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352A -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용 장갑 - Google Patents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352A
KR20130133352A KR1020120056514A KR20120056514A KR20130133352A KR 20130133352 A KR20130133352 A KR 20130133352A KR 1020120056514 A KR1020120056514 A KR 1020120056514A KR 20120056514 A KR20120056514 A KR 20120056514A KR 20130133352 A KR20130133352 A KR 20130133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amid
yarn
primary
prote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223B1 (ko
Inventor
여상영
이범훈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22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7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including aramid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6Dy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D01F6/605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from aromatic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00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 D01G1/06Converting tows to slivers or yarns, e.g. in direct spinning
    • D01G1/10Converting tows to slivers or yarns, e.g. in direct spinning by cut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2Cut or abrasion resist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lov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은색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원착 아라미드 단섬유들로 이루어져 햇볕에 3주동안 노출시 색차(ΔE) 값이 0.5 이하이고 내절단성 변화가 ±0.2% 범위내인, 다시말해 일광에 의해 색상이 변하거나 내절단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로 제조된 보호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는 일광에 의해 색상이 변하거나 내절단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보호복이나 보호용 장갑 등의 외피용 소재로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용 장갑{Dope dyed aramid spun-yarn and protective gloove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검은색 착색물질로 원착되어 장시간 햇볕에 노출시에도 변색이 전혀 없고 내절단성의 저하도 거의 없는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모터복, 스키복, 경정복 등과 같은 보호복의 외피용 소재, 특히 보호용 장갑의 외피용 소재로 아라미드 방적사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0025614호 등에는 아라미드 방적사로 보호용 장갑 등을 제조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아라미드 방적사는 특유의 노랑색을 띄고 있어 미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약하여 일광에 장시간 노출시 색도가 심하게 변화되고 내절단성도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햇볕에 장시간 노출시에도 색차(ΔE) 변화가 전혀 없고 내절단성 저하도 거의 없어서 보호복이나 장갑 등의 외피용 소재로 유용한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농황산 용매에 용해시킨 방사도프를 구금을 통해 방사, 응고, 수세 및 건조하여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를 절단하여 아라미드 단섬유를 제조한 다음, 상기 아라미드 단섬유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적공정을 거쳐 아라미드 방적사를 제조할때 상기 방사도프에 검은색 안료 및 검은색 염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착색물질을 첨가하여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는 일광에 의해 색상이 변하거나 내절단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보호복이나 보호용 장갑 등의 외피용 소재로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용 장갑은 내광성이 우수하여 색도 변화 및 내절단성 저하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는 검은색 안료 및 검은색 염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로 구성되는 원착 폴리아미드 단섬유들로 이루어지며, 햇볕에 3주동안 노출시 하기식(Ⅰ)으로 계산되는 색차(ΔE) 값이 0.5 이하이고, 내절단성 변화가 ±0.2%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 (Ⅰ)
[상기식에서, L은 색차계(cromater CR-Ⅱ:미놀타 제품)로 측정한 명도지수이고, a는 순도지수이고, b는 명암지수이다.]
색차계(Cromater CR-Ⅱ: 미놀타 회사 제품)를 샘플인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에 대고 카메라를 찍으면 센서를 통해 읽는 색상 데이터를 마이크로컴퓨터를 통하여 L(명도지수), a(순도지수), b(명암지수)로 나누어 치수가 색차계에 나타나게 되며, 상기 색차는 상기 L값, a값, b값을 상기 식(Ⅰ)에 대입하여 계산한다.
상기 색차(ΔE) 값이 1.5~3.0이면 햇볕에 노출로 인한 변색을 감지할 수 있는 수준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는 상기 명도지수 L은 20~30이고, 순도지수인 a는 5~10이고, 명암지수인 b는 -5~+5이다.
이에 반해 일반 아라미드 단섬유는 명도지수 L은 85~90이고, 순도지수 a는 -10~0이고, 명암지수 b는 25~35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내 착색물질의 함량은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를 이루는 원착 아라미드 단섬유를 구성하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물질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광성이 저하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사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용 장갑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를 포함하고, 햇볕에 3주동안 노출시 내절단성 변화가 ±0.2% 범위 내이다.
상기 내절단성 변화는 햇볕에 노출전인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의 내절단성 대비 햇볕에 3주동안 노출시킨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의 내절단성의 변화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용 장갑은 전부가 본 발명에 따른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보호용 장갑의 외피와 같은 일부만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ISO 13997 방법에 따라서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보호용 장갑의 내절단성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내절단성은 시편을 20㎜ 길이만큼 자르는데 걸리는 힘(N)을 나타낸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의 제조방법 일례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농황산 용매에 용해시킨 방사도프를 구금을 통해 방사, 응고, 수세 및 건조하여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를 절단하여 아라미드 단섬유를 제조한 다음, 상기 아라미드 단섬유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적공정을 거쳐 아라미드 방적사를 제조할때 상기 방사도프에 검은색 안료 및 검은색 염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착색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방사도프내 착색물질의 첨가량이 방사도프내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를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5.0 내지 7.0의 고유점도(IV)를 갖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 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PPD-T)를 농황산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된 방사 도프(spinning dope)에 앞에서 설명한 착색물질을 첨가한 후, 착색물질이 첨가된 방사도프를 방사구금(spinneret)을 이용하여 방사(spinning)한 후 에어 갭(air gap)을 거쳐 응고조(coagulation bath) 내에서 응고시킴으로써 원착 아라미드 필라멘트(filament)를 형성한다.
이어서, 얻어진 원착 아라미드 필라멘트에 잔존하는 황산을 제거한다. 필라멘트에 잔존하는 황산은 물, 또는 물과 알칼리 용액의 혼합용액을 이용한 수세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원착 아라미드 필라멘트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공정이 건조롤에서 수행되고, 건조가 완료된 원착 아라미드 필라멘트를 와인더로 감는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원착 아라미드 필라멘트를 합쳐서 다발형태의 토우(Tow)로 제조한다.
이어서, 제조된 토우를 열처리하고, 열처리된 토우(Tow)에 권축을 부여한 다음,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원착 아라미드 단섬유(staple)를 제조한다.
이어서, 제조된 원착 아라미드 단섬유들로 다수의 서브-슬라이버들(sub-slivers)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면(carding) 공정을 통해 상기 아라미드 단섬유들을 평행하게 배열함으로써 섬유 집합체인 서브-슬라이버들을 얻는다.
이어서, 예를 들어 6 내지 8개의 서브-슬라이버들을 합친 후 연조(drawing)함으로써 한 가닥의 균일한 슬라이버가 얻어진다.
이어서, 조방(roving) 공정을 통해 상기 슬라이버에 최소한의 꼬임을 부여하여 강도를 유지시킨 후, 정방(spinning) 공정을 통해 상기 슬라이버를 당겨 늘림과 동시에 꼬임을 주어 소정 굵기의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를 제조한다.
상기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보호용 장갑을 제편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100%의 황산용매에 용해시켜 고유점도(Ⅳ)가 5.5인 방사도프를 제조한 다음, 상기 방사도프 내에 폴리아미드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의 검은색 안료를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검은색 안료가 첨가된 상기 방사도프를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한 후 에어갭을 거쳐 응고 및 건조시킨 후 건조가 완료된 1.5데니어의 원착 아라미드 필라멘트들을 합쳐서 다발 형태의 토우(Tow)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토우를 열처리한 후 8개/인치의 권축을 부여한 후 40㎝의 길이로 절단하여 원착 아라미드 단섬유(Staple)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소면 공정을 통해 제조된 원착 아라미드 단섬유들로 다수개의 서브-슬라이버들을 제조한 후, 7개의 서버-슬라이버들을 합친 다음 연조(drawing)하여 한가닥의 균일한 슬라이버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조방(Roving) 공정을 통해 상기 슬라이버에 최소한의 꼬임을 부여하여 강도를 유지시킨 후 정방(Spining) 공정을 통해 상기 슬라이버를 당겨 늘림과 동시에 꼬임을 주어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를 사용하여 보호용 장갑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보호용 장갑의 색상특성 및 내절단성 특성은 표 1과 같았다.
실시예 2
착색물질의 종류를 검은색 안료 대신 검은색 염료로 변경한 것과, 상기 검은색 염료의 첨가량을 3.5 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보호용 장갑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보호용 장갑의 색상특성 및 내절단성 특성은 표 1과 같았다.
비교실시예 1
방사도프에 착색물질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보호용 장갑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보호용 장갑의 색상특성 및 내절단성 특성은 표 1과 같았다.
원착 아라미드 색상특성 및 내절단성 특성 측정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실시예 1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내절단성 변화 범위(%) -0.15 -0.08 -9.5
햇볕에 3주간 노출시 색차(ΔE) 값 0.47 0.41 7.5
L 값 28 27 88
a 값 8.8 8.1 5
b 값 +1 -1 30
보호용 장갑의 내절단성 변화 범위(%) -0.10 -0.06 -8.2

Claims (4)

  1. 검은색 안료 및 검은색 염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착색물질을 포함하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로 구성되는 원착 폴리아미드 단섬유들로 이루어지며, 햇볕에 3주동안 노출시 하기식(Ⅰ)으로 계산되는 색차(ΔE) 값이 0.5 이하이고, 내절단성 변화가 ±0.2%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Figure pat00002
    ………… (Ⅰ)
    [상기식에서, L은 색차계(cromater CR-Ⅱ:미놀타 제품)로 측정한 명도지수이고, a는 순도지수이고, b는 명암지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명도지수 L은 20~30이고, 순도지수인 a는 5~10이고, 명암지수인 b는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3. 제1항에 있어서, 착색물질의 함량이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4. 제1항의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를 포함하고, 햇볕에 3주동안 노출시 내절단성 변화가 ±0.2%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장갑.
KR1020120056514A 2012-05-29 2012-05-29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용 장갑 KR101376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514A KR101376223B1 (ko) 2012-05-29 2012-05-29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514A KR101376223B1 (ko) 2012-05-29 2012-05-29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52A true KR20130133352A (ko) 2013-12-09
KR101376223B1 KR101376223B1 (ko) 2014-03-19

Family

ID=4998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514A KR101376223B1 (ko) 2012-05-29 2012-05-29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39A1 (ko) * 2021-06-09 2022-12-1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아라미드 원착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152B1 (ko) 2014-11-19 2020-07-15 효성첨단소재 주식회사 아라미드 흑색 원착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3422B2 (ja) * 1988-11-18 1998-08-06 株式会社クラレ 全芳香族ポリアミド組成物
DE10238890A1 (de) 2002-08-24 2004-03-18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Deutschland Kg Textiles, spinngefärbtes Fasermaterial und sein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Tarnartikeln
US7818982B2 (en) * 2006-10-10 2010-10-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ain masking cut resistant glove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JP2008138335A (ja) 2006-12-05 2008-06-19 Teijin Techno Products Ltd 原着アラミド繊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39A1 (ko) * 2021-06-09 2022-12-1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아라미드 원착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223B1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9792B1 (en) Meta-type wholly aromatic polyamide fiber
US20090252961A1 (en) Core-sheath compounded yarn and a woven/knitted fabric having excellent covering property and abrasion resistance
KR102070137B1 (ko) 공중합 아라미드 원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80552A (ko) 원착 메타형 전체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KR101376223B1 (ko) 원착 아라미드 방적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용 장갑
JPH11217727A (ja) ポリパラフェニレンテレフタルアミド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52249A (ja) 複合紡績糸
DE19944029A1 (de) Garne aus Polymermischungsfasern oder -filamenten auf der Basis von Polyethylen-, Polybutylen- und Polytrimethylenterephthalat sowie deren Verwendung
KR100589251B1 (ko)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WO2000065135A1 (fr) Fibres de polyparaphenylene terephthalamide et leur procede d'obtention
KR20130133351A (ko) 원착 아라미드 스테이플 및 그의 제조방법
JP3948942B2 (ja)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の染色方法
JP2005325481A (ja) 不透明性、紫外線遮蔽性、熱遮蔽性、吸放湿性及び発色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芯鞘複合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カバリング弾性糸、嵩高加工糸
CN113412350A (zh) 色纺纤维及其制造方法
JP5543748B2 (ja) ナイロン11糸条を用いてなる織編物及びその染色方法
JP2020117831A (ja) 易染性メタ型全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52250A (ja) メタ型全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を含む牽切紡績糸
CN111676533B (zh) 多功能纤维及其制备方法、纱线、面料、服装和纺丝组件
KR101939942B1 (ko) 광발열 특성 및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심초형 필라멘트사
JP2001172845A (ja) 耐光性に優れた耐熱・難燃織編物
JP2000160442A (ja) 複合紡績糸およびその糸を用いてなる布帛
JP2000290849A (ja) 染色されたバラ系アラミド短繊維を含む紡績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布帛
JP2001172864A (ja) 耐光堅牢度に優れた全芳香族ポリアミドの製造方法
TW202242214A (zh) 一種由混合聚酯製成的化學纖維材料
KR20100116830A (ko) 카치온 가염형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