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324A -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324A
KR20130133324A KR1020120056451A KR20120056451A KR20130133324A KR 20130133324 A KR20130133324 A KR 20130133324A KR 1020120056451 A KR1020120056451 A KR 1020120056451A KR 20120056451 A KR20120056451 A KR 20120056451A KR 20130133324 A KR20130133324 A KR 20130133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conductive layer
antenna device
pattern
auxiliar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989B1 (ko
Inventor
조범진
김규섭
변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5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989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BR112014030089A priority patent/BR112014030089A2/pt
Priority to PCT/KR2012/007281 priority patent/WO2013180341A1/en
Priority to JP2015514882A priority patent/JP6027231B2/ja
Priority to CN201280073519.1A priority patent/CN104335418B/zh
Priority to AU2012381197A priority patent/AU2012381197B2/en
Priority to CA2872492A priority patent/CA2872492C/en
Priority to US13/619,965 priority patent/US9882265B2/en
Priority to EP12186065.4A priority patent/EP2669996B1/en
Publication of KR2013013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8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re-radiation of a suppor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01Q5/392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the parasitic elements having dual-band or multi-band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도전층이 형성된 회로 기판; 상기 도전층의 일부분을 제거하되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슬릿; 상기 슬릿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보조 기판; 및 상기 보조 기판에 형성되는 방사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방사부 패턴은 상기 슬릿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된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방사부 패턴을 도전층 상에 배치하더라도, 슬릿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유도 전류는 방사부 패턴의 신호 전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어, 방사부 패턴을 도전층 상에 배치하더라도 역전류 현상에 의한 방사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과 같은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 기능이나, 인터넷, 모바일 뱅킹,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과 같은 데이터 통신 기능, 게임, 음악, 동영상 재생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능, 게임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전자 수첩 기능 등 각각의 기능으로 특화된 기기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전기/전자 기술과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만으로도 다양한 기능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통신서비스 업자를 통한 통신 기능 외에도, 무선 랜이나 근접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능을 탑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만으로 차량, 가전제품 등을 제어나 교통비 결제, 보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대표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안테나 장치를 탑재할 필요성이 있다. 즉, 이동통신 서비스, 무선 랜, 근접무선통신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안테나 장치가 요구되는 것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와이브로나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으로 대표되는 4세대 통신방식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초고속, 광대역 안테나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 내에 복수의 안테나 장치들이 설치됨과 동시에 고성능의 안테나 장치가 요구된다. 초고속,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 장치로는 역 F 안테나 구조(inverted F antenna; IFA), 평판형 역 F 안테나 구조가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역 F 안테나 구조에 기초한 것이다.
상기 안테나 장치(10)는 회로 기판(11)에 장착된 캐리어(21)에 방사부 패턴(23)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사부 패턴(23)은 휴대용 단말기에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과 방사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된다. 이때, 상기 방사부 패턴(23)의 일단에는 그라운드 층(13)에 접속되는 단락핀(27)이 제공되며, 상기 단락핀(27)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급전 라인(25)이 형성된다.
이러한 역 F 안테나 구조에서 방사부 패턴(23)이 그라운드 층(13) 상에 위치될 경우, 방사부 패턴(23)에 송수신 신호가 인가되면 방사부 패턴(23)을 흐르는 신호 전력의 역방향으로 그라운드 층(13)에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그라운드 층(13)의 역전류의 세기는 방사부 패턴(23)에 인가되는 신호 전력이 클수록, 그라운드 층(13)과 방사부 패턴(23)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 커지게 된다. 역전류 현상은 안테나 성능, 구체적으로 방사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역전류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그라운드 층(13)과 방사부 패턴(23)을 멀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안테나 장치(10)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될 경우, 그라운드 층(13)과 방사부 패턴(23)의 거리, 다시 말해서, 상기 회로 기판(11) 상에서 상기 캐리어(21)의 높이(H)를 크게 하는 것은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장애가 된다.
역 F 안테나 구조에서 캐리어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대안으로, 회로 기판(11) 상에 그라운드 층(13)을 일부 제거하여 필 컷 영역(fill cut area)(15)을 형성하고, 캐리어(21)를 필 컷 영역(15)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방사부 패턴(23)은 그라운드 층(13)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회로 기판(11) 상에 배치된다. 필 컷 영역(15)에 방사부 패턴(23)을 배치함으로써 역전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방사부 패턴(23)을 회로 기판(11)에 좀더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즉, 필 컷 영역(15)을 형성함으로써 안테나 장치(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회로 기판(11) 상에서 필 컷 영역(15)에는 실질적으로 다른 부품을 실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회로 기판(11)의 면적에 비해 그 이용 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결국, 역 F 안테나 구조는 초고속 광대역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에 실장하는데 유용하긴 하나, 여전히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 슬림화에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화, 슬림화되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도전층이 형성된 회로 기판; 상기 도전층의 일부분을 제거하되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슬릿; 상기 슬릿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보조 기판; 및 상기 보조 기판에 형성되는 방사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방사부 패턴은 상기 슬릿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된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슬릿의 일단은 상기 도전층의 일측 가장자리로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부 패턴은 상기 슬릿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슬릿과 나란하게 연장되면서 상기 슬릿의 타단부 외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슬릿을 둘러싸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슬릿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슬릿을 가로질러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으로 연결되는 급전 라인을 더 구비하고, 송신 신호는 상기 슬릿의 타측에서 상기 급전 라인에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에 설치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보조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접속 패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접속 패턴에 접촉된다.
상기 방사부 패턴은 상기 보조 기판의 타면에 제공되며, 상기 접속 패턴은 상기 보조 기판의 일측면을 감싸게 연장되어 상기 보조 기판의 타면에서 상기 방사부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보조 기판을 관통하게 형성된 비아 홀(via hole)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패턴은 상기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방사부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급전 라인 상에 제공되는 임피던스 정합 소자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을 일부 제거하여 형성되는 제2의 슬릿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사부 패턴은 상기 보조 기판에 배치되는 인쇄회로 패턴 또는 상기 보조 기판에 부착되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도전층이 형성된 회로 기판; 상기 도전층의 일부분을 제거하되 상기 도전층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슬릿; 상기 슬릿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보조 기판; 및 상기 보조 기판에 형성되는 방사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방사부 패턴은, 1) 상기 슬릿의 일측에서 상기 도전층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슬릿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연장부; 2)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슬릿의 한쪽 단부를 둘러싸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3) 상기 슬릿의 타측에서 상기 도전층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슬릿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슬릿의 일측 도전층으로부터 상기 슬릿을 가로질러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으로 연결되는 급전 라인; 및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에 설치되는 접속 단자를 더 구비하고, 송신 신호는 상기 슬릿의 타측에서 상기 급전 라인에 제공되어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과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방사부 패턴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보조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접속 패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접속 패턴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보조 기판을 관통하게 형성된 비아 홀(via hole)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패턴은 상기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방사부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급전 라인 상에 제공되는 임피던스 정합 소자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방사부 패턴을 도전층 상에 배치하더라도, 슬릿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방사부 패턴의 신호 전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방사부 패턴을 도전층 상에 배치하더라도 역전류 현상에 의해 방사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역전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회로 기판에서 방사부 패턴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도전층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안테나 장치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역 F 안테나 구조나 평판형 역 F 안테나 구조를 구현하면서도 필 컷 영역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회로 기판 상에서 집적회로 칩 등의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면적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보조 기판의 저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에서 보조 기판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변형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에서 도전층의 유도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를 실제로 구현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방사 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100)는 도전층(111)이 형성된 회로 기판(101), 방사부 패턴(123)이 형성된 보조 기판(121)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부 패턴(123)은 상기 도전층(111)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슬릿(113)을 부분적으로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회로 기판(101)에는 상기 안테나 장치(10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각종 회로 장치들이 탑재된다. 이때, 상기 회로 기판(101)의 일면에 상기 도전층(111)이 제공되어 상기 회로 기판(101)에 제공되는 회로 장치들의 그라운드를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회로 기판(101)은 휴대용 단말기의 주회로 기판(101)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릿(113)은 상기 도전층(111)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회로 기판(101) 상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113)의 일단은 상기 도전층(111)의 가장자리로 개방되고 타단은 상기 도전층(111) 내에 위치되어 폐쇄된다. 아울러, 상기 슬릿(113)은 상기 회로 기판(101)의 일측 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회로 기판(101)의 일측 모서리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보조 기판(121)은 상기 회로 기판(101)과 대면하면서 상기 슬릿(113) 상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평면도로 본다면, 상기 슬릿(113)은 상기 보조 기판(121)에 가려지게 된다. 상기 보조 기판(121)은 합성수지 재질 또는 통상의 회로 기판 제작에 이용되는 유전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방사부 패턴(123)은 인쇄회로 패턴이나 금속 박판을 가공하여 상기 보조 기판(121)의 일면에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인쇄회로 패턴은 도금/에칭 등의 공정을 통해 상기 보조 기판(121)에 직접 형성하거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부착하여 상기 방사부 패턴(123)으로 활용할 수 있다. 금속 박판을 이용한 방사부 패턴은 요구되는 패턴에 맞게 금속재질, 예를 들면, 구리재질의 박판을 재단하여 상기 보조 기판(121)에 부착하여 형성한다. 상기 방사부 패턴(123)은 부분적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상기 슬릿(113)의 일측, 타단부 및 타측을 각각 부분적으로 감싸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방사부 패턴(123)은 제1 연장부(123a), 제2 연장부(123b) 및 제3 연장부(123c)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연장부(123a)는 상기 슬릿(113)의 일측에서 상기 도전층(111)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슬릿(113)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장부(123b)는 상기 제1 연장부(123a)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슬릿(113)의 타단부, 다시 말해서 상기 슬릿(113)의 폐쇄된 단부를 둘러싸게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2 연장부(123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상기 슬릿(113)의 타단부에 중첩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연장부(123c)는 상기 제2 연장부(123b)의 단부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슬릿(113)과 나란하게 연장되면서, 상기 슬릿(113)의 타측에서 상기 도전층(111) 상에 위치된다.
즉, 상기 방사부 패턴(123)은 상기 슬릿(113)의 양측에서 각각 나란하게 연장되면서 상기 슬릿(113)의 타단부 외측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 연장부(123c)는 상기 제2 연장부(123b)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상기 슬릿(113)과 나란하게 연장된 후에는 자유로운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연장부(123c)의 일부 자유로운 패턴은 상기 안테나 장치(100)가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 방사 효율 등의 최적화를 위해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방사부 패턴(123)을 설명함에 있어, '슬릿을 둘러싸게 형성 또는 배치된다'라고 언급한 것은 실제로 상기 방사부 패턴(123)이 상기 슬릿(113)과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슬릿(113)의 둘레에 위치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즉, 상기 슬릿(113)은 상기 도전층(111)에, 상기 방사부 패턴(123)은 상기 도전층(111)과 마주보게 배치된 상기 보조 기판(121)에 각각 형성되므로, 실제로는 상기 회로 기판(101)에 대하여 상기 방사부 패턴(123)과 슬릿(113)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장치(100)를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상기 방사부 패턴(123)은 상기 슬릿(113)의 주위에 위치되는 것을 '슬릿을 둘러싸게 형성 또는 배치된다'라고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테나 장치(100)는 상기 방사부 패턴(123)에 흐르는 신호 전력에 의해 상기 도전층(111)에 유도 전류가 발생되지만, 상기 방사부 패턴(123)으로의 신호를 인가하는 구성에 따라 상기 도전층(111)에서의 전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사부 패턴(123)에 흐르는 신호 전력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도전층(111)에 전류의 흐름을 발생시켜 역전류 현상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슬릿(113)의 타측에서, 즉, 상기 제3 연장부(123c)가 위치되는 도전층(111)의 일부 영역을 방사부 패턴(123)으로 활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상기 보조 기판(121)에 형성된 패턴을 방사부 패턴(123)이라 칭하고 있으나,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상기 도전층(111)의 일부 또한 방사 소자로 활용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상기 슬릿(113)의 일측(113a)으로부터 상기 슬릿(113)을 가로질러 상기 슬릿(113)의 타측에서 상기 도전층(111)에 연결되는 급전 라인(115)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상기 슬릿(113)의 개방된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도전층(111) 상에 설치되는 접속 단자(117)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 단자(117)는 판 스프링을 가공한 것으로서, 상기 도전층(1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상기 접속 단자(117)는 상기 보조 기판(121)의 타면에 형성된 접속 패턴(125)에 접촉되어 상기 방사부 패턴(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패턴(125)은 상기 보조 기판(121)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보조 기판(121)의 일측면을 감싸게 연장되어 상기 보조 기판(121)의 타면에서 상기 방사부 패턴(12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접속 패턴(125)은 상기 보조 기판(121)의 타면에만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기판(121)을 관통하게 형성된 비아 홀(via hole)(127)을 통해 상기 방사부 패턴(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임피던스 정합 소자(11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정합 소자(119)는 상기 슬릿(113)을 가로질러 배치되거나 상기 급전 라인(1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100)의 임피던스 정합은 상기 슬릿(113)의 단부로부터 상기 급전 라인(115)이 배치되는 거리(d; 도 5에 도시됨)를 조절함으로써 할 수도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상기 급전 라인(115)을 통해 송신 신호를 인가받게 된다. 상기 급전 라인(115)에 인가된 송신 신호는 도면부호 '113b'로 지시된 상기 슬릿(113)의 타측 영역의 일부분과 상기 접속 단자(117)를 통해 상기 방사부 패턴(123)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릿(113)의 타측에서 방사부 패턴(123)으로 활용되는 도전층(111)의 일부분(113b)을 상기 슬릿(113)의 일측 도전층(111)으로 연결하는 영역(113c)은 단락핀으로 활용된다. 결국, 상기 슬릿(113)의 타측에서 도전층(111)의 일부 영역(113b)은 상기 방사부 패턴(123)과 함께 상기 안테나 장치(100)의 방사 소자로서 활용된다.
이때, 상기 급전 라인(115)에 송신 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슬릿(113)의 주위에는 전류의 흐름(f)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f)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113)의 주위에서 반시계 방향을 따르게 된다. 상기 급전 라인(115)에 인가된 송신 신호에 따라 상기 방사부 패턴(123)을 흐르는 신호 전력 또한 상기 슬릿(113)의 주위에서 반시계 방향을 따르게 되므로, 상기 슬릿(113) 주위의 전류 흐름과 상기 방사부 패턴(123)의 신호 전력의 흐름은 동일한 방향을 따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회로 기판(101)에서 그라운드를 제공하는 도전층(111)에 슬릿(113)을 형성하여 도전층(111)의 일부를 안테나 장치(100)의 방사 소자로서 활용하는 것이다. 이때, 신호의 송수신 동작에서 도전층(111)에 유도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여 역전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급전 라인(115)과 접속 단자(117)의 배치를 이용하여 도전층(111)에 유도되는 전류의 흐름(f)을 상기 슬릿(113)의 주위에서 반시계 방향을 따르도록 제어하였다. 이러한 제어는 상기 슬릿(113)의 둘레에서 상기 방사부 패턴(123)이 연장되는 방향,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방사부 패턴(123)을 흐르는 신호 전력의 방향에 따라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그라운드를 제공하는 도전층(111)에 슬릿(113)을 형성함으로써 그 주위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f)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방사부 패턴(123)을 도전층(111)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이 안테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방사부 패턴(123)과 도전층(111)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역 F 안테나 등과 비교할 때, 그라운드를 제공하는 도전층(111)과 방사부 패턴(123)의 거리(h)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내장형 안테나의 경우, 안정적인 안테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그라운드 층(11과 방사부 패턴(23) 사이에 적어도 5m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상기 도전층(111)으로부터 2mm 이내의 간격에 상기 방사부 패턴(123)을 형성하더라도 종래의 안테나 장치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역 F 안테나와 같은 내장형 안테나를 배치함에 있어, 안테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라운드층을 일부 제거한 필 컷 영역을 형성할 필요가 있었으나, 방사 소자로 활용되는 상기 도전층(111)의 일부 영역(113b)은 여전히 그라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안테나 장치(100)가 작동하는 고주파 영역에서 상기 도전층(111)의 일부 영역(113b)은 방사 소자의 일부로 활용되지만, 저주파 영역에서 작동하는 일부 전기적 부품이나 조립용 체결 부재 등에 대해서 상기 도전층(111)의 일부 영역(113b)은 여전히 그라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내장형 안테나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두께를 줄이기 용이하면서도 회로 기판(101)의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안테나 장치(100)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슬릿(113)의 폭(s), 상기 방사부 패턴(123)의 폭이나 형상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부 패턴(123)이나 슬릿(113) 상에 집중회로소자(lumped circuit element) 등을 배치하여 동작 주파수나 주파수 대역폭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113)의 타측에서 상기 도전층(111)의 일부 영역(113b)에 또 다른 슬릿(213)을 형성하거나, 상기 방사부 패턴(123)의 형상에 따라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다중 대역 안테나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회로 기판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5mm의 거리를 두고 회로 기판의 일측 모서리에 평행하게 20mm 길이의 슬릿을 형성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100)를 구현해 보았다. 이때, 도 6을 더 참조하면, 도전층(111)과 방사부 패턴(123) 사이의 거리는 1.4mm이며, 보조 기판(121)의 두께는 0.4mm이다. 상기 안테나 장치(100)를 구현한 모습은 도 9와 도 10의 사진 도면을 통해 도시된다. 이렇게 제작된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 효율(radiation efficiency; RE)과 안테나 장치의 전체 효율(total radiation efficiency; TRE)을 측정한 결과가 도 11에 도시되고 있으며, 반사 계수가 도 12에 도시되고 있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실제 구현된 안테나 장치는 700~800Mhz 대역 및 1.8~2.2Ghz 대역에서 안정적인 동작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안테나 장치 101: 회로 기판
111: 도전층 113: 슬릿
121: 보조 기판 123: 방사부 패턴

Claims (15)

  1.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도전층이 형성된 회로 기판;
    상기 도전층의 일부분을 제거하되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슬릿;
    상기 슬릿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보조 기판; 및
    상기 보조 기판에 형성되는 방사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방사부 패턴은 상기 슬릿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일단은 상기 도전층의 일측 가장자리로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 패턴은 상기 슬릿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슬릿과 나란하게 연장되면서 상기 슬릿의 타단부 외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슬릿을 둘러싸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슬릿을 가로질러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으로 연결되는 급전 라인을 더 구비하고,
    송신 신호는 상기 슬릿의 타측에서 상기 급전 라인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에 설치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보조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접속 패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접속 패턴에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 패턴은 상기 보조 기판의 타면에 제공되며, 상기 접속 패턴은 상기 보조 기판의 일측면을 감싸게 연장되어 상기 보조 기판의 타면에서 상기 방사부 패턴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판을 관통하게 형성된 비아 홀(via hole)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패턴은 상기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방사부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라인 상에 제공되는 임피던스 정합 소자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을 일부 제거하여 형성되는 제2의 슬릿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 패턴은 상기 보조 기판에 배치되는 인쇄회로 패턴 또는 상기 보조 기판에 부착되는 금속 박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1.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도전층이 형성된 회로 기판;
    상기 도전층의 일부분을 제거하되 상기 도전층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슬릿;
    상기 슬릿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보조 기판; 및
    상기 보조 기판에 형성되는 방사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방사부 패턴은,
    1) 상기 슬릿의 일측에서 상기 도전층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슬릿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연장부;
    2)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슬릿의 한쪽 단부를 둘러싸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3) 상기 슬릿의 타측에서 상기 도전층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슬릿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일측 도전층으로부터 상기 슬릿을 가로질러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으로 연결되는 급전 라인; 및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에 설치되는 접속 단자를 더 구비하고,
    송신 신호는 상기 슬릿의 타측에서 상기 급전 라인에 제공되어 상기 슬릿의 타측 도전층과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방사부 패턴으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접속 패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접속 패턴에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판을 관통하게 형성된 비아 홀(via hole)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패턴은 상기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방사부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라인 상에 제공되는 임피던스 정합 소자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120056451A 2012-05-29 2012-05-29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1928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51A KR101928989B1 (ko) 2012-05-29 2012-05-29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PCT/KR2012/007281 WO2013180341A1 (en) 2012-05-29 2012-09-11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2015514882A JP6027231B2 (ja) 2012-05-29 2012-09-11 携帯用端末機のアンテナ装置
CN201280073519.1A CN104335418B (zh) 2012-05-29 2012-09-11 便携式终端的天线装置
BR112014030089A BR112014030089A2 (pt) 2012-05-29 2012-09-11 dispositivo de antena para terminal portátil
AU2012381197A AU2012381197B2 (en) 2012-05-29 2012-09-11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A2872492A CA2872492C (en) 2012-05-29 2012-09-11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13/619,965 US9882265B2 (en) 2012-05-29 2012-09-14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EP12186065.4A EP2669996B1 (en) 2012-05-29 2012-09-26 An antenna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51A KR101928989B1 (ko) 2012-05-29 2012-05-29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24A true KR20130133324A (ko) 2013-12-09
KR101928989B1 KR101928989B1 (ko) 2018-12-13

Family

ID=4708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451A KR101928989B1 (ko) 2012-05-29 2012-05-29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82265B2 (ko)
EP (1) EP2669996B1 (ko)
JP (1) JP6027231B2 (ko)
KR (1) KR101928989B1 (ko)
CN (1) CN104335418B (ko)
AU (1) AU2012381197B2 (ko)
BR (1) BR112014030089A2 (ko)
CA (1) CA2872492C (ko)
WO (1) WO20131803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823A (ko) * 2014-08-14 201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전자 장치
WO2016035939A1 (ko) * 2014-09-05 2016-03-10 (주)파트론 안테나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345050A (zh) * 2012-04-27 2013-11-01 Univ Nat Taiwan Science Tech 可雙頻操作之圓極化天線
KR102193434B1 (ko) * 2013-12-26 202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용 전자 장치
KR20160045312A (ko) 2014-10-17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791108S1 (en) * 2016-02-25 2017-07-04 Airgain Incorporated Antenna
CN107437650A (zh) * 2016-05-25 2017-12-05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nfc天线在内的电子设备
US10431872B1 (en) 2018-04-05 2019-10-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068569B1 (ko) * 2018-04-05 2020-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9167161B (zh) * 2018-08-27 2021-05-14 深圳市嘉姆特通信电子有限公司 无线通信天线制造方法
US20200227816A1 (en) * 2019-01-11 2020-07-16 Mediatek Inc. Antenna system and associated radiated module
CN110867649B (zh) * 2019-11-29 2022-05-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模组以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2809A (en) * 1986-04-28 1988-12-20 Sanders Associates, Inc. Microstrip tee-fed slot antenna
JP2002314330A (ja) * 2001-04-10 2002-10-25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装置
FR2825837B1 (fr) * 2001-06-12 2006-09-08 Cit Alcatel Antenne compacte multibande
US6608603B2 (en) * 2001-08-24 2003-08-19 Broadcom Corporation Active impedance matching in communications systems
KR100533624B1 (ko) * 2002-04-16 2005-12-06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피딩 포트를 갖는 멀티밴드 칩 안테나 및 이를사용하는 이동 통신 장치
US6639560B1 (en) * 2002-04-29 2003-10-28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Single feed tri-band PIFA with parasitic element
FI114836B (fi) * 2002-09-19 2004-12-31 Filtronic Lk Oy Sisäinen antenni
US6956530B2 (en) * 2002-09-20 2005-10-18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Compact, low profile, single feed, multi-band, printed antenna
JP2004336328A (ja) 2003-05-07 2004-11-2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装置
CN1977424A (zh) * 2004-06-26 2007-06-06 株式会社Emw天线 用于独立地调整谐振频率的多频带内置天线及用于调整谐振频率的方法
US7079079B2 (en) * 2004-06-30 2006-07-18 Skycross, Inc. Low profile compact multi-band meanderline loaded antenna
WO2006070017A1 (en) * 2004-12-30 2006-07-06 Fractus, S.A. Shaped ground plane for radio apparatus
US7872605B2 (en) * 2005-03-15 2011-01-18 Fractus, S.A. Slotted ground-plane used as a slot antenna or used for a PIFA antenna
US7764236B2 (en) * 2007-01-04 2010-07-27 Apple Inc. Broadband antenna for handheld devices
KR100964652B1 (ko) 2007-05-03 2010-06-22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다중 대역 안테나 및 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US7710338B2 (en) 2007-05-08 2010-05-04 Panasonic Corporation Slot antenna apparatus eliminating unstable radiation due to grounding structure
WO2008142901A1 (ja) * 2007-05-17 2008-11-2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機
US7551142B1 (en) * 2007-12-13 2009-06-23 Apple Inc. Hybrid antennas with directly fed antenna slot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8085202B2 (en) * 2009-03-17 2011-12-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deband, high isolation two port antenna array f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handheld devices
KR101098684B1 (ko) 2009-11-24 2011-12-2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접지부에 슬롯이 형성된 페이즈 쉬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JP2011130280A (ja) 2009-12-18 2011-06-30 Nec Corp 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方法
JP5699820B2 (ja) * 2010-09-16 2015-04-15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CN102185174A (zh) * 2011-04-01 2011-09-1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终端及无线终端双天线系统的设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823A (ko) * 2014-08-14 201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전자 장치
WO2016035939A1 (ko) * 2014-09-05 2016-03-10 (주)파트론 안테나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381197A1 (en) 2014-12-04
AU2012381197B2 (en) 2017-01-12
US20130321226A1 (en) 2013-12-05
EP2669996A1 (en) 2013-12-04
JP2015519026A (ja) 2015-07-06
JP6027231B2 (ja) 2016-11-16
CN104335418A (zh) 2015-02-04
EP2669996B1 (en) 2018-03-28
CA2872492A1 (en) 2013-12-05
CN104335418B (zh) 2017-09-05
CA2872492C (en) 2019-11-26
WO2013180341A1 (en) 2013-12-05
BR112014030089A2 (pt) 2017-06-27
KR101928989B1 (ko) 2018-12-13
US9882265B2 (en)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332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191984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광대역 가변 안테나 장치
JP3916068B2 (ja) 無線装置
TWI544682B (zh) 寬頻天線及其操作方法
KR101339053B1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및 이것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US907707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ntenna device
KR102025638B1 (ko) 휴대 단말기용 내장 안테나
US20160329627A1 (en) Embedded antenna
KR100830568B1 (ko) 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장치
KR20080040957A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를 이용한 이중 급전점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JP2013074361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端末における電磁波の暴露低減方法
JP2002152353A (ja) 携帯端末機
JP2004242165A (ja) 携帯無線機
KR101156486B1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724738B (zh) 天線結構及具有該天線結構之無線通訊裝置
CN110661077B (zh) 无线通信装置
TWI724737B (zh) 天線結構及具有該天線結構之無線通訊裝置
JP2005534242A (ja) 薄型パッチアンテナ
TWI727597B (zh) 天線結構及具有該天線結構之無線通訊裝置
JP6206563B2 (ja) データ通信端末機
KR2006003599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KR101027013B1 (ko) 동일방향전류분포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JP2013197761A (ja) データ通信端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