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690A -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690A
KR20130134690A KR1020120058384A KR20120058384A KR20130134690A KR 20130134690 A KR20130134690 A KR 20130134690A KR 1020120058384 A KR1020120058384 A KR 1020120058384A KR 20120058384 A KR20120058384 A KR 20120058384A KR 20130134690 A KR20130134690 A KR 2013013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case
actuator
mobile phone
cas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2793B1 (ko
Inventor
윤국영
Original Assignee
윤국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국영 filed Critical 윤국영
Priority to KR1020120058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79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폰의 4 측면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함에 있어 밀링 가공하지 않고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케이스 모재를 절곡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자원 절약의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一'자 형태의 케이스 모재 일부가 지그부 및 지그부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한 회전축의 측면에 안착되는 단계(S100); 안착된 케이스 모재 일부가 지그부와 제1 액추에이터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케이스 모재 일부가 지그부에 가압되는 단계(S200)와 회전축의 측면을 가로질러 돌출된 케이스 모재 타부가 제1 액추에이터와 인접하여 위치하여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동가능한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압되는 단계(S300)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단계; 및 케이스 모재가 제2 액추에이터의 회전축 중심 회동에 기반하여 절곡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CASE MOUNTED ON EDGE OF THE SAME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모재를 안정적으로 절곡하여 휴대폰 케이스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속 재질의 휴대폰 케이스 또는 휴대폰 범퍼는 휴대폰의 4 측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함에 있어서 케이스 모재를 절삭하고 밀링함으로써 모재의 많은 부분을 버리게 되는 공정을 택하고 있다. 이러한 절삭 및 밀링 공정은 가공이 용이한 측면도 있으나 금속 케이스 모재를 안정적으로 절곡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던 측면도 있었다.
따라서, 기존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 가공방법에 따른 자원 낭비를 막고 케이스 모재를 용이하게 절곡시키면서도 안정적으로 절곡시킬 수 있고 치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휴대폰의 4 측면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휴대폰의 4 측면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함에 있어 케이스 모재를 밀링 가공하지 않고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一'자 형태의 케이스 모재 일부가 지그부 및 지그부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한 회전축의 측면에 안착되는 단계(S100); 안착된 케이스 모재 일부가 지그부와 제1 액추에이터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케이스 모재 일부가 지그부에 가압되는 단계(S200)와 회전축의 측면을 가로질러 돌출된 케이스 모재 타부가 제1 액추에이터와 인접하여 위치하여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동가능한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압되는 단계(S300)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단계; 및 케이스 모재가 제2 액추에이터의 회전축 중심 회동에 기반하여 절곡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一'자 형태의 케이스 모재는 단면이 'ㄷ'자 형태이고, 지그부는 'ㄷ'자 형태의 내부를 메워 '一'자 형태의 케이스 모재를 안착시키는 모재틀과 케이스 모재를 길이 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틀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케이스 모재의 단면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단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 측면은 절곡되는 케이스 모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 모재 상하부로 한 쌍의 변형 방지턱이 더 형성되고, 회전축 상부는 한 쌍의 변형 방지턱이 케이스 모재의 상하부에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모재 조임 레버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모재 절곡단계(S400)는 제3 액추에이터가 제2 액추에이터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3 액추에이터가 구동됨으로써 제2 액추에이터에 회동력을 제공하고 회동력에 기반하여 케이스 모재를 절곡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케이스 모재의 절곡단계(S400) 이후에는, 절곡된 케이스 모재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사각형 형상의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가 완성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카테고리로서,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一'자 형태의 케이스 모재가 안착되는 지그부; 지그부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케이스 모재 일부를 상하로 가압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변형 방지턱이 형성된 회전축; 안착된 케이스 모재 일부를 사이에 두고 지그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케이스 모재 일부를 지그부에 가압하는 제1 액추에이터; 및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축 중심 회동에 기반하여 케이스 모재를 절곡시키고, 회전축의 측면을 가로질러 돌출된 케이스 모재 타부를 사이에 두고 회전축과 대향하여 위치하며, 케이스 모재 타부를 회전축 측면에 가압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는 제2 액추에이터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됨으로써 제2 액추에이터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제3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폰의 4 측면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함에 있어 밀링 가공하지 않고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케이스 모재를 절곡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자원 절약의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 제조에 사용되는 케이스 모재의 절곡 시에 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일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인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케이스 모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 일 실시예가 케이스 모재를 절곡시키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한 쌍의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가 휴대폰 4 측면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일 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비율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일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一'자 형태의 케이스 모재(C) 일부가 지그부(10) 및 지그부(10)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한 회전축(20)의 측면에 안착된다(S100).
다음, 안착된 케이스 모재(C) 일부가 지그부(10)와 제1 액추에이터(4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액추에이터(40)에 의해 케이스 모재(C) 일부가 지그부(10)에 가압되는 단계(S200)와 회전축(20)의 측면을 가로질러 돌출된 케이스 모재(C) 타부가 제1 액추에이터(40)와 인접하여 위치하여 회전축(20)에 연결되고 회동가능한 제2 액추에이터(50)에 의해 가압되는 단계(S300)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즉, 제1 액추에이터(40)와 제2 액추에이터(50)에 의해 케이스 모재(C)가 나란히 지그부(10)와 회전축(20) 측면에 가압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지그부(10) 및 회전축(20)의 측면에 제1,2 액추에이터(40, 50)를 이용해 케이스 모재(C)를 가압함으로써 케이스 모재(C)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회전축(20)에 장착된 한 쌍의 변형 방지턱(30, 32)이 케이스 모재(C) 상하부에서 조여줌으로써 더욱 안정되게 고정되고 절곡 시에도 케이스 모재(C) 절곡 부분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작용한다.
여기서, 제1, 2 액추에이터(40, 50)는 유압, 공기압 등을 이용하여 내부 실린더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실린더 전면에 부착된 모재 범퍼(44, 54)가 직접적으로 케이스 모재(C)에 압력을 가하도록 작용한다. 이때, 제1, 2 액추에이터(40, 50)는 사용되는 유압 또는 공기압이 각각 별개로 유입되거나 동시에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액추에이터 레버(42)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케이스 모재(C)가 제2 액추에이터(50)의 회전축(20) 중심 회동에 기반하여 절곡됨으로써(S400)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가 수행될 수 있다. 휴대폰은 사각형상으로서 4 측면의 테두리를 가지고 휴대폰의 인접한 측면들은 서로 수직이므로 이를 감쌀 수 있도록 케이스 모재(C)를 절곡하는 것이다. 종래 밀링 가공을 통해 'ㄱ'자 형상을 구현함에 있어 직육면체 케이스 모재의 대부분을 절삭에 의해 폐기하던 방식과는 차별화된다.
여기서, 케이스 모재 절곡단계(S400)는 제3 액추에이터(60)가 제2 액추에이터(5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3 액추에이터(60)가 구동됨으로써 제2 액추에이터(50)에 회동력을 제공하고 회동력에 기반하여 케이스 모재(C)를 절곡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제3 액추에이터(60)는 제1, 2 액추에이터(40, 50)와는 별도로 유압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별도의 액추에이터 레버(62)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 모재의 절곡단계(S400) 이후에는, 절곡된 케이스 모재(C1, C2)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사각형 형상의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가 완성될 수 있다(S500). 이렇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휴대폰 케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케이스 모재가 한 세트를 이루어 휴대폰 4 측면 테두리를 모두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절곡된 케이스 모재(C1, C2)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 완성단계(S500) 이전에, 별도의 밀링 가공 및 절삭 가공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2 피스의 체결 형태(예: 볼트 체결형 또는 끼움 체결형 등)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휴대폰 케이스의 일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
도 2는 본 발명인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케이스 모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 일 실시예가 케이스 모재를 절곡시키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는 케이스 모재(C)를 안착시키는 지그부(10), 회동 중심축인 회전축(20), 케이스 모재(C)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 액추에이터(40) 및 제2 액추에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지그부(10) 및 제1 액추에이터(40)는 직접적으로 장착 플레이트(P)에 장착 고정되고, 회전축(20)은 회동암(56) 및 회동판(58) 각 단부에서 관통 체결되어 장착 플레이트(P)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제2 액추에이터(50)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제3 액추에이터(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 모재(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는 '一'자 형태이고 종단면은 'ㄷ'자 형태로서 적절한 크기의 금속(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카본 스틸 등)을 이용해 미리 밀링 가공 등으로 1차 가공이 이루어진 모재가 사용된다.
지그부(10)는 '一'자 형태의 케이스 모재(C)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를 위해, 지그부(10)는 케이스 모재(C)의 'ㄷ'자 형태 내부를 메워 케이스 모재(C)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모재틀(12)과 길이 방향으로 멈춤되도록 고정하는 고정틀(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고정틀(14)은 케이스 모재(C) 절곡 부분의 길이를 감안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복수로 구비되어 절곡 부분의 길이 장단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모재틀(12)과 고정틀(14)은 고강도 플라스틱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강도의 강철이 사용되었다.
회전축(20)은 제2 액추에이터(50)와 회동암(56) 및 회동판(58)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제2 액추에이터(50)의 회동 중심축 역할을 한다. 아울러, 회전축(20)은 지그부(10)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안착되는 케이스 모재(C) 일부를 상하로 가압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변형 방지턱(30, 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동판(58)은 회동 시에 인접한 모재틀(12)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20) 상부에 형성된 모재 조임 레버(22)는 그 회전을 통해 한 쌍의 변형 방지턱(30, 32)이 상호 근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하고 상호 근접하는 경우에는 케이스 모재(C)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절곡 시에는 절곡 부분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케이스 모재(C)의 절곡 부분은 회전축(20)을 따라 절곡되므로 자연스럽게 라운딩 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40)는 안착된 케이스 모재(C) 일부를 사이에 두고 지그부(10)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케이스 모재(C) 일부를 지그부(10)에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더 정확히는 지그부(10)의 모재틀(12)과 제1 액추에이터(40) 전면에 장착된 모재 범퍼(44)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스 모재(C)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모재 범퍼(44)는 고강도 플라스틱 소재 또는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강철을 사용하였다.
제2 액추에이터(50)는 회전축(20)에 연결되고 회전축(20) 중심 회동에 기반하여 케이스 모재(C)를 절곡시키고, 회전축(20)의 측면을 가로질러 돌출된 케이스 모재(C) 타부를 사이에 두고 회전축(20)과 대향하여 위치하며, 케이스 모재(C) 타부를 회전축(20) 측면에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 액추에이터(50)의 회동에 의해 케이스 모재(C)가 절곡되며 절곡 시에 제1 액추에이터(40)는 케이스 모재(C) 일부를 가압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작용한다.
아울러, 제2 액추에이터(50)의 전면에 위치한 모재 범퍼(54)가 범퍼 받침(55)에 안착되어 있어 제2 액추에이터(50)의 구동력에 따른 압력을 케이스 모재(C)에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모재 범퍼(54)는 케이스 모재(C) 절곡 부분과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므로 케이스 모재(C)에 스크래치 등을 내지 않도록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암(56)과 회동판(58)은 그 일단이 회전축(20)에 의해 관통 체결되도록 구성하고 타단이 제2 액추에이터(50)와 용접 체결 또는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회전축(20)과 제2 액추에이터(50) 사이를 상하에서 연결함으로써 제2 액추에이터(50)가 회동 운동 이외에 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제2 액추에이터(50)의 회동력은 케이스 모재(C)를 정확히 직각으로 절곡시키기 위해 미리 세팅된 길이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액추에이터(50)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제3 액추에이터(60)를 더 구비토록 구성하되, 제3 액추에이터(60)의 실린더 왕복 운동과 이에 따른 연결부재(64)의 길이 변화를 정확히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결부재(64)는 회동판(58) 하부에 고정된 별개의 회동축이 구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액추에이터(60)의 구동력이 제2 액추에이터(50)의 회동력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액추에이터(60)는 장착 플레이트(P) 하부에 특정 변위를 가지고 왕복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어야 하므로 제3 액추에이터 레버(62)는 제1, 2 액추에이터(40, 50)와 달리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C1, C2: 케이스 모재
P: 장착 플레이트
10: 지그부
12: 모재틀
14: 고정틀
20: 회전축
22: 모재 조임 레버
30, 32: 한 쌍의 변형 방지턱
40: 제1 액추에이터
42: 제1, 2 액추에이터 레버
44: 모재 범퍼
50: 제2 액추에이터
54: 모재 범퍼
55: 범퍼 받침
56: 회동암
58: 회동판
60: 제3 액추에이터
62: 제3 액추에이터 레버
64: 연결부재

Claims (7)

  1.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一'자 형태의 케이스 모재 일부가 지그부 및 상기 지그부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한 회전축의 측면에 안착되는 단계(S100);
    상기 안착된 케이스 모재 일부가 상기 지그부와 제1 액추에이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케이스 모재 일부가 상기 지그부에 가압되는 단계(S200)와 상기 회전축의 측면을 가로질러 돌출된 상기 케이스 모재 타부가 상기 제1 액추에이터와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동가능한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압되는 단계(S300)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스 모재가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상기 회전축 중심 회동에 기반하여 절곡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一'자 형태의 케이스 모재는 단면이 'ㄷ'자 형태이고,
    상기 지그부는 상기 'ㄷ'자 형태의 내부를 메워 상기 '一'자 형태의 케이스 모재를 안착시키는 모재틀과 상기 케이스 모재를 길이 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측면은 상기 절곡되는 케이스 모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모재 상하부로 한 쌍의 변형 방지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상부는 상기 한 쌍의 변형 방지턱이 상기 케이스 모재의 상하부에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모재 조임 레버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모재 절곡단계(S400)는 제3 액추에이터가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3 액추에이터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회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회동력에 기반하여 상기 케이스 모재를 절곡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모재의 절곡단계(S400) 이후에는,
    상기 절곡된 케이스 모재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사각형 형상의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가 완성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6.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一'자 형태의 케이스 모재가 안착되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 모재 일부를 상하로 가압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변형 방지턱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안착된 케이스 모재 일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그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 모재 일부를 상기 지그부에 가압하는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 중심 회동에 기반하여 상기 케이스 모재를 절곡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측면을 가로질러 돌출된 상기 케이스 모재 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축과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 모재 타부를 상기 회전축 측면에 가압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됨으로써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제3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장치.
KR1020120058384A 2012-05-31 2012-05-31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342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384A KR101342793B1 (ko) 2012-05-31 2012-05-31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384A KR101342793B1 (ko) 2012-05-31 2012-05-31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690A true KR20130134690A (ko) 2013-12-10
KR101342793B1 KR101342793B1 (ko) 2013-12-19

Family

ID=4998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384A KR101342793B1 (ko) 2012-05-31 2012-05-31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466B1 (ko) * 2014-01-13 2015-07-16 하명석 인테나 특성 및 성능향상을 위한 핸드폰 체결형 금속 테두리 케이스 제조 방법
KR101884592B1 (ko) * 2018-04-10 2018-08-01 전병철 이동통신단말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289B1 (ko) 2015-06-11 2017-01-26 (주)서진테크 케이스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785583B1 (ko) 2015-07-03 2017-10-16 문덕열 형상 가공 지그 장치
KR101892521B1 (ko) 2015-07-03 2018-08-28 문덕열 방향 전환 지그 장치
KR101849654B1 (ko) 2015-07-03 2018-04-18 문덕열 중첩 지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400B1 (ko) * 2011-08-01 2012-03-09 이성복 체결식 구조의 금속 판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와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466B1 (ko) * 2014-01-13 2015-07-16 하명석 인테나 특성 및 성능향상을 위한 핸드폰 체결형 금속 테두리 케이스 제조 방법
KR101884592B1 (ko) * 2018-04-10 2018-08-01 전병철 이동통신단말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793B1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793B1 (ko)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5975061B2 (ja) カシメ装置及びカシメ方法
US20090308128A1 (en) A kinematic system for clamping semifinished products by means of pressing for sheet metal shaping panelling machines
CN109773077B (zh) 一种新型全铝汽车散热器水室自动铆合模具及铆合方法
JP2011218443A (ja) パネル折り曲げ装置
JP5182426B2 (ja) ハイドロフォーム成形方法及びハイドロフォーム成形装置
CN202461215U (zh) 手动薄板压型机
EP2947537A1 (en) Hollow operating le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3212534A (ja) パネル複合曲げ成形装置
JP6061264B2 (ja) バルジ加工用の金属ベローズ成形方法、及び、その金属ベローズ成形装置
CN108348977B (zh) 拉伸形成双曲率面板的方法和可重构拉伸成型装置
CN110788163B (zh) 一种手工校形模具
JP2005262272A (ja) U曲げ部材の加工方法及びu曲げ部材加工用プレス装置
CN106077232A (zh) 一种冲孔机构
LU100549B1 (en) Auto part one-time stamping die
JP2013154385A (ja) ローラヘミング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06470120U (zh) 一种简便的弯曲试验机夹具
CN218693333U (zh) 一种带弯折冲头的快速冲压模具
JP2010149179A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プレス成形品の製造装置、およびプレス成形品
JPS5928412B2 (ja) 管、形材等の工作物を曲げるための工具
CN210499903U (zh) 一种手动式快速夹钳
CN203862857U (zh) 一种落水口罩的冲压成型模具
RU2422228C2 (ru) Кине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заготовок с помощью прижима в станках для загиба и формования листового металла
CN215392131U (zh) 一种快速调节平面度的简易装置
CN213613911U (zh) 汽车板材锻件用空气锤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