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1804A -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1804A
KR20130131804A KR1020120055652A KR20120055652A KR20130131804A KR 20130131804 A KR20130131804 A KR 20130131804A KR 1020120055652 A KR1020120055652 A KR 1020120055652A KR 20120055652 A KR20120055652 A KR 20120055652A KR 20130131804 A KR20130131804 A KR 20130131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imit switch
motor
lim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서
Original Assignee
이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서 filed Critical 이준서
Priority to KR1020120055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1804A/ko
Publication of KR20130131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7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rolled up during non-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닐하우스의 보온덮개를 감거나 풀어서 개폐하도록 상기 보온덮개와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라인에 배치되며 눌림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전기적 연결을 끊어주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보온덮개의 감김 및 풀림 중 적어도 하나의 한도가 자동으로 결정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전원공급라인에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 및 상기 모터의 동작을 수동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자동 및 수동 조작이 모두 가능한 개폐기가 구현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개폐기{VINYL OPENING AND CLOSING MACHINE FOR GREEN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환기창을 개폐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에는 식물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부 온도, 습도 및 환기를 조절하도록 측면 또는 천정에 덮여 있는 환기창을 개폐시키는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장치의 예로서, 특히 전동 개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개폐기는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천창이나 측창을 개폐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기의 정역 회전에 따라 천창이나 측장 등의 개폐 또는 보온덮개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개폐 위치의 상한과 하한은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설정된다. 이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의 위치를 조절하면 개폐기의 상하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비닐하우스에서 보온덮개를 감거나 풀 때에 비닐하우스가 찢어지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에 개폐기의 수동 조작이 필요하게 되나, 통상의 개폐기에서는 수동으로 임의의 위치까지 개폐기를 동작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동 및 자동 조작이 모두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개폐기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조작을 위한 설정이 수동 조작을 제한하지 않는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는,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를 감거나 풀어서 개폐하도록 상기 보온덮개와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라인에 배치되며 눌림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전기적 연결을 끊어주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보온덮개의 감김 및 풀림 중 적어도 하나의 한도가 자동으로 결정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전원공급라인에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 및 상기 모터의 동작을 수동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나사와 연결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감김 및 풀림의 한도를 각각 설정하도록 상기 이송나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송나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를 누르도록 이루어지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를 지나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를 누른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형성되는 누름 유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스위치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연결을 온 오프시키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연결을 온 오프시키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에 의하면, 바이패스라인에 의하여 종래의 개폐기에 대한 간단한 구조변경으로 수동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하여 개폐시에 보온덮개가 찢어지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의 누름 유지부를 이용함에 따라, 자동 조작에 사용되는 리미트 스위치가 수동 조작을 위한 회로연결을 제한하지 않는 메커니즘이 가능하게 된다. 개폐기를 수동 및 자동 조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비닐하우스의 개폐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폐기가 적용된 비닐하우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폐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개폐기의 회로연결을 나타내는 회로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개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개폐기의 회로연결을 나타내는 회로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폐기가 적용된 비닐하우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비닐 하우스(11)의 외부에는 개폐기(100)가 장착되며, 개폐기(100)는 비닐하우스(11)의 보온덮개(외부 또는 내부 비닐)을 권취식으로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도록 권취봉(12)과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권취봉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가 개폐기 모터(110)의 출력축(모터축)에 연결된다.
이 때에 정방향으로 모터축을 작동시켜 비닐이 원하는 위치까지 열어지게 되면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로 리미트 스위치를 눌러주어 개폐기의 구동이 정지된다. 비닐을 원하는 위치까지 닫아주기 위해서는 이동부재가 반대위치로 이동하여 다른 리미트 스위치를 눌러줄 때까지 개폐기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비닐 하우스에는 상기 개폐기(100)의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3)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자동조작시에 상하한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별도로 수동조작이 가능한 개폐기를 제시한다. 이하, 이러한 개폐기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개폐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폐기의 회로연결을 나타내는 회로구성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개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개폐기(100)는 리미트 스위치(120), 이동부재(130), 바이패스라인(140) 및 조작 스위치(150)를 포함한다.
리미트 스위치(120)는 모터(110)에 대한 전원공급라인(PL)에 배치되며, 눌림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라인(PL)의 전기적 연결을 끊어주도록 이루어진다. 리미트 스위치는 개폐 위치의 상한과 하한을 설정하도록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21, 22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21, 222)는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조절 손잡이(123)가 개폐기(100)의 하우징(10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개폐 위치의 상한과 하한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리미트 스위치는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조).
도시에 의하면,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21, 222)의 사이에는 이송나사(160)가 배치되며, 상기 이송나사(160)에는 이동부재(130)가 나사연결된다. 예를 들어, 이동부재(130)에는 관통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나사(160)가 상기 관통 나사홀에 삽입되며, 이를 통하여 이송나사(160)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재(130)가 직선운동하게 된다. 즉, 이동부재(130)는 모터(11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나사(160)와 연결되어 모터(11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이동부재(130)의 직선운동을 위한 가이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재(130)는 보온덮개의 감김 및 풀림 중 적어도 하나의 한도가 자동으로 결정되도록, 상기 리미트 스위치(120)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130)는 상기 이송나사(16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21, 222)를 누르도록 이루어지는 누름부(131)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누름부(131)는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21, 222)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누름부(131a, 1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바이패스라인(140)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120)가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110)에 대한 전원공급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전원공급라인(PL)에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120)와 병렬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누름부(131a)가 제1 리미트 스위치(121)를 눌러 전원공급라인(PL)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진다 하더라도, 바이패스라인(140)에 의하여 모터(110)에는 전원이 공급되며 이를 통하여 개폐위치의 상한 또는 하한을 넘어서는 개폐기(100)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조작 스위치(150)는 모터(110)의 동작을 수동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40)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패스라인(140)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120) 및 이동부재(130)는 하우징(101)에 수용되고, 외부에서 상기 조작 스위치(150)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140)은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 스위치(150)는 컨트롤러(13, 도 1 참조)와 떨어져 상기 개폐기를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라인(140)은 상기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21, 222)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조작 스위치(150)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연결을 온 오프시키는 제1 스위치(151)와,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연결을 온 오프시키는 제2 스위치(152)를 포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150)는 하나의 조작키의 조작에 의하여 제1 및 제2 스위치(151, 152)가 스위칭하여 3가지의 상태 조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바이패스라인(140)은 제1 리미트 스위치(121)와 병렬로 연결되고, 제2 스위치(152)는 전원(Power)과 제2 리미트 스위치(2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리미트 스위치(121)는 비닐을 감는 동작의 상한을 정해주며, 제2 리미트 스위치(122)는 비닐을 완전히 푼 위치에 대응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51)가 바이패스라인(140)의 연결을 끊어주고 제2 스위치(152)가 전원공급라인(PL)을 연결하면 자동조작 상태가 된다. 이 때에는 도 4a와 같이, 제1 및 제2 리미트의 사이에서 이송부재가 이동하게 된다.
제1 스위치(151)가 바이패스라인(140)의 연결을 이어주고 제2 스위치(152)가 전원공급라인(PL)을 연결하면 수동조작에 의하여 개폐기가 구동하는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제2 스위치(152)가 전원공급라인(PL)을 끊어주면 개폐기는 오프 상태가 된다.
만약, 사용자가 수동조작에 의하여 개폐기가 구동하는 상태에서 제1 누름부(131a)가 제1 리미트 스위치(121)를 지나서 이동한 후에 제1 스위치(151)를 바이패스라인(140)의 연결을 끊어주는 방향으로 스위칭하면, 전원공급라인(PL)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계속하여 개폐기가 구동하는 과구동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부재(130)는 누름 유지부(132)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b와 같이, 누름 유지부(132)는 상기 누름부(131)가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121)를 지나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121)를 누른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누름 유지부(132)는 상기 누름부(131)로부터 상기 이동부재(130)가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121)를 지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성에 의하면, 자동 및 수동 조작이 모두 가능하면서도, 과구동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기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변형예 또는 실시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개폐기의 회로연결을 나타내는 회로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누름 유지부(232)는 제1 및 제2 누름 유지부(232a, 232b)를 포함한다.
제1 누름 유지부(232a)는 누름부(231)로부터 이동부재(230)가 제1 리미트 스위치(221)를 지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누름 유지부(232b)는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222)의 누른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누름부(231)로부터 상기 제1 누름 유지부(232a)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폐기의 상한 및 하한의 어느 쪽을 넘어서는 경우에도 수동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바이패스라인(240)은 제1 리미트 스위치(221)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바이패스라인(241)과 제2 리미트 스위치(222)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바이패스라인(24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스위치(250)는 제1 바이패스라인(241)의 연결을 온 오프시키는 제1 스위치(251)와, 제2 바이패스라인(242)의 연결을 온 오프시키는 제2 스위치(252)를 포함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라인의 온 오프를 위한 별도의 온 오프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구성에 의하면,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를 감거나 풀는 경우의 어느 쪽에서도 수동 및 자동조작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닐하우스용 개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를 감거나 풀어서 개폐하도록 상기 보온덮개와 연결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라인에 배치되며, 눌림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전기적 연결을 끊어주는 리미트 스위치;
    상기 보온덮개의 감김 및 풀림 중 적어도 하나의 한도가 자동으로 결정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에 대한 전원공급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전원공급라인에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 및
    상기 모터의 동작을 수동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나사와 연결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감김 및 풀림의 한도를 각각 설정하도록 상기 이송나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송나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를 누르도록 이루어지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를 지나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를 누른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형성되는 누름 유지부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유지부는 상기 누름부로부터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를 지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유지부는
    상기 누름부로부터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를 지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누름 유지부; 및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의 누른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누름부로부터 상기 제1 누름 유지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누름 유지부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라인은 상기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연결을 온 오프시키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전원공급라인의 연결을 온 오프시키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 및 이동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외부에서 상기 조작 스위치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이패스라인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KR1020120055652A 2012-05-24 2012-05-24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KR20130131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652A KR20130131804A (ko) 2012-05-24 2012-05-24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652A KR20130131804A (ko) 2012-05-24 2012-05-24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804A true KR20130131804A (ko) 2013-12-04

Family

ID=4998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652A KR20130131804A (ko) 2012-05-24 2012-05-24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18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525A (ko)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금산코리아 비닐하우스 자동 개폐장치
KR102444909B1 (ko) * 2022-03-17 2022-09-19 주식회사 디에이이엔지 작물재배용 개폐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525A (ko)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금산코리아 비닐하우스 자동 개폐장치
KR102444909B1 (ko) * 2022-03-17 2022-09-19 주식회사 디에이이엔지 작물재배용 개폐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1453B2 (en) Electric actuator
PT2156732E (pt) Ferramenta eléctrica portátil de comando por gatilho
JP2010502170A5 (ko)
KR102205340B1 (ko) 비닐하우스 자동 개폐장치
KR20130131804A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
JP2013166244A (ja) 電動工具
JP5272758B2 (ja) 電動工具
JP487210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を有する機器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DE502006002480D1 (de) Elektrowerkzeug, insbesondere Akku-Elektrowerkzeug
US4061287A (en) Paper-winding units
JP4892747B2 (ja) 機器制御装置
KR101479736B1 (ko) 전동 볼 밸브 구동장치
JP2001299108A (ja) 温室等のカーテン開閉制御システム
KR20000054494A (ko) 스위치 작동장치
JP4892750B2 (ja) トグルスイッチを有する機器の制御装置
KR102372247B1 (ko) 소형 모터에 의한 자동개폐제어가 가능한 차단기
EP1484779A3 (en) Control device for car-mounted electric device
JP2006020541A (ja) カーテン巻取装置
AU2014100040A4 (en) A motorised window covering
JP4892749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を有する機器の制御装置
KR200248306Y1 (ko) 고전압자동전환부하개폐장치
US20170347617A1 (en) Curtain machine having sealed control enclosure
KR960004034Y1 (ko) 온실 및 건축물의 자동 개폐장치
KR20130077971A (ko)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용 스위칭장치
KR101336958B1 (ko) 리미트 시스템이 정면에 위치한 온실용 자동 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