)에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 관통공(340)을 거치며, 역시 상기 하결합판 관통공(310)을 중심으로 상기 하결팝판 경사면(302)에 방사상으로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 관통공(330)을 거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 일단(405)은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325)와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335)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400)로 사용되는 재질은 절연성, 탄력성, 유연성, 내구성을 가진 강화플라스틱파이버 또는 그와 유사한 물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400)는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길이가 긴 것과 길이가 짧은 것이 교대로 배치된다.
상기 하결합판(300)의 위에 위치하는 상결합판(350)의 전체적인 형상은 뚜껑과 유사하다.
먼저 상기 상결합판(350)에는 상결합판 관통공(365)이 형성된다.
상기 상결합판 외주면(355)을 따라 복수 개의 상결합판 외주면 구멍(360)이 형성된다.
상기 하결합판(300)에 상기 와이어(400)를 삽입 고정시킨 후, 상기 상결합판(350)을 덮는다.
이와 같이, 상기 상결합판(350)을 상기 하결합판(300) 위에 덮을 경우, 상기 상결합판 외주면 구멍(360)을 통해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325) 및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335)에 삽입되며 고정되는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상결합판 외주면(355) 밖으로 나온다.
상기 상결합판 외주면 구멍(360)은 상기 상결합판(350)에서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325) 및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335)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상결합판 내면(375)에는 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38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380)는 상기 상결합판 내면(375)으로부터 돌출되며, 전체적으로는 링 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380)에는 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 홈(385)이 링 형상을 갖는 상기 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380)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380),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 홈(385)은 상기 와이어(400)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380)는 상기 상결합판 내면(375)에서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325)와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335) 사이에 삽입된 와이어(400)의 일부를 누를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 홈(385)에 상기 와이어(400)의 외주면 일부가 끼워지며 눌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결합판(350)과 상기 하결합판(300)은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를 이룬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가 상기 상부지지체(100)에 고정되는 구조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하결합판 관통공(310) 및 상기 상결합판 관통공(365)을 상기 상부지지체 제2지지부(166)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상부지지체 제2지지부(166)에는 상부지지체 제2지지부 나사산(17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결합판(300) 위에 상기 상결합판(350)을 위치시킨 후, 너트(600)로 상기 상부지지체 제2지지부 나사산(175)을 조임으로써, 상기 상결합판(350)과 상기 하결합판(300)이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너트(600)를 조임으로써, 상기 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 홈(385)이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325)와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335) 사이에 있는 와이어(400)의 일부를 꽉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400)는 상기 상결합판(350)과 상기 하결합판(300) 사이에서 한층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되며, 설치 장소에 따라, 매우 강한 바람이 작용할 경우에도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에 삽입 고정된 와이어(4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410)에 결합하는 추(450)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와이어의 타단(410)에는 하부추(453)와 상부추(4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추(45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추(477)는 상부추 제1원통(483)과 상부추 제2원통(489)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추 제2원통(489)은 상기 상부추의 외면(480)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추 제2원통(489)의 직경은 상기 상부추 제1원통의 직경(483)보다 크다.
상기 상부추 제1원통(483)에는 상기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상기 상부추 제1원통 구멍(486)이 형성된다.
상부추 제2원통 외면(492)에는 2개의 상부추 제2원통 외면 가이드홈(495)이 상기 상부추(477)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추 제2원통 외면 가이드홈(495)은 상기 상부추 제2원통 외면(492)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하부추(453)는 하부추 제1원통(459)과 하부추 제2원통(465)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추 제2원통(465)은 상기 하부추의 외면(456)의 일부를 이룬다.
상기 상부추(47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추 제2원통(465)의 직경은 상기 하부추 제1원통(459)의 직경보다 크다.
하부추 제1원통(459)에는 하부추 제1원통 슬리브 안착부(462)가 형성된다.
하부추 제1원통 슬리브 안착부(462)는 하부추 제1원통(459)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나, 상기 하부추 제1원통(459)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하부추 제2원통 내면(468)에는 하부추 제2원통 내면 가이드레일(471)이 상기 하부추 제2원통(46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추 제2원통 내면 가이드레일(471)은 상기 하부추 제2원통 내면(468)에 2개가 형성되며, 상부추 제2원통 외면 가이드홈(495)이 끼워질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하부추 외면(456)으로부터 밖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추 가시(474)가 형성되며, 하부추 외면(456)에는 복수 개의 하부추 홈(475)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추(450)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410)을 결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와이어 타단(410)에 와이어의 타단 슬리브(415)를 결합한다.
상기 와이어의 타단 슬리브(415)를 결합하는 이유는 상기 와이어(400)와 상기 추(45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와이어의 타단(410)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 슬리브(415)가 결합하므로, 상기 와이어(400)는 상부추 제1원통 구멍(486)으로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와이어의 일단(405)을 상기 상부추 제1원통 구멍(486)으로 통과시킨다.
상기 와이어의 일단(405)을 상기 상부추 제1원통 구멍(486)으로 통과시키면, 상기 와이어의 타단 슬리브(415)가 결합한 상기 와이어의 타단(410)이 상기 상부추 제1원통 구멍(486) 위로 일부 돌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추 제1원통 구멍(486) 위로 일부 돌출된 상기 와이어의 타단(410)은 상기 하부추 제1원통(459)에, 더욱 자세하게는 하부추 제1원통 슬리브 안착부(462)에 안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추 제2원통 내면 가이드레일(471)은 상부추 제2원통 외면 가이드홈(495)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추(477)와 상기 하부추(453)가 결합함으로써 추(4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타단 슬리브(415)가 상기 하부추 제1원통 슬리브 안착부(462)에 안착되면서, 상기 상부추 제1원통 구멍(486)에 걸리는 구조이므로, 강풍이 불어 큰 외력이 상기 추(450)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추(450)가 상기 와이어(400)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감소한다.
상기 본체(10)와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 및 상기 추(450)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40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조류 등이 상기 와이어(400)에 앉을 경우, 조류 자체의 무게에 의해 쉽게 휘어지게 함으로써, 조류착지 방지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더욱더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한 바람에도 상기 와이어(400)와 상기 와이어(400)에 결합한 상기 추(450)가 쉽게 움직일 수 있어, 조류착지 방지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와이어(400)의 형상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결합판 경사면(302)은 상기 하결합판(300)을 정면에서 볼 경우, 상기 하결합판 관통공(310)으로부터 하결합판 외주면(305)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면이다
상기 와이어 일단(405)이 상기 하결합판 관통공(310)을 중심으로 상기 하결팝판 경사면(302)에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 관통공(340)으로 삽입된다.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 관통공(340)으로 삽입된 상기 와이어 일단(405)은 상기 하결합판 관통공(310)을 중심으로 상기 하결팝판 경사면(302)에 방사상으로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 관통공(330)을 거쳐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325)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 일단(405)은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325)와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335)에 고정된다.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325)와 상기 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335) 사이에 삽입된 와이어(400)의 일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380)가 형성됨은 전술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에 고정된 상기 와이어(400)는 상기 하결합판 관통공(310)으로부터 상기 하결합판 외주면(305)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상기 와이어 타단(410)에는 상기 추(450)가 결합한다.
상기 추(450)의 무게가 상기 와이어(400)에 작용하므로, 상기 와이어 타단(410)은 아래로 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와이어(400)는 전체적으로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 고정부(275)에 매달리게 된다.
따라서, 방사상으로 우산살과 유사한 직선형 와이어를 배치시킨 종래기술 1에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상기 와이어(400)가 원호 형상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류들이 착지할 공간이 매우 적다.
또한, 조류가 상기 와이어(400)에 착지할 경우, 상기 와이어(400)가 원호 형상을 갖는 유연한 재질이므로, 조류 자체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게 되므로, 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에도 조류들의 착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풍 또는 미풍이 상기 조류착지 방지장치(1)가 설치된 철탑(5) 등에 불 경우, 상기 와이어 타단(410)에는 결합한 상기 추(450)가 관성체 역할을 하여, 상기 와이어(400)는 끊임없이 움직이게 되므로, 조류들의 착지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저비용 경제적이며, 설치장소인 철탑 또는 전주 상부에 바람이 불지 않는 경우에도 방사상으로 펼쳐지며 원호형상인 와이어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류들이 착지할 경우 조류 자체의 무게에 의해 쉽게 휘어지게 되어 조류들의 착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탑 또는 전주 상부에 바람이 불 경우, 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는 추가 관성체의 역할을 함에 따라, 유연한 재질로 만든 와이어도 계속 움직이게 되므로, 조류들의 착지를 방지한다.
1:조류착지 방지장치 10:본체
100:상부지지체 103:상부지지체 바닥판
106:상부지지체 바닥판 하면 109:상부지지체 바닥판 상면
112: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 115:상부지지체 볼트결합부 중공부
118: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121: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중공부
130: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 133:상부지지체 제1지지부 링의 제1면
175:상부지지체 제2지지부 나사산 200:하부지지체
203:하부지지체 바닥판 206:하부지지체 바닥판 상면
209:하부지지체 지지부 212:하부지지체 바닥판 고정용 관통공
215:하부지지체 바닥판 고정용 볼트 218:하부지지체 지지부 살빼기부
239: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 242:하부지지체 지지부 단턱 오목부
269:하부지지체 지지부 제3보강판 272:하부지지체 지지부 제4보강판
275:와이어 고정부 300:하결합판
302:하결합판 경사면 305:하결합판 외주면
310:하결합판 관통공 315:하결합판 관통공 내주면
320:하결합판 걸림돌기 325: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
330:하결합판 와이어 제1고정부 관통공 335: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 340:하결합판 와이어 제2고정부 관통공 350:상결합판
385:상결합판 와이어 눌림부 홈 400:와이어
405:와이어의 일단 410:와이어의 타단
415:와이어의 타단 슬리브 450:추
453:하부추 456:하부추 외면
477:상부추 480:상부추 외면
483:상부추 제1원통 486:상부추 제1원통 구멍
500:볼트 600:너트

Claims (6)

  1. 와이어;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는 추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며,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매달리되,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깔대기 형상의 하결합판과, 상기 하결합판에 결합되는 상결합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착지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착지 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결합판에는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하는 걸림턱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착지 방지장치
  4. 와이어;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는 추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며,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매달리되,
    상기 추에는 상기 와이어에 결합하는 슬리브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착지 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착지 방지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결합판에는 와이어 제1고정부와 와이어 제2고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결합판에는 상기 와이어 제1고정부와 상기 와이어 제2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 눌림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착지 방지장치
KR1020120042003A 2012-04-23 2012-04-23 조류착지 방지장치 KR101350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03A KR101350391B1 (ko) 2012-04-23 2012-04-23 조류착지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03A KR101350391B1 (ko) 2012-04-23 2012-04-23 조류착지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103A KR20130119103A (ko) 2013-10-31
KR101350391B1 true KR101350391B1 (ko) 2014-01-13

Family

ID=4963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003A KR101350391B1 (ko) 2012-04-23 2012-04-23 조류착지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3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406A (ko) 2015-03-30 2016-10-10 (주)이텍 조류착지 방지장치
KR20200142930A (ko) 2019-06-14 2020-12-23 (주)이텍 송전탑 전용 조류착지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536B1 (ko) * 2012-06-01 2014-07-31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조류 퇴치장치
CN104604839A (zh) * 2014-10-31 2015-05-13 许昌四达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便捷鸟刺
KR102212644B1 (ko) * 2018-12-05 2021-02-08 한국전력공사 회전형 조류 착지 방지 장치
CN111810872A (zh) * 2020-07-21 2020-10-23 北京理工大学 一种具有驱鸟功能的航空激光照明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503A (ja) 2001-01-19 2002-07-30 Arufameiru Trading:Kk 鳥類からのベランダ等における糞被害並び営巣被害を未然に防ぐ手すり無着地装置。
US20040181991A1 (en) * 2003-03-20 2004-09-23 Rains Michael D. Bird repelling device
KR20100008487U (ko) * 2009-02-18 2010-08-26 김규엽 조류 접근 방지 및 퇴치기
KR101091066B1 (ko) 2011-04-20 2011-12-08 김명선 조류착지 방지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503A (ja) 2001-01-19 2002-07-30 Arufameiru Trading:Kk 鳥類からのベランダ等における糞被害並び営巣被害を未然に防ぐ手すり無着地装置。
US20040181991A1 (en) * 2003-03-20 2004-09-23 Rains Michael D. Bird repelling device
KR20100008487U (ko) * 2009-02-18 2010-08-26 김규엽 조류 접근 방지 및 퇴치기
KR101091066B1 (ko) 2011-04-20 2011-12-08 김명선 조류착지 방지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406A (ko) 2015-03-30 2016-10-10 (주)이텍 조류착지 방지장치
KR20200142930A (ko) 2019-06-14 2020-12-23 (주)이텍 송전탑 전용 조류착지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103A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391B1 (ko) 조류착지 방지장치
CN110122470B (zh) 一种驱鸟占位器
CN113951248B (zh) 铁塔用防小动物装置
CN104351162B (zh) 一种倒挂绝缘子防鸟害装置
KR20130004786U (ko) 가로등용 조류 퇴치기
CN103579983B (zh) 输电线路防鸟针板
CN206158310U (zh) 一种具备防雷功能的电线杆
CN210985568U (zh) 一种可带电安装防鸟巢型10kV柱上架空线三角板装置
CN203072759U (zh) 带磁性的户外风力驱鸟器
CN203722126U (zh) 高压线路驱鸟器安装工具
KR20210142292A (ko) 전신주의 조류 둥지 조성 방지장치
KR101127638B1 (ko) 배전용 전주의 양방향 볼쇄클
US6930243B1 (en) Ground wire insulator post for utility poles
CN209268479U (zh) 一种变电站杆塔、龙门架用的驱鸟装置
KR101211555B1 (ko)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KR101389474B1 (ko) 조류 착지 방지 장치
CN202489116U (zh) 防鸟筑巢占位器
CN108849843A (zh) 一种电力电杆驱鸟装置
CN212994025U (zh) 一种磁吸可收缩式全绝缘防鸟刺
CN211173314U (zh) 一种稳固的防风通信塔
CN206707393U (zh) 一种防鸟式复合横担装置
KR20090013249A (ko) 조류 퇴치 방법 및 그 퇴치구조
RU217755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подвесн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изолятора
CN204191358U (zh) 一种用于输电塔的诱导性鸟巢
CN107047527A (zh) 一种单回路直线混凝土双杆中相组合防鸟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