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932A -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932A
KR20160035932A KR1020140127917A KR20140127917A KR20160035932A KR 20160035932 A KR20160035932 A KR 20160035932A KR 1020140127917 A KR1020140127917 A KR 1020140127917A KR 20140127917 A KR20140127917 A KR 20140127917A KR 20160035932 A KR20160035932 A KR 20160035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
current
lighting
light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준
김학민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932A/ko
Publication of KR2016003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에 설치되어 조명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 스위치를 원격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된 조명 스위치부와 결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버튼부가 점등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도록 동작하는 조명 스위치 동작부; 및 사용자의 온/오프 입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로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벽에 설치되어 조명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 스위치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원격 제어수단을 통해 원격지에서 조작할 수 있고, 원격 제어를 위한 전기배선 공사 또는 전자적인 설비의 시스템 구축없이 기존에 설치된 조명 스위치의 커버를 대체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SWITCH OF LAMP}
본 발명은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에 설치되어 조명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 스위치를 원격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등, 형광등 등의 조명기기는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의한 온/오프 방식이 대부분이다.
즉, 가정에는 각 방들이나 거실 및 화장실 등 여러 곳에 전등이 설치되고, 각각의 전등을 점등 제어하기 위한 기계식 스위치들이 벽면에 매립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가정의 실내에 설치된 특정 전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식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해당 전등을 점등하거나 소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통상의 전등 스위치들은 대부분이 벽면에 매립형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특정 전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벽면으로 이동하여 기계식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침실의 경우 사용자가 잠자리에 들기 위해서는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스위치를 눌러 전등을 소등한 다음 다시 침대로 돌아와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가정 내의 조명 기기의 점등 또는 소등의 조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일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원격 제어 방식은 전등의 스위치 박스에 무선제어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전등의 온/오프를 전자적으로 원격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 전등의 원격 제어 방식은 별도의 전기배선 공사 또는 전자적인 설비의 시스템 구축을 필요로 함에 따라 소비자가 직접 설치하지 못하고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전등의 원격 제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도움을 받아야 하므로, 설치비가 가중되고 그에 따른 공사비의 증가로 실제 가정에서 상용화하기에는 비용적인 부담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또 다른 전등의 원격 제어 방식으로는 전력선이나 홈오토메이션 장비들을 이용한 원격제어 방식이 있으나, 이 또한 많은 초기 설치비용이 발생하여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71135호(발명의 명칭: 원격 전등 제어 장치)에는 실내 벽면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된 기계식의 전등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실내에 설치된 전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위한 원격 전등 제어 장치로서, 전등 전원스위치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등 전원스위치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기계식으로 온/오프 스위칭이 전환되도록 하는 원격 운동장치부; 및 상기 원격 운동장치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접속되며, 상기 원격 운동장치부를 물리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 장치부를 포함한 구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 전등 제어 장치는 원격 운동 장치부를 전등 전원스위치의 근방 벽에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전등 전원스위치 주변이 미관상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71135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에 설치되어 조명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 스위치를 원격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된 조명 스위치부와 결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버튼부가 점등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도록 동작하는 조명 스위치 동작부; 및 사용자의 온/오프 입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로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는 조명 스위치부와 결합하는 덮개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부;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버튼부를 점등 위치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 구동부; 상기 조명 스위치부로 공급되는 전원선에 클램핑되어 상기 전원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및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한 전류를 저장하여 전원으로 공급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치 구동부는 조명 스위치부의 버튼부를 가압하는 구동부 몸체; 상기 구동부 몸체에 권선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코일부; 및 자석을 통해 상기 코일부에 공급되는 전류 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부 몸체와 인력 및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구동부 몸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는 조명 스위치부와 결합하는 덮개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부;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버튼부를 점등 위치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 구동부; 상기 조명 스위치부로 공급되는 전원선에 클램핑(Clamping)되어 상기 전원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및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한 전류를 저장하여 전원으로 공급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치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캠부; 및 상기 캠부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명 스위치부의 버튼부를 가압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는 조명 스위치부와 결합하는 덮개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부;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버튼부를 가압하는 스위치 구동부; 상기 조명 스위치부로 공급되는 전원선에 클램핑(Clamping)되어 상기 전원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및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한 전류를 저장하여 전원으로 공급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류 검출부는 온/오프 동작에 따른 사용 전류량을 검출하는 사용전류 검출부; 및 상기 전원선으로부터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검출하여 충전부로 공급하는 유도전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사용전류 검출부에서 검출한 사용 전류량을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는 조명 스위치부와 결합하고,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버튼부를 가압하는 외부 버튼부를 형성한 덮개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부;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외부 버튼부가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버튼부를 가압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덮개부는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명 스위치부의 전측에 억지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치 구동부는 영구자석으로 형성한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중앙에 외부 버튼부와 치합하도록 나사홈을 형성한 회전자 관통공; 및 상기 회전자의 주변에 권선되어 상기 회전자가 회전하도록 전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외부 버튼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치 구동부는 회전자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는 온/오프 동작에 따른 사용 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 벽에 설치되어 조명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 스위치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원격 제어수단을 통해 원격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제어를 위한 전기배선 공사 또는 전자적인 설비의 시스템 구축없이 기존에 설치된 조명 스위치의 커버를 대체하여 설치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스위치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를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 3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도 5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도 8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 은 도 8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 은 도 8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A-A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는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조명 스위치부(110)와, 덮개부(120)와, 동작 제어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는 텀블러 스위치 또는 토글 스위치로서, 벽체에 설치되어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전송되는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가 점등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전원선(114)이 연결되며 볼트(112a)를 통해 벽체에 고정되고, 스위치 프레임(111)과, 버튼 프레임(112)과, 상기 버튼 프레임(112)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프레임(111)에는 복수의 체결부(111a)가 형성되어 덮개부(120)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덮개부(12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한 사각형상의 덮개부 하우징(121)과, 커버(미도시)가 제거된 조명 스위치부(110)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덮개부 하우징(121)의 일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고정부(121a)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를 수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도록 버튼부(113)와 대응하는 외부 버튼부(122)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 버튼부(122)는 후술되는 스위치 구동부(134)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경우 상기 스위치 구동부(134)의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동작 제어모듈(130)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인쇄회로기판(130a)과, 통신부(131)와, 제어부(132)와, 릴레이부(133)와, 스위치 구동부(134)와, 전류 검출부(135)와, 충점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30a)은 스위치 구동부(134)의 양측 단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부(130b)가 천공되고, 상기 스위치 구동부(134)가 회동할 수 있도록 제 1 힌지부(130c)가 형성된다.
상기 통신부(131)는 인쇄회로기판(130a)에 설치되어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조명 스위치부(110)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32)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32)가 출력하는 사용 전력량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31)는 무선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고,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무선 USB 통신포맷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32)는 인쇄회로기판(130a)에 설치되어 통신부(131)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2)는 사용전류 검출부(135')가 검출한 단위 시간당 사용 전류를 통신부(13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릴레이부(133)는 제어부(132)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충전부(136)의 전원이 스위치 구동부(134)로 공급되도록 하고,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가 상기 스위치 구동부(134)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 구동부(134)는 릴레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점등 위치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구동부 몸체(134a)와, 코일부(134b)와, 회동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 몸체(134a)는 양측 단부가 만곡된 자성체로 구성되고, 회전축(134c)을 통해 제 1 힌지부(130c)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코일부(134b)에 전류가 공급되면 자화(磁化)되어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턴부(113)를 가압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코일부(134b)는 구동부 몸체(134a)에 권선되어 전류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부 몸체(134a)가 자화되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134')는 코일부(134b)에 공급되는 전류 방향에 따라 구동부 몸체(134a)와 인력 및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구동부 몸체(134a)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판 형상의 회동부 프레임(134a')과, 상기 회동부 프레임(134a')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코일부(134b)로 공급되는 전류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에 따른 인력 및 척력이 발생되도록 자기장을 출력하는 자석(134b')과, 상기 회동부(134')가 제 2 힌지부(134d')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30a)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3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부(134')는 코일부(134b)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석(134b')의 자기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부 몸체(134a)와의 사이에 인력 및 척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전류 검출부(135)는 조명 스위치부(110)로 공급되는 전원선(114)이 관통하도록 클램핑(Clamping)되어 상기 전원선(114)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전류 검출부 몸체(135a)와, 결합부(135b)가 회전축(135c)을 통해 결합되어 전원선(114)에 클램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전원선(114)의 전류를 검출하는 사용전류 검출부(135')와, 유도전류 검출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류 검출부 몸체(135a)와 결합부(135b)는 영상 변류기로서, 전원선(114)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사용전류 검출부(135')는 조명 스위치부(110)가 온(ON) 되면 전원선(114)을 통해 공급되는 사용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132)로 출력한다.
상기 유도전류 검출부(135")는 전류 검출부 몸체(135a)와, 결합부(135b)를 통해 전원선(114)으로부터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검출하여 일정 크기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전류를 충전부(136)로 공급한다.
즉 상기 유도전류 검출부(135")는 조명 스위치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를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충전부(136)는 전류 검출부(135)에서 검출한 전류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전류는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또는 어플)이 설치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의 인식 과정을 수행하여 주변에 위치한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온/오프 신호를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의 제어부(132)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전류를 수신하여 단위 시간당 사용 전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른 사용 전류량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는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조명 스위치부(110)와 결합하는 덮개부(120)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31)와, 상기 통신부(131)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2)와, 상기 제어부(132)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부(133)와, 상기 릴레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점등 위치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 구동부(140)와,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로 공급되는 전원선(114)에 클램핑되어 상기 전원선(114)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35)와, 상기 전류 검출부(135)에서 검출한 전류를 저장하여 전원으로 공급하는 충전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의 구성요소 중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스위치 구동부(140)의 구성에서 제 1 실시예와 구별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부(140)는 제어부(132)의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하여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가 점등 위치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모터(140a)와, 캠부(140b)와, 회동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140a)는 제어부(132)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구성으로서, DC모터, 스테핑모터, 서보모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캠부(140b)는 모터(140a)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140a)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상기 캠부(140b)의 일측으로 편심된 캠 결합공(140c)이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141)는 캠부(140b)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설치된 캠 결합공(140c)과 연결되어 모터(140a)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가압하여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회동부 결합돌기(141d)를 통해 캠 결합공(140c)과 연결된 막대 형상의 회동부 프레임(141a)과, 상기 회동부 프레임(141a)과 회동부 회전축(141b)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140a)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버튼부(113)를 가압하는 가압부(14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부(141)는 모터(140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부(141c)의 위치를 가변시켜 버튼부(113)가 눌러지도록 한다.
또한, 외부 버튼부(122)는 회동부(141)의 가압부(141c)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경우 상기 가압부(141c)를 가압함으로써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는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조명 스위치부(110')와 결합하는 덮개부(120')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31)와, 상기 통신부(131)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2)와, 상기 제어부(132)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부(133)와, 상기 릴레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가압하는 스위치 구동부(150)와,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로 공급되는 전원선(114)에 클램핑되어 상기 전원선(114)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35)와, 상기 전류 검출부(135)에서 검출한 전류를 저장하여 전원으로 공급하는 충전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의 구성요소 중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조명 스위치부(110')와, 덮개부(120')와, 스위치 구동부(150)의 구성에서 제 1 실시예와 구별된다.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는 누르면 점등되고, 다시 누르면 소등되는 푸쉬형 스위치로서, 벽체에 설치되어 모바일 단말기(200, 도 2 참조)에서 전송되는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가 점등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전원선(114)이 연결되며 볼트를 통해 벽체에 고정되고, 스위치 프레임(111')과, 버튼 프레임(112')과, 상기 버튼 프레임(112')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12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한 사각형상의 덮개부 하우징(121')과, 커버(미도시)가 제거된 조명 스위치부(110')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덮개부 하우징(121')의 일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고정부(121a')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를 수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도록 버튼부(113')와 대응하는 외부 버튼부(122')와, 상기 외부 버튼부(122')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3')이 설치된다.
상기 외부 버튼부(122')의 하부에는 스위치 구동부(15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수동 조작을 위해 상기 외부 버튼부(122')를 누르면 상기 스위치 구동부(150)를 가압하여 버튼부(113')가 눌러지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 구동부(150)는 버튼부(113')와 외부 버튼부(122') 사이에 설치되고, 제어부(132, 도 2 참조)의 제어를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전류가 공급되면 자화되어 자석의 자기장에 직교하는 방향 즉 버튼부(113')방향으로 인력이 발생되도록 동작하여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가압함으로써, 조명 스위치부(110')가 온/오프되도록 한다.
(제 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는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조명 스위치부(110)와 결합하고,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가압하는 외부 버튼부(122")를 형성한 덮개부(120")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31)와, 상기 통신부(131)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2)와, 상기 제어부(132)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부(133)와, 상기 릴레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외부 버튼부(122")가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가압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 구동부(134")와, 온/오프 동작에 따른 사용 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35)와, 상기 제어부(132)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 구동부(13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의 구성요소 중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덮개부(120")와 스위치 구동부(134")의 구성에서 제 1 실시예와 구별된다.
상기 덮개부(120")는 동작 제어모듈(130")이 설치되는 덮개부 하우징(121")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 하우징(121")의 일측에는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이 되도록 돌출된 고정부(121a")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 하우징(121")을 관통하는 관통공(121b")과, 외부 버튼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 하우징(121")은 내부에 통신부(131)와, 제어부(132)와, 릴레이부(133)와, 스위치 구동부(134")와, 전류 검출부(135)와, 전원부(137)가 설치되어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121a")는 덮개부 하우징(121")의 일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덮개부(120")가 조명 스위치부(110)의 프레임과 억지끼움 결합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전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통공(121b")은 덮개부 하우징(121")에 천공되어 외부 버튼부(122")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 버튼부(122")는 덮개부 하우징(121")을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면에는 나사산(122a")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경우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 버튼부(122")는 스위치 구동부(134")와 치합하고, 상기 스위치 구동부(134")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여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 구동부(134")는 덮개부 하우징(1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회전자(134a")와, 상기 회전자(134a")의 중앙에 외부 버튼부(122")와 치합하도록 나사홈을 형성한 회전자 관통공(134b")과, 상기 회전자(134a")의 주변에 권선하여 설치되어 상기 회전자(134a")가 회전하도록 전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13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스위치 구동부(134")는 제어부(132)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스테이터(134b")에 흐르는 전류 방향이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스테이터(134b")의 전류 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전기장과 회전자(134a")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회전자(134a")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자(134a")에 치합된 외부 버튼부(122")가 상기 회전자(134a")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여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점등 또는 소등 위치가 되도록 가압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구동부(134")는 회전자(134a")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버튼부(113)를 가압할 경우 두개의 회전자가 같은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를 이용한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실시예와 같이 전자석을 이용한 액추에이터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137)는 덮개부 하우징(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기존 벽에 설치되어 조명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 스위치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원격 제어수단을 통해 원격지에서 조작할 수 있고, 원격 제어를 위한 전기배선 공사 또는 전자적인 설비의 시스템 구축없이 기존에 설치된 조명 스위치의 커버를 대체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조명 스위치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를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의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100', 100", 100'" : 조명 스위치 동작부
110, 110' : 조명 스위치부 111, 111' : 스위치 프레임
111a : 체결부 112, 112' : 버튼 프레임
112a : 볼트 113, 113' : 버튼부
114 : 전원선 120, 120', 120" : 덮개부
121, 121', 121" : 덮개부 하우징 121a, 121a', 121a" : 고정부
121b" : 관통공 122, 122', 122" : 외부 버튼부
122a" : 나사산 123' : 스프링
130, 130" : 동작 제어모듈 130a : 인쇄회로기판
130b : 관통부 130c : 제 1 힌지부
131 : 통신부 132 : 제어부
133 : 릴레이부 134, 134" : 스위치 구동부
134a : 구동부 몸체 134a" : 회전자
134b : 코일부 134b" : 회전자 관통공
134c : 회전축 134' : 회동부
134a' : 회동부 프레임 134b' : 자석
134b" : 스테이터 134c' : 회전축
134d' : 제 2 힌지부 135 : 전류 검출부
135a : 전류 검출부 몸체 135b : 결합부
135c : 회전축 135' : 사용전류 검출부
135" : 유도전류 검출부 136 : 충전부
137 : 전원부
140 : 스위치 구동부 140a : 모터
140b : 캠부 140c : 캠 결합공
141 : 회동부 141a : 회동부 프레임
141b : 회동부 회전축 141c : 가압부
141d : 회동부 결합돌기 150 : 스위치 구동부
200 : 모바일 단말기

Claims (13)

  1. 벽체에 설치된 조명 스위치부(110, 110')와 결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전송되는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 110')의 버튼부(113, 113')가 점등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도록 동작하는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 100', 100"); 및
    사용자의 온/오프 입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 100', 100", 100'")로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조명 스위치부(110)와 결합하는 덮개부(120);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31);
    상기 통신부(131)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2);
    상기 제어부(132)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부(133);
    상기 릴레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점등 위치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 구동부(134);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로 공급되는 전원선(114)에 클램핑(Clamping)되어 상기 전원선(114)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35); 및
    상기 전류 검출부(135)에서 검출한 전류를 저장하여 전원으로 공급하는 충전부(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동부(134)는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턴부(113)를 가압하는 구동부 몸체(134a);
    상기 구동부 몸체(134a)에 권선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코일부(134b); 및
    자석(134b')을 통해 상기 코일부(134b)에 공급되는 전류 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부 몸체(134a)와 인력 및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구동부 몸체(134a)가 회전축(134c)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동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조명 스위치부(110)와 결합하는 덮개부(120);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31);
    상기 통신부(131)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2);
    상기 제어부(132)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부(133);
    상기 릴레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점등 위치 또는 소등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 구동부(140);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로 공급되는 전원선(114)에 클램핑(Clamping)되어 상기 전원선(114)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35); 및
    상기 전류 검출부(135)에서 검출한 전류를 저장하여 전원으로 공급하는 충전부(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동부(140)는 모터(140a);
    상기 모터(140a)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캠부(140b); 및
    상기 캠부(140b)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연결되어 상기 모터(140a)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가압하는 회동부(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조명 스위치부(110')와 결합하는 덮개부(120');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31);
    상기 통신부(131)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2);
    상기 제어부(132)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부(133);
    상기 릴레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가압하는 스위치 구동부(150);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로 공급되는 전원선(114)에 클램핑(Clamping)되어 상기 전원선(114)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35); 및
    상기 전류 검출부(135)에서 검출한 전류를 저장하여 전원으로 공급하는 충전부(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7. 제 2 항, 제 4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부(135)는 온/오프 동작에 따른 사용 전류량을 검출하는 사용전류 검출부(135'); 및
    상기 전원선(114)으로부터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검출하여 충전부(136)로 공급하는 유도전류 검출부(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2)는 사용전류 검출부(135')에서 검출한 사용 전류량을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조명 스위치부(110)와 결합하고,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가압하는 외부 버튼부(122")를 형성한 덮개부(120");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31);
    상기 통신부(131)가 수신한 온/오프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신호 또는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2);
    상기 제어부(132)가 출력하는 점등 또는 소등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부(133);
    상기 릴레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외부 버튼부(122")가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버튼부(113)를 가압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 구동부(134"); 및
    상기 제어부(132)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 구동부(13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20")는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명 스위치부(110)의 전측에 억지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동부(134")는 영구자석으로 형성한 회전자(134a");
    상기 회전자(134a")의 중앙에 외부 버튼부(122")와 치합하도록 나사홈을 형성한 회전자 관통공(134b"); 및
    상기 회전자(134a")의 주변에 권선되어 상기 회전자(134a")가 회전하도록 전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134b")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134a")는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외부 버튼부(122")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동부(134")는 회전자(134a")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스위치 동작부(100'")는 온/오프 동작에 따른 사용 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KR1020140127917A 2014-09-24 2014-09-24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KR20160035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917A KR20160035932A (ko) 2014-09-24 2014-09-24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917A KR20160035932A (ko) 2014-09-24 2014-09-24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32A true KR20160035932A (ko) 2016-04-01

Family

ID=5579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917A KR20160035932A (ko) 2014-09-24 2014-09-24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59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438B1 (ko) * 2016-12-28 2017-02-20 신현오 사물인터넷을 위한 전자식 스위치 장치
KR102101116B1 (ko) * 2019-03-28 2020-04-14 주식회사 라맥스 스위치 온/오프 자동제어용 케이싱 어셈블리
KR20230112856A (ko) * 2022-01-21 2023-07-28 김상민 스위치 케이싱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438B1 (ko) * 2016-12-28 2017-02-20 신현오 사물인터넷을 위한 전자식 스위치 장치
KR102101116B1 (ko) * 2019-03-28 2020-04-14 주식회사 라맥스 스위치 온/오프 자동제어용 케이싱 어셈블리
KR20230112856A (ko) * 2022-01-21 2023-07-28 김상민 스위치 케이싱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8093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照明制御システムの変更可能なスイッチ板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482271B1 (en)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system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EP3047494B1 (en) Easy-install home automation light switch
CN110794755B (zh) 自发电无线开关及其应用
JP5096563B2 (ja) 電源装置
US7057360B1 (en) Motor assembly for folding/unfolding foldable screen
KR100972830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콘센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026890A1 (en)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for an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for a piece of furniture,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and a corresponding piece of furniture
RU2619585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становочный прибор скрытой проводки с возможностями wlan
US10784059B2 (en) Control circuits for self-powered switches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on
KR20160035932A (ko) 조명 스위치 제어 장치
JP4363835B2 (ja) 電気機器の動作状態制御システム
US20140232496A1 (en) Magnetic trigger mechanism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CA2999142A1 (en) Plug load receptacle
JP2009043664A (ja) スイッチアダプタ及びこのスイッチアダプタを用いた照明制御システム
JP2016189293A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CN106409580B (zh) 一种开关控制装置
KR200387622Y1 (ko) 감시기능을 갖는 인터넷 제어형 전원멀티탭
KR20150003331U (ko) 전등스위치용 원격제어장치
KR20020085620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위치
KR101671217B1 (ko) 무선 스위치
JP5581185B2 (ja) 負荷制御スイッチ及び負荷制御スイッチシステム
JP7497048B2 (ja) 照明器具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876462B1 (ko) 마그네틱 커넥팅 소켓
KR101701000B1 (ko)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