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225A - 미세 필터 구조체 - Google Patents

미세 필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225A
KR20130132225A KR1020120107700A KR20120107700A KR20130132225A KR 20130132225 A KR20130132225 A KR 20130132225A KR 1020120107700 A KR1020120107700 A KR 1020120107700A KR 20120107700 A KR20120107700 A KR 20120107700A KR 20130132225 A KR20130132225 A KR 20130132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ilter structure
upper frame
fine filt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3389B1 (ko
Inventor
밍-퉁 리우
Original Assignee
밍-퉁 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퉁 리우 filed Critical 밍-퉁 리우
Publication of KR2013013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uspended from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prepared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47J31/06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activated by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미세 필터 구조체를 제공하며, 제1 필터 유닛은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의 상부측 위에 놓인 조대 스크린, 및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상부 단부와 조대 스크린의 상부측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된 하부 단부를 갖는 포스트를 포함하고, 제2 필터 유닛은 하부 프레임 및 조대 스크린보다 단위 면적당 더 많은 메쉬 개구를 갖는 하부 프레임의 상부측 위에 놓인 미세 스크린을 포함한다. 단일 유닛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이고 조대 스크린과 미세 스크린 사이에 재여과 공간이 또한 형성되도록, 하부 프레임의 상부측은 상부 프레임의 하부측과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 필터 구조체{FINE FILTER STRUCTURE}
본 발명은 필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메쉬 개구 크기를 갖고 커피액 내의 불순물을 순차적으로 여과하기 위해 브루잉(brewing) 용기 내에 설치되는 2개의 추출 필터 유닛을 갖춘 미세 필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메사추세츠 공과대학의 신경 내분비학자인 리차스 워트만(Richard Wurtman) 박사 및 그의 동료들에 의해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커피의 상쾌한 효과는 졸음을 유발하는 뇌 화학물질의 억제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적당한 커피 소비는 격무에 시달리는 사무직 근로자가 맑은 머리를 유지하고, 능동적으로 생각하며, 집중상태를 유지하고, 효율적으로 일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많은 의학 학술지들은 커피에 인간의 건강에 이로운 많은 성분이 있음을 또한 지적하고 있다. 특히, 카페인은 중추신경계를 활성화하고, 졸음을 막을 수 있으며, 감기에 걸릴 위험을 줄이고, 천식 및 부종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커피 내의 산화방지제는 간질환의 악화를 늦추고, 만성 간질환의 확산 속도를 낮추며, 간경화증의 합병증에 의해 야기되는 사망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커피 내의 항치매(anti-dementia) 물질은 인체에서 유해 물질의 효과를 완화하고, 치매를 유발하는 뇌 내의 아밀로이드의 함량을 줄일 수 있으며, 커피 내의 폴리페놀 화합물은 저밀도 지방단백질의 산화를 지연시키고, 혈병을 용해하며, 혈전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커피의 장점이 더 많이 소개됨에 따라, 커피 음용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커피 문화가 발달하고 있다.
커피는 상당히 많은 방식으로 준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는 이브릭(ibrik, 통상적으로는 터키식 커피)을 여과하여, 그라운드 커피에 냉수를 드립하여(더치 커피를 위해), 그리고 담가둠(steeping)으로써 브루잉될 수 있고, 각각의 브루잉 방법은 특정한 브루잉 용기를 필요로 한다. 커피 관련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브루잉 용기 제조자들은 기존 브루잉 용기의 단점을 극복하고 소비자에게 더 나은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개발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브루잉 용기의 성능 및 물리적 외관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는 점점 높아짐에 따라, 커피 용기의 개발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소비자 요구를 충족하는 능력은 치열한 경쟁적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열쇠이다. 현재, 커피 브루잉 용기는 예외없이 브루잉 과정 동안 커피 분말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 요소를 구비하여 커피 분말이 섭취되는 것을 방지한다. 브루잉 후, 결과물인 커피액은 지방유 및 침전물(예컨대, 커피 섬유, 불용성 단백질 등)을 종종 포함한다. 지방유가 침전물과 합체되면, "커피 콜로이드"로 알려진 기름기 있는 물질이 형성되는데, 이 물질은 브루잉된 커피의 맛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더욱 구체적으로, 비교적 많은 양의 지방유와 커피 콜로이드가 존재하면 커피는 더 걸쭉해지거나 더 느끼한 맛이 날 것이고, 비교적 적은 양의 지방유와 커피 콜로이드가 존재하면 더 부드럽거나 더 연한 맛이 날 것이다. 스크린의 메쉬 개구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브루잉된 커피의 맛을 조절하기 위해 지방유 및 커피 콜로이드의 양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브루잉 용기 관련 분야의 수년간의 연구 후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오늘날의 브루잉 용기에 사용되는 여과 요소들이 좋지 못한 사용자 경험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으며, 여과 효과 및 사용의 관점에서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도 1은 브루잉 용기(1) 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여과 요소(2)를 도시한다. 브루잉 용기(1)는 컵 형상 몸체(11), 핸들(13), 및 뚜껑(15)으로 이루어지며, 핸들(13)은 컵 형상 몸체(11)의 외측 주연부상에 장착되고 뚜껑(15)은 컵 형상 몸체(11)의 상부측에 피벗식으로 제공된다. 컵 형상 몸체(11)는 그 내부의 수용 공간과, 배출 구멍 및 액체 중단 요소(미도시)가 제공된 바닥부를 갖는다. 브루잉 용기가 탁자 위에 놓이고 액체 중단 요소가 가압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온수 및 커피 분말을 컵 형상 몸체(11) 안으로 첨가하도록 배출 구멍은 액체 중단 요소에 의해 덮인다. 후속적으로 컵 형상 몸체(11)가 음용 컵의 상부측에 배치되면, 액체 중단 요소는 음용 컵에 의해 가압되어 배출 구멍을 더 이상 덮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컵 형상 몸체(11) 내의 커피는 배출 구멍을 통해 음용 컵 안으로 자유롭게 유동하게 된다. 배출 구멍 및 액체 중단 요소의 구조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여과 요소(2)는 컵 형상 몸체(11) 내에 수용되고, 프레임(21), 스크린(23), 및 중공 포스트(25)를 포함한다. 프레임(21)은 배출 구멍에 대응하며 컵 형상 몸체(11)의 내측 바닥 표면에 고정된다. 스크린(23)은 프레임(21)의 상부측 위에 놓인다. 따라서, 컵 형상 몸체(11) 내의 커피는 컵 형상 몸체(11) 밖으로 유동하기 전에 스크린(23)과 배출 구멍을 순차적으로 통과해야만 한다. 이 과정에서, 커피 내의 커피 분말과 커피 콜로이드는 스크린(23)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컵 형상 몸체(11) 내에서 유지된다. 지방유의 일부가 현재 스크린(23)에 의해 보유되고 있는 커피 분말로 흡수되기 때문에, 밖으로 유동하는 커피는 지방유 함량이 낮다. 중공 포스트(25)는 스크린(23)의 상부측에 제공되며, 복수의 리브(251)에 의해 프레임(21)에 연결된다. 중공 포스트(25)의 상부측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253)이 형성되어, 스크린(23) 및 프레임(21)에 의해 둘러싸인 액체 또는 공기가 중공 포스트(25) 및 관통 구멍(253)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스크린(23)은 여과 중에 스크린(23) 및 프레임(21)에 의해 둘러싸인 액체 또는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과도한 양의 커피 분말 및 침전물로 코팅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자는 브루잉 용기에 대한 수년간의 연구 끝에 기존 브루잉 용기에 사용되는 여과 요소들이 구조적으로 결함이 있으며 사용의 불편함을 야기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도 1을 참조하면, 비교적 연한 커피를 제조하려는 사용자가 메쉬 개구의 개수가 비교적 큰 스크린(23)을 사용하면, 많은 양의 커피 분말 및 커피 콜로이드가 스크린(23) 상에 퇴적되어 스크린의 액체 및 공기 투과성을 상당히 감소시킬 것이다. 이 경우, 스크린(23)의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 사이의 액체 또는 공기 소통은 중공 포스트(25)에 의해 제공된 유로 및 구멍(253)을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지만, 이 유로는 컵 형상 몸체(11) 내의 액체(즉, 커피)가 신속하게 밖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환언하면, 사용자는 커피가 준비될 수 있기 전에 비교적 장시간 기다려야만 한다. 둘째, 여과 요소(2)를 세척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여과 요소(2)를 컵 형상 몸체(11) 밖으로 당기기 위해 한 손을 컵 형상 몸체(11) 안으로 집어넣고 중공 포스트(25)를 파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커피의 지방유가 중공 포스트(25)에 또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중공 포스트(25)는 파지가 어려운 미끄러운 표면을 가질 것이고, 중공 포스트(25)의 비교적 짧은 길이(약 0.5cm)는 말할 것도 없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작은 부분이 중공 포스트(25)와 접촉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여과 요소(2)를 밖으로 당기려고 시도하는 동안, 손가락에 의해 힘을 가하기 위한 제한된 영역은 여과 요소(2)의 제거를 방해하는 경향이 있어서, 여과 요소(2)의 세척을 어렵게 만든다.
전술한 사항을 가정할 때, 브루잉 용기 산업이 직면한 사안은 종래의 여과 요소의 전술한 결점을 극복하고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브루잉 용기를 개발하는 것이다.
종래의 여과 요소의 사용에 있어서의 다양한 문제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광범위한 연구 및 실험을 수행하였고, 마침내 본원에 개시된 것과 같은 미세 필터 구조체를 개발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은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여과 품질을 가지며 만족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전달할 수 있는 미세 필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미세 필터 구조체는 제1 추출 필터 유닛 및 제2 추출 필터 유닛을 포함한다. 제1 추출 필터 유닛은 상부 프레임 본체, 조대 스크린(coarse screen), 및 포스트로 구성된다. 상부 프레임 본체의 중심부는 중공형이다. 조대 스크린은 상부 프레임 본체의 상부측 위에 놓인다. 길이가 2cm 이상인 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상부 단부 및 조대 스크린의 상부측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된 하부 단부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포스트의 내부에는 각각의 관통 구멍 및 조대 스크린의 하부측과 연통하는 채널이 제공된다. 따라서, 조대 스크린의 하부측상의 공기는 순차적으로 포스트의 하부 단부, 채널, 및 상부 단부를 통해 유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 추출 필터 유닛은 하부 프레임 본체 및 미세 스크린(fine screen)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 본체의 중심부도 또한 중공형이다. 미세 스크린은 하부 프레임 본체의 상부측 위에 놓이며, 조대 스크린보다 단위 면적당 더 많은 메쉬 개구를 갖는다. 하부 프레임 본체의 상부측은 상부 프레임 본체의 하부측과 연결될 수 있어서, 2개의 프레임 본체가 단일 유닛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이고 조대 스크린과 미세 스크린 사이의 재여과 공간을 또한 형성한다. 따라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미세 필터 구조체가 설치된 브루잉 용기에 커피 분말 및 온수가 가해지면, 커피액 내의 커피 분말 및 불순물은 제1 추출 필터 유닛 및 제2 추출 필터 유닛에 의해 순차적으로 여과될 것이며, 이 과정에서 미세 스크린이 비교적 작은 커피 분말 및 불순물을 차단하기 전에 조대 스크린은 비교적 큰 커피 분말 및 불순물을 차단한다. 따라서, 각각의 스크린은 과도한 양의 커피 분말 및 불순물로 코팅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여과 속도가 저감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미세 필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포스트의 길이가 2cm 이상이어서, 사용자가 브루잉 용기의 컵 형상 몸체 안으로 사용자의 손을 깊이 뻗지 않고 포스트를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파지 영역은 제1 추출 여과 유닛 및 제2 추출 여과 유닛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힘의 제공을 수월하게 한다.
본 발명의 구조 및 사용의 바람직한 모드, 추가적인 목적,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몇몇 모식적 실시예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여과 요소를 구비한 종래의 브루잉 용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필터 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세 필터 구조체의 조립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미세 필터 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브루잉 용기의 컵 형상 몸체 내에 설치되는 미세 필터 구조체를 개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미세 필터 구조체는 제1 추출 필터 유닛(3) 및 제2 추출 필터 유닛(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추출 필터 유닛(3)은 상부 프레임 본체(31), 조대 스크린(33), 및 포스트(35)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 본체(31)는 원형이며, 중공형 중심부를 갖는다.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상부측에는 복수의 제1 리브(311)가 제공되며, 각각의 제1 리브(311)는 상부 프레임 본체(31)에 고정된 일단부 및 상부 프레임 본체(31) 위쪽의 중심 위치를 향해 만곡되어 연장하는 타단부를 갖는다.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하부측에는 복수의 제1 연결부(313)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하부측에는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상부측을 향해 오목한 복수의 리세스(3131)가 제공된다. 추가로, 각각의 리세스(3131)의 하부 표면에는 상부 프레임 본체(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삽입 포스트(3133)가 돌출식으로 제공된다. 각각의 리세스(3131) 및 그 안의 삽입 포스트(3133)는 하나의 제1 연결부(313)를 함께 형성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외측 주연부에는 제1 연결부(313)에 대한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홈(315)이 제공된다. 홈(315)들은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외측 주연부와 각각의 홈(315) 사이에 높이 차이가 형성되도록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중심부를 향해 오목하다.
재차 도 2를 참조하면, 조대 스크린(33)은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상부측 위에 놓이고, 제1 리브(311)들 사이에 배열된다. 따라서, 제1 리브(311)의 도움으로, 조대 스크린(33)은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상부측상에 만곡되어 돌출식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대 스크린(33)은 제품 요구사항에 따라 금속, 플라스틱, 또는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대 스크린(33)의 재료가 충분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면 제1 리브(311)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조대 스크린(33)은 단순히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상부측 위에 놓인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포스트(35)의 길이는 2cm 이상이다. 포스트(35)의 하부 단부는 조대 스크린(33)의 상부측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며, 제1 리브(311)에 연결된다. 포스트(35)의 상부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353)이 형성된다. 채널(351)은 포스트(35) 내에 형성되고 각각의 관통 구멍(353) 및 조대 스크린(33)의 하부측과 연통하여, 조대 스크린(33)의 하부측 상의 공기 또는 액체가 포스트(35)의 하부 단부, 채널(351), 및 상부 단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관통 구멍(353)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양호한 순환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대 스크린(33)은 80-메쉬 스크린이며, 포스트(35)의 길이는 제1 추출 필터 유닛(3)이 설치될 컵 형상 몸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cm 이다. 따라서, 액체(예컨대, 커피)가 조대 스크린(33)을 통해 유동하면, 액체 내의 비교적 큰 불순물(예컨대, 커피 분말 또는 커피 콜로이드)은 조대 스크린(33)의 외부 표면상에 보유될 것이다. 비교적 큰 불순물들은 종종 난잡하게 적층되고 불순물들 사이에 복수의 틈을 형성하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불순물들은 비교적 큰 불순물들 사이의 틈을 채우지 않고 조대 스크린(33)의 내부 표면으로 유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대 스크린(33)의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의 액체 및 공기 소통이 보장된다. 제1 추출 필터 유닛(3)을 세척하기를 원하는 경우, 포스트(35)의 (2cm 이상의) 비교적 큰 길이는 포스트(35)의 파지가능한 영역을 상당히 증가시켜 사용자에 의한 힘의 제공을 수월하게 한다. 사용자는 브루잉 용기의 컵 형상 몸체 안으로 사용자의 손을 깊이 뻗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손등이 컵 형상 몸체의 내벽 상의 액체와 접촉하는 것이 또한 방지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추출 필터 유닛(4)은 하부 프레임 본체(41) 및 미세 스크린(43)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 본체(41)는 원형이며, 중공형 중심부를 갖고,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하부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 본체(41)의 상부측에는 복수의 제2 리브(411)가 제공되며, 각각의 제2 리브(411)는 하부 프레임 본체(41)에 고정된 일단부 및 하부 프레임 본체(41) 위쪽의 중심 위치를 향해 만곡되어 연장하는 타단부를 갖는다. 하부 프레임 본체(41)에는 복수의 제2 연결부(413)가 주연방향으로 제공된다. 상부 프레임 본체(31)와 하부 프레임 본체(41)가 함께 연결될 때, 제1 추출 필터 유닛(3)과 제2 추출 필터 유닛(4)이 연결되어 단일 유닛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제1 연결부(313)는 제2 연결부(413) 중 하나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프레임 본체(41)에는 복수의 블록(4131)이 주연방향으로 돌출식으로 제공된다. 각각의 블록(4131)은 하부 프레임 본체(41)로부터 먼 쪽을 향하고 삽입 구멍(4133)이 오목하게 제공된 외부 모서리를 갖는다. 각각의 삽입 구멍(4133)은 그 구멍이 형성되는 블록(4131)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관통하여 연장한다. 각각의 블록(4131)과 그 안의 삽입 구멍(4133)은 하나의 제2 연결부(413)를 함께 형성한다. 대응하는 제1 연결부(313)와 제2 연결부(413)를 함께 단단히 연결하기 위해 삽입 포스트(3133)가 삽입 구멍(4133) 내에 개별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블록(4131)은 리세스(3131) 내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추출 필터 유닛(3)과 제2 추출 필터 유닛(4)이 일단 이렇게 연결되면, 각각의 블록(4131)의 외부 모서리와 대응 홈(315) 사이에 높이 차이가 존재한다. 손가락끝을 높이 차 영역 중 하나에 넣고 그 안의 블록(4131)에 힘을 가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 추출 필터 유닛(3)과 제2 추출 필터 유닛(4)을 서로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프레임 본체(41)와 상부 프레임 본체(31)가 전자가 후자에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경우, 제1 연결부(313)와 제2 연결부(413)는 모두 생략된다. 대안적으로, 제1 연결부(313)와 제2 연결부(413)는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하부측에는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상부측을 향해 오목하고 리세스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1 연결부(313A)가 제공된다. 반면에, 하부 프레임 본체(41)에는 블록 형상인 복수의 제2 연결부(413A)가 주연방향으로 돌출식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313A)와 제2 연결부(413A)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부 프레임 본체(31)와 하부 프레임 본체(41)는 단일 유닛을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재차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미세 스크린(43)은 하부 프레임 본체(41)의 상부측 위에 놓이고, 제2 리브(411)들 사이에 배열된다. 제1 리브(311)의 경우와 같이, 미세 스크린(43)의 재료가 허용한다면 제2 리브(411)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미세 스크린(43)은 제2 리브(411) 없이 하부 프레임 본체(41)의 상부측 위에 놓일 것이다. 미세 스크린(43)은 조대 스크린(33)보다 단위 면적당 더 많은 메쉬 개구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미세 스크린(43)은 120 내지 200-메쉬 스크린이다. 하부 프레임 본체(41)의 상부측이 상부 프레임 본체(31)의 하부측과 연결되면, 재여과 공간(5)이 미세 스크린(43)과 조대 스크린(33) 사이에 형성되는데, 환언하면 미세 스크린(43)은 그 전체가 조대 스크린(33)에 맞닿아 놓이지 않을 것이다. 이는 재여과 공간(5) 안으로 유동한 액체가 미세 스크린(43)에 의해 여과되는 것을 허용하며, 미세 스크린(43)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지 않은 비교적 작은 불순물들은 결국 재여과 공간(5) 내에 보유될 것이다. 전술한 미세 필터 구조체가 브루잉 용기 내에 설치되고,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커피 분말 및 온수가 후속적으로 브루잉 용기 안으로 첨가될 때, 결과물인 커피액은 제1 추출 필터 유닛(3)에 의한 제1 여과 공정 및 제2 추출 필터 유닛(4)에 의한 제2 여과 공정을 순차적으로 겪게 된다. 제1 여과 공정에서, 비교적 큰 불순물들은 조대 스크린(33)의 외부 표면상에 보유되는 반면 비교적 작은 불순물들은 비교적 큰 불순물들 사이의 틈을 통해 재여과 공간(5) 안으로 유동할 수 있다. 후속하는 제2 여과 공정에서, 미세 스크린(43)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지 않은 비교적 작은 불순물들이 미세 스크린(43)의 외부 표면상에 보유되도록, 재여과 공간(5) 내의 커피액은 제2 추출 필터 유닛(4)에 의해 두번째 여과된다. 미세 스크린(43)의 외부 표면상에 퇴적된 불순물들은 비교적 작아서 미세 스크린(43) 전체를 도포하지 않으며, 조대 스크린(33)의 외부 표면상에 퇴적된 불순물들은 비교적 커서 그들 사이에 큰 틈을 형성하기 때문에, 스크린들 중 어느 것도 과도한 양의 불순물로 코팅되는 일 없이 커피액은 제1 추출 필터 유닛(3)과 제2 추출 필터 유닛(4)을 통해 신속하게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세 필터 구조체는 양호한 여과 효과 및 높은 여과 속도의 양자 모두를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 개시된 발명이 특정 실시예로 설명되었더라도, 특허청구범위에 제공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다양한 개조 및 변형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9)

  1. 브루잉 용기의 컵 형상 몸체 내에 설치되는 미세 필터 구조체이며,
    상기 미세 필터 구조체는 제1 추출 여과 유닛 및 제2 추출 여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추출 여과 유닛은
    중공형 중심부를 갖는 상부 프레임 본체와,
    상부 프레임 본체의 상부측 위에 놓인 조대 스크린과,
    조대 스크린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된 하부 단부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상부 단부를 갖는 포스트로서, 상기 포스트의 길이는 2cm 이상이며,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는 채널이 제공되며, 상기 채널은 각각의 상기 관통 구멍 및 조대 스크린의 하부측과 소통하는,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추출 여과 유닛은
    중공형 중심부를 갖는 하부 프레임 본체와,
    하부 프레임 본체의 상부측 위에 놓이고 단위 면적당 상기 조대 스크린보다 더 많은 메쉬 개구를 갖는 미세 스크린으로서, 미세 스크린과 조대 스크린 사이에 재여과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 프레임 본체의 상부측이 상부 프레임 본체의 하부측과 연결될 수 있는, 미세 스크린을 포함하는
    미세 필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본체의 하부측에는 복수의 제1 연결부가 제공되며, 하부 프레임 본체에는 복수의 제2 연결부가 주연방향으로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 중 하나와 연결가능한
    미세 필터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연결부는 리세스 및 상기 리세스의 하부 표면상에 제공된 삽입 포스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리세스는 상부 프레임 본체의 하부측 상에 제공되며 상부 프레임 본체의 상부측을 향해 오목하고, 각각의 상기 삽입 포스트는 상부 프레임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연결부는 블록 및 삽입 구멍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블록은 하부 프레임 본체로부터 먼 쪽을 향하고 삽입 구멍이 오목하게 제공된 외부 모서리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삽입 구멍은 대응하는 상기 블록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하부 프레임 본체와 상부 프레임 본체가 서로 연결될 때, 블록은 리세스 내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고, 삽입 포스트는 삽입 구멍 내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미세 필터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연결부는 리세스된 형상을 갖고, 각각의 상기 제2 연결부는 블록 형상인
    미세 필터 구조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본체는 복수의 홈이 제공된 외측 주연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홈은 제1 연결부에 대한 위치에 각각 대응하며, 상부 프레임 본체의 외측 주연부와 각각의 상기 홈 사이에 높이 차이가 형성되도록 상부 프레임 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오목한
    미세 필터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본체의 상부측에는 복수의 제1 리브가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제1 리브는 상부 프레임 본체에 고정된 일단부 및 상부 프레임 본체 위쪽의 중심 위치를 향해 만곡되어 연장하고 포스트의 하부 단부에 연결되는 대향 단부를 갖는
    미세 필터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 본체의 상부측에는 복수의 제2 리브가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제2 리브는 하부 프레임 본체에 고정된 일단부 및 하부 프레임 본체 위쪽의 중심 위치를 향해 만곡되어 연장하는 대향 단부를 갖는
    미세 필터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조대 스크린은 80-메쉬 스크린이며, 미세 스크린은 120 내지 200-메쉬 스크린인
    미세 필터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포스트의 길이는 2 내지 10cm인
    미세 필터 구조체.
KR1020120107700A 2012-05-24 2012-09-27 미세 필터 구조체 KR101423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18507 2012-05-24
TW101118507A TW201347708A (zh) 2012-05-24 2012-05-24 精細過濾結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225A true KR20130132225A (ko) 2013-12-04
KR101423389B1 KR101423389B1 (ko) 2014-07-24

Family

ID=4857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700A KR101423389B1 (ko) 2012-05-24 2012-09-27 미세 필터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49146B2 (ko)
JP (1) JP5439561B2 (ko)
KR (1) KR101423389B1 (ko)
CN (1) CN103418182B (ko)
DE (1) DE102012107762B3 (ko)
HK (1) HK1191286A1 (ko)
TW (1) TW2013477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7967B (zh) * 2014-01-23 2016-08-17 黄斐 液体食品加工装置
KR101670426B1 (ko) * 2015-06-26 2016-11-09 농업회사법인 (주)천연식품 식품 액상추출장치
CN105942873B (zh) * 2016-06-21 2018-03-20 沈阳建筑大学 一种炖煮泡沫过滤装置
CN107126091A (zh) * 2017-01-05 2017-09-05 萧国平 一种滤泡式咖啡过滤器
TWI639402B (zh) * 2017-01-17 2018-11-01 簡豪益 Ice drip coffee shunt
CN107447826A (zh) * 2017-09-26 2017-12-08 柳州紫光路远科技有限公司 一种厨房水池快速渗水过滤网
CN108744688A (zh) * 2018-08-13 2018-11-06 芜湖乐佳电器有限公司 一种进水阀分离式滤网
US11957268B2 (en) * 2020-01-17 2024-04-16 JPK Startups, LLC Cold brew adapter system
CN212939217U (zh) * 2020-06-12 2021-04-13 麦肯梦有限责任公司 壶具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249A (en) * 1915-07-23 1916-06-20 Walter H Cook Coffee-pot.
US1866777A (en) * 1930-06-09 1932-07-12 Edward C Sasser Coffeepot
US2047134A (en) * 1934-05-18 1936-07-07 Coleman Lamp & Stove Co Coffee maker
US2256717A (en) * 1938-07-18 1941-09-23 Korwood Inc Coffee maker
US2951431A (en) * 1958-04-24 1960-09-06 Hugentobler Max Percolator on coffee machines
ES205159Y (es) * 1974-08-07 1976-05-16 Bartolome Diaz Filtro de cafe para cafeteras.
JPS60126123U (ja) * 1984-02-01 1985-08-24 金平 昭武 コ−ヒ−用フイルタ−
CN2336707Y (zh) * 1998-05-25 1999-09-08 应高峰 咖啡壶
JP2002065466A (ja) * 2000-06-15 2002-03-05 Yoshio Watabe ドリップ式コーヒー抽出器
SG111024A1 (en) * 2000-09-28 2005-05-30 Kataoka Bussan Kk Filter device for coffee or the like
CN1419881A (zh) * 2002-10-29 2003-05-28 邵志成 咖啡壶
CN201185855Y (zh) * 2008-03-10 2009-01-28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能装拆滤网装置
US8033212B2 (en) * 2008-08-04 2011-10-11 Ming-Tung Liu Composite strainer pot
JP3145712U (ja) * 2008-08-06 2008-10-16 劉明桐 複合漉し器ポット
TWM363267U (en) * 2009-04-01 2009-08-21 Yu-Mei Tianlin Structure of tea-making pot
US20120160107A1 (en) * 2009-04-17 2012-06-28 Tien Jung-Jung Dripping device
TWM386117U (en) * 2010-04-15 2010-08-11 xi-ming Zhang Filte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91286A1 (en) 2014-07-25
JP2013244398A (ja) 2013-12-09
CN103418182B (zh) 2015-06-10
US20130312621A1 (en) 2013-11-28
US9149146B2 (en) 2015-10-06
JP5439561B2 (ja) 2014-03-12
TW201347708A (zh) 2013-12-01
TWI492731B (ko) 2015-07-21
CN103418182A (zh) 2013-12-04
DE102012107762B3 (de) 2013-06-27
KR101423389B1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389B1 (ko) 미세 필터 구조체
US4832845A (en) Permanent coffee filter
US10251507B2 (en) Cold coffee brew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3592126A (en) Coffeemaker filter
US7464638B2 (en) Reusable beverage filter
PT1983871E (pt) Aparelho para produzir uma infusão de bebida aromática
WO2013074423A1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AU2019310820A1 (en) Pet watering device and anti-blocking water pump for pet watering device
US5799566A (en) Self-propelled moving-filter beverage maker
AU2005295956A1 (en) Funnel insert for coffee cartridge
CA2331516C (en) Filtering device for an espresso-type coffee maker
KR101681066B1 (ko) 복수의 드리퍼들 중 선택되는 한 쌍의 드리퍼를 구비한 드립 커피 추출기
CN107126091A (zh) 一种滤泡式咖啡过滤器
JP2015208668A (ja) 急須
US2780162A (en) Coffee extractors
TWM505900U (zh) 濾杯結構
KR100898405B1 (ko) 일회용 원두커피 여과기
US20170273499A1 (en) Coffee percolator
CN204765083U (zh) 滴漏式咖啡壶
US1601671A (en) Percolator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US1698527A (en) Cooking utensil
AU2016100334A4 (en) A coffee percolator
TW201820999A (zh) 濾泡式咖啡過濾器
JP3211838U (ja) 飲み物を入れるフィル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