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243A - 이동 감지형 얼음 및 물 디스펜싱 유닛이 있는 기기 - Google Patents

이동 감지형 얼음 및 물 디스펜싱 유닛이 있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243A
KR20130132243A KR1020127030997A KR20127030997A KR20130132243A KR 20130132243 A KR20130132243 A KR 20130132243A KR 1020127030997 A KR1020127030997 A KR 1020127030997A KR 20127030997 A KR20127030997 A KR 20127030997A KR 20130132243 A KR20130132243 A KR 20130132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device
output
type
release
re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르트 프뢰리히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Abstract

기기 내에 위치한 저장고, 디스펜싱 유출구를 포함하여 기기의 외부에 위치한 디스펜싱 유닛 및 저장고의 외부에 위치한 구동 장치를 포함한 산출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기기가 제공된다. 구동 장치는 중립 위치에서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각각, 제1 위치는 제1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고, 제2 위치는 제2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한다. 일 예시에서, 스위치는 구동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는 기기 내에서부터 상이한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한다.

Description

기기 내의 이동 감지형 얼음 및 물 디스펜싱{MOVEMENT-SENSITIVE ICE AND WATER DISPENSING IN AN APPLIAN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냉장 기기에 관련되며, 특히 기기 내의 얼음 및 물 디스펜싱 유닛(dispensing unit)에 관련된다.
가정용 냉장고와 같은 현대 냉장 기기는 예컨대, 종종 그 특징 중 하나로서 물 및/또는 얼음을 위한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한다. 흔히, 디스펜싱 유닛은 기기의 도어의 외부 표면에서의 리세스(recess) 내에 위치한다. 디스펜싱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물 디스펜싱 유출구(outlet)를 위하여 레버(lever)가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등이 레버를 바깥쪽으로 기울이게 할 수 있다. 물이 디스펜싱되려면, 글라스 또는 기타 용기가 레버를 눌러 이에 따라 스위치 또는 센서가 작동하여, 전력원 및 물 공급원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solenoid-operated valve) 사이에서 전기 회로를 완성하도록 한다. 전기 회로의 완성은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를 열어 물이 물 공급원에서 물 디스펜싱 유출구로 흐르도록 허용한다. 희망하는 양의 물이 디스펜싱되었으면, 글라스가 레버에서 떨어져,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이 스위치나 센서로 하여금 해제되도록 하고 전기 회로가 비활성화 되도록 하여,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가 닫히게 된다. 유사한 구조가 또한 얼음 디스펜서(dispenser)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보통, 얼음 디스펜싱 및 물 디스펜싱을 위하여 별도의 레버가 제공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태양의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이러한 요약은 본 발명의 포괄적인 개요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요약은 본 발명의 결정적인 요소를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설명하지도 않는다. 요약의 유일한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두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본 발명의 일부 개념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산출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기기는 기기 내에 위치한 저장고, 디스펜싱 유출구를 포함하는 기기의 외부에 위치한 디스펜싱 유닛 및 저장고의 외부에 위치한 구동 장치(actuating mechanism)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구동 장치는 중립 위치에서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제1 위치는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의 제1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trigger)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위치는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의 제2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산출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기기는 저장고 및 저장고의 외부에 위치한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구동 장치는 중립 위치에서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제1 위치는 제1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위치는 제2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제1 위치는 구동 장치를 중립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된다. 제2 위치는 구동 장치를 중립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더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산출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기기는 기기 내에 위치한 저장고, 저장고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도어, 도어의 외부에 위치한 리세스, 디스펜싱 유출구를 포함하는 리세스에 위치한 디스펜싱 유닛, 저장고의 외부에 위치한 구동 장치, 산출물을 디스펜싱 유출구로 수송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기기 내에 위치한 제1 라인 및 제2 라인, 제1 라인 및 제2 라인 중 어느 것이 디스펜싱 유출구와 통하는 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및 구동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구동 장치는 구동 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중립 위치에서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제1 위치는, 구동 장치의 제1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밸브로 송신하는 스위치에 의해,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적어도 제1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위치는, 구동 장치의 제2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밸브로 송신하는 스위치에 의하여,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적어도 제2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전술 및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을 읽으면 본 발명이 관련된 당업자에게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냉장고 및 냉동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예시적인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는 도 1의 디스펜싱 유닛 및 냉장고의 섹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상이한 예시적인 위치에 도시된 도 2의 구동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다른 예시적인 구동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며 도면에 도시된다. 이러한 도시된 예시는 본 발명에 제한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은 기타 실시예 및 다른 유형의 장치에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용어는 여기에서 편의를 위해서만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제한으로서 사용되도록 한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예시적인 기기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기기(10)는 하부에 위치한 냉동실(12) 및 상부에 위치한 냉장고 또는 신선 식품실(16)이 있는 냉장-냉동고일 수 있다. 냉동실(12)은 냉동된 상태로 기기의 저장고 내에 저장된 식품을 냉동 및/또는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신선 식품실(16)은 식품이 얼지 않도록 섭씨 0도 보다 약간 높은 냉온으로 식품을 유지함으로써 신선 식품실에 저장된 식품이 상하지 않도록 한다. 다양한 저장고가 있는 다양한 유형의 냉장고와 같이 다른 예시적인 기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용도는 도 1에 명확히 도시된 유형의 냉장고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냉장고의 하부에 위치하는 신선 식품실 위에 냉장고의 상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가지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냉동실이 냉장고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신선 식품실은 냉장고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는 양문형 냉장고(side-by-side refrigerator)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기기는 신선 식품실 또는 냉동실과 같이, 하나의 저장고만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의 기기(10)는 기기(10)의 하부에 위치한 냉동실(12) 및 기기(10)의 상부에 위치한 신선 식품실(16)을 포함한다. 신선 식품실(16)로의 접근은 더블 도어(double door) 또는 프렌치 도어(French door)(14)를 통하는 것이다. 냉동실(12) 또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여러 가지의 도어를 가질 수 있다. 물 및 얼음은 도어(14)의 리세스(20)에 위치할 수 있는 디스펜싱 유닛(18)을 통하여 디스펜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스펜싱 유닛(18)은 냉동실(12)의 도어 또는 기기의 외부 또는 내부 상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유닛(18)은 디스펜싱 유닛(18)의 상부 표면(24)에 위치할 수 있는 디스펜싱 유출구(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디스펜싱 유출구(22)는 상부 표면(24)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지만 다른 예시에서는 상부 표면(24) 내에 내재될 수 있다. 기타 예시에서, 디스펜싱 유출구(22)는 디스펜싱 유닛(18)의 뒷면(26)이나 디스펜싱 유닛(18)의 측면에서와 같이 다른 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펜싱 유닛(18)은 디스펜싱 유닛(18)에서의 저면(28) 상에 배출구(drain)(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는 디스펜싱 유출구(22)로부터의 초과적인 물 또는 얼음을 수용 및/또는 배출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유닛(18)에는 또한 구동 장치(30)가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장치(30)는 리세스(20) 내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장치(30)는 리세스(20)의 뒷면(26), 저면(28), 또는 임의의 기타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구동 장치(30)는 레버, 패들(paddle), 암(arm), 또는 다수의 위치로 밀어지거나, 당겨지거나, 회전될 수 있는 다른 물건과 같은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30)는 또한 컵 또는 기타 용기를 수용하거나 맞물리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구동 장치(30)는 사용자가 컵 또는 기타 용기를 구동 장치(30)의 표면에 대하여 밂으로써 작동시킬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장치(30)는 중립 위치(32)에서 적어도 두 개의 위치(즉, 34, 36, 38)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두 개의 위치는 제1 위치(34) 및 제2 위치(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복수의 상이한 예시적인 위치가 구동 장치(30)에 대하여 도시된다. 본 예시에서의 구동 장치(30)의 형태는 구동 장치(30)가 가질 수 있는 일 예시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동 장치(30)는, 사용자에 의하는 바와 같이 외부적인 힘이 구동 장치(30)에 적용되지 않을 때에 구동 장치(30)가 휴지(rest)하는 위치이도록 구성되는, 구동 장치에 대한 중립 위치(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립 위치(32)에서, 구동 장치(30)는 밸브(42)가 어느 산출물도 방출하도록 요청하지 않는다. 구동 장치(30)의 제1 위치(34)는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의 적어도 한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거나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구동 장치의 제2 위치(36)는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제2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거나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시에서, 구동 장치(30)에 대한 제1 위치(34)는 기기 내에서부터의 제1 온도의 물과 같은, 제1 유형의 산출물의 방출을 하게할 수 있다. 구동 장치(30)에 대한 제2 위치(36)는 제2 온도의 물과 같은, 제2 유형의 산출물의 방출을 하게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상이한 유형의 얼음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제1 구동 장치 및 상이한 유형의 물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제2 구동 장치와 같이, 복수의 구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구동 장치(30)는 적어도 제1 유형의 산출물 및 제2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제2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는 적어도 제3 유형의 산출물 및 제4 유형의 산출물을 제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구동 장치(30)는 제1 위치(34)에서 찬물을 산출할 수 있고, 제2 위치(36)에서 뜨거운 물을 산출할 수 있으며, 제2 구동 장치는 제1 위치에서 각얼음(cubed ice)을 산출할 수 있으며, 제2 위치에서 부순 얼음을 산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임의의 수의 위치가 있는 임의의 수의 구동 장치는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상이한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 장치(30)는 제1 위치(34)가 제1 유형의 산출물에 대하여 작용하고 제2 위치(36)가 제2 유형의 산출물에 작용하는 적어도 제1 위치(34) 및 제2 위치(3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 중 임의의 것에서, 제1 위치(34)는 구동 장치(30)를 중립 위치(32)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될 수 있다. 제1 위치(34)는 또한 구동 장치(30)를 중립 위치(32)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도시된 예시에서, 구동 장치(30)를 디스펜싱 유닛(18)의 뒷면(26)에서 뒤쪽으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지칭한다.
일 예시에서, 제1 위치(34) 및 제2 위치(36)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 장치(30)를 중립 위치(32)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1 위치(34)는 구동 장치(30)를 중립 위치로부터 떠나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고 제2 위치(36)는 구동 장치(30)를 중립 위치(32)로부터 떠나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된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정반대일 수 있거나 단지 제2 방향과는 다른 방향일 수 있다.
구동 장치(30)의 적어도 두 개의 위치는 제3 위치(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30)에 대한 제3 위치(38)는 기기(10) 내에서부터의 각얼음과 같은 제3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제3 위치(38)는 구동 장치(30)를 중립 위치(32)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될 수 있다. 제3 위치(38)는 구동 장치(30)를 제1 방향, 제2 방향 또는 제 3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위치(38)는 제2 위치(36) 보다 중립 위치(32)에서 제2 방향으로 비교적 더 떨어진 위치로의 이동과 같이, 제2 위치(36)로부터 제2 방향으로의 구동 장치(30)의 이동에 의해 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예시에서, 제2 위치(36) 및 제3 위치(38)는 구동 장치(30)로부터 일 지향성 운동으로 배치되며, 제1 위치(34)는 구동 장치(30)로부터의 다른 지향성 운동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이한 위치는 또한 서로에 대하여 상이한 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서로에 대하여 수직인 이동 방향으로 있을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제3 위치(38)는 구동 장치(30)를 중립 위치(32), 제1 위치(34) 또는 제2 위치(36) 중 단 하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만 도달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제1 위치(34), 제2 위치(36) 및 제3 위치(38)는 구동 장치(30)를 상이한 평면으로 및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34)는 구동 장치(30)를 중립 위치(32)로부터 왼쪽, 오른쪽, 앞, 뒤로 또는 도 2에서 도시된 x축, y축 및 z축에 의해 정의되는 임의의 3차원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x축, y축 또는 z축 또는, x축, y축 또는 z축 사이의 각 방향(angular direction)을 따르는 임의의 이동 방향이 이용되어 구동 장치(30)가 상이한 위치(34, 36, 38)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위치(34) 및 제2 위치(36)는 y축에 따르는 제1 방향, y축에 따르는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의 이동에 의해 도달되며, 제3 위치는 z축을 따라 제3 방향의 이동에 의해 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34)는 또한 구동 장치(30)를 수직 방향,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될 수 있거나, 구동 장치(30)를 임의의 앞 방향 또는 뒷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34)는 구동 장치(30)를 제1 삼차원 방향과 같은 임의의 삼차원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될 수 있다. 제2 위치(36)는 구동 장치(30)를 제2 삼차원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될 수 있다. 제2 삼차원 방향은 제1 삼차원 방향과 동일할 수 있거나, 제1 삼차원 방향에 대향할 수 있거나, 완전히 다른 삼차원 방향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2 위치(36)는 구동 장치(30)를 그 중심점을 중심으로 앞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거나, 구동 장치(30)를 뒷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구동 장치(30)를 옆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달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구동 장치는 또한 그 중심점(50)을 중심으로 그 종축을 따라 회전되어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중심점(50)은 복수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일 예시에서, 구동 장치가 상이한 방향을 향하여 상이한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그 종축을 중심으로 90도와 같이 다수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예시 중 임의의 것에서, 구동 장치는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중심점을 중심으로 임의의 방향 또는 배향(orientation)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방출될 수 있는 상이한 유형의 산출물은 물, 얼음, 부순 얼음, 각얼음, 다양한 액체 음료수, 또는 기타 고체 또는 액체 산출물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위치(34 및 36)와 같이, 제공되는 두 개의 위치가 있으면, 제1 유형의 산출물은 기기 내에서 저장고로부터 수송되는 제1 유형의 얼음(예컨대, 각얼음)일 수 있고, 제2 유형의 산출물은 기기 내에서 저장고로부터 수송되는 제2 유형의 얼음(예컨대, 부순 얼음)일 수 있다. 상이한 선택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구동 장치(30)를 제공함으로써, 방출할 산출물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 아이콘 및 기타 촉각을 이용한 스위치(tactile switch)가 줄어들거나 제거될 수도 있다. 선택 아이콘 및 기타 촉각을 이용한 스위치에 대한 필요를 줄임으로써 기기 내에서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공간의 양이 줄어들며 다른 아이콘 또는 기능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공간의 양이 증가한다. 사용자는 단순히 그들의 컵 또는 용기를 디스펜싱 유닛(18) 내에 놓고 구동 장치를 컵 또는 용기로 적절한 위치에 이동시켜 희망하는 산출물을 디스펜싱할 수 있다.
제빙 시스템은 도어(14)가 닫히면 얼음을 제빙 시스템으로부터 디스펜싱 유닛(18)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펜싱 도관(dispensing conduit)(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디스펜싱 유닛(18)과 운용상 연관될 수 있다. 디스펜싱 도관은 도어가 닫히면 신선 식품실(16)의 내부와 마주하며 저장소로부터 각얼음을 받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도어(14)의 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 패널은 운용상 냉장고 내에서 다양한 제어 유닛 및 장치와 운용상 연관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패널은 디스펜싱 유닛(18) 및/또는 제빙 시스템과 같이, 냉장고 내에 다양한 컴포넌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또는 제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제어 패널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도시되지 않음)에 유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패널에서 냉장고의 다양한 운용상의 특징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기능은 또한 냉장고 내에 위치한 디지털 장치, 아날로그 장치 또는 온도 조절장치와 같은 제어-감지 장치에 반응한다.
냉장 시스템은 냉동실을 섭씨 0도 아래의 온도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냉각 효과를 냉동실에 제공하기 위한 냉장고의 냉동실과 운용상 연관되도록 구성된 제1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는 냉동실 안쪽에 위치할 수 있지만 거기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냉장 시스템은 또한 제빙 유닛에서 물을 얼리고 얼음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냉각 효과를 제빙 유닛에 제공하기 위한 제빙 시스템의 제빙 유닛과 운용상 연관된 제2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시스템은 냉동실 내에서 동작하거나 냉장고(10)의 신선 식품실(16)과 같이, 섭씨 0도 위의 온도로 유지되는 냉장 기기의 섹션과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빙 시스템의 제빙 유닛은 제빙 유닛에서 물을 얼리고 얼음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냉각 효과를 제빙 유닛에 제공하기 위하여, 냉장 시스템과 운용상 연관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빙 시스템은 얼음이 제빙 요소(도시되지 않음) 주위에 형성되는 제빙 트레이(ice-making tray)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유닛에 더하여, 제빙 시스템은 물을 보관하기 위한 저수조(reservoir)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제빙 요소와 전면적으로 접촉해, 이에 따라 요소가 냉각되거나, 냉매가 요소의 내부로 지나감으로써 요소와 더 완전히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빙 시스템은 각얼음을 형성할 물로 채워진 얼음 트레이를 가질 수 있다. 아무튼, 냉매는 제빙 트레이 내의 물이 얼게 하기에 충분히 낮은 온도도 있을 것이다. 뜨겁거나 따뜻한 압축된 냉매는 제빙 요소에 접촉하여 얼음 조각이 복수의 제빙 요소로부터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앞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덤핑 메커니즘(dumping mechanism)이 제빙 트레이를 회전시키고 얼음으로 전환되지 않은 제빙기 내의 임의의 물을 제빙 트레이로부터 비워버릴 수 있다.
도 2로 돌아와, 디스펜싱 유닛(18)은 선택된 산출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여기에서 개시된 구조의 개략적인 예시로서만 의도된다. 예컨대, 선택된 산출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구조는 디스펜싱 유출구(22)로부터 밸브(42)로 연장되는 공급 라인(40)을 포함할 수 있다. 3방향 밸브와 같은, 밸브(42)는 제1 라인(44), 제2 라인(46) 및 제3 라인(48)으로부터 산출물을 받는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2 개 또는 4개 이상의 라인과 같이, 상이한 복수의 라인은 밸브(42) 에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복수의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라인(44, 46 및 48)은 상이한 액체, 상이한 유형의 얼음, 및/또는 상이한 기타 산출물과 같은 상이한 유형의 산출물을 디스펜싱 유출구(22)로 수송할 수 있다. 제1 라인(44), 제2 라인(46) 및 제3 라인(48)은 각각 다른 크기 및 배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라인 중 하나 이상은 얼음을 냉동실(12) 또는 신선 식품실(16) 중 하나로부터 수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은 기기(10) 내에 제공될 수 있거나 기기(10)가 설치되는 가정이나 영업 장소의 물 공급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밸브(42)는 솔레노이드 동작 밸브 또는 기계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으며 동작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밸브(42)는 개구를 제어하여 제1 라인(44), 제2 라인(46) 및 제3 라인(48) 중 어느 것이 디스펜싱 유출구(22)와 통할지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구동 장치(30)의 검출된 위치에 기초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는 구동 장치(30)에 제공되거나 구동 장치(30)의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스위치는 구동 장치(30)의 위치(즉, 34, 36, 38)를 검출하고 구동 장치(30)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여 선택된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산출물의 유형 중 하나에 대한 방출을 위하여 밸브(4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신호는 단지 전기적 접촉을 제공할 수 있는, 아날로그, 디지털일 수 있거나, 신호는 구동 장치(30)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계적인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각각의 디스펜싱 유출구가 상이한 유형의 산출물의 산출을 위하여 상이한 라인과 맞물리는, 복수의 디스펜싱 유출구들이 제공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디스펜싱 유출구들은 서로 가까이 배치될 수 있어 사용자가 컵 또는 용기를 구동 장치(30)에 접촉하여 놓음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산출물을 받을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복수의 밸브(도시되지 않음)는 또한, 구동 장치(30)의 선택된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펜싱 유출구로의 다양한 유형의 산출물의 전송을 활성화시키도록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다른 예시에서, 구동 장치(30)는 중립 위치(142)를 나타내는 상이한 위치를 가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두 개의 위치는 제1 위치(144), 제2 위치(146) 및 제3 위치(1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144)는 중립 위치(142)로부터 제1 방향으로의 구동 장치(30)의 이동에 의하여 도달될 수 있다. 제2 위치(146)는 제1 위치(144)로부터 제1 방향으로의 구동 장치(30)의 이동에 의하여 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제3 위치(148)는 중립 위치(142)로부터 제2 방향으로의 구동 장치의 이동에 의하여 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예시에서, 제1 위치(144) 및 제2 위치(146)는 구동 장치(30)로부터의 일 지향성 운동으로 배치되며, 제3 위치(148)는 구동 장치(30)로부터 다른 지향성 운동으로 배치된다. 사용자가 복수의 산출물을 구동 장치(30)의 복수의 위치로부터 어떻게 디스펜싱하는지 빨리 습득할 수 있을 상이한 중립 위치 및/또는 이동 방향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대한 다른 배열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된다.
도 3의 예시에서, 구동 장치(30)는 중심점(5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중심점(50)은 구동 장치(30)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시에서, 제1 방향으로의 구동 장치(30)에 대한 이동은 반 시계 회전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구동 장치(30)는 중심점이 있거나 없이 상이한 배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중심점이 있는 구동 장치(30)의 일 예시에서, 구동 장치(30)는 일 평면으로의 회전 이동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시에서, 구동 장치(30)가 모든 3차원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중심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는 구동 장치(30)가 중심점에 의해 매달리는 것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는 구동 장치(30)를 앞으로, 뒤로, 또는 측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의 기기는 기기의 외부에 표시 장치(indicator mechanism)(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표시 장치(70)의 위치, 모양 및 크기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표시 장치(70)는 또한 다른 모양 및 크기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70)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 표시와 같은, 표시(indication)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시는 구동 장치(30)의 현재 선택된 위치에 응답하여 어떠한 유형의 산출물이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디스펜싱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시각적 표시는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장치(30)가 중립 위치(32)에 있으면, 표시 장치(70)는 어떠한 메시지나 신호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일 예시에서, 구동 장치(30)가 기기 내에서부터의 물의 방출을 작동시키는 제1 위치에 있으면, 표시 장치(70)는 물이 방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표시 장치(70)는 물이 방출되고 있다고 나타내는 작은 빛을 작동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70)는 특정 위치(34, 36, 38)가 도달되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 유형의 산출물이 방출되고 있다고 나타내도록 각각의 그림, 그래픽, 문자 또는 지시(indicia)가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70)는 어느 산출물이 구동 장치(30)의 현재 위치에 의해 방출되고 있는지 기기(10)를 운용하는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표시 장치(70)는 시각적인 그래픽 또는 문자 또는 지시와 같은 표시를 디스플레이하여 어떤 유형의 산출물이 구동 장치(30)의 향후의 위치(34, 36, 38)에 기초하여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방출될 지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지시와 같이, 표시 장치(70)를 위치(34, 36, 38)를 선택하기 전에 관찰하여 특정 유형의 산출물을 방출할 수 있다. 표시 장치(70)는 따라서 사용자에게 구동 장치(30)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여 희망하는 유형의 산출물을 방출하기 위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70)가 지시인 예시에서, 지시는 비디오 스크린에 의해 제공되는 그래픽 메시지, 기기의 외부에 프린트되는 그래픽 메시지 및/또는 기기의 외부의 일부분으로서 성형된 그래픽 메시지와 같은 그래픽 메시지일 수 있다.
도 3과 유사한 도 4를 참조하면, 위치의 상이한 배열이 제공되는 구동 장치(230)의 제2 예시가 제공된다. 본 예시에서, 구동 장치(230)는 구동 장치(230)가 중립 위치(252)에서 제1 위치(254)로의 제1 방향, 제2 위치로의 동일한 제1 방향 및 제3 위치(258)로의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2 예시적인 구동 장치(230)는 디스펜싱 유닛(18)의 상부 표면(24)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펜싱 유출구는 도 2에 관하여 도시되고 논의된 바와 유사할 수 있으며, 구동 장치(230) 내에 또는 도 4에 비추어 구동 장치(230)의 앞이나 뒤와 같이, 구동 장치의 외부 상의 위치에서 중 하나에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컵이나 기타 용기를 구동 장치(230)와 접촉하여 둘 수 있다. 구동 장치(230)가 휴지기(resting state)에 있으면 구동 장치(230)에 대한 중립 위치(252)가 달성된다. 따라서, 중립 위치에서, 구동 장치(230)는 밸브(42)에 어떠한 산출물도 방출하도록 호출하지 않는다.
구동 장치(230)는, 본 예시에서, 이후 제1 위치(254)에 도달하도록 중립 위치(252)로부터 일반적으로 윗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장치(230)는 예컨대, 사용자가 컵 또는 용기를 구동 장치(230)에 접촉하여 둠으로써 제2 위치(256)에 도달하도록 중립 위치(252)에서 일반적으로 윗방향으로 또한 이동될 수 있다. 제3 위치(258)는 또한 제3 유형의 산출물을 방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제3 위치(258)는 중립 위치(252)에서 일반적으로 아랫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중립 위치(362)는 구동 장치(230)가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제3 위치(368)는 제2 위치(366)에서 일반적으로 윗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364)에서 제1 방향으로의 구동 장치(250)에 대한 이동은 제3 위치(368)에 도달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제1 위치(364), 제2 위치(366) 및 제3 위치(368)는 중립 위치(362)에 대하여 다양한 배열로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2, 또는 제3의 위치는 중립 위치(362)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임의의 두 개의 위치(즉, 364, 366 또는 364, 368 또는 366, 368)는 중립 위치(362)의 위 또는 아래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장치(230)는 비교적 수직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하여 중심점(25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구동 장치(230)는 윗방향 및 아랫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장치(230)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통하여 중심 점에 연결되어 구동 장치(230)가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대향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과 같은 한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수정 및 변경이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다른 것에서 일어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태양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들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오는 한은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이 모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산출물을 디스펜싱(dispensing)하기 위한 기기로서,
    상기 기기 내에 위치한 저장고;
    디스펜싱 유출구(dispensing outlet)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의 외부에 위치한 디스펜싱 유닛(dispensing unit); 및
    상기 저장고의 외부에 위치한 구동 장치(actuating mechanism)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중립 위치에서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제1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trigger)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제2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는,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제1 삼차원 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제2 삼차원 방향인,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제3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제3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며;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상기 중립 위치에서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는,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상기 외부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indicator mechanism)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향후 위치에 기초하여 어떠한 유형의 산출물이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방출될 지의 표시(indication)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상기 외부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어떠한 유형의 산출물이 현재 방출되고 있는지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기기.
  9. 산출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기기로서,
    저장고; 및
    상기 저장고의 외부에 위치한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중립 위치에서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위치는 제1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위치는 제2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는,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에 대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기기 내에서부터의 물, 부순 얼음 또는 각얼음(cubed ice)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는, 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에 대한 제3 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기기 내에서부터의 제3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며,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는, 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에 대한 제3 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기기 내에서부터의 제3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며,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는, 기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상기 외부에 위치한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어느 유형의 산출물이 상기 구동 장치의 향후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방출될 지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기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상기 외부에 위치한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어느 유형의 산출물이 상기 구동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방출되고 있는지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기기.
  15. 산출물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기기로서,
    상기 기기 내에 위치한 저장고;
    상기 저장고에 접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도어(door);
    상기 도어의 외부에 위치한 리세스(recess);
    디스펜싱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에 위치한 디스펜싱 유닛;
    상기 저장고의 외부에 위치한 구동 장치;
    상기 기기 내에 위치하여 산출물을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에 수송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제1 라인(line) 및 제2 라인;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 중 어느 것이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와 통하는지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및
    상기 구동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중립 위치에서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구동 장치의 상기 제1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밸브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적어도 제1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구동 장치의 상기 제2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밸브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적어도 제2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기기의 내에서부터의 제1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며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기기 내에서부터의 제2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는, 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에 대한 제3 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기기 내에서부터의 제3 유형의 산출물에 대한 방출을 트리거하며;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를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도달되는, 기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상기 외부에 위치한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어느 유형의 산출물이 상기 구동 장치의 향후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방출될 지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기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외부에 위치한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어느 유형의 산출물이 상기 구동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펜싱 유출구로부터 방출되고 있는지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기기.
KR1020127030997A 2010-04-27 2011-04-22 이동 감지형 얼음 및 물 디스펜싱 유닛이 있는 기기 KR201301322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68,211 2010-04-27
US12/768,211 US20110259033A1 (en) 2010-04-27 2010-04-27 Movement-sensitive ice and water dispensing in an appliance
PCT/US2011/033557 WO2011139599A2 (en) 2010-04-27 2011-04-22 Movement-sensitive ice and water dispensing in an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243A true KR20130132243A (ko) 2013-12-04

Family

ID=4448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997A KR20130132243A (ko) 2010-04-27 2011-04-22 이동 감지형 얼음 및 물 디스펜싱 유닛이 있는 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259033A1 (ko)
EP (1) EP2564133B1 (ko)
KR (1) KR20130132243A (ko)
CN (1) CN103003647B (ko)
AU (1) AU2011248797B2 (ko)
BR (1) BR112012027729B1 (ko)
MX (1) MX2012012488A (ko)
RU (1) RU2558971C2 (ko)
WO (1) WO20111395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2384B2 (en) * 2010-03-05 2012-12-04 Whirlpool Corporation Select-fill dispensing system
CN103313931B (zh) * 2010-11-24 2016-04-27 伊莱克斯家用产品有限公司 液体和/或冰分配系统
AU2012347423B2 (en) 2011-12-09 2017-04-2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ingle paddle ice and water dispenser
US8839343B2 (en) * 2012-08-21 2014-09-16 Anheuser-Busch Inbev Life event augmentation using an intelligent beverage container
US8935935B2 (en) * 2012-12-14 2015-01-2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for monitoring sensors of refrigerator appliances
US9233824B2 (en) 2013-06-07 2016-01-12 The Coca-Cola Company Method of making a beverage including a gas in a beverage making machine
US9630826B2 (en) 2013-06-07 2017-04-25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making machine
US10101080B2 (en) * 2013-08-21 2018-10-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spenser with vessel identification
KR102198958B1 (ko) * 2014-03-31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EP3287722B1 (en) 2016-08-23 2020-07-15 Dometic Sweden AB Cabinet for a recreational vehicle
DE102016216126A1 (de) 2016-08-26 2018-03-01 Dometic Sweden Ab Kühleinrichtung für ein Freizeitfahrzeug
DE102016221210A1 (de) * 2016-10-27 2018-05-03 BSH Hausgeräte GmbH Behälter-Ventil-Baugruppe für einen Getränke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5768A (en) * 1923-01-29 1924-11-18 William N Damon Dispensing faucet
US3934757A (en) * 1974-12-20 1976-01-27 Container Corporation Of America Refrigerator water dispenser with child-proof guard
US4800935A (en) * 1988-04-05 1989-01-31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 lever for refrigerator with water and/or ice dispenser in door
IT1269999B (it) * 1994-09-22 1997-04-16 Solvay Interox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particelle di persali rivestite
US5494644A (en) * 1994-12-06 1996-02-27 Ecolab Inc. Multiple product dispensing system including dispenser for forming use solution from solid chemical compositions
US5881917A (en) * 1997-09-05 1999-03-16 Imi Wilshire Inc. Beverage dispenser having improved actuator mechanism
US6658887B2 (en) * 2002-04-17 2003-12-09 Lg Electronics Inc. Dispenser and refrigerator fitted with the same
NL1023429C2 (nl) * 2003-05-14 2004-11-16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inrichting.
KR100707347B1 (ko) * 2004-09-30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493774B2 (en) * 2006-01-09 2009-02-24 Maytag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ice/water dispenser
KR20070075670A (ko) * 2006-01-14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2357437A1 (en) * 2006-12-11 2011-08-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KR20090107367A (ko) * 2008-04-08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펜서
KR20090112362A (ko) * 2008-04-24 2009-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00264160A1 (en) * 2008-07-21 2010-10-21 3Habro, Llc; Multi-Stream Draught Beer Dispensing System
KR101513628B1 (ko) * 2008-09-30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8413460B2 (en) * 2009-06-22 2013-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9581382B2 (en) * 2009-06-22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857206B2 (en) * 2009-12-07 2014-10-14 Whirlpool Corporation Multifunction dispenser actuation pad
US8499975B2 (en) * 2010-10-29 2013-08-06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beverage flavor dispenser with flavor strength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03647B (zh) 2015-11-25
US20110259033A1 (en) 2011-10-27
WO2011139599A2 (en) 2011-11-10
RU2558971C2 (ru) 2015-08-10
MX2012012488A (es) 2013-02-15
AU2011248797B2 (en) 2014-10-23
BR112012027729B1 (pt) 2020-12-08
RU2012150440A (ru) 2014-06-10
CN103003647A (zh) 2013-03-27
EP2564133A2 (en) 2013-03-06
WO2011139599A3 (en) 2012-03-08
BR112012027729A2 (pt) 2018-05-08
EP2564133B1 (en)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2243A (ko) 이동 감지형 얼음 및 물 디스펜싱 유닛이 있는 기기
AU2011248797A1 (en) Appliance with a movement - sensitive ice and water dispensing unit
US11573041B2 (en)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KR20140116092A (ko) 자동 액체 디스펜서를 가지는 냉장고
WO2008082103A1 (en) Ice supplier
US20210190414A1 (en) Refrigerator with quick fill dispenser incorporating removable fluid storage receptacle
US20180100681A1 (en) Refrigeration device with ice maker
US10852046B2 (en)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WO2019109491A1 (en) Refrigerator icemaking console
US20210348824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373070B1 (ko) 냉장고의 얼음잔량 표시장치 및 제어방법
US20230064175A1 (en) Refrigerator with quick fill dispenser incorporating removable fluid storage receptacle and combined inlet/outlet
US20230375245A1 (en) Ice maker appliance leak detection
WO2020238930A1 (en) Refrigerator dispenser control with multi-function control pad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