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494A - 스위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494A
KR20000054494A KR1020000031490A KR20000031490A KR20000054494A KR 20000054494 A KR20000054494 A KR 20000054494A KR 1020000031490 A KR1020000031490 A KR 1020000031490A KR 20000031490 A KR20000031490 A KR 20000031490A KR 20000054494 A KR20000054494 A KR 20000054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motor
cas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1371B1 (ko
Inventor
한봉석
Original Assignee
한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봉석 filed Critical 한봉석
Priority to KR102000003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37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0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friction, toothed, or screw-and-nut gea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전원스위치를 on/off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벽면(10)에는 작동노브(21) 및 본체(20)를 수용하도록 케이스(30)가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의 내측에는 모터(60)와, 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와, 모터의 동력으로 전원을 on/off시키도록 작동노브(21)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전원공급부(40)로부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원격제어기(100)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71)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70)이 수용되어 있다. 작동부재는 작동노브(21)의 상부에 위치되어서 모터의 구동에 따라 케이스에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저면에 작동노브(21)의 양단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시키는 돌출부(51)가 형성된 랙부재(50)이다. 이때 랙부재(50)는 케이스(30)에 형성된 가이드리브(31)(32)에 의해서 정해진 위치를 왕복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70)에는 보조스위치(72)가 마련되어서, 수동으로 전원공급부(40)로부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 작동장치는 벽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수동형 스위치박스에 고정설치되어서 원격제어기에 의한 작동노브의 원격제어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스위치 작동장치{apparatus for operating a 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통상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되어지는 실내의 조명등 등의 전원 스위치를 원격제어로 on/off 시킬 수 있도록 한 스위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벽면에는 형광등 등의 조명등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전원 스위치는 통상 고정된 제1단자(1)에 제2단자(2)가 접속되도록 제2단자(2)를 연동시키는 작동노브(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작동노브(3)는 회전축(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이용자들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전원을 on/off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일상 생활에 있어서, 야간에 TV시청 또는 라디오 청취를 잠자리에서 하는 경우도 있는 바, 이후 잠을 청하고자 할 경우 잠자리에서 일어나서 벽면에 마련된 전원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전원을 off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전원 스위치를 원격제어하여 전원을 on/off제어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된 전원 스위치에 별도로 부착하여서 그 전원 스위치를 원격제어 가능하도록 한 스위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스위치 작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한 실시예의 스위치 작동장치가 채용된 상태의 스위치 off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3에서 스위치 on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다른 실시예의 스위치 작동장치가 채용된 상태의 스위치 off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도5에서 스위치 on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본체 21...작동노브
30...케이스 40...전원공급부
50...랙부재 60...모터
70...인쇄회로기판 80...테이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작동노브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또는 상기 작동노브를 지지하는 본체에 지지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며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의해서 발생된 동력으로 전원을 on/off시키도록 상기 작동노브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와;
상기 수신부에 원격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동력발생수단은 모터이고, 작동부재는 작동노브의 상부에 위치되어서 모터의 구동에 따라 케이스에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저면에 상기 작동노브의 양단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랙부재이다.
또는 상기 작동부재는 양단이 각각 작동노브의 상부 양단과 접촉되며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보조스위치가 마련되어서, 수동으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벽면 또는 상기 작동노브를 지지하는 본체에 접착테이프로 부착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류등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위의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작동장치는 이미 벽면등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수동형 스위치박스에 고정설치되어서 원격제어기에 의한 작동노브의 원격제어가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벽면(10)에는 본체(20)에 작동노브(21)가 회전가능하게 축(22) 설치되어 있고, 본체(20)에 고정된 제1단자(23)에 작동노브(21)의 회동에 따라서 탈착되는 제2단자(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벽면(10)에는 상기 작동노브(21) 및 본체(20)를 수용하도록 케이스(30)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스(30)는 벽면(10) 또는 작동노브(21)를 지지하는 본체(20)에 접착테이프(80)로 부착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류(미도시)등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 케이스(30)의 내측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이 동력발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와, 동력발생수단에 의해서 발생된 동력으로 전원을 on/off시키도록 상기 작동노브(21)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전원공급부(40)로부터 동력발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원격제어기(100)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71)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70)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에서 동력발생수단은 모터(60)이고, 작동부재는 작동노브(21)의 상부에 위치되어서 모터(60)의 구동에 따라 케이스(30)에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저면에 상기 작동노브(21)의 양단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시키는 돌출부(51)가 형성된 랙부재(50)이다. 이때 랙부재(50)는 케이스(30)에 형성된 가이드리브(31)(32)에 의해서 정해진 위치를 왕복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70)에는 보조스위치(72)가 마련되어서, 수동으로 전원공급부(40)로부터 모터(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한 실시예의 스위치 작동장지는,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원격제어기(100)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부(71)가 수신하게 되면, 전원공급부(40)로부터 전원이 모터(60)에 공급되어 모터(60)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랙부재(50)가 우측으로 이동되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부재(50)의 돌출부(51)가 작동노브(21)의 상면을 연동 회전시켜서 전원을 on시키게 된다.
또한, 원격제어기(100)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보조스위치(72)를 작동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전원의 on/off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이는 벽면(10)에는 본체(20)에 작동노브(21)가 회전가능하게 축(22) 설치되어 있고, 본체(20)에 고정된 제1단자(23)에 작동노브(21)의 회동에 따라서 탈착되는 제2단자(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벽면(10)에는 상기 작동노브(21) 및 본체(20)를 수용하도록 케이스(30)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스(30)는 벽면(10) 또는 작동노브(21)를 지지하는 본체(20)에 접착테이프(80)로 부착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류(미도시)등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 케이스(30)의 내측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이 동력발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와, 동력발생수단에 의해서 발생된 동력으로 전원을 on/off시키도록 상기 작동노브(21)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전원공급부(40)로부터 동력발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원격제어기(100)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71)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70)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에서 동력발생수단은 모터(60)이고, 작동부재는 양단이 각각 작동노브(21)의 상부 양단과 접촉되며 케이스(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모터(60)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부재(110)이다. 이때 회동부재(110)는 중간기어(120)에 의해서 모터(60)기어와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70)에는 보조스위치(72)가 마련되어서, 수동으로 전원공급부(40)로부터 모터(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스위치 작동장지는, 먼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원격제어기(100)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부(71)가 수신하게 되면, 전원공급부(40)로부터 전원이 모터(60)에 공급되어 모터(60)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부재(110)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작동노브(21)를 연동 회전시켜 전원을 on시키게 된다.
또한, 원격제어기(100)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보조스위치(72)를 작동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전원의 on/off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위에서 예로들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말 할 것도 없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대표적으로 예로든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모터(60)에 한하지 않고 전원의 공급에 따라 출몰되는 로드(rod)가 채용된 솔레노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40)는 건전지와 같은 별도의 전원에 의하지 아니하고 벽면으로부터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미 벽면등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수동형 스위치박스에 고정설치되어서 원격제어기에 의한 작동노브의 원격제어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서 전원을 on/off제어하기 위해서 벽으로 이동하지 아니하고도 원격제어가 가능하여 편리하다. 또한, 수동형 스위치박스에 테이프등으로 부착설치되므로 설치가 간편하다.

Claims (5)

  1.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작동노브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또는 상기 작동노브를 지지하는 본체에 지지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며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의해서 발생된 동력으로 전원을 on/off시키도록 상기 작동노브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와;
    상기 수신부에 원격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모터이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작동노브의 상부에 위치되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저면에 상기 작동노브의 양단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랙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작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모터이고, 상기 작동부재는 양단이 각각 상기 작동노브의 상부 양단과 접촉되며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작동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보조스위치가 마련되어서, 수동으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작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벽면 또는 상기 작동노브를 지지하는 본체에 접착테이프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작동장치.
KR1020000031490A 2000-06-03 2000-06-03 스위치 작동장치 KR100361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490A KR100361371B1 (ko) 2000-06-03 2000-06-03 스위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490A KR100361371B1 (ko) 2000-06-03 2000-06-03 스위치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494A true KR20000054494A (ko) 2000-09-05
KR100361371B1 KR100361371B1 (ko) 2002-11-18

Family

ID=1967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490A KR100361371B1 (ko) 2000-06-03 2000-06-03 스위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3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908B1 (ko) 2007-06-15 2008-01-08 (주)세명이엔지 전원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수동형 스위치구조
KR100791901B1 (ko) 2007-06-15 2008-01-14 (주)세명이엔지 실내전기 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온오프 제어판구조
KR101657281B1 (ko) * 2016-01-26 2016-09-13 주식회사 아이오 조명 스위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22196B1 (ko) * 2018-08-08 2019-09-17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푸시 스위치의 스마트 원격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7053A (zh) * 2018-06-22 2018-11-13 青岛科技大学 一种智能附加开关
CN113707487B (zh) * 2021-10-29 2022-02-08 亿慧云智能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网关开关
CN114429872A (zh) * 2022-01-25 2022-05-03 何贤刚 一种基于蓝牙4.1互联技术的智能墙壁开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767A (ko) * 1992-06-24 1994-01-11 김주용 조명기기 원격 제어 스위칭 장치
KR200155159Y1 (ko) * 1997-03-04 1999-08-16 서광석 스위치 작동을 위한 자동 온/오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908B1 (ko) 2007-06-15 2008-01-08 (주)세명이엔지 전원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의 수동형 스위치구조
KR100791901B1 (ko) 2007-06-15 2008-01-14 (주)세명이엔지 실내전기 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온오프 제어판구조
KR101657281B1 (ko) * 2016-01-26 2016-09-13 주식회사 아이오 조명 스위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22196B1 (ko) * 2018-08-08 2019-09-17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푸시 스위치의 스마트 원격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1371B1 (ko)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4385B2 (ja) 電動窓カバー、電動窓カバーの制御方法、電動窓カバー用遠隔制御システム
US58445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US8182122B2 (en) Rotatable lamp with dual functions of wired remote control and radio remote control
GB2251727A (en) Wallbox-mountable electrical devices
JP2007242566A (ja) 壁面スイッチリモコン装置
KR100361371B1 (ko) 스위치 작동장치
JP2009043664A (ja) スイッチアダプタ及びこのスイッチアダプタを用いた照明制御システム
JP4363835B2 (ja) 電気機器の動作状態制御システム
JP487210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を有する機器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4892747B2 (ja) 機器制御装置
KR20160035932A (ko)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JP2006073220A (ja) スイッチ遠隔制御装置
KR200387832Y1 (ko) 전등 원격제어 스위치
JP2005228038A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KR20020085620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위치
KR200344199Y1 (ko)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KR20050048382A (ko) 원격조정에 의한 스위치 온오프장치
EP1030540A3 (de) Bewegungsmelder
CN111121103B (zh) 旋钮及炉具
KR200269528Y1 (ko) 전기기구의 원격 제어장치
KR200339757Y1 (ko) 후레쉬 기능을 갖는 리모콘
KR970001585Y1 (ko) 리모콘의 체널용스위치 작동장치
KR200377696Y1 (ko) 후레쉬기능을 가지는 리모콘
WO2023131815A1 (ru) Выключатель света с дополнительными функциями
JP3000309U (ja) スイッチ作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