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054A -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 Google Patents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054A
KR20130134054A KR1020120057295A KR20120057295A KR20130134054A KR 20130134054 A KR20130134054 A KR 20130134054A KR 1020120057295 A KR1020120057295 A KR 1020120057295A KR 20120057295 A KR20120057295 A KR 20120057295A KR 20130134054 A KR20130134054 A KR 20130134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heet
banknote
bill
controll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1302B1 (ko
Inventor
황진용
김경수
남영준
이명우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3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집적공간에 지폐의 집적시 시트롤러의 탄성시트가 지폐의 후단부 면의 일정한 위치에 타격되어 상방향으로의 날림을 방지하고 타격된 지폐가 지폐집적공간에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지런히 집적되도록 함으로써 지폐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폐집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집적장치(100)의 입구 측에는 회전하는 몸체(161)의 외주면 일부 구간에 복수의 탄성시트(162)가 형성된 시트롤러(160)를 구비하되, 복수의 탄성시트(162) 중 몸체(161)의 회전방향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제1탄성시트부(162-1)는, 지폐집적공간(101)으로 유입되는 지폐의 후단부 면을 측방향으로 타격하도록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단부가 회전방향 측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2단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62a-1)와 제2절곡부(162b-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Paper money stack apparatus using sheet roller with bent elastic sheet}
본 발명은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집적공간으로 집적되는 지폐의 날림을 방지하여 지폐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집적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 내에 설치되어 지폐, 수표, 기타 소정 두께를 갖는 집적대상물(이하 '지폐'로 통칭함)을 소정의 집적 공간에 롤러와 시트롤러를 이용하여 낱장 집적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지폐집적장치가 지폐 입출금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보여주는 단면개략도이다. 지폐집적장치(1)는 고객의 조작에 의해 지폐의 입금이나 출금이 이루어지는 지폐 입출금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지폐 입출금 장치는 셔터(5)의 개방 시 고객에 의해 지폐의 투입과 취출이 이루어지는 입금공간(10b)과 출금공간(10a)으로 이루어진 지폐집적공간(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입금공간(10b)과 출금공간(10a)은 다수의 칸막이판(11,12,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입금공간(10b)의 하부에는 픽업롤러(61)와 피드롤러(62) 및 가이드롤러(63)로 이루어지는 분리부(60)가 구비되어 있어 고객이 투입한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금융자동화기기 내부로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출금공간(10a)의 하부에는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서 반송로(20)를 따라 반송되어 온 지폐(P)를 상기 출금공간(10a)에 낱장 집적하기 위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이송롤러(40,50)와 상기 이송롤러(40,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되어 오는 지폐(P)의 후단을 타격하여 지폐를 지폐집적공간(10,10a)에 집적하기 위한 시트롤러(30)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 상기 시트롤러(30)는 회전하는 몸체(3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주면 전체에 걸쳐 소정의 간격으로 동일한 형상 및 길이를 갖는 날개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시트(32)가 복수 개 부착되어 있고, 상기 탄성시트(32)가 회전하면서 지폐(P)의 후단을 타격하여 지폐집적공간(10,10a)에 지폐(P)를 집적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트롤러(30)는 몸체(31)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시트(32)가 부착되어 있고, 지폐가 집적되는 동안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집적되는 지폐의 후단부 모서리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어 지폐가 지폐집적공간(10,10a) 내에 빠른 속도로 방출되어 불안정하게 집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트롤러(30)의 몸체(31)가 고속 회전되는 경우 몸체(31)에 부착된 탄성시트(32)는 관성에 의해 몸체(3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지폐의 후단부 모서리를 타격하게 되므로 타격된 지폐가 상측으로 날리게 되어 칸막이판(11) 측으로 가지런히 정렬된 상태로 집적되지 못함에 따라 지폐의 집적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권종 지폐를 취급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경우 탄성시트(32)가 지폐의 후단부를 타격하는 위치가 지폐의 권종마다 상이하게 되므로 이 역시 지폐의 정렬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폐집적공간에 지폐의 집적시 시트롤러의 탄성시트가 지폐의 후단부 면의 일정한 위치에 타격되어 상방향으로의 날림을 방지하고 타격된 지폐가 지폐집적공간에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지런히 집적되도록 함으로써 지폐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폐집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폐가 지폐집적공간의 입구를 통과하는 동안에는 시트롤러의 탄성시트가 지폐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지폐가 지폐집적공간의 입구를 통과하여 지폐집적공간에 진입한 상태에서 탄성시트가 지폐의 후단부 면을 타격하도록 함으로써 지폐가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집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폐의 권종에 따른 지폐의 폭 변화에 관계없이 지폐가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집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는, 지폐집적장치(100)의 입구 측에는 회전하는 몸체(161)의 외주면 일부 구간에 복수의 탄성시트(162)가 형성된 시트롤러(160)를 구비하되, 복수의 탄성시트(162) 중 몸체(161)의 회전방향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제1탄성시트부(162-1)는, 지폐집적공간(101)으로 유입되는 지폐의 후단부 면을 측방향으로 타격하도록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단부가 회전방향 측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2단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62a-1)와 제2절곡부(162b-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시트(162)는,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후방으로 상기 몸체(161)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에 의해 타격된 지폐를 순차로 타격하여 지폐의 전진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제2탄성시트부(16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시트(162)는 상기 제2탄성시트부(162-2)의 후방으로 상기 제2탄성시트부(162-2)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 제3탄성시트부(16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시트(162)에는 지폐와 접촉되는 단부 면에 지폐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한 다수 개의 돌기(162a-2,162a-3)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시트(162)는 몸체(161)의 외주면에 보강리브(163)를 매개로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시트(162)의 회전 시 탄성시트(162)가 관성에 의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심하게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탄성시트(162)에 의한 지폐의 타격 지점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시트(162)는 몸체(161)의 외주면에 180도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와 제2탄성시트부(162-2) 및 제3탄성시트부(162-3)는 상기 몸체(161)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회전반경이 순차로 길어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두께는 제2탄성시트부(162-2) 및 제3탄성시트부(162-3)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집적장치(100)는, 상기 시트롤러(160)로부터 반송로(180) 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지폐감지센서(190) 및 상기 지폐감지센서(190)에서 지폐의 통과를 감지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트롤러(160)가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시트롤러(160)의 정지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시트(162)가 지폐의 반송경로의 하측으로 회피되어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집적공간(101)에서는 제1칸막이판(110)에 의해 지폐가 지지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탄성시트부(162-3)가 상기 지폐집적공간(101)에 집적된 지폐의 후면을 상기 제1칸막이판(1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시트롤러(160)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지폐가 지폐집적공간(101)의 입구를 통과하는 동안에는 상기 시트롤러(160)가 정지해 있고, 지폐가 지폐집적공간(101)의 입구를 통과하여 지폐집적공간(101)에 진입해 있을 때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제2절곡부(162b-1)가 지폐의 후단부 면을 타격하도록 시트롤러(16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지폐집적공간(101)으로 집적되는 지폐 1매당 한 바퀴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에 의하면, 시트롤러의 회전방향 선단부에 위치하는 제1탄성시트부의 단부를 회전방향을 향하여 2단으로 절곡 형성함으로써 제1탄성시트부의 단부에 지폐의 후단부 면이 측방향으로 타격되어 지폐의 상방향 날림을 방지하면서 지폐집적공간에 지폐가 나란히 정렬됨으로써 지폐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탄성시트를 보강리브를 매개로 시트롤러의 몸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시트롤러의 고속회전 시에 탄성시트가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는 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지폐를 측방향으로 타격하게 되므로 지폐의 집적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에 대한 타격 시점별로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는 서로 다른 형상과 길이를 갖는 탄성시트를 시트롤러의 외주면의 일부구간에 형성하고, 지폐가 지폐집적공간의 입구를 통과하는 동안에는 시트롤러의 탄성시트가 지폐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지폐가 지폐집적공간의 입구를 통과하여 지폐집적공간에 진입한 상태에서 탄성시트가 지폐의 후단부 면을 타격하도록 함으로써 지폐의 방출 속도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지폐의 안정적인 집적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가 지폐집적공간에 진입한 후 지폐의 후단부 면의 일정한 위치에서 지폐의 타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지폐의 권종에 따른 지폐의 폭 변화에 관계없이 지폐의 안정적인 집적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 지폐집적장치가 지폐 입출금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보여주는 단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폐집적장치를 보여주는 단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폐집적장치에 구비되는 시트롤러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지폐집적장치에서 지폐가 진입하기 이전에 시트롤러가 정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상태도,
도 5는 도 2의 지폐집적장치에서 지폐가 지폐감지센서를 통과한 후를 보여주는 동작상태도,
도 6은 도 2의 지폐집적장치에서 지폐가 지폐집적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시트의 제1탄성시트부가 지폐를 타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상태도,
도 7은 도 2의 지폐집적장치에서 지폐가 탄성시트의 제2탄성시트부에 의해 제1칸막이판 측으로 전진 이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동작상태도,
도 8은 도 2의 지폐집적장치에서 지폐의 집적이 완료된 후 시트롤러의 초기위치를 보여주는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지폐집적장치가 지폐 입출금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보여주는 단면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지폐집적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를 집적하기 위해 지폐집적공간(101)의 입구 측에 설치되는 시트롤러(160), 상기 시트롤러(160)로부터 반송로(180) 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지폐감지센서(190), 상기 지폐감지센서(190)에서 지폐의 통과를 감지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시트롤러(160)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지폐집적공간(101)은 제1칸막이판(110)과 제2칸막이판(120)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칸막이판(110)은 지폐집적공간(101)에 집적되는 지폐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2칸막이판(120)은 집적된 지폐를 제1칸막이판(110) 측으로 밀착시켜 지폐를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시트롤러(160)는, 회전하는 몸체(161)와, 상기 몸체(161)의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복수의 탄성시트(162) 및 상기 몸체(161)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탄성시트(162)를 서로 연결하며 지지하는 보강리브(163)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61)는 회전축(170)에 결합되어 회전축(17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종래에는 복수 개의 탄성시트(162)가 몸체(161)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부착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대략 180도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몸체(161)의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시트(162)는 지폐의 후면을 타격할 때 휘어지는 탄성재질로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필름(film)이나 고무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시트(162)는 시트롤러(160)의 회전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제1탄성시트부(162-1)와,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회전방향의 후방 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 제2탄성시트부(162-2)와, 상기 제2탄성시트부(162-2)의 회전방향 후방 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탄성시트부(162-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와 제3탄성시트부(162-3)는 1개의 시트로 구성되고, 제2탄성시트부(162-2)는 3개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1탄성시트부(162-1)와 제3탄성시트부(162-3) 사이의 각도 범위 및 제2탄성시트부(162-2)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단부에는 지폐집적공간(101)으로 진입된 지폐의 후단부 면을 최초로 타격할 때 지폐의 상방향 날림을 방지하기 위해 지폐의 후단부 면에 면접촉되도록 몸체(161)의 회전방향 측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2단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62a-1)와 제2절곡부(162b-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탄성시트부(162-1)의 단부를 2단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할 경우 지폐의 후단부 면에 제1탄성시트부(162-1)의 제2절곡부(162b-1)가 타격될 때 지폐의 후단부 면과 제2절곡부(162b-1)의 타격면 사이의 각도를 줄여서 서로 면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지폐에 최초로 타격되는 탄성시트가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타격된 지폐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수직 상방향을 향하지 않고 지폐가 집적되는 방향인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단부가 1단으로 절곡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시트롤러(160)의 고속회전 시에 관성에 의해 제1탄성시트부(162-1)가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져 지폐의 최초 타격 시에 제1탄성시트부(162-1)의 단부 면과 지폐의 후단부 면이 서로 나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촉이 시작되어 상향으로 경사지게 힘을 작용하게 되므로 타격된 지폐를 측방향으로 온전하게 안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탄성시트부(162-1)의 단부가 2단으로 절곡된 구조를 취할 경우에는 제1탄성시트부(162-1)가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더라도 제2절곡부(162b-1)와 지폐의 후단부 면이 서로 나란하게 접촉되면서 타격이 이루어지게 되어 지폐에 측방향의 힘을 작용하게 되므로 타격된 지폐가 상방향으로 날리지 않고 제1칸막이판(110) 측을 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탄성시트(162)를 구성하는 제1탄성시트부(162-1)와 제2탄성시트부(162-2) 및 제3탄성시트부(162-3)가 보강리브(163)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몸체(161)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종래 탄성시트(162)가 몸체(161)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된 경우와 비교하여, 시트롤러(160)의 회전 시에 탄성시트(162)가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는 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되어 탄성시트(162)에 타격된 지폐에 측방향의 힘이 보다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1탄성시트부(162-1)와 제2탄성시트부(162-2) 및 제3탄성시트부(162-3)는 그 길이가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 길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제2탄성시트부(162-2)를 구성하는 각각의 시트는 그 길이가 일정하게 구성될 수 있고,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 길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시트(162)의 길이가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 길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폐집적공간(101)으로 진입한 지폐가 제1칸막이판(110) 측으로 이송되어 집적될 때 지폐의 후단부 면에 타격되는 지점의 위치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지폐의 집적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탄성시트부(162-1)의 두께는 제2탄성시트부(162-2) 및 제3탄성시트부(162-3)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탄성시트부(162-1)가 지폐집적공간(101)으로 진입한 지폐의 후단부 면을 최초로 타격하여 지폐의 이동방향을 상향 경사진 방향에서 측방향으로 변경하는 역할을 하므로, 시트롤러(160)의 회전 시에 제1탄성시트부(162-1)가 심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1탄성시트부(162-1)의 단부와 지폐의 후단부 면의 타격지점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반해, 제1탄성시트부(162-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탄성시트부(162-2)와 제3탄성시트부(162-3)는 제1탄성시트부(162-1)에 의해 타격되어 이동방향이 측방향으로 변경된 지폐를 제1칸막이판(110) 측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그 두께를 제1탄성시트부(162-1)와 같은 정도로 두껍게 구성하지 않더라도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3탄성시트부(16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폐의 후단부 면을 타격하는 이외에 지폐집적공간(101)에 집적된 지폐의 후면을 제1칸막이판(110) 측으로 가압하여 지폐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되므로, 제3탄성시트부(162-3)는 지폐와 접촉되는 단부 면에 지폐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단부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돌기(162a-3)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제1탄성시트부(162-1) 또는 제2탄성시트부(162-2)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돌기(162a-2, 도 3 참조)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170)에는 시트롤러(160) 이외에 동축상에 지폐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롤러(150)가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축(170)에 연결된 시트롤러(160)는 회전하지만, 제1이송롤러(150)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제1이송롤러(150)는 반송로(18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 제2이송롤러(1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즉, 상기 제1이송롤러(150)와 제2이송롤러(140)의 외주면은 상호 접하도록 되어 있어 제2이송롤러(14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함으로써 지폐를 반송로(180)로부터 지폐집적공간(101)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이송롤러(140)는 구동부(미도시)와 이에 연결된 회전축(141)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시트롤러(160)가 회전하는 경우 탄성시트(162)의 단부가 상기 회전축(141)에 간섭되는 경우에는 지폐를 타격하는 위치 및 타격하는 힘이 달라질 수 있고 탄성시트(162)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시트롤러(160)의 회전축(170)으로부터 제2이송롤러(140)의 회전축(141)까지의 거리는 상기 탄성시트(162) 중 가장 길게 형성되는 제3탄성시트부(162-3)의 회전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시트롤러(160)가 회전하더라도 탄성시트(162)의 단부가 제2이송롤러(140)의 회전축(141)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지폐감지센서(190)는 반송로(180)를 따라 이송되는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게 되는데,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로 구성되어 지폐의 후단이 통과하여 다크(dark)에서 라이트(light)로 감지되면 지폐가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지폐감지센서(190)가 지폐의 통과를 감지하는 위치(즉, 지폐의 전단 또는 후단)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시간은 지폐의 권종마다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폐집적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지폐집적장치(100)에 지폐가 진입하기 이전으로서 시트롤러(160)가 정지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는 반송로(180), 제1이송롤러(150) 및 제2이송롤러(140)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지폐를 이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시트롤러(160)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P)가 반송로(180)를 따라 지폐집적장치(100)로 진입하게 되는데, 지폐감지센서(190)에서는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지폐(P)가 통과한 것으로 지폐감지센서(190)에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시트롤러(160)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지폐(P)가 지폐집적공간(101)의 입구에 구비된 시트롤러(160)를 통과하기 전까지는 탄성시트(162)가 지폐가 반송되는 경로로부터 벗어나 아래쪽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있어 탄성시트(162)와 지폐(P)는 접촉하지 않게 된다.
상기 시트롤러(160)를 회전시키는 시점은 지폐감지센서(190)에서 지폐집적공간(101)의 입구까지의 거리와 지폐의 이송 속도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P)가 이송롤러(140,150)를 완전히 벗어나 지폐(P)의 후단이 지폐집적공간(101)의 입구에 진입한 시점에서 탄성시트(162)의 제1탄성시트부(162-1)의 2단으로 절곡된 단부에 구비되는 제2절곡부(162b-1)가 지폐(P)의 후단부 면을 면접촉 상태로 타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폐(P)가 이송롤러(140,150)를 완전히 벗어난 후 제1탄성시트부(162-1)의 제2절곡부(162b-1)가 지폐(P)의 후단부 면을 측방향으로 타격하게 되면, 종래 지폐(P)의 후단 모서리를 위쪽을 향하여 타격함으로 인해 지폐가 상방향으로 날리게 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지폐(P)의 후단부 면을 제1탄성시트부(162-1)의 제2절곡부(162b-1)가 타격한 이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시트(162)의 제2탄성시트부(162-2)가 지폐(P)의 후단부 면을 우측 수평방향으로 순차로 타격하게 되므로 지폐(P)가 제1칸막이판(110) 측으로 전진 이송되어 지폐의 집적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다양한 권종의 지폐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지폐의 폭이 권종마다 상이함으로 인해 탄성시트(162)가 지폐의 후단을 타격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탄성시트(162)의 제1탄성시트부(162-1)가 지폐(P)의 타격을 시작하여 제2탄성시트부(162-2)가 순차로 지폐(P)의 직진 방향 이송을 안내하게 되므로 다권종 지폐의 집적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롤러(160)는 지폐 1매당 1회전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집적되는 전후 지폐 간의 간격 및 지폐의 권종 등을 고려하여 지폐 1매당 복수회 회전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시트롤러(160)의 회전에 의해 지폐 1매의 집적이 완료되면 시트롤러(160)의 제3탄성시트부(162-3)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적된 지폐의 후면을 제1칸막이판(110) 측으로 가압한 상태의 위치에서 시트롤러(160)의 회전이 정지되고, 다음 지폐가 이송되어 올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 경우 지폐(P)는 제1칸막이판(110)에 지지되고, 상기 제3탄성시트부(162-3)가 집적된 지폐(P)의 후면을 칸막이판(110) 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지폐(P)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탄성시트부(162-3)에 형성된 돌기(162a-3)에 의해 지폐와의 접촉면에서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이후 지폐감지센서(190)에서 다음 지폐의 통과를 감지하게 되면 시트롤러(160)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회전함으로써 지폐의 집적이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지폐집적장치가 지폐 입출금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보여주는 단면개략도이다.
지폐 입출금 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고객이 지폐를 입금하기 위하여 투입하거나 출금하기 위하여 취출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지폐를 낱장 분리하거나 낱장 집적하기 위한 장치이다.
지폐 입출금 장치에는 지폐집적공간(101)으로서 지폐를 출금하기 위한 출금공간(101a)과 지폐를 입금하기 위한 입금공간(10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금공간(101a)과 입금공간(101b)은 3개의 칸막이판(110,120,130)에 의해 영역이 구분된다. 제1칸막이판(110)을 기준으로 그 전후 공간으로 출금공간(101a)과 입금공간(101b)이 구분되고, 제1칸막이판(11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출금공간(101a)에 지폐가 집적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입금시에는 입금공간(101b)에 투입된 지폐를 제3칸막이판(130)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칸막이판(120)은 고객의 출금 요청에 의해 출금공간(101a)에 집적된 지폐를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경우 이를 다시 기기 내부로 수납하기 위해 상기 미수취 지폐를 제1칸막이판(110)과 함께 제3칸막이판(1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제3칸막이판(130)은 전후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힌지축(131)을 회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선회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셔터(200)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3칸막이판(130)이 분리부(300)의 상측을 덮어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고, 셔터(200)가 닫히면 분리부(300)의 상측이 노출될 수 있도록 선회 가능한 상태로 된다.
셔터(200)가 개방되어 고객이 지폐를 입금공간(101b)에 투입하면 픽업롤러(310)와 피드롤러(320) 및 가이드롤러(330)로 구성된 분리부(300)에 의해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금융자동화기기 내부로 반송한 후 입금 처리 또는 리젝트 처리한다.
입금의 경우 고객이 입금 요청한 지폐는 상기 분리부(300)에 의해 낱장 분리되며, 감별부(미도시됨)에서 감별한 결과 리젝트지폐로 판별된 지폐는 상기 출금공간(101a)에 낱장 집적된다.
고객이 입금을 위해 지폐를 투입하였으나 입금취소를 요청한 경우 일시저장부(미도시)에 일시 저장된 지폐는 지폐집적장치(100)에 의해 상기 출금공간(101a)에 낱장 집적된다.
출금의 경우 고객이 출금요청하여 지폐저장박스(미도시)로부터 인출된 지폐는 감별부(미도시)를 거쳐 지폐집적장치(100)에 의해 상기 출금공간(101a)에 낱장 집적된다.
100 : 지폐집적장치 101 : 지폐집적공간
101a : 출금공간 101b : 입금공간
110 : 제1칸막이판 120 : 제2칸막이판
130 : 제3칸막이판 131 : 힌지축
140 : 제2이송롤러 141 : 회전축
150 : 제1이송롤러 160 : 시트롤러
161 : 몸체 162 : 탄성시트
162-1 : 제1탄성시트부 162a-1 : 제1절곡부
162b-1 : 제2절곡부 162-2 : 제2탄성시트부
162a-2,162a-3 : 돌기 162-3 : 제3탄성시트부
163 : 보강리브 170 : 회전축
180 : 반송로 190 : 지폐감지센서
200 : 셔터 300 : 분리부
310 : 픽업롤러 320 : 피드롤러
330 : 가이드롤러

Claims (12)

  1. 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지폐집적공간(101)이 형성된 지폐집적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100)의 입구 측에는 회전하는 몸체(161)의 외주면 일부 구간에 복수의 탄성시트(162)가 형성된 시트롤러(160)를 구비하되,
    복수의 탄성시트(162) 중 몸체(161)의 회전방향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제1탄성시트부(162-1)는, 상기 지폐집적공간(101)으로 유입되는 지폐의 후단부 면을 측방향으로 타격하도록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단부가 회전방향 측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2단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62a-1)와 제2절곡부(162b-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162)는,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후방으로 상기 몸체(161)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에 의해 타격된 지폐를 순차로 타격하여 지폐의 전진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제2탄성시트부(16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162)는 상기 제2탄성시트부(162-2)의 후방으로 상기 제2탄성시트부(162-2)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 제3탄성시트부(16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162)에는 지폐와 접촉되는 단부 면에 지폐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한 다수 개의 돌기(162a-2,162a-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162)는 몸체(161)의 외주면에 보강리브(163)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탄성시트(162)의 회전 시 탄성시트(162)가 관성에 의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시트(162)에 의한 지폐의 타격 지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162)는 몸체(161)의 외주면에 180도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와 제2탄성시트부(162-2) 및 제3탄성시트부(162-3)는 상기 몸체(161)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회전반경이 순차로 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두께는 제2탄성시트부(162-2) 및 제3탄성시트부(162-3)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100)는,
    상기 시트롤러(160)로부터 반송로(180) 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지폐감지센서(190); 및
    상기 지폐감지센서(190)에서 지폐의 통과를 감지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트롤러(160)가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트롤러(160)의 정지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시트(162)가 지폐의 반송경로의 하측으로 회피되어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공간(101)에서는 제1칸막이판(110)에 의해 지폐가 지지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탄성시트부(162-3)가 상기 지폐집적공간(101)에 집적된 지폐의 후면을 상기 제1칸막이판(1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시트롤러(160)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폐가 지폐집적공간(101)의 입구를 통과하는 동안에는 상기 시트롤러(160)가 정지해 있고, 지폐가 지폐집적공간(101)의 입구를 통과하여 지폐집적공간(101)에 진입해 있을 때 상기 제1탄성시트부(162-1)의 제2절곡부(162b-1)가 지폐의 후단부 면을 타격하도록 시트롤러(16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폐집적공간(101)으로 집적되는 지폐 1매당 한 바퀴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KR1020120057295A 2012-05-30 2012-05-30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KR101341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295A KR101341302B1 (ko) 2012-05-30 2012-05-30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295A KR101341302B1 (ko) 2012-05-30 2012-05-30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054A true KR20130134054A (ko) 2013-12-10
KR101341302B1 KR101341302B1 (ko) 2013-12-12

Family

ID=4998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295A KR101341302B1 (ko) 2012-05-30 2012-05-30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3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786B1 (ko) * 2014-12-29 2016-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시트롤러 및 매체집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446A (ja) * 2004-03-19 2005-09-29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取扱装置とそれに用いられる羽根車
KR20100080090A (ko) * 2008-12-31 2010-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시트롤러
JP5141577B2 (ja) * 2009-01-27 2013-02-1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分離集積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786B1 (ko) * 2014-12-29 2016-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시트롤러 및 매체집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302B1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5910B2 (en) Swirling vane wheel accumulating apparatus
KR101868226B1 (ko) 지폐집적장치
EP2919207B1 (en) Paper sheet type medium stacking device
KR101218014B1 (ko)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와 지폐집적방법
US20150284208A1 (en) Paper medium stacking device
KR20140017870A (ko) 지폐 집적 장치
KR101330914B1 (ko) 집적 품질을 향상시킨 지폐 집적 장치
KR101341302B1 (ko)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KR20100080090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시트롤러
KR101769622B1 (ko)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와 지폐집적방법
KR101745089B1 (ko) 지폐집적장치
KR10103495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스토퍼
KR101203762B1 (ko) 지폐취급장치 및 지폐취급방법
KR100596310B1 (ko) 지폐류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장치
KR101288019B1 (ko) 스택롤러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분리집적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120078054A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102322633B1 (ko) 지폐계수모듈의 지폐집적장치
KR101776386B1 (ko) 지폐집적장치
KR20120128990A (ko) 플랜지 일체형 스택시트가 구비된 스택롤러
KR100552228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서 출금지폐겹침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금지폐겹침 방지방법
EP2600321B1 (en) Item stacking
KR2010008018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저장부에서 분리되는 지폐의 정렬 방법
JP2010198267A (ja) 紙葉類取扱装置
KR20160140164A (ko) 지폐집적장치
KR20100080217A (ko) 지폐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